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품기금 운영보고서

Page 1

함께하는 발돋움 품 청소년 자립을 위한 ‘품’기금 운영보고서 2022

‘품’을

김현수 | 들꽃청소년세상 이사장

“들꽃

저렴하고 좋은

아직도 비싼 월세방에 살고 있을 것입니다.”

(들꽃자립생 김00)

“난처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이자가 없는’ 품기금은 제 삶에 큰 위로와 응원이 되었 습니다.” (들꽃자립생 박00)

후원자 여러분들께서 품기금을 조성해 주셨습니다.

덕분에 들꽃 자립생들은 좀 더 나은 조건의 주거를 마련했습니다.

학비를 융통했습니다. 고리대의 사슬을 벗었습니다. 위기의 순간을 넘겼습니다.

품기금 상환을 생각하며 구직에 더 적극적으로 임했습니다.

코로나의 어두운 터널을 통과할 때도

한줄기 빛이 되어주었습니다.

후원자 여러분의 사랑으로 들꽃 자립생들은 품을 얻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인생이란 수많은 도전이라는 문제에 저마다의 생각과 행동으로 답변해야

‘파우스트’를, 칸트는 57세가 되어서 ‘순수이성비판’을 썼고 미켈란젤로는 ‘성베드로성전돔’을 70세에 완성했습니다. 나쁜 것들은 한 번에 되는데 좋은 것들은 오래 걸립니다.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열 한번 찍는 인내가 필요합니다.

긍정적으로 삽시다. ‘난 무조건, 뭐든 할 수 있다’는 대책

긍정주의로 사는 것이 아닙니다.

품기금을 빌려 월세도
집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품기금이 없었다면
얻었습니다
02 인사말
03 후원자의 글
하는 주관식 시험입 니다. 용기란, 불안과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전진하는 것입니다. 가장 좋은 것을 위해, 두 번째 좋은 것을 포기하는 것이고, 가장 급한 것을 선택하는 게 아니라 가장 중요한 것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용기를 내고, 각자의 문제에 도전할 자립생 여러분들을 위해, ‘인생’이라는 문제를 풀 때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이야기를 전합니다. 1 인내합시다. 역사적 업적의 64%가 60세 이상에 이뤄졌습니다. 괴테는 80세가 넘어서
2
없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과 긍정적인 측면을 균형 있게 보며, 내가 할 일은 하되, 내 힘으로 안 되는 것도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할 수 있다는 담대함을 갖자는 것입니다. 3 책을 많이 읽읍시다. 배움을 얻는다는 것은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기 자신과 평화롭게 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주위에 좋은 사람들로 채웁시다. 불가능 속에서도 한 줄기 빛을 보기 위해 애쓰는 사람, 자기 자신에게 자신감을 갖고 있는 사람, 노래를 썩 잘하지 못해도 열심히 부르는 사람, 그런 사람 자립을 한다 백영희 | 후원자

두근두근 새로운 시작을 응원합니다. 자립을 하며 희망과 걱정, 설렘과 두려움 등 많은 감정이 교차할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이 다른 무엇보다 꼭 마음에 새겼으면 하는 것이 있습니다.

"우린 젊은 청춘이다. 청춘이기에 실수할 수도 있다."

살다보면 나의 계획보다 일이 잘 풀릴 때도 있고, 생각보다 좋은 사람을 만나기도 합니다.

때로는 실망을 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도전하면 됩니다.

장마가 그치고 태양이 떠오르듯이

손OO | 아모텍진달래가정 자립생

안녕하세요. 저는 아모텍진달래가정의 자립생

손OO입니다.

자립을 하면서 스스로 감당해야 하는 것들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경제 개념이 없던 상태

에서 ‘자유’를 느끼게 되니 너무 좋아서 하루 하루 즐기면서 살았습니다.

‘신용 관리’에 대한 부분도 혼자서 해결하려고 했지만 쉽지 않았는데요. 다행히 선생님들이 알려주신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좋은 제도를 찾고 가입하여

여러분에게 외로움이 찾아올 때도

있겠지만,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

여러분 주변에는 직접 표현을 하지 않아도 걱정하고

도움을 주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꼭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렇게 즐기며 살다 보니 이것저것 경제적 으로 압박과 압류가 들어오고, 반복되는 악재 속에서 신용도 점차 안 좋아져 갔습니다 열심히 돈을 벌어 그 틈을 메꾼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우연히 ‘품기금’이라는 제도를 듣고 대표님과 가정의 선생님들과 상담을 하면서 여러 가지 방안들을 알게 되었고, 생활할 수 있는 지원금을 받게 되었습니다.

지원해 주시고,

있는 제도, 방안들을 함께 고민하고 찾아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자립생의 감사 인사
꾸준히 회복 중에 있습니다. 왜 진작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을까 후회할 정도로 지금은 모든 일이 좋은 쪽으로 바뀌었 습니다. 당장의 생계유지를 위해 급하게 해결 해야 했던 통장 압류가 풀리고 보다 더 정상 적인 삶으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신용도 전보다 좋아졌고, 직장에 다니며 문제없이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몰랐던 저에게 품기금을
현재의 어려운 상황들을 해결할 수
04 05 후원자의 글
끈기와 노력을 갖고 또다시
실수를 통해 좌절이 아닌 성장을 배울 수 있다는 걸 꼭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 열심히 노력해도 정말 너무 힘든 순간이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마음이 너무 힘들 때는 혼자서 다 짊어지려 하지 말고, 주변에 힘든 상황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주변에 알리기 힘들다면 함께 했던 선생님에게 도움을 청해도 좋습니다. 자립하는 과정에서
표유석 | 후원자 설렘과 두려움을 갖고 있는 친구들에게

안녕하세요. 2020년에 자립한 장OO입니다.

저는 인애해바라기가정에서 2년간 생활을

하고 자립을 했습니다. 자립 후 휴대폰을 개통

하다 문제가 생겼습니다. 휴대폰 매장에서

새로 개통한 통신사 외에 다른 통신사에서

추가로 2개의 휴대폰이 개통된 것입니다. 처음

에는 휴대폰이 개통된 사실을 알 수 없었고

휴대폰 요금이 연체된 지 6개월이 지나서야

개통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6개월이 지난 그때, 2개 휴대폰의 기계값이 300만 원, 통신비가 120만 원이 연체되어 있었습니다. 제가 사지도 않은, 보지도 못한 휴대폰이었는데 420만 원의 연체료가 발생한 것입니다.

현재까지 식당에서 주방일을 하며 미납금액을 내고 있습니다. 700만 원이라는 금액을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 했을 땐 막막하고 답답한 마음만 들었습니다. 그래서 자포자기 상태로 지내고 있었으나 품기 금을 지원받게 되고, 들꽃 선생님들의 도움으로

일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일하기 전에는

제가 한 것이 아니므로 처음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독촉과 우편으로 인해 인애해바라기가정 선생님들께 상황을 알렸습니다. 사기라고 생각했지만 제가 계약서에

서명을 했고, 따라서 제가 연체된 돈을 지급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자립

하지

지냈으나 지금은 규칙적으로 생활 하며 연체료를 갚아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연체료와 품기금을 모두 내고 나서, 새로운 직장 으로 이직할 계획도 갖고 있습니다.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싶었을 때 품기금이 저에게 큰 힘이 되었고

‘품’기금을 지원해 주셔서 감사

보전되고 있습니다. (상환율 약 69.4%)

위한 청소년자립지원사업비(국.내외)와 들꽃이야기

후 취직하여 일을 하고 있었으나 휴대폰 문제가 터질 무렵에는 일을
않고 있던 상태였기에 더욱 걱정이 컸습 니다. 당시 3개 통신사에 모두 연체료가 있어 700만 원이 필요했고 이를 지급할 수 있는 형편이 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생겨난 큰 연체료로 걱정하고 있을 때 ‘품기금’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행히 올해 3월 품기금을 통해 300만 원을 지원받아 연체가 오래된 통신사부터 연체료를 냈습니다. 그리고 5월부터
다시
무계획적으로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합니다. 미래를 계획할 수 있다는 행복 장OO | 인애해바라기가정 자립생 06 07 자립생의 감사 인사 청소년자립을 위한 품기금 자립청소년과 후기청소년의 따뜻한 품 '품 기금'은 2008년 고(故) 유금순님의 유산 기금을 시작으로 후원자 여러분께서 매년 후원 (출연) 해주셔서 현재 1,077,550,275원(후원금 +기타수입)이 조성되었습니다. '품 기금'은 다음 세 가지 내용으로 지출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 크레딧 자립지원 사업 함께하는 발돋움 품 마이크로크레딧(무담보소액대출) 방식으로 자립한 청소년들의 임차보증금, 대학등록 금, 긴급생활자금(고금리부채상환 등), 자립청소년창업지원자금을 위한 기금대여사업 으로지출됩니다. 현재 기금을 대출한 청소년들의 상환금으로
자립준비 청소년들을
So Grow 사업비로 지출됩니다. 이 부분은 상환 되지 않고 지출됩니다. 매 년 진행되는 자립식행사 "함께하는 발돋움 품"에 소요되는 경비 및 기타운영비로 지출됩니다.(예 : 자립청소년 정장비 등)

kimvivian YHW 강명순 강선주 강성재 강세은 강순원 강순원 강슬기 강영미 강영희 강영희 강원재 강윤선 강은형 강혁 강현정 강환경 강희백 고경석 고려진 고명숙 고삼곤 고애신 고정수 고중곤 고채연 고한석 공세일 공현주 공효진 곽동하 곽우년 곽지현 구미숙 구수정 권명수 권미혁 권수만 권수민 권숙 권순연 권영경 권영종 권인희 권호영 권홍숙 기쁜소식교회권사회 길채빈 김가람 김가은 김건국 김건철 김경목 김경선 김경은

100 100 100 100 300 30 6,100 100 30 100 100 1,300 100 9,000 100 3,900 50 100 100 400 100 1,620 100 100 100 100 50 600 50 100 200 200 20 50 2,000 10 300 100 600 10 1,700 100 200 100 100 1,000 100 1,000 80 20 100 20 100 100 500 50

김경임 김계영 김관식 김광민 김권식 김금훈 김기선 김동원·이경남 김동혁 김두연 김란주 김래현 김명인 김명희 김미금 김미선 김미애 김미연 김미향 김민수 김민영 김민철 김민혜 김병도 김병학 김봉애 김상미 김상식 김상태 김새롬 김석준 김선녀 김선민 김선옥 김성민 김성일 김성천 김성태 김성호 김성희 김소영 김수철 김순식 김심지 김양훈 김영균 김영미 김영빈 김영숙 김영순 김영식 김영애 김영종 김영주 김영춘 김예진

200 500 500 400 20 450 200 100 100 100 100 500 20 80 300 200 20 30 100 30 300 100 10 300 500 200 150 100 100 10 100 100 11,000 50 300 300 250 100 20 100 30 100 3,500 600 30 100 300 130 100 500 100 100 100 250 100 20

김오자 김옥희 김원숙·정환교 김유필 김윤정 김윤주 김은경 김은경 김은미 김은수 김은숙 김을순 김익범 김인경 김인옥 김인철 김일규 김일형 김재화 김정란 김정미·이성근 김정수 김정수 김정수 김정아 김정우 김정운 김정출 김정현 김정희 김제흠 김종억 김종옥 김주리 김주선 김중식 김지선 김지애 김지영 김지영·이춘호 김지원 김지창 김지희 김진영 김진영 김차남 김충한 김태민 김태민 김태성 김태희 김하늘 김한나 김한나 김현미 김현미

명단 (2008.01.01~2022.09.30

400 1,200 800 1,100 100 200 200 10 100 100 100 200 200 650 100 40 3 100 50 200 1,000 600 20 300 200 100 20 100 12,700 25,000 200 30 1,500 700 100 1,000 100 100 20 400 10 10 450 400 30 10 10 10 10 100 200 1,400 20 30 400 30

김현수 김현수 김현수

김현의

김현주

김현진 김현희

김형태

김혜경

김혜연 김혜윤 김혜은 김화봉

김효정·최창환

김희두 김희정 나선정 나영신 남기창 남소영 노용호 노용호·이경옥

노정호·조희경 노창식

노혜련

노혜진 도지숙 등대 류덕희 류묘진

류형걸 목미경 목익수 무명 문미란 문병문 문영지 문영희 문은영 문점숙 문흥만 민경석 민명준 민일홍 민재기 민효근 박경미 박경애·정진택 박경준 박경현 박기숙 박단비 박동숙 박미라 박미선 박미영

2,200 100 50 100 50 100 60 600 14,400 7,650 30 200 1,900 30 100 500 100 100 500 100 100 100 86,500 100 1,200 30 120 100 50 700 400 300 500 1,130 1,700 100 200 500 50 400 1,300 20 4,500 3,000 60 200 200 1,100 1,227 1,450 3,200 50 100 50 580 1,100

박미영·송진홍 박미진 박보나 박보은 박선옥 박수빈 박수찬 박순희 박영권 박영근 박영희 박옥임 박은경 박은영 박은화 박이석·김성희 박인미·김이남 박인숙 박재석 박재연 박점이 박정숙 박정주 박지연 박진규 박진영 박창수 박향숙(김옥희) 박혜경 박혜경 박혜정 박희덕 박희성 반주연 방귀숙 배미옥 배상왕 배선영 배성애 배영길 배영지 배태진 백남진·윤혜정 백문숙 백미애 백상현 백석대학교회2구역 백영희 백인자 백홍길 변미혜 변영미 사공진·이영훈 서대문행복센터 서명선 서미연

100 500 100 20 50 30 100 100 200 100 600 100 100 100 700 200 100 300 100 500 100 10 200 20 100 100 100 3,000 950 350 100 30 5,000 100 100 150 200 20 20 100 10 100 150 150 200 50 638 5,027 200 500 1,370 50 150 135 2,800 600

08 09 1 총수입 총수입 1,077,550,275원 총지출 715,892,603원 3 연간 후원금 현황 2 총지출 후원금 97.4% 1,049,759,245원 자립지원사업 (자립지원사업, 꿈지원 SoGrow사업 등) 390,020,922원 행사 및 운영비 (청소년 자립행사 등) 157,840,091원 대여사업 (자립기금사업) 168,031,590원 기타수입 2.6% 27,791,030원 22.0% 54.5% 23.5% 품기금 사업보고 연간후원금액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50,919,259 69,410,400 46,530,000 39,000,000 62,591,236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57,130,000 49,405,000 73,560,000 63,130,000 70,673,000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후원중) 75,181,350 80,539,000 102,685,000 161,175,000 47,830,000 후원금 합계 : 1,049,759,245원 단위 : 원 (22.09.30일 현재기준) 2022년 국내 자립기금
기준)
(단위 : 천원)개인

TOGETHER

예방을 위해 소규모 인원으로

으로

수 있습니다.

될 예정입니다.

멀리서

자립지원사업에 사용됩니다.

16길 17 Tel. 02-866-8836 / Fax. 02-863-8385 / E-mail. waha1318@hanmail.net www.wahaha.or.kr

자립을 향한, 들꽃
서울시 관악구 난우
품기금은 국내외 보호종료 및 후기청소년 자립을 위한 대여사업과
위 행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진행되며, 당일 온라인 방송
참여하실
이후 편집된 영상은 모든 후원자님께 발송
많은 분들과 함께 축하하지 못해 아쉽지만,
들꽃청소년들을 위해 많은 응원과 박수를 부탁드립니다. 함께하는 발돋움 품 2022. 12. 15 [목] 저녁 7시 전북 군산 달그락달그락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