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 5 2024년 3월 6일 수요일 한국판
안보실장까지 동원한‘MZ 구애’민생토론회



3실장 이례적 배석에‘관권 선거’비판 대통령실“청년 해외진출^안전 챙기려” 총선‘캐스팅보터’ 청년 정책 힘주면서 “민생토론회, 선거와 전혀 무관”선 긋기

윤석열 대통령이 5 일 경기 광명을 찾아 민생토론회를 주재했 다. 벌써 17번째다. 선 거 개입 논란에 아랑 곳없이 총선을 앞두고 민심을 잡기 위해 전국을 돌며 총력전 을 펼치고 있다. 급기야 안보의 컨트롤 타워인 대통령실 안보실장까지 참석 하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현장 행보로 직접 민생을 챙기겠다는 당초 취지와 달리‘관권 선거’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이날 주제는‘청년’이었다. 윤 대통 령은“저는 누구보다 중요한 국정동반 자가 바로 청년들이라고 생각한다”며 청년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 작 시선은 토론이나 발표내용보다 참 석자 면면에 더 쏠렸다. 대통령실에 서 전례 없이‘3실장’(이관섭 비서실 장, 장호진 안보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이 모두 참석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핵심 멤버인 김태효 안보실 1차 장도 모습을 드러냈다. 정치와 정책의
정무·실무를 담당하는 비서실장과 정 책실장 외에 안보실장까지 배석한 건 처음이라 뒷말이 나왔다. 이외에 최상 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한화진 환 경부 장관, 이정식 고용부 장관, 방기 선 국무조정실장 등 장관급 국무위원 들이 대거 자리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청년들의 해
외 진출을 장려하고 안전을 챙기겠다
는 내용이 담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
다. 대통령실 관계자는“윤 대통령이 청년을 국정의 동반자로 강조하고 있
는 부분과도 관계가 있다”고 했다.
이처럼 청년층을 겨냥해 윤 대통령
이 행정력을 총동원한 것은 총선을 앞
둔 승부수로도 읽힌다. 윤 대통령은 “(청년들이야말로) 기득권과 이권 카 르텔에 매몰되지 않은 자유로운 존재” 라며“따라서 일상이 공정하고 정의로 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바로 이러 한 청년들의 시각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돌봄노동에 외국인 공급, 최저임금 삭감”한은의 논쟁적
최저임금 차등적용 주장 보고서
육아·간병 노동자, 20년 후 155만명 부족 “돌봄 공백^저소득 가계에 타격 감안해야”
노동계 “돌봄 처우 열악한데 더 악화”비판
저출생·고령화로 돌봄노동자 공급
부족 및 비용 문제가 사회 현안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한국은행 진단이 나 왔다. 한은은“외국인 노동자를 공급 하고, 돌봄노동자에게 상대적으로 낮 은 최저임금을 책정하자”는 논쟁적인 제안을 내놨다.

간호사관학교 임관식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5일 대전 국군간호사관학교 연병장에서 열린 제64기 사관생도 졸업 및 임관식에서
20대는 이날 발표한 정부 정책의 최 대 수혜자다. 동시에 보수 입장에서는 반드시 잡아야 하는‘캐스팅 보터’로 꼽힌다. 한국갤럽의 2월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윤 대통령 지지율은 20대 응 답자에서 18~27%를 오르내렸다. 다른 세대에 비해 높지 않다. 정권이나 지지 정당에 대한 호불호가 아직 형성되지
제안
250
돌봄서비스직 공급 돌봄서비스직
는 2022년 19만 명에서 2042년 61만 ~155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 다. 문제는 공급 부족이 가계 비용 부 담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간병인 고 용비는 지난해 기준 월평균 370만 원 으로 65세 이상 가구 중위소득(224

않아 공략 가능한 대상으로 꼽힌다.
다른 연령층과 비교해 윤 대통령의 국 정운영에 대한 평가를 보류한 비율이
높았다.‘모름’ 응답이 14~19%로 나타
나 다른 세대와 달리 10%를 넘어섰다.
여권 관계자는“20대의 경우 정부의
정책 지원에 대한 갈망이 강한 세대
인 반면, 정부 차원에서는 홍보가 미
진했다”고 풀이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민생토론 회가 총선용이고 대통령의 정치 중립 의무 위반’이라는 지적에 대해“선거 와는 전혀 무관하다”며“특정 지역을 방문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이슈와 연 관된 경우이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김현빈 기자
40개 의대“3401명 증원”신청, 정부 증원론에 힘 실려
정부 목표치‘2000명’크게 웃돌아 비수도권 의대 73%$ 신청 포기 0곳
의료계 증원 신청 자제 압박 안 먹혀
의과대학을 둔 전국 40개 대학
이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을 총
3,401명 늘려 달라고 신청했다. 정부
의 증원 목표치인 2,000명보다 70% 많고, 대학들이 넉 달 전 1차 수요조
사 때 제출한 증원 규모 최대치(2,847 명)보다도 20% 늘었다. 현재 의대 입
학 정원 3,058명을 웃도는 수치이기도
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
면, 의대를 운영하는 40개 대학 모두
가 교육부가 제시한 증원 신청 마감
일(4일)까지 증원을 신청했으며 신청
인원은 총 3,401명으로 집계됐다.
소재지별로는 비수도권 27개교(전
체 의대 67.5%)에서 총 2,471명의 증
원 계획을 제출했다. 40개 대학 전체
증원 희망 규모의 72.7%다. 학교별로
정원의 2배 이상, 많게는 5배까지 신
청하면서 현재 비수도권 의대 정원
(2,023명)보다도 22%가량 많은 신입
생을 요청한 것이다. 정부가 지역 거
점 국립대와 정원 50인 이하 의대(일

삼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대학 13곳 도 현 정원(1,035명)의 89.9%인 930 명 증원을 신청했다. 서울 소재 8개 교는 365명 증원을, 모두가‘미니 의 대’를 운영하고 있는 경인 지역 5개교 는 565명 증원을 원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1차 수요조사에서 40개 대학은 내년 의대 신입생 희망 규모를 최소 2,151명, 최대 2,847명으로 교육부에 써냈다. 이날 집계치는 1차 조사 때의 최대치보다도 19.5%가 많다. 전국 의 대 학장들이 적정 증원 규모라 주장 한 350명(정부안의 17.5%)보다는 10배 했지만 40개 대학 중 신청을 포기한









교수·학생 반발에도$ 40개 의대‘대학 위상’실리 택했다
의대 파격 증원 요청 배경 의대 합격선에 학교 순위 달린데다 규모 키워야 임용·시설 투자 효과
키워‘규모의 경제’를 도모할 기회 ③ 대학병원 의료인력을 늘려 지역사회 의 필수의료 강화 요구에 부응할 기회 를 잡으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것이 다.
50명 미만 의대 모두 2배 이상 신청 부족한 지역 의료 인력 확충도 필요 “안 내면 손해”눈치싸움에 막판 제출 정부에 학사 정상화 대화 물꼬 요구 강원 춘천시 강원대학교가 정부에 의대 정원 140명(현재 49명) 증원을 요청한 가운데, 5일 강원대 의과대 앞에서 의대 교수들 이 학교 측 증원 요청에 반발해 삭발을 하고 있다. 강원대 의대 교수진 제공
의대를 둔 40개 대학이 내년도 의 대 입학정원 수요조사에서 총 3,401명 을 늘려달라고‘파격 증원’ 요청을 한 것을 두고, 교육계에서는 이들 대학이 의대 교수·학생의 반발을 무릅쓰고 의대 증원의 실리를 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①대학 간판 학과인 의대 증 원으로 학교 위상을 높일 기회 ②정 원 50명 미만 소규모 의대는 몸집을
5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전 날 마감된 이번 수요조사에서 대학들 은 성적 최상위권 수험생의 의대 지 원 열풍과‘의대 합격선이 곧 대학 순
위’라는 입시 논리에서 자유롭지 못한
분위기였다.
서울 소재 사립대 총장은 이날 본 보와의 통화에서“의대 증원 규모의 80%는 지방에 배정될 거라 판단하면 서도, (의대생을) 다만 몇십 명이라도 늘려야 해서 증원 신청을 안 하긴 어 려웠다”고 말했다.
실제 정부는 비수도권 의대를 중심 으로 정원을 배분한다는 방침을 밝혔 지만, 서울 소재 8개 대학은 현행 총 정원(826명)의 44.1%인 365명 증원을, 경기·인천 5개 대학은 총정원(209명) 의 2.7배인 565명 증원을 각각 신청했 다.
정원 50명 미만‘미니 의대’의 경우 정원을 100명 이상으로 늘려야 교수 임용이나 시설 투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교육부 관계자는“미니 의대는 정원이 많아 져야 규모의 경제가 작동한다”며“이
들 대학은 증원 신청을 하면서‘교수
를 뽑고 시설에 투자할 여력이 충분하 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40개 의대 가운데 미니 의대는 17 곳으로, 모두 2배 이상 증원을 신청했 다. 대구가톨릭대는 정원을 40명에서
80명으로 2배 늘리겠다고 했고, 건국 대(40명→120명) 강원대(49명→140명) 울산대(40명→150명) 등은 서너 배를

삭발하는 교수들
써냈다. 충북대는 49명 정원을 250명 으로 5배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대폭 증원을 신청한 경인 지역 의대 5곳도 전부 미니 의대다.
지방의료 역량 강화를 위해 의대 증원을 요청한 대학도 다수다. 심각한 의사 구인난으로 당장 대학병원 운영 이 어려운 탓이다.
현재 정원이 100명을 넘는 경북대 (110명→250명) 부산대(125명→250명) 전북대(142명→240명) 등 지역 거점 국립대도 대폭 증원을 신청했다. 양오 봉 전북대 총장은“인구 1,000명당 의 사 수가 전국 평균 2.22명인데 전북은 2.09명으로 낮다”며“당장 전북대 제 2병원을 2027년 군산에 개원할 때도 상당한 의료인력이 필요해 우리가 먼 저 증원을 요청하려 했던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핵심적 이익이 걸렸지만 의 대 구성원 반발이 거세다 보니, 증원 신청은 치열한 눈치싸움 끝에 이뤄졌
다. 교육부는 지난달 22일부터 12일간
신청을 받았지만, 40개 대학 모두가
마감일인 4일에야 신청서를 냈다.
교육부 관계자는“대학들이 의대
반발을 의식하다가 결국‘안 내면
우리만 손해’라는 판단에 막판 신청
서를 제출한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
다.
대학들은 이제 의대생들의 수업 거
☞5면‘3401명 증원 신청’에서 계속
대학들의 적극적인 의대 증원 호응
으로 정부의 정책 추진에도 한층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이날
중대본 브리핑에서“대학의 신청 결과
는 평가인증기준 준수 등 의료교육의
질 확보를 전제로 내년에 당장 늘릴
수 있는 규모가 2,000명을 월등히 상 회한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강 조했다.
부로 멈춰선 의대 학사일정을 정상화 하기 위해서 정부가 대화의 물꼬를 터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의 사립대 총장은“개강 마지 노선은 3월 말”이라며“정부가‘의대 증원 수요가 많다’는 명분은 확보했으 니 이제 대화를 시작하는 게 좋지 않 을까 싶다”고 했다.
홍인택·손현성 기자
정부는 비수도권 위주 배정 원칙 아래 대학별 제출 수요와 교육역량, 지역 필수의료 지원 필요성, 소규모 의대의 학생 증원 필요성 등을 종합 적으로 고려해 4월 총선 이전에 대 학별 정원 배정을 마무리할 방침이 다.
특히 비수도권 대학들이 상대적으 로 더 많은 증원을 요청하면서 정부가 강조해온 지역의료 강화론도 힘을 얻 게 됐다.





















































낙원장로교회





















교회 지휘자 청빙





시니어 데이케어센터 한인담당 디렉터 구함







서류 : 이력서


















Adult Day Services Administrator Wanted











자격 : 세례교인으로서 찬양대
및 예배 지휘를 할 수 있는 분

보내실 곳 : Nakwonhkc@hotmail.com
문의 : 215-646-3887
*관심이 있으신 분은 이 메일 주소로 관련 서류를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한/영 이중언어 가능자
▶ 노인복지에 관심과 열정 있으신 분
rd, Dresher,
▶ 데이케어센터 근무 경력자 우대


▶ 이력서 보내실 곳 adcdirector224@gmail.com


Are you fluent in Korean and passionate about caring for older adults?
Join our team as a Korean-Speaking Adult Day Care Administrator at our Philadelphia adult day care center. We are seeking an English and Korean speaking enthusiastic and organized individual to lead our Korean speaking adult day care program, ensuring the well-being and happiness of our diverse group of participants. The ideal candidate will have a proven track record of recruiting and retaining dual eligible clients and have deep ties into the greater Philadelphia Korean community. Previous experience serving Korean seniors in an adult day care, home care, or assisted living setting is preferred.
To apply, please send your resume and cover letter to: adcdirector224@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