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옥스팜 연례보고서
Oxfam Annual Report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


2023 옥스팜 연례보고서
04 06
08 12 16 18 20
22
24 28
32
34
36
38
옥스팜 활동 지역
키워드로 만나는 옥스팜
이슈 포커스 2023
옥스팜 인터내셔널
긴급구호
기후위기
보건위생
여성역량
현지 리더십
현장 인터뷰
옥스팜 코리아
함께 만든 변화
파트너십
인권경영
재정보고
옥스팜 원칙
1942년 영국 옥스퍼드 학술위원회에서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한 옥스팜은 물·위생· 보건 전문기관으로서 현재 전 세계 86개국에서 활동하는 국제구호개발기구입니다.
발행일 2024년 2월
발행처 옥스팜 코리아
발행인 지경영
주소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9길 16
성공회빌딩 본관 3층
디자인 그래픽오션












튀르키예 대지진 발생 직후 옥스 팜은 24,000명에게 위생키트를 제공하고 임시 대피소에 식수시 설 및 화장실을 설치했습니다. 지 역사회 재건을 위해 옥스팜은 3개 년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소득 창 출을 위한 일자리 제공 등 지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Delizia Flaccavento/Oxfam
* 본 보고서는 옥스팜 인터내셔널의 성과(2022.04~2023.03)와 한국사무소의 주요 활동(2023.01~12)을 소개합니다. 일부 취약계층과 수혜자의 이름은 신변보호를 위해 가명으로 표기되었습니다.
함께해
주시는
모든 분들께
옥스팜을 응원하고 늘 함께해 주시는 후원자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지난 한 해는 인류애가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준 한 해였습니다.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동아 프리카 가뭄과 식량위기, 끝나지 않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기후재난 등 참혹한 현장의 최 전선에 서야 하는 위기 상황이 많았습니다.
저희를 믿고 응원해 주시는 분들 덕분에 옥스팜의 대응활동은 단순히 긴급구호를 넘어, 중장기적인 지원을 통한 생존자들의 회복과 성장을 돕는 변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폭 격으로 무너진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위해 삶의 터전을 재건하고, 부상으로 인해 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는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이재민들의 회복을 도왔습니다. 또한 계속된 가뭄으로 기근 위기에 처한 동아프리카 지역을 위해 기후변화에 적응이 가능한 종자를 개발하고 새로운 농업 기술을 지원하기도 했습니다.
옥스팜은 소중한 후원금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모든 활동에 있어 원칙과 기준을 세워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후원자님 덕분에 지난 한 해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전 세계 15,500,000명이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옥스팜도 중대한 위기 상황 가운데 모두가 최소한의 기본적인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대응 활동을 펼칠 수 있었습니다.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생존자들, 그리고 그들의 손을 잡아 주시 는 후원자님의 마음을 가슴 깊이 기억하며, 모두가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지난 1년간 우리가 함께 만든 변화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옥스팜 코리아 대표 지경영

옥스팜 활동 지역
옥스팜은 하나의 사명과 비전을 공유하는
21개 회원국과 구호활동을 진행하는 60여 개국에서
지난 한 해 1,550만 명의 사람들을 지원했습니다.
영국 United Kingdom
아일랜드 Ireland
네덜란드 Netherlands
프랑스 France
덴마크 Denmark
독일 Germany
벨기에 Belgium
이탈리아 Italy
스페인 Spain
튀르키예 Türkiye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홍콩 Hong Kong
인도 India
남아프리카공화국 Republic of South Africa
호주 Australia
뉴질랜드 New Zealand
수혜자 협력기관 지원사업
15,500,000명
2,248개
1,036건
옥스팜 회원지역
21개국
옥스팜 활동지역
* 한국사무소는 옥스팜 영국 소속으로 운영됨
86개국
캐나다 Canada
퀘벡 Québec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멕시코 Mexico
콜롬비아 Colombia
브라질 Brazil
옥스팜 회원지역 옥스팜 활동지역
중점 사업별 지원
긴급구호
11,500,000명
빈곤퇴치
1,100,000명
여성보호
596,000명
기후정의
424,000명
지역별 지원 비율
동·중앙 아프리카
32%
25%
중동 및 북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14% 기타 지역 8%
서아프리카 13% 남아프리카 5% 중남미 3%
가나, 과테말라, 나우루, 나이지리아, 남수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네팔, 뉴질랜드, 니제르, 덴마크, 독일,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루마니아, 르완다, 마셜제도, 말라위, 말리, 멕시코, 모로코, 모잠비크, 몰도바, 미국, 미얀마, 바누아투, 방글라데시, 베냉, 베네수엘라, 베트남, 벨기에, 볼리비아, 부르키나파소, 브라질, 사모아, 세네갈, 소말리아, 솔로몬제도, 스웨덴, 스페인, 시리아, 시에라리온, 아르헨티나, 아이티, 아일랜드, 알제리, 에티오피아, 엘살바도르, 영국, 예멘, 온두라스, 요르단, 우간다, 우크라이나, 이라크, 이집트,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 잠비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 차드, 캄보디아, 캐나다, 케냐, 콜롬비아, 콩고민주 공화국, 쿠바, 퀘벡, 통가, 투발루, 튀니지, 튀르키예,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팔레스타인/이스라엘, 페루, 폴란드, 프랑스, 피지, 필리핀, 한국, 호주, 홍콩
키워드로
만나는 옥스팜

옥스팜은 물·위생·보건
전문기관으로서 전 세계 86개국
1,550만 명의 사람들을 지원했습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기후위기
기록적인 폭염과 홍수, 가뭄 등으로 전 세계가
기후위기를 겪었습니다. 특히 세계 탄소배출량
을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적은 나라들이 기후 변화로 인한 타격을 가장 크게 받았습니다. 기 후변화는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세상, 즉 빈곤 없는 세상을 향한 옥스팜의 비전에 가장 큰 위 협이 되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기후위기의 근 본적인 원인을 인식하고 있으며 각국의 즉각 적인 행동을 촉구합니다. 옥스팜은 기후위기의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한 새로운 정책과 관행을 채택할 것을 주장하고,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앞두고 기후 위기 취약국가를 지원할 수 있도록 ‘손실과 피 해’ 기금 출범을 지지하는 글로벌 서명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전 세계 14만여 명의 서명이 이집트에서 개최 된 당사국총회에 전달되었고, 기금 조성에 대한 합의가 극적으로 이뤄지면서 기후온난화로 인 한 국가 간 ‘기후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역사적인 한 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전 세계 활동가들과 수많은 시민 단체가 30년 넘게 노력한 끝 에 이뤄낸 결과입니다.

파키스탄 국토 1/3 침수
파키스탄에서는 폭염과 폭우 등 극단적 이상 기후 현상이 잇따라 발생하며 대규모 홍수 와 산사태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홍수로 인구 15%에 해당하는 3,300만 명이 피해를 입었고 1,700명이 사망했습니다. 파키스탄 정부는 국 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호 소했습니다. 옥스팜은 재난 발생 직후 물·위생· 보건 지원활동을 착수했습니다. 가장 큰 피해 를 입은 남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임시 대피소, 비상식량, 식수, 생필품, 위생시설 등을 제공하 며 가장 취약한 상황에 처한 이재민 57만 명을 지원했습니다.

방글라데시 기록적 폭우
122년 만에 발생한 최악의 홍수로 인해 수천 채의 가옥이 침수되고 이재민 430만 명이 발 생했습니다. 큰 피해를 입은 방글라데시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식수시설 및 화장실을 설치하 고 깨끗한 식수를 제공했습니다. 로힝야 난민 캠프를 비롯해 방글라데시 전역에서 활동해온 옥스팜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대응책을 마련 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긴급재난지 원금 및 생필품 지급 등을 통해 피해 지역 복구 를 위한 지원을 이 어 나갔습니다.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2023년 2월,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56
만 명이 사망하고 수많은 사상자와 이재민이 발
생했습니다. 지진으로 식량 공급망이 무너지고
지역 전역에 걸쳐 물과 위생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습니다. 옥스팜은 식수시설과 화장실을
설치하고 깨끗한 물과 따뜻한 음식, 식량키트, 위생키트 등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위생시설 관 리와 이재민들의 공중보건 증진을 위해 지역 자 원봉사자 교육을 실시하고, 지역사회가 폐기물 처리를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특히 재난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지진 피해 생존자들을 위해 심리상담을 제공하고, 임 시 대피소에서 지내는 여성과 소녀들의 안전을 위해 태양광 조명과 화장실 잠금장치 등을 설 치했습니다.
동아프리카 기근 위기

우크라이나 인도적 지원
우크라이나 전쟁은 대규모 인도주의적 위기를 촉발했습니다. 몇 주 만에 수백만 명이 우크라 이나 국경을 넘어 폴란드, 루마니아, 몰도바 등 으로 피신했습니다. 전쟁으로 인구의 1/3에 해 당하는 1,300만 명이 식수 및 위생시설이 부족 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옥스팜은 우크라이나 와 폴란드에서 물.위생 관리에 대한 기술과 경 험을 지역사회에 전수했습니다. 또한 폭격으로 파괴된 수도시설을 복구하고, 감염병이 확산되
지 않도록 임시 대피소를 중심으로 손세정대, 화장실, 간이 샤워실 등을 설치했습니다.
팬데믹 이후 불평등 심화
옥스팜은 누구나 기본적인 삶을 영위하며 살
아갈 권리가 있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의 경제 시스템은 소수에게 부를 집중시키며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구조적인 이유로 빈곤
을 벗어날 수 없게 만듭니다. 옥스팜은 2014년
부터 매년 부의 불평등 보고서를 발간하며 공
정한 재분배를 통해 소수만을 위한 경제가 아 닌, 모두가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세계
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3 세계경제포럼 개최에 맞춰 발간한 부의

가뭄에 시달리는 동아프리카에서는 48초마다 한 명이 기아로 사망하고 있습니다. 케냐, 남수 단,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전역에서는 기후변 화 및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 등으로 2,300 만 명이 기근을 겪고 있습니다. 40년 만에 찾아 온 극심한 가뭄으로 100만 명 이상이 식량 부 족을 겪고 있으며, 600만 명의 아동은 심각한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겪으며 각국 정부는 인도적 지원을 위한 예산을 삭감 해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극심한 기아 위기에 시달리는 동아프리카 82 만 명을 대상으로 물, 대피소, 위생시설 등을 지 원하고, 식량 배급을 포함한 생계 지원을 위한 기술교육 등을 진행했습니다.


주요시설 복구 외에도 법률 및 심리상담, 폭격 으로 파괴된 주택 재건, 농업 공급망 지원 등 다 양한 지역 파트너 기관과 함께 현재까지 61만 명의 난민을 지원했습니다. 특히 지역 활동가 들이 현장의 필요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역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긴 급구호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29개의 시민단 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각 단체의 필요에 따라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빈곤인구 70% 여성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흔한 인권 침해 중 하나로 보고되고 있 습니다. 여성은 전 세계 빈곤층의 70%를 차지 하며, 많은 경우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받지 못 해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할 수 없습니다. 옥 스팜은 여성들의 안전과 궁극적인 성장을 위
해 보호활동, 생계지원, 경제교육, 인식개선 캠 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여성의 권리 증 진을 위한 정책 및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 했습니다.
불평등 보고서 ‘슈퍼리치의 생존Survival of the Richest’에 따르면 팬데믹 2년 동안 전 세계 최 상위 부유층 1%가 세계 부의 절반 이상을 차 지하면서 빈곤율이 25년 만에 다시 증가했습 니다. 옥스팜은 빈곤을 초래하는 경제 시스템 의 구조적인 변화를 위해 연구보고서를 발행 하고 다양한 캠페인 및 옹호활동을 펼치고 있 습니다.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내전 지역으로 향하는 옥스팜 구호 트럭에 비누, 물통, 위생키트 등 구호물품을 싣고 있는 모습
© Dagmawi Tadesse/Oxfam





마이라 네린 버트 Myrah Nerine Butt 옥스팜 아시아 젠더정의 캠페인 매니저
대규모 홍수 이후 마을에서는
폭력 사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홍수로 인해 대부분의 토지가
물에 잠겨 더 이상 농사를 지어 생계를 이어갈 수 없습니다.
생계가 끊어진 가정에서는
폭력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여성들은 피해를 호소합니다.
– 파키스탄 신드Sindh 지역민
2022년 8월, 극심한 폭우로 파키스탄 국 토의 1/3이 침수되었다. 기후위기는 강제 이주, 식량 불안정, 분쟁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 모든 상황이 여성에 대한 폭력 과 취약성을 악화시키고 있다. 파키스탄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네팔, 필리핀, 동티모 르 등 기후위기에 취약한 지역에서 비슷 한 현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진 정한 기후정의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남 성 중심의 사회적 규범과 관습에서 벗어나 야 하며, 지역사회의 대대적인 인식 변화 를 위한 장기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기후 위기로 인해 갈수록 심화되는 젠더기반폭 력Gender-based Violence은 여성에 대한 신체 적·정신적 피해뿐 아니라, 여성의 교육 받을 권리를 박탈하고 경제 및 사회적 활동 또한 제한할 것이다. 교육의 기회가 없어진 여성 들은 빈곤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실제 전 세 계 빈곤층의 70%는 여성이 차지하고 있다.
옥스팜은 최근 연구를 통해 기후위기가 여 성의 건강, 교육, 식량 불안정 등을 악화시 키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 혔다. 기후위기로 인해 안전한 집을 떠나 낯선 곳으로 이주한 여성들은 폭력의 위 험에 쉽게 노출되며, 기후위기로 인해 생 계가 끊어진 가정에서는 폭력이 발생할 확 률도 더 높게 나타났다. 2021년 남아프리 카공화국에서는 식량 불안정이 심화될수 록 가정 내 갈등 및 폭력 현상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기후위기는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재난 외 에도 여성의 돌봄 노동에 대한 책임도 가 중시킨다. 특히 아직도 많은 지역에서 물 을 구하는 일은 전적으로 여성의 몫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기후위기로 수자원 접근성이 떨어지면 물을 구하는 과정 또한 어려워진다.

여성과 소녀들은 학교 대신 안전하지 않 은 길을 매일 같이 걸으며, 물을 구하기 위 해 하루 평균 최대 3시간을 걸어야 한다.
2023년 7월, 유엔은 전 세계 18억 명의 인 구가 가정에 수도시설이 없어 여성과 소 녀들이 길어 나르는 물에 의존하고 있다 고 발표했다.
기후위기가 심화될수록 천연자원을 차지 하기 위한 내전과 분쟁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모든 분쟁 상황에서 여성과 소녀들의 안전은 절대적으로 취약하다.
2022년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 국총회에서는 기후위기 취약국가를 지원 하는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 기금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 기후변화 문제에 있어 상대적 책임이 적지만 더 큰 피해를 보고 있는 국가들은 금전적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이 마침내 열린 것이다.
기후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여 성과 소녀들을 제대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금조달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적용해야 한다. 기후위기에서 살아 남은 생존자들을 또다른 폭력의 위험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남태평양 섬나라 솔로몬제도는 사이클 론과 홍수 등 극단적 기후 현상이 빈번하 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률은 전 세계 기준보다 3배 빠른 속도로 증가 하며 수몰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옥스팜
은 호주 정부와 함께 기후위기에 취약한 태평양 섬 국가들을 대상으로 기후금융 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국가 간 이주 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에 침수되고 있는 솔로몬제도 말라이타Malaita 지역의 모습 © Collin Leafasia/Oxfam


긴급구호
갑자기 발생하는 재난과 위기 상황에 맞서 옥 스팜은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는 방식으로 생 존과 재건을 위한 인도주의적 긴급구호 활동 을 펼치고 있습니다.
11,500,000명 인도주의적 지원
262건 지원 프로젝트
800,000명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3개년 대응계획

© Mustafa KaraAli/Oxfam

화장실 149개 위생키트 3,590개 식사·식량 2,800명
* 지진 발생 직후 2개월 이내 지원현황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2023년 2월,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57,000명이 사망하고 1,000만 명 이 상의 사상자와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 최근 100년간 최악의 지진으로 꼽힐 만 큼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며, 재건을 위해서는 최소 한화 140조 원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옥스팜은 재난 발생 직후 물, 식량, 위생시설 등을 제공하 고, 이재민 보호를 중심으로 구호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향후 3개년 중장기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지진 피해를 입은 지역민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지원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앙카라
튀르키예 Türkiye
1차 지진 규모 7.8
2차 지진 규모 7.5
카라만마라슈
가지안테프





식수시설 및 화장실 설치
식사 및 식량키트 제공
지진으로 식량 공급망이 무너진 피해 지역 을 중심으로 튀르키예 여성협동조합과 함 께 따뜻한 식사를 제공하고, 식료품을 판 매하는 지역 상점들의 운영을 지원했습니 다. 특히 13년째 계속된 내전으로 시리아 인의 80% 이상은 빈곤선 이하의 삶을 살 아가고 있습니다. 현장 조사에 따르면 시 리아 알레포Aleppo 지역의 실향민 4명 중 3 명은 지진 이후 식량 가격이 급등해 식사 를 거르고 있었습니다. 옥스팜은 현금 및 식량키트를 제공하고, 향후 3년간 지진 생 존자 800,000명을 대상으로 지원을 이 어갈 계획입니다.

알레포
시리아 Syria

정서적 지원 및 취약계층 보호 모든 피해 지역에서 위생시설이 절대적으 로 부족해 콜레라 등의 감염병 확산이 우 려되었습니다. 특히 노인과 장애인은 화장 실과 샤워시설을 이용하는 데 많은 제약 이 따랐습니다. 옥스팜은 지진 발생 직후 한 달간 수도시설 10개, 조립식 화장실 및 샤워시설 300개를 설치했으며, 임시 대피 소에 거주하는 이재민들을 대상으로 위생 키트 2,700여 개를 제공했습니다. 또한 물 탱크의 위생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지역사회가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옥스팜은 튀르키예 국가재난대응팀과 함 께 임시 대피소를 마련하고 생존에 필요한 구호물품을 전달했습니다. 또한 전문가를 파견해 붕괴되지 않은 6,000여 채의 주택 및 건물을 대상으로 안전을 점검하고, 재 난으로 인해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생존자 들을 위해 심리상담을 제공했습니다. 지진 직후 여성 7,200여 명에게 월경키트와 손
전등을 제공하고, 임시 대피소에서 지내는 여성과 소녀들의 안전을 위해 태양광 조 명과 화장실 잠금장치 등을 설치했습니다.
33,000,000명 파키스탄 홍수 피해
575,277명 파키스탄 홍수 대응
37,000명 통가 쓰나미 대응
파키스탄 국토 1/3 침수
2022년 8월, 몬순 폭우로 인해 파키스탄 국토의 1/3이 침수되었습니다. 이번 홍수 로 1,700명의 사망자와 3,300만 명의 이 재민이 발생하고, 주택 100만 채와 농지 200만 헥타르가 파괴되었습니다. 파키 스탄 정부는 역사상 최악의 재앙으로 선 언하고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옥스팜은 이재민들의 안전을 위해 재난 발생 직후 물·위생·보건 지원활동을 착수 했습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남서부 지 역 발루치스탄Balochistan과 신드Sindh 주 에서는 수해를 입은 25,000가구를 대상 으로 식수, 식량, 위생시설, 임시 대피소 등을 제공하고, 지역 파트너 기관과 함께 이재민 575,277명을 지원했습니다.
2023년 3월부터는 직업훈련과 소상공인 창업교육을 진행하며, 이재민들이 경제적 자립을 통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다 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개했습니다.
위생키트
62,400개
워터버킷
18,000개
재난지원금
8억 7,000만 원
심리상담센터 10개소
파키스탄 Pakistan



통가 화산폭발
2022년 1월, 남태평양 섬나라 통가에서 해저 화산 폭발로 쓰나미가 발생하면서 인구의 80%가 피해 를 입었습니다. 농경지와 식수시설이 화산재로 뒤 덮이고, 쓰나미로 밀려든 바닷물로 토지가 오염되 었습니다. 하룻밤 사이에 수천 가구가 집과 생계수 단을 잃었고, 물 공급도 끊어져 주민들은 극심한 식 수난을 겪었습니다. 화산 폭발 발생 직후 옥스팜은
구호물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활주로와 도로를 덮
은 화산재를 치우고, 현지 파트너 기관과 함께 식수
시설 복구 작업을 착수하여 37,000명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1년 동안 바닷물을 정화
하는 담수화 시설을 설치하고, 지역민의 생계를 위
해 농업과 어업에 필요한 장비들을 지원했습니다.
화산 및 쓰나미 피해
가축 및 농지 피해
식수시설 지원
84,776명
60-70%
37,000명
14,954리터
옥스팜은 통가 국가재난관리청MEMO, 국가청소년위원회, 교회 등 다양 한 지역 및 정부 기관과 협력하여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응하고 있습니 다. 지난 몇 년간 파트너 기관들의 역량 정합성을 평가하고,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응 분야에는 식수, 위생, 식량, 생계 등이 포함되며, 재해 상황에 따라 재난지원금 지원 및 심리 상담 등의 보호 활동도 전개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
424,000명 기후위기 대응
140,000명 기후위기 대응 서명 캠페인 참여자 * ‘손실과 피해’ 기금 출범
79 건
기후위기 프로젝트
빈곤국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기후위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후대응 프로그 램을 통해 지역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제사회에 지원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 캠페인
옥스팜은 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앞두고 ‘기후금융 보고서Climate Finance Shadow Report’를 발표하고, 기후위 기 취약국가를 지원할 수 있도록 ‘손실과 피해’ 기금 출범을 지지하는 글로벌 서명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부족과 기아 등 기후 취약지역의 구 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문학적 인 탄소 발생을 통해 이미 산업화를 이룬
국가들이 책임 의식을 갖고 기후 취약지 역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캠페인 및 옹호활동을 전개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근
케냐, 남수단,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등 동 아프리카 전역은 기후변화와 전쟁으로 인 한 물가 상승 등으로 2,300만 명이 기근 을 겪고 있습니다. 5년 연속 우기에도 비
가 내리지 않아 40년 만에 가장 건조한

기후를 기록했고, 48초마다 한 명이 기아 로 사망합니다. 옥스팜은 극심한 기후재 난을 겪고 있는 동아프리카 지역 130만 명을 대상으로 중장기 대응계획을 수립하 고, 즉각적인 긴급구호 활동 및 지속가능 한 생계를 위한 농업 기술과 직업 교육 등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후 취약지역 농업 지원
농경 국가인 아프리카 부룬디는 극심한 기후변화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대부분 이 콩, 옥수수, 카사바 등을 재배하며 생계 를 이어가지만, 인구의 72%가 충분한 식 량을 얻지 못하고 갈수록 심화하는 기후 변화로 주민들의 생계는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기후변화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의 생산성을 향상하고, 지 역민이 기근에 맞서 건강한 자립을 실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부룬디 기후변화 프로그램
옥스팜은 부룬디 지역사회와 농 부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하 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회 복력과 사회적 결속력 강화를 목 표로 지역민들은 지속가능한 농업 기술을 배우고, 장비 지원 및 조직 관리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적응 할 수 있는 농업 역량을 기를 수 있 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에 있 어 토지와 가축 소유권이 거의 없 는 부룬디 여성 농부들의 권리를
개선하기 위해 지원합니다.
© Jana Schindler/Oxfam
기후위기 재난 대응
위기의 연속입니다.
사이클론 프레디는 우리에게
또다시 경각심을 일깨워주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말라위와 같이
기반시설이 없는 저소득 국가에서
기후 재난은 더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말라위가 일상을 회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자원이 필요하고, 많은 희생이 따릅니다.
최악의 피해는 이들의 잘못으로
발생한 것이 아닙니다. 국제사회는
개인, 지역, 국가 차원의 손실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빈곤국에 대한 실질적
재원을 마련해야 합니다.
– 링카 미호와Linga Mihowa, 옥스팜 말라위 담당 국장
2023년 3월, 열대성 폭풍 사이클론 프레디Freddy가 아프리카 동남부 일대를 강타했습 니다. 사이클론의 영향으로 말라위의 1년 치 강수량이 몇 주 만에 내리면서 679명이 사 망하고, 이재민 200만 명 이상이 발생했습니다. 옥스팜은 사이클론 발생 직후 피해 지 역을 중심으로 파괴된 식수시설 및 화장실을 복구하고, 담요, 모기장, 위생키트 등 구호 물품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팔롬베Phalombe, 은산제Nsanje, 칙와와 Chikwawa 지역의 68,893가구를 대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했습니다.

보건위생
20억 명
식수 부족난을 겪는 인구
* 유엔 세계물개발보고서 2023
11,500,000명
구호현장 보건위생 대응
73%
긴급구호 발생 시
물·위생·보건 분야 지원


물·위생·보건 분야에서 오랜 기간 전문성을 갖고 활동해온 옥스팜은 전 세계 재난
현장에서 깨끗하고 안전한 위생 환경을 구축하고 감염병의 확산을 예방합니다.
아프리카 지역
물·위생·보건 역량 강화
옥스팜은 아프리카 지역 전역에서 깨끗한 물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별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워시WaSH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우간다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는 체계적인 물·위생·보건 시스템을 구축 하기 위해 국가 대응전략 수립을 지원하 고,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여 구조적인 변 화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남수단과 감 벨라의 국가 대응전략도 검토 중이며, 아 프리카 지역팀은 옥스팜의 워시팀과 협력 해 6개국을 대상으로 물·위생·보건 시스 템 전략과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Eyeris
옥스팜 워시WaSH
물Water, 위생Sanitation, 보건Hygiene
지원은 옥스팜의 최우선 중점 사 업으로,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 및 생활용수 공급부터 화장실 설치와 관리, 보건위생 교육, 위생용품 지 원, 주민들의 건강 관리를 위한 데 이터 수집까지 물·위생·보건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포 함하고 있습니다.
남아프리카
옥스팜 남아프리카팀은 짐바브웨, 잠비 아, 말라위, 모잠비크에서 식수시설을 재 건하고, 태양광 발전기 13개를 설치하여 지역민들의 식수시설 접근성을 개선했습 니다. 지역민들은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 아도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가까운 곳에 서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수인성 질병의 감염률과 아동 사망률 또한 감소 했습니다. 옥스팜 북아프리카팀은 수자원 부 담당자 및 지역 활동가들의 역량을 강 화하고, 지역사회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 선하여 물·위생·보건 시스템이 지속가능 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짐바브웨 Zimbabwe



잠비아 Zambia
말라위 Malawi
모잠비크 Mozambique

동아프리카
남수단 Republic of South Sudan
소말리아 Somalia
에티오피아 Ethiopia 케냐 Kenya
그동안 물을 구하기 위해서는
왕복 4시간을 가야 했습니다.
임신을 했을 때도
걸어서 물을 떠 와야 했죠.
지금은 바로 집 앞에서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습니다.
이제는 딸아이가
물을 뜨러 나가도
위험에 처하지 않을까
불안에 떨지 않아도 됩니다.
– 아부디Abdi, 에티오피아 골아노드Gol’Anod 지역민
1995년부터 소말리아에서 활동해온 옥스 팜은 긴급구호, 생계지원, 기후위기 대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 다. 기존에 설치한 수도시설의 지속가능성 을 개선하기 위해 역삼투압 기술을 활용한 담수화 시설을 설치하고, 지역 전문가들과 협력해 활동가 및 자원봉사자를 지속적으 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계속된 가뭄으로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소말리아에서는 여 자아이들이 월경 기간 중 깨끗한 물과 위 생용품이 없어 학교에 가지 못하고 교육이 단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옥스팜은 소말 릴란드Somaliland 지역을 중심으로 식수시 설과 화장실을 설치하고, 위생키트 및 보 건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에티오피아 감벨라Gambella 지역 의 난민캠프 7곳을 중심으로 워시 프로그 램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370,000명 이 상의 남수단 난민이 난민캠프에 거주하 고 있으며, 90%가 여성과 아동이고 60% 이상이 18세 미만의 청소년입니다. 2014 년 쿨레Kule, 티에르키디Tierkidi 난민캠프 를 시작으로, 현재는 가장 큰 난민 정착지 인 누엔니엘Nguenyyiel 난민캠프에서 물· 위생·보건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옥 스팜의 새로운 도전 과제는 전체 가구의
25%만이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 에 화장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과 노후 화된 수도시설을 재건하는 일입니다.

여성역량
여성 프로그램은 옥스팜의 중점 사업 중 하나로 전 세계 빈곤층의 70%를
차지하는 여성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 생계, 보호활동 등을 진행합니다. 1
억 명
폭력으로부터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여성의 수
806건
젠더기반폭력 대응 현지 파트너십
66 %
영향력을 행사하는 여성인권 파트너 기관
인식개선 프로그램
케냐, 우간다, 에티오피아, 짐바브웨 등 아
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여성의 경제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20년부터 옥스 팜은 위케어WE-Care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정책 보고서를 발 간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알리고 있습 니다. 올해는 팬데믹으로 붕괴된 의료시 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각국 정책 입안자 들과 긴밀히 협력하였고, 학교, 병원, 수도 시설, 친환경 에너지 등 공공인프라에 대 한 정책 및 관행과 투자에 있어 큰 개선 을 이뤄냈습니다. 2025년까지 4,000만 명 이상을 목표로 지역 여성단체들과 함 께 국제사회 및 정부를 대상으로 다양한 옹호활동을 펼칠 예정입니다.

옥스팜 위케어WE-Care
전 세계적으로 지역사회와 경제를
지탱하는 돌봄노동의 책임은 여성
과 소녀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집중
되어 있습니다. 양질의 교육과 경
제활동 참여 기회가 적은 여성들
은 생계를 유지할 수 없고, 재난 발
생 시 정보에 대한 접근성도 낮아
큰 피해를 겪고 있습니다. 옥스팜
은 빈곤의 악순환이 되고 있는 돌
봄노동의 책임을 재분배하고, 모
든 수준의 정책과 예산에 관한 의
사결정 과정에 있어 취약계층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 합니다.
지난 10년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여자아이들도 공부를 하고 여성의 경제활동도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엔지니어가 된다고 했을 때 여성이라는 이유로 부모님의 반대가 컸지만, 지금은 태양광 및 물탱크 시설을 설치하며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 다. 깨끗한 물이 없어 월경 기간 중 학 업이 중단되는 여자아이들에게 도움 이 될 수 있어 기쁩니다. 학업을 포기 하지 않는 여성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 호단 호파메드Hodan Mohamed, 소말릴란드 공중보건 엔지니어
© Pablo Tosco/Oxfam Intermón
농업지원 프로그램
농업은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의 약 60%를 차지하며, 인구 850만 명 중 최대 7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2019년부 터 시에라리온의 농작물 생산 다각화를 위한 지원사업을 전개했습 니다. 지난 2년간 포트로코Port Loko 지역 농부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농업 기술을 교육하고, 농사에 필요한 장비와 기후 적응력이 우 수한 종자를 개발하여 제공했습니다. 지역 여성들은 보조금을 통해

농작물 재배를 위한 땅을 구입하고, 안정적인 소득 창출이 가능해지 면서 부양 능력도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미 혼모, 장애 여성, 배우자가 없는 저소득층 여성 등은 지원사업을 통 해 스스로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역량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었습니 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 여성들은 결속력이 강화되어 출산과 육 아 등을 도우며 서로에게 힘이 되고 있습니다.
노동자 생활임금 보장
대형 패션 브랜드에서 옷을 만드는 수많은 공급망 여성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적은 임금을 받고 일하며 빈곤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2017년부터 의류 공장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이 적절 한 임금을 보장받고, 기업이 공정한 패션 산업을 구축할 수 있도록 ‘왓쉬메익스What She Makes’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캠페인을 통해 전 세계 140,000명 이상이 대형 패션 브랜드가 노동자들에게 생활임금을 지급할 것을 서명했습니다. 옥스팜은 방글라데시의 의 류 노동자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기업의 공급망 노동자를 대상으로 생활임금 적용 현황을 조사했습니다.
© Nana Kofi Acquah/Oxfam2,248 개 전 세계 파트너 기관
현지 리더십
옥스팜은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서 지역 시민단체가 중심이 되어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며 자원과 지식을 지원합니다.
1,487개 재정을 지원받은 기관
42,302건 개선된 정책 및 제도
옥스팜 지역 파트너십 전략
옥스팜은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서 지역 사회와 긴밀히 연대하여 활동합니다. 지역 시민단체들이 정부와 영향력 있는 지도자 들에게 정당한 권리를 직접 주장하여 시스 템을 개선하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지 원을 요청하는 것이 옥스팜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현지 중심의 리더십입니다. 위기 상황에서도 회복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원조’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지역사회가 스스로 역량을 갖추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옥스팜은 지역사회가 생존에 필요한 기본
적인 권리에 대해 더 많은 권한과 의사결 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며, 기술과 자원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 습니다.

기금지원 원칙
옥스팜은 각국의 시민단체들이 인
도적 지원활동을 주도적으로 전개
할 수 있도록 재난 상황 발생 시 기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옥스
팜의 파트너십 선정 기준과 원칙
에 따라 지원 사업에 대한 영향평
가 및 감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
며, 기금이 인도적 위기에 처한 사
람들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인도적 지원 목표를 체 계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합니다. 옥스팜은 매년 1,000개 이상의 지 역 파트너 기관을 지원합니다.
우크라이나 인도주의적 지원
우크라이나 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게 가장 큰 규모의 민간인 이주를 촉발했습니다. 수백만 명이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폴란드, 루마니아, 몰도바 등 으로 피신했고, 옥스팜은 2022년 3월부 터 아동, 노인, 장애인, 미혼모 등 가장 위 험에 처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29개의 현 지 시민단체와 함께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응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Kyiv를 중심으로 폭격으로 파괴된 수도시 설을 복구하고, 안전한 위생 환경을 제공 하기 위해 임시 대피소에는 손세정대, 화 장실, 간이 샤워실 등을 설치했습니다. 또 한 각국 정부가 난민들의 권리와 안전한 통행 및 피난처를 보장하고 국제적 약속 을 지킬 수 있도록 촉구했습니다.
© Pablo Tosco/Oxfam
민간인 보호를 위한 연대
옥스팜은 다양한 필요와 상황에 처한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시
폴란드 Poland
우크라이나 Ukraine
몰도바 Moldova
루마니아 Romania
우크라이나 난민들은 어떤 재난 지역보다
위기를 이겨내려는 의지가 있습니다.
특히 전쟁 직후 수많은 단체들이 서로를
돕기 위해 조직을 구성하고, 현장의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지원을 이어가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옥스팜은 29개의 각국 시민단체를 지원하며, 현장에 가장 필요한 것을 제공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 고르다나 부치니치Gordana Vucinic, 옥스팜 우크라이나 담당자
민단체가 주도하는 인도주의적 대응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전쟁 발생 직후 1년 동 안 지역 파트너십을 통해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폴란드, 루마니아, 몰도바 전역에서
110만 명 이상의 우크라이나 난민을 지원했습니다. 난민들의 안전한 이동과 대피 소를 지원하고,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물, 식량, 위생키트, 재난지원금 등을 신속하 게 지원했습니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망명을 위한 법률적 지원 및 심리상담 등을 제공하였고, 전쟁으로 파손된 주택 재건과 생존자들의 생계를 위한 지원활동 또한 이어나갔습니다. 특히 몰도바에서는 일부 난민들이 차별받는 것을 확인하고, 장애 인과 소수민족 등 난민 중에서도 더욱 취약한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지원팀을 구 성하여 관리했습니다.


현지
주도의 파트너십이
더 많은 구호 현장에
적용되어야 할 때…
이사벨 탈렉 Isabelle Tallec
옥스팜 우크라이나 긴급구호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긴밀히 소통하기 프로세스 간소화하기
리더십 위임하기
2022년 2월, 수백만 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국경을 넘어 주 변국으로 망명하는 긴박한 상황 속에서 옥스팜은 현지사무소 하나 없이 긴급구호 활동을 시작했다. 우리는 어떻게든 최적 의 방법을 찾아야 했다. ‘현지 구호팀 없이도 인도적 도움이 필 요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접근 할 수 있을까?’
열쇠는 ‘지역 파트너십’이었다. 변수가 많은 인도적 위기상황 속에서 현장에 뿌리를 둔 시민단체가 구호활동에 중심이 되는 것. 우리는 이것이 가장 원칙적이며 지속가능한 방식이라 판 단했다. 지역 활동가들은 현장의 정치적, 문화적, 지리적 배경 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존자들의 필요 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 방식을 찾아낼 수 있다고 믿 었다. 국제개발 활동에 있어 옥스팜이 ‘지역사회 리더십’ 양성 을 무엇보다 강조하는 이유도 이것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옥스팜은 급변하는 구호 현장 속에서 국 가 프로그램을 착수하고, 지역사회에서 오래 활동해온 신뢰할 수 있는 시민단체를 기반으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일에 집중 했다. 옥스팜은 전쟁 직후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국경을 맞대고 있는 폴란드, 루마니아, 몰도바에 대한 국가별 지원계획을 수 립하고 현재까지 29개의 정부기관 및 시민단체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긴밀한 지역 파트너십 덕분에 구호 현장의 수요를 빠 르게 파악하고, 1년 동안 170만 명 이상의 우크라이나 난민을 지원할 수 있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농촌여성네트워크와 함께 이재민들이 농업을
통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역사회가 주도적으로
파괴된 주택과 인프라 시설을 수리하고 재건할 수 있도록 협력했
다. 또한 난민을 지원하는 지역 시민단체와 함께 주변국으로 탈출
하는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위해 안전한 경로를 확보하고 교통수단
및 숙소 등을 제공했다. 특히 난민 여성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피란 중에 폭력을 경험한 여성과 소녀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심리상담 및 의료서비스를 통해 하루
빨리 안정된 삶을 되찾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단체들과 일하다 보니 다양한 변수 가 있었다. 짧은 기간 내에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시민단체 가 주도하는 효과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해 지역 파트너십에
있어 세 가지 원칙을 세웠다. 긴급구호 초기 단계에는 무엇보다 긴 밀한 소통을 통해 파트너 기관과 관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한다. 진 정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옥
스팜은 구호활동을 착수하기 전 파트너 기관과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명확한 평가 기준을 마련한다.
또한 파트너 기관마다 강점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응도 필요하다. 현장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파트너 기관의 의견
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상황에 따라 시스템을 바꾸는 데 주저하
지 않는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활동을 위해 프로세스는 최대한 간
소화하는 것도 특징이다. 초기 단계의 구호활동 이후에는 옥스팜
이 주도하는 활동 범위를 점차 줄이고 지역의 파트너 기관이 독립 적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금 후원뿐 아니라 기 금에 대한 접근성, 후원자 관리 등 현지 조직이 체계적인 시스템을
통해 지속가능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운영 전반에 걸쳐 전문성을 전수한다. 특히 시민단체들의 목소리가 인도적 지원 전략에 반영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 참여와 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원한다.










우크라이나 구호 현장에서 파트너십이 이뤄낸 일들은 우리가 기대 한 이상이었다. 지역의 시민단체들은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위해 가 장 빠르게 움직인 주역들이다. 난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 들도 전례 없는 속도로 성장했다. 지역사회 재건 등 장기적인 지원 을 이어가려면 시민단체들의 지속가능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옥 스팜은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현지 구호팀 없이도 인도적 도움이 가능할지에 대한 답은 현장에 있었다. 지역사회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주도하는 대 응이 얼마나 민첩하고 탄력적인지 수많은 구호 현장에서 증명되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국제개발사업 모델이 더 많은 구 호 현장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지역 시민단체가 리더십을 갖는 파 트너십이 구축된다면 인도적 지원활동에 있어서도 그 효과가 극대 화될 것이다. 이들은 지역사회의 회복력과 독립성을 지키는 절대 무너지지 않는 견고한 토대가 되어 줄 것이다.
1., 3. 루마니아 시민단체가 제공한
임시 거처에 머무르는 우크라이나 가족
© Pablo Tosco/Oxfam
2.
4.
루마니아 시민단체 시설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우크라이나 난민 아이들
© Ioana Moldovan/Oxfam
우크라이나 시민단체의 도움으로 망명 신청서를 작성 중인 우크라이나 실향민
© Kieran Doherty/Oxfam

네팔 지역 여성들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농업 지원 프로젝트
© Elizabeth Stevens/Oxfam

옥스팜 코리아 주요 활동
재정보고
옥스팜
함께 만든 변화
방글라데시 재난위험 경감사업(2022~2023)
기후 취약지역인 방글라데시 중북부 시라지간지Sirajganj구를 대상으 로 홍수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한 주요 인프라를 구축 하고, 재난 대비 비상대응계획 수립 및 지역민 대상 대응교육을 전개 했습니다. 한편 ‘캐시포워크Cash for Work’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민에게 단기 일자리를 제공했으며, 12개의 홍수대응 인프라를 구축하는 작업 에 지역민을 고용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직접 참여할 수 있 도록 했습니다.
캐시포워크 참여
12,000명
식수시설 설치
45개
네팔 여성역량 강화사업(2023)
화장실 설치
35개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후원과 참여로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지난 한 해, 함께 만든 변화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네팔은 카스트 제도의 영향으로 여성들의 교육 수준 및 경제활동 참 여도가 낮습니다. 특히 성불평등이 심각한 칸찬푸르Kanchanpur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여성권리 및 리더십 교육을 진행했으며, 금융 문 해력 향상을 위한 정기 교육을 시행했습니다. 또한 여성들이 경제활 동을 통해 역량을 적극 발휘할 수 있도록 가족 구성원 및 지역 남성 들을 대상으로 인식개선 활동을 같이 전개하고 있습니다.
금융교육 이수자
238명
역량강화그룹 참여자
260명
교육 참여율
91%
“우기가 되면 아내와 아이들을 두고 일자리를 찾아 타
지로 떠날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은 옥스팜의 ‘캐시포워크’
에 참여하면서 재난 상황에도 소득이 생겼어요. 덕분에 가
족들과 떨어지지 않아도 되고 홍수로 피해를 입은 마을을
복구하는 일에도 힘을 보탤 수 있습니다. 가족의 안전을 제
가 책임질 수 있다는 생각에 뿌듯합니다.”
- 나시르Nasir, ‘캐시포워크’에 참여한 시라지간 지역민

홍수를 대비해 지반을 높인 초등학교
“옥스팜의 지원으로 닭을 키우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습 니다. 제가 번 돈으로 가족을 위해 무언가 해줄 수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아요. 지원이 없었다면 상상도 못할 일입 니다. 공들여 키운 닭이 죽거나,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할 때 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하지만 저를 믿고 지원해 주시는 많 은 분들을 생각하면 절대 포기할 수 없어요.”
- 알리자Aliza, 창업지원 가정으로 선정된 칸찬푸르 지역 여성

지역 여성리더그룹 워크숍
옥스팜 트레일워커

‘인생기부 프로젝트’라는 슬로건으로 4명이
한 팀이 되어 38시간 내에 100km를 완주하
는 ‘옥스팜 트레일워커’가 강원도 인제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대회 참가비와 기부펀딩 전액은 전 세계 취약지역의 물·위생·보건 지 원 및 교육 프로그램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옥스팜워크

이하늬 홍보대사와 함께하는 ‘옥스팜워크’
는 빈곤층 여성과 소녀들이 깨끗한 물을 구 하기 위해 걷는 ‘생존의 거리’ 10km를 간접 체험해 보는 대회로 참가비 전액은 전 세계 여성과 소녀들의 권리 신장과 보호를 위한 프로그램에 사용되었습니다.
가자지구 휴전 촉구

11월 2일 가자지구 분쟁에 대한 즉각적인 휴 전을 촉구하는 국제 인도주의단체들의 긴급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전 세계 옥스팜 지 부는 민간인의 피해를 막고 인도적 지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휴전 촉구를 위한 글로벌 서명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참가자 및 기부펀딩 후원자
3,377명
참가자 및 기부펀딩 후원자
700명
글로벌 서명 캠페인 참여자
200,978명
ESG 컨퍼런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 데 글로벌 인권실사 사례를 통한 국내 기업
의 과제와 바람직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ESG 컨퍼런스’를 개최했습니다. 향후
워크숍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인권경
영에 대한 인식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세컨핸드 셉템버

‘새것 없는 9월’이라는 슬로건으로 의류 산 업으로 인해 취약계층이 겪는 피해를 줄이 기 위해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촉구하는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세컨패션 능력고 사’ 이벤트와 홍보대사 이제훈이 직접 만든 실크스크린 티셔츠를 선보였습니다.
토일렛 페이퍼 클럽

전 세계 화장실 문제를 알리기 위해 토일렛 페이퍼 클럽 캠페인을 론칭하고 클럽 회원 들을 대상으로 화장실 이슈 레터 ‘더 토일렛 타임즈’를 발행했습니다. 또한 부산외국어 대학교 학생들과 화장실 걱정 없는 지구를 위한 옹호활동을 전개했습니다.
* 연례보고서 ‘인권경영’ 인터뷰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캠페인 참여자
1,404명
토일렛 페이퍼 클럽 회원
메이크어무브

전쟁, 질병, 기후변화 등 위기에 처한 전 세 계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세상을 변화시키 는 움직임 ‘메이크어무브MAKE A MOVE’ 캠페인 을 진행했습니다. 캠페인 참여 시 친환경 소 재로 제작한 ‘옥스팜 무브먼트 백’을 보내 드 렸습니다.
옥스팜 나우 전쟁일기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하는 글로벌 이슈 를 빠르게 소개하는 캠페인을 론칭하고, 소 말리아 대기근, 전쟁 및 재난 상황에서의 화 장실 문제 등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긴급 구호 소식과 대응활동을 신속하게 전해드렸 습니다.



우크라이나 및 가자지구 등 전쟁 속 슬픔과 공포로 얼룩진 아이들의 일기장에 희망의 이야기가 다시 채워질 수 있도록 ‘전쟁일기’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캠페인 참여 시 우 크라이나 아동의 그림이 새겨진 일기장을 보내 드렸습니다.

소셜미디어 활동가들과 함께 한 달간 기후 위기를 알리는 ‘세컨패션 챌린지’ 미션을 수 행하고 최우리 작가의 북세미나를 통해 화 려한 옷 뒤에 가려진 생존을 위협받는 사람 들의 이야기를 알아보았습니다.
위아옥스팜 활동가 현장 트립 “티셔츠 한 벌을 만드는데 이렇게 많은 양의 물과 탄소가 발생하는 줄은 몰랐습니다. 제 소비로 인해 피해를 겪는 사람들이 없도록 변화를 다짐했습니다.”
– 김태경, 위아옥스팜 활동가

대면모금 활동가 2인이 기후위기 취약지역 인 방글라데시의 옥스팜 국제개발사업 현장 을 방문하여 후원을 통해 변화된 삶을 살아 가고 있는 지역민들을 직접 만나 보았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현장의 이야
기를 가장 먼저 확인해 보세요. 여러분 의 관심과 참여로부터 변화가 시작됩 니다. 지금 옥스팜과 함께해 주세요!
옥스팜 소식 채널
카카오톡 @옥스팜코리아
네이버 블로그 /oxfamkorea
인스타그램 @oxfamkorea
유튜브 /oxfamkorea
“직업 훈련을 수료한 후 작은 수선집을 창업한 한 지역 여성을 만났어요. 후원으로 한 사람의 삶이 완전히 바뀌었어요. 기적같은 일이죠.”
– 유영진, 대면모금 활동가

옥스팜 카카오채널 바로가기
2023 주요 연구보고 및 사례연구










슈피리치의 생존
SURVIVAL OF THE RICHEST
유례없는 위기 속에서 전 세계
빈곤률이 25년 만에 다시 증가
세를 보였습니다. 과거 슈퍼리
치에 대한 과세를 통해 불평등이
감소한 사례를 고찰하며, 갈수록
심화되는 부의 불평등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책을 제
언하고 있습니다.










기후평등: 99%를 위한 지구
CLIMATE EQUALITY: A PLANET FOR THE 99%
슈퍼리치와 기업이 배출하는 막
대한 탄소 배출에 대한 타격을 가
장 취약한 계층이 겪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대
적 조치와 불평등 축소, 새로운 경
제시스템 도입 등을 모두를 위한
지구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3 기후금융 실태 보고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SDG6 달성을 위한 노력
CLIMATE FINANCE SHADOW REPORT 2023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선진
국들이 공약한 연간 1천억 달러
이상의 기후금융 목표에 대한 이 행 현황을 점검하고, 선진국들의
탄소 배출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
한 손실과 피해를 금융 지원을
통해 보상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물·위생·보건에 대한 접근성 향 상을 위한 투자가 어떻게 향후 팬데믹을 대비하는 데 도움을 주 고, 질병이 전 세계 경제와 사회 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통해 도출한 주요 결과를 제공하고 있 습니다.
옥스팜은 연구보고서, 정책브리프, 가이드라인, 영향평가, 사례연구, 교육자료 등 매년 다양한 발행물을 통해 현장 활동의 지 식과 자원을 공유하고, 정책 및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며, 활동의 투명성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올 한해 100건 이상의 글로벌 보고서가 발행되었고, 그중 8건의 연구보고서 및 교육자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국내에 소개했습니다. 모든 발행물은 옥스팜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구분 대상 제목
교육자료집
초등/중등편 전 세계의 코로나19 대응과 조치 중등편 기후위기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초등편 기후정의를 위해 행동하는 법 초등편 기후위기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옥스팜 자료실 바로가기
파트너십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수익금 기부, 물품 지원, 임직원 참여, 캠페인 홍보 등 전 세계 취약계층 지원에 힘써주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YG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는 소속 아티스트, 글로벌 팬, 임직원 등과 함께 비대면 기부걷기 캠페 인 ‘YG 워킹 페스티벌’을 진행하고, 캠페인 을 통해 모인 기부금 2억 7,000만 원을 네팔 소외계층 청소년들의 문화형평성 향상과 디 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기부했습니다.
올젠 신성통상

신성통상의 남성 브랜드 올젠이 브랜드 전 속 모델이자 옥스팜 코리아의 홍보대사로 활동 중인 배우 이제훈의 핸드 드로잉 캐릭 터를 활용해 ‘섬머 브리즈’ 컬렉션 라인을 론 칭하고, 수익금 일부를 인도주의적 구호활 동을 위해 기부했습니다.
인트라링크

인트라링크 코리아가 사내 자선 경매 행사 를 열고, 직원들의 애장품 경매를 통해 모인 수익금 전액을 기후변화 대응에 취약한 방 글라데시에 전달했습니다. 기부금은 지역민 의 기후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재난위험 경 감사업’에 사용되었습니다.
해피코리아

사단법인 해피코리아가 대지진으로 큰 피해 를 입은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위해 1,806만 원을 기부했습니다. 후원금은 피해 지역 이 재민들에게 식수 및 위생시설, 식량, 위생키 트 등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는 SDGs 역량강화 및 글로컬 인 재 양성을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5월 20~21일 강원도 인제군에서 열린 ‘2023 옥 스팜 트레일워커’에 학생 봉사단 70여 명을 조직해 안전한 대회 운영을 지원했습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는 기후위기 공동 캠페인 및 기업의 사회공헌 확대 등 공익적 가치를 확 산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옥스팜 활동과 다양한 캠
페인 소식을 취재하고 기사로 소개했습니다.
* 옥스팜은 윤리적 파트너십 기준에 따라 파트너십 체결 전 기업의 비전과 가치, 투명성, 공정성, 자율성, 사업 목적성 등을 검토하며, 기업의 환경적 영향 및 노동권 침해 등을 고려해 파트너 기업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담배, 유해물, 군수기업 등과는 파트너십을 체결하지 않는 원칙을 준수합니다.
자이언트 펭TV EBS 넘버링

한국교육방송공사 EBS의 대표 마스코트인
펭수가 기후위기 현장 속 보건위생 문제를
알리기 위해 서울, 대전, 부산 일대에 팝업스
토어를 열고 시민들을 만났습니다. 후원자
를 대상으로 옥스팜 X 펭수 캐릭터 콜라보
굿즈가 제공되었습니다.
비거니티 한화생명

한화생명이 운영하는 친환경 커뮤니티 ‘비 거니티’가 9월 2주간 성수동에 팝업스토어 ‘지구동사무소’를 열었습니다. 옥스팜은 팝 업스토어를 통해 패스트 패션으로 인한 기 후위기의 심각성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모금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플라톤벤쳐스의 컨템포러리 쥬얼리 브랜드
넘버링이 네팔 빈곤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1,200만 원을 기부했습니다.
후원금은 직업훈련 및 창업교육 등 여성들 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뚝섬 재사용장터 서울시 인천해서초등학교

서울시가 재사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10
월 2주간 한강공원 광장에서 ‘뚝섬 재사용
장터’를 열었습니다. 행사에 함께한 옥스팜
은 기후위기 캠페인 ‘세컨핸드 셉템버’를 시
민들에게 알리고 다양한 체험 이벤트를 운 영했습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학생들은 옥스 팜의 화장실 캠페인 ‘토일렛 페이퍼 클럽’의 1호 단체회원으로 가입하고, 한 학기 동안 전 세계 화장실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는 다 양한 홍보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을 위해 옥스팜과 함께해 주세요.

인천해서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플리마
켓 행사를 개최하고, 수익금 일부를 전쟁 난
민을 지원하기 위해 옥스팜에 전달했습니다.
전달식 이후 세계시민교육을 듣고 소감문을
작성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옥스팜은 다양한 파트너 기관과 함께 유엔의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 기반으로 전 세계 구호 현장에서 모든 형태의 빈곤과 기아를 종식하고, 깨끗한 물과 위생 관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최우선으로 대응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파트너십 문의 infokorea@oxfam.or.kr
파트너 기업 및 단체
(주)YG엔터테인먼트 GC녹십자웰빙 강원대학교 꼬달리코리아 주식회사 노무법인 지음 닥터 노아
닥터유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거니티 비즈니스포스트
사단법인 해피코리아
삼양식품(주)
슈가로로
스카르파
아이러버
올젠
월간 산
인제군
인제군자원봉사센터 인제군체육회 인제천리길 인천해서초등학교 자이언트펭 재단법인 삼양원동문화재단
재단법인 자연드림씨앗재단 제주삼다수 주식회사 넘버링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주식회사 인트라링크코리아 프란츠
프로스포츠푸드 하이퍼아이스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국제협력단
인권경영
옥스팜은 글로벌 컨설팅기관 글로브스캔GlobeScan과 서스테이너빌리티SustainAbility가 1997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지속가능성 리딩기 업> 조사에서 2015년부터 8년 연속 국제개발 NGO 부문 1위를 차지하며, 기업의 인권경영 내재화를 위해 유니레버, 막스앤스펜서 등과 파트너십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년 이상 윤리무역, 공정무역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분야에서 활동해온 옥스팜 기업 자문서 비스 책임자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인권 중심의 공급망 ESG를 소개합니다.





대형 패션 브랜드의 공급망 여성 노동자들은 열악 한 환경에서 적은 임금을 받고 일하며 빈곤으로 내 몰리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방글라데시 의류 공장의 노동자들이 적절한 임금을 보장받고, 기업은 공정한 패션 산업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 Fabeha Monir/Oxfam
ESG INTERVIEW
포괄적 인권관리 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
Q. 옥스팜 기업 자문서비스는 어떤 일을 하나?
옥스팜 기업 자문서비스(Oxfam Business Advisory Service, OBAS)는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걸쳐 잠재적·실질적 영향을 점검하고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인권 문제에 대한 실용적 지침 과 조언을 제공한다. 옥스팜은 100여 개국에서 80년 넘게 쌓아온 인
도주의 및 국제개발 프로그램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과 비즈니스 특
성을 고려한 공급망 인권실사, 성평등 및 생활임금 개선 등을 위한 실 무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다.
Q. 옥스팜 인권실사의 차별점은 무엇인가?
유럽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NGO와 파트너십을 맺고 공급망 내 노동
자들과 신뢰를 쌓고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옥스 팜은 기업 파트너들과 함께 고충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노동자 중
심’의 접근 방식을 통해 기업이 인권관리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있다. 실제로 동남아 등에서는 포커스 그룹 중심의 노동자 참여 형 사업을 오랫동안 수행해 왔다.
Q. 인권경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가 있다면?
단순히 감사를 넘어 장기적으로는 인권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권리스크는 기업의 구성원이 인권관리를 내재화하면 자 연히 해소되는 문제다. 비용 측면에서는 감사와 단기적 관리가 효율 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사고는 발 생할 수밖에 없고 사후 수습으로 훨씬 더 큰 손해를 입을 수 있다. 또 한 감사 및 통제 중심의 인권관리는 협력사와 노동자에게 과도한 압 력을 줄 수 있고 인권 개선을 위한 피드백 수집에도 방해가 될 수 있다.
Q. 기업의 공급망 인권실사를 진행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기업 구성원에게 인권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을 설득하는 일이 가장 힘들었다. 옥스팜은 600여 곳의 채리티숍과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전 세계에서 공정무역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만큼 기업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다. 단순히 비영리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비 즈니스 상황에서의 인권관리와 실질적인 영향에 대해 기업과 소통하
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조직 차원에서 인권관리 시스템의 필요 성을 이해한다면 현장에 맞는 방법을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다.
Q. 옥스팜의 다른 인권경영 활동이 있나?
옥스팜은 기업의 인권경영 이행을 촉구하는 다양한 캠페인을 펼치
고 있다. 동시에 실질적인 인권경영 내재화를 위해 파트너십을 통한
기업 자문서비스도 제공한다. 캠페인 ‘비하인드 더 바코드Behind The Barcodes’를 통해 대형마트의 공급망 인권 정책과 실행 현황을 평가하
고 4년간의 진척도를 발표하는 활동을 진행하기도 했다.

클레어 리사만 Clare Lissaman
옥스팜 기업 자문서비스 책임자 Oxfam Business Advisory Service, OBAS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한 옥스팜 활동
1998 윤리무역 이니셔티브Ethical Trading Initiative 공동 창립
2004 공급망 평가 및 감사 플랫폼 세덱스Sedex 공동 창립
2014 매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부의 불평등 보고서 발표
2015 <지속가능성 리딩기업> 조사에서 국제개발 NGO 부문 1위
2016 유엔 여성 경제역량강화 최초 고위급 패널 역임
2017 국제노동기구 ‘일의 미래Future of Work’ 위원회 역임
2023년, 제1회 옥스팜 ESG 컨퍼런스가 한국에서 열 렸습니다. 옥스팜은 80년 넘게 인권과 노동권, 공정 무역, 불평등 이슈 등을 선도하며, 기업 현장의 실질 적 변화를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모든 노동자가 안 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함께합니다.

ESG 컨퍼런스 확인하기
재정보고
81%
프로그램 비용
CHARITABLE COSTS
국제개발 DEVELOPMENT
40%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금은 전 세계 가장 도움이 필요한 국가에서 생명을 살리 는 활동을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 재정보고는 2022년 4월 1일부터 2023 년 3월 31일까지의 한국사무소를 포함한 옥스팜 영국의 재정 기록을 나타내 며, 매년 외부 회계전문기관을 통해 투명한 재정 운영을 검증받고 있습니다. 한 해 동안 옥스팜과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상세 보고는 국세청 홈택스와 홈페이지 외부감사 보고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9%
운영 및 모금활동 SUPPORT AND FUNDRASING COSTS
7% 기금모금 FUNDRASING 기타운영 SUPPORT
캠페인 및 옹호활동
CAMPAIGN & ADVOCACY
12%
2%
· 채리티숍 활동비는 후원금 사용 비율 환산 시 제외
긴급구호 HUMANITARIAN
39%
옥스팜은 후원금의 80% 이상을
‘가난의 구조적인 변화’를 위해 사용합니다
후원금 수입 내역 후원금 사용 내역
총 수입 내역
6,209억 원
정부 및 공공기관 지원금1) 2,421억 원 39%
일반후원 및 유산기부2) 2,218억 원 37%
채리티숍 판매 수익금 1,519억 원 24%
투자 수익 29억 원 <1%
기타 22억 원 <1%
1) 한국국제협력단KOICA 기금 150,212,168원 포함
2) 한국사무소 모금액 12,329,718,111원 포함
3) 중고물품을 판매하는 옥스팜 채리티숍은 영국 전역 500여 개의 상점에서
총 사용 내역
5,586억 원
기준 환율 1GBP=1,550원
국제개발 활동 1,869억 원 35%
긴급구호 활동 1,970억 원 33%
채리티숍 활동3) 1,271억 원 23%
후원기금 모금활동 379억 원 7%
캠페인 및 옹호활동 88억 원 2%
기타 9억 원 <1%
2만여 명의 자원봉사자를 통해 운영되며, 판매 수익금은 긴급구호 및 국제개발 활동 등에 사용됨
옥스팜의 기금운용 원칙
옥스팜 코리아는 옥스팜 영국 본부의 한국사무소로서 후원금은 매월 본부로 전액 송금되어 연간 사업계획 및 긴급구호 상 황에 따라 전 세계 가장 필요한 곳에 우선적으로 배분됩니다. 후원금의 80% 이상이 프로그램 운영비로 사용되며, 투명한 기금운용을 위해 사업연도 종료 후 연간 사업실적, 수입지출 내역 및 차기 연도의 예산서 등을 주무관청에 제출합니다. 결 산내역서 및 외부회계감사 보고서 등을 국세청에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있으며, 매년 외부 회계전문기관을 통해 투명한 재 정운영을 검증받고 있습니다.
옥스팜 원칙
옥스팜은 ‘무엇을’ 하는 것만큼이나
‘어떻게’ 일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활동을 전개합니다.
옥스팜은 구호활동, 보호정책, 기금운용 등 모든 활동에 있어 윤 리, 환경, 지속가능성을 최우선으로 원칙과 기준을 세워 공정하 고 투명한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포 용적인 조직 문화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자원과 의사결정권을 지역사회에 이전하고, 지역 파트 너 기관이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옥스팜은 어떤 상황에서도 모든 사람
이 존엄한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가장 최선의 방법을 찾습 니다. 후원자님들께 언제나 신뢰하고 믿을 수 있는 국제구호개 발기구로 함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01 구호활동
원칙
옥스팜은 ‘인도적 지원의 핵심기준’에 명시된 9가지 항목, 62개 세부 지표를 엄격하게 준수합니다. 각 항목을 통해 인도적 지원의 적정성, 효과성, 적시성, 지속가능성 등을 평가하며 구호 현장 에 가장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 니다. 매년 옥스팜은 감사를 통해 인도 적 지원의 적정성을 평가받고 개선사 항을 발표합니다. 옥스팜의 구호활동은 인류애, 공정성, 독립성, 중립성에 의거 하며, 인도적 위기에 영향을 받은 사람 들이 존엄한 삶을 위해 보호받을 권리 가 있다는 인도주의 헌장The Humanitarian Charter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인도적 지원의 핵심기준
Core Humanitarian Standards
1. 인도적 지원의 적정성
2. 인도적 지원의 효과 및 적시성
3. 지역의 역량 강화 및 추가적 피해 방지
4. 소통, 참여, 피드백에 기초한 인도적 지원
5. 안전하고 즉각적인 고충처리 시스템 구축
6. 상황에 따른 인도적 지원의 유연한 조율
7. 지역 활동가들의 지속가능한 성장 지원
8. 인도적 활동 지원 및 정당한 처우 제공
9. 기금 및 자원의 책임 있는 관리와 사용
02 기금지원
원칙
옥스팜은 올해 전 세계 2,248개의 파트 너 기관과 함께 1,487건의 사업을 지원 했습니다. 각국의 시민단체들이 인도적 지 원활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파 트너십을 통해 기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관의 미션, 일하는 방식, 명확한 역할, 운 영의 투명성 및 유연성 등 다섯 가지 기준 을 바탕으로 파트너 기관을 선정합니다. 또한 영향평가 및 감사 등을 통해 기금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지 정기적으로 모니 터링하며, 인도적 지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 Delizia Flaccaventa/Oxfam

03 보호정책 원칙
옥스팜은 함께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안
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안전
하고 투명한 조직을 구축하기 위해 옥스
팜은 2022년 2월 보호정책Safeguarding을 마련하고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습니
다. 인도적 지원에 있어 지역사회에 권한 을 부여하고, 지원의 초기 단계부터 지역 사회가 의사결정권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 여할 수 있도록 보호정책을 내재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구호활동 현장에 보호 정책 책임자를 세우고 안전한 조직 문화를 위해 모니터링을 정기적으로 시행합니다.
04 정보관리 원칙
옥스팜은 각국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수집 하고 관리하기 위해 일반 데이터 보호규정
GDPR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서비
스 제공자가 준수해야 할 개인정보와 관련 된 법령상의 개인정보 보호규정 및 방송통 신위원회의 개인정보 보호지침을 엄격하 게 따르며, 후원자를 비롯해 옥스팜과 관 련된 모든 사람들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모든 직원들은 데이터 보안에 대한 의무 교육을 이수하고, 데이터를 안 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점검 하고 있습니다.
옥스팜 코리아는 옥스팜 영국 본부의 한 국사무소로서 후원금은 매월 영국 본부로 전액 송금되어 연간 사업계획 및 긴급구호 상황에 따라 전 세계 가장 필요한 곳에 우 선적으로 배분됩니다. 후원금의 80% 이 상이 프로그램 운영비로 사용되며, 투명한 기금운용을 위해 사업연도 종료 후 연간 사업실적, 수입·지출 내역 및 차기 연도의 예산서 등을 주무관청에 제출합니다. 결산 내역서 및 외부회계감사 보고서 등을 국 세청에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있으며, 매년 외부 회계전문기관을 통해 투명한 재정운 영을 검증받고 있습니다.




해수면 상승으로 학교로 가는 길이 물에 잠긴
솔로몬제도의 11살 소녀 ‘셜리’의 이야기, 물속으로 수몰되는 이 아이의 터전을


이대로 외면한다면 그의 삶도
물속으로 가라앉게 될 것입니다.


이야기의 결말은 우리에게 달려있습니다.
한 사람을 위한 미래가 우리 모두의


미래가 될 것입니다.



































2023
옥스팜 연례보고서
Oxfam
Annual Report
옥스팜 코리아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19길 16 성공회빌딩 본관 3층
대표전화 1566-2707
www.oxfam.or.kr
1942년 영국 옥스퍼드 학술위원회에서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설립한 옥스팜은 물·위생·보건 전문기관으로서 현재 전 세계 86개국에서 활동하는 국제구호개발기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