씬짜오베트남 03월 24일 데일리뉴스

Page 1

DAILY NEWS 씬짜오 베트남은 전자판으로 매일발행됩니다.

기사제공 및 광고문의

T. 079 283 2000

|

2022.03.24 (Electronic Edition No 176)

E.info@chaovietnam.co.kr

베트남, 근로자 초과근무시간 월 40→60시간 조정

베트남 비자면제 기간 연장 기업, 전문가들 제안

연간 200→300시간으로..

현행 15~21일에서 30일로 늘릴 것

베트남 근로자의 초과근무시간은 현행 월 40시간 에서 60시간, 연간 200시간에서 300시간으로 늘어 날 예정이라고 24일 인사이드비나지가 보도했다. 23일 오후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들은 정부의 ‘코 로나19 예방 및 사회경제적 회복과 발전을 위한 근 로자 초과근무시간 조정안’에 대해 만장일치로 가 결했다. 이 결의안은 오는 4월1일(적용일은 2022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시행된다. 단 현재 정부 가 경제성장을 위해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분야에 는 300시간을 초과한 근무가 허용된다. 이번 결정 은 밀려드는 주문을 소화하기 위해 초과근로시간을 늘려야 한다는 기업들의 압박이 거세지자, 노동보 훈사회부가 초과근무시간 한도를 현행 40시간에서 72시간으로 늘리자고 제안했고, 상임위가 이를 일 부 조정한 것이다. 당초 노동보훈사회부와 베트남 상공회의소(VCCI)는 지난해 코로나19로 공장들이 문을 닫은 경우가 많아 밀린 수출주문을 채우기 위 해서는 초과근로시간이 72시간으로 연장돼야 한다

고 제안했지만, 상임위는 '근로자의 근로부담에 너 무 큰 압박이 된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초과근 무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15~17세 근로자 ▲ 중증장애자 또는 작업능력을 절반 이상 상실한 경 증장애자 ▲위험, 과중, 유독성 환경의 근로자 ▲ 임신 7개월 이상 여직원(산간오지, 도서지역, 접경 지역인 경우 6개월) ▲1살 이하 아이를 양육하는 여직원 등이다. 노동보훈사회부의 보고서에 따르 면, 초과근무시간 연장에 대해 고용주와 근로자 모 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용주 입장에서 는 생산량을 끌어올리고, 노동자 입장에서는 부족 한 임금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9년 개정 (2021년 시행) 노동법에 따르면 근로자의 초과근무 시간은 일 12시간, 월 40시간, 연간 200시간을 초 과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초과근무를 시행할 경 우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단 초과근로가 연 간 300시간까지 적용되는 산업은 정유, 상하수, 소 금, 전기·전자산업 등이다. (인사이드비나 2022.03.24)

유류 환경세 절반 인하 베트남 국회 가결 4월부터 연말까지 한시 적용

베트남은 오는 4월부터 휘발유에 붙는 환경세 가 50% 인하된다고 Vnexpress지가 23일 보도 했다. 보도에 따르면 23일 오후 국회 상임위원 회는 공상부의 '석유제품 환경세 인하안'을 가 결 처리했다. 이 결의안은 오는 4월1일부터 12 월31일까지 한시 적용된다. 이에 따라 가장 수 요가 높은 휘발유 RON95의 환경세는 종전 리 터당 4000동(0.17달러)에서 2000동으로 인하 된다. 이외 경유는 2000동에서 1000동, 등유 는 1000동에서 300동으로 인하한다. 응웬 푸 끄엉(Nguyen Phu Cuong) 국회 재정예산위원

장은 "이번 감세는 경제가 코로나19 영향에서 회복됨에 따라 국민과 기업에 대한 국가의 지 원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번 가결결정을 환 영했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 11일 고시 에서 사상 최고치인 2만9820동(1.30달러)까 지 올랐다가, 가장 최근인 21일 고시에서 2만 9190동(1.28달러)으로 3개월만에 소폭 내렸 다. 휘발유 가격은 올들어서만 25% 이상, 지난해 12월초부터는 거의 35% 올랐다. (인사이드비나 2022.03.23)

베트남의 많은 기업과 전문가 들이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 를 위해 비자면제 기간을 현행 15~21일에서 30일로 늘릴 것 을 정부에 제안했다고 인사이드 비나지가 24일 보도했다. 경제 전문가인 쩐 딘 티엔(Tran Dinh Thien) 교수는 최근 '꽝닌성 (Quang Ninh), 관광재개를 도 모하기 위한 세미나’에서 "세 계관광지도에서 더 넓고 강해진 베트남의 위치를 상상해보라. 현재 베트남은 13개국에 대한 일방적 비자면제 정책을 재개했 지만 체류기간은 15일"이라며 " 그러나 올해 외국인 관광객은 평년의 25~30%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외국 인을 더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 는 체류기간을 늘리고, 무비자 정책도 더 많은 국가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팜 쯔엉 호앙(Pham Truong Hoang) 국 립경제대학 호텔관광학과 학과 장도 티엔 교수의 의견에 동의 하며 "이제 우리는 큰 손님인 나 라에만 집착해서는 안된다"며 " 더 많은 국가에 비자면제를 제 공해 새로운 손님도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호앙 교수에 따르면 태 국은 64개국, 인도네시아 70개 국, 필리핀 157개국 등 역내 경 쟁국들은 많은 나라에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들 국 가는 무비자 정책을 확대한 이 후 외국인 관광객이 20% 이상 늘었다. 썬그룹(Sun Group) 관 광자회사 썬월드(Sun World)의 쩐 응웬(Tran Nguyen) 대표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몇몇 대형 관광시장도 무비자를 확대해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 다. 기업들과 전문가들은 또한

현행 15~21일(일부는 30일)인 무비자 기간을 최대 30일로 확 대할 것도 제안했다. 팜 티 응웻 (Pham Thi Nguyet) 베트남항 공(Vietnam Airlines) 마케팅부 서장은 "30일 비자면제는 더 많 은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무비자 체류기간 연장을 제안했다. 응 웬 부서장에 따르면 현재 베트 남항공은 중국과 미얀마를 제외 하고 국제선의 90%를 재개했으 며, 연말까지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완전히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4월에는 호치민-싱 가포르, 하노이-뉴델리 등의 주 요노선이 재개되거나 신규 개설 될 예정이다. 이에대해 응웬 민 항(Nguyen Minh Hang) 외교부 차관보는 "이제 베트남은 코로 나19 이전 수준으로 비자 및 관 광 정책을 완전히 재개했다"며 " 앞으로 외교부는 문화체육관광 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 기업 및 전문가들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비자면제를 확대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팬 데믹 이전 비자면제 혜택이 적 용된 국가는 24개국이었고, 46 개국은 전자비자로 입국할 수 있었다. 비자면제 국가는 ▲한 국, 일본, 스위스, 노르웨이, 덴 마크, 러시아, 핀란드, 독일, 프 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벨로루시 15일(이들 국가는 지 난 15일부터 전면재개) ▲브루 나이, 미얀마 2주 ▲필리핀 3주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키르기스스탄 30일 이내 ▲칠 레, 프랑스는 외교여권 및 관용 여권시 90일 체류, 총 6개월 이 내 등이다. (인사이드비나 2022.03.24)

2면

인생의 선택 살아가면서 우리는 늘 선택을 합니다. 점심을 뭘 먹을 것인가 하는 작은 것부 터 대통령 선거의 선택이나 결혼 상대 자를 고르는 무거운 선택까지 늘 우리 는 선택을 하며 자신의 운명을 만들어 갑니다. 삶은 어찌보면 선택의 연속 입니다. 연속된 선택으로 우리의 운명 이 만들어지죠. 학생들에게는 오늘 공 부를 할 것인지 친구와 오락실을 갈 것 인지의 선택이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도 있습니다. 상급학교를 어디로 진학 할 것인지도 삶의 경로를 결정하는 중 요한 선택이고, 군대를 어디로 갈 것인 지도 한국의 남자들에게는 중요한 선택 입니다. 그리고 어떤 직업을 택할 것인 가 하는 것 역시 인생이 통채로 바뀔 만 한 선택입니다. 나아가 부인을 만나 선 택하고 간택 받는 것 역시 자신의 인생 을 바꿉니다. 매 순간 신은 그대에게 선택을 묻습니 다. 그 선택 너머의 운명에 대한 청사진 을 감춘채 말입니다. 그러니 선택 전에 그 너머에 숨어있는 미래를 그려볼 수

한주필 칼럼 있다면 우리는 항상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매형이 있습니다. 올 해 85세로 고등학교 교장 선생님을 하 시다 은퇴하신 분입니다. 그 부인인 누 님도 교사출신으로 교원가족인데, 예전 이해찬 장관 재임시절 교사 은퇴연령을 줄이는 바람에 기대보다 2년이나 먼저 은퇴하게 되었다고 이름이 비슷한 해찬 들 고추장도 안 먹는 집안입니다. 엊그 제 제 모친 101세 생신에 누님과 함께 부 부동반으로 장모님을 찾았습니다. 인지 능력이 별로 남아있지 않은 모친이지만 누가 왔는지 간신히 알아봅니다. 감사 할 일입니다. 가족 중에 유일하게 모친 101세 생신을 축하하러 외부에서 집으 로 방문한 가족입니다. 모친은 7남매를 두었지만 거의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생신날 코로나 시국을 이유로 고 작 2명의 자식부부에게 대면 축하 를받았습니다.그래도아직7남매 모두 모친보다 먼저 가는 불효는 저지르지 않았으니 다행입니다. 누구는 외국에서, 누구는 타지에

서 제 나름대로의 사연으로 모친의 생 신을 축하했으리라 믿습니다. 모친을 옆에서 모시며 느끼는 일, 오래 계시는 것 만이 능사가 아닙니다. 자신 을 찾는 친구도 없이 늘 홀로 지내셔야 합니다. 하긴 친구가 있어도 대화가 가 능한 수준이 아니니 그 역시 기대할 바 가 아닙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못 지 않게 어떻게 삶을 매듭지을 것인지 도 마땅히 준비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 지만, 불행하게도 이건 선택이 안됩니 다. 그래서 더욱 답답합니다. 그래도 육 체의 소멸은 영혼의 불멸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위로를 찾습니다. 모친의 생일 케익을 나눠들면서 매형이 얘기합니다. 자신에게 3가지 잘한 선택이 있었다고. 한가지는 기독교를 영접한 것이고, 두 번째는 자네 누나를 집사람으로 만난 것이고, 마지막 3번째는 교직을 직업으로 택한 것 이라 합니다. 종교, 가족 그리고 직업, 매형은 우리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3

가지요소를결정하는데실수하지않은 것이라며 자신의 선택에 자부심을 갖는 듯합니다. 참으로 부러운 회고입니다. 종교는 살아가는데 필요한 가치관과 철 학이 되고, 가족은 삶 그 자체가 되고, 직 업은 개인이 살아가는 의미를 찾아줍니 다. 마지막 교직이라는 직업의 선택이 잘되었다는 것은 은퇴후 연금이 나오면 서 더욱 절실하게 느꼈다고 합니다. 한 국에서는 교원 연금이 최고의 노후 보 장입니다. 스스로를 돌아봅니다. 내 삶 에 잘한 선택은 무엇이었나? 살아오면 서 직업을 바꾼 것만 해도 4가지가 되니, 제 선택은 별로 신중하지 않은 편이었 나 봅니다. 그래도 마지막 직업, 글쟁이 로 살기는, 후회할 일은 아닌 듯하여 위 로가 됩니다. 조용한 시간, 과거의 선택이 바꿔놓은 자신의 삶에 대한 리뷰를 하고 앞으로 남은 선택이 무엇인지 가만히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삶을 건실하게 만들어주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씬짜오베트남 03월 24일 데일리뉴스 by 씬짜오베트남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