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집합 A와 B-김기택 시인의 사물주의의 시 세계

*사물주의 시에 대한 근원과 정의
‘물과 대화를 나누었더니 반응했다. 밥
에게 미움을 주니 까맣게 썩고, 사랑을 주
니 흰밥 그대로였다.’ 이런 파장 연구는 옛
날 같으면 귀신 씻나락 까먹을 일인데 과
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신이 창조한
생물 외에 물질도 기운과 정체성이 있다
는 걸 중세 시인들의 시에서 읽어볼 수 있
다.
인류에 기여한 사물의 존재를 인식하려
면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주의]
에 근거해야 한다. ‘본질주의는 이론적으
로 하나의 인식 대상이 해당 종류에 해당
하기 위해서는 필히 부합해야 하는 일련
의 성격(본질)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 주장하는 철학적 논쟁에 중점을 둔 신
념과 실천이다.’
사물에 관심이 커진 인문학자, 철학자, 시인들은 물질의 본질을 인정하고 물질
이 인간에 귀결됨을 증명하기 위해 이론
을 구축한다. ‘컴퓨터, 스마트 폰, 옷, 신발, 자동차 등. 사물과의 관계는 우리의 정체
성을 형성한다. 그 중요성을 통찰하고, 그
것이 인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주목 한 것이 신유물론’인데, 그것은 인간과 밀 접한 물질을 시의 소재로 쓴 현대시에서 알 수 있다.
*김기택 시인의 시 세계 김기택 시인은 현대 시인이며 대학에서
시론 강의에 열정을 다하는 시인이다. 그
의 시 세계는 어느 평론가의 말처럼 공손
하며 반듯하다. 고지식한 교수는 늦깎이
작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는데 감정에 솔
직한 시인의 시작법이 제자들과 통했다고
할까. 현대 시는 장르를 뛰어넘어 초현실
적이거나 감각적 언어가 주류를 이루어
주제 파악이 난해한데, 김기택 시인의 시
는 인간과 사물의 공존을 친근하게 묘사
해 주제 파악이 용이하다.
‘그의 시에서 사물은 일상 세계의 도처
에서 출현하며 일상의 삶 자체를 개진한
다. 사물은 인간의 삶을 구성하고 삶의 사
태에 참여한다. 인간의 삶은 사물과 함께
사물 안에서 사물을 통하여 전개된다.’
송승환-시인, 문학평론가
시인과 세대의 시작법은 반비례한다.
첨예하고 복잡한 시를 이해하는 것보다
김기택 시인의 삶을 엿보는 게 나에게 위
로가 된다. 시인은 우월감에 도치되는 법
이 없고, 문학과 사적인 일에 선을 긋고, 원
칙을 고수하며 융통성이 없는 성품이어서
감각적 시보다 사실적 시가 시인과 걸맞 다. 계산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는 시인
의 자필 시집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
함]에서 열반의 정서를 보았다.
생명보험
병원마다 장례식장마다 남아도는
죽음,
밥 먹을 때마다 씹히고
이빨 사이에 고집스럽게 끼어 양치질
해도 빠지지 않는 죽음이 오늘 밤은 형광등에 다투어 몰려들더니
바닥에 새카맣게 흩어져 있다
삶은 언젠가 나에게도 죽음 하나를
주리라
무엇이든 받을 준비가 되어있는 내 두
손은
공짜이므로 넙죽 받을 것이다.
시집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에서 -2015년 6월
편리를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 육 필 시 집은 민 낯과 같다. 시집에서 시인은
남아, 내 더듬이로 하 여금 내 생활이나 몸이나 주변 사람들이 나 동물이나 사회제도 속에서 끊임없이 불구성을 찾아다니게 했던 것 같다.’
시인의 시 세계는 현실과

연어
것이다 누구나 먼곳에 있는 사람을 사랑하기는 쉽지 않다
누구나 가난한 사랑을 사랑하기는 쉽지 않다 그 동안
기다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