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Page 1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

발행인 지경영

발행처 옥스팜코리아

발행월 2023년 2월

대표전화 1566-2707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9길 16, 성공회빌딩 본관 301호

디자인 그래픽오션

2021/22 옥스팜 활동 영역

키워드로 만나는 옥스팜

옥스팜 인터내셔널 주요 활동

우크라이나 긴급구호 업데이트

인도주의적 긴급구호 활동

기후위기 대응

보건위생 지원

옥스팜 현장 직원 인터뷰

여성 역량 강화

지역사회 리더십 향상

옥스팜코리아 주요 활동

옥스팜-코이카 인도적 지원사업

국내 참여 활동

온라인 모금 캠페인

파트너십 및 언론보도

투명한 운영을 위한 노력

재정보고

보호정책

지속가능운영

함께하는 사람들

과테말라의 후아나Juana 가족은 기후변화 취약 지 역인 ‘건조 종주지대’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몇

년 새 가뭄이 길어지면서 음식을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졌고, 코로나19 이후에는 일하러 나가는 것

도 쉽지 않아 굶주리는 날이 더 많습니다. 옥스팜

은 후아나 가족과 같은 기후위기 취약계층이 건강

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깨끗한 물과 식량을 제

공하고 있습니다.

© Carlos Zaparolli/Oxfam

* 본 보고서는 2021년 4월 ~ 2022년 3월 옥스팜 인터내셔널의 성과와 2022년 1월 ~ 2022년 12월 옥스팜코리아의

주요 활동을 소개합니다. 일부 취약계층과 수혜자 이름은 신변보호를 위해 가명으로 표기되었습니다.

COVER STORY 04 06 10 12 14 16 18 20 22 26 28 30 31 34 36 38 40
Contents
©Khaula Jamil/OxfamAUS

옥스팜과 함께하시는 모든 분들께

지난 한 해도 옥스팜을 믿고 함께해 주신 후원자님 덕분에 전 세계 가장 소외된 1,560 만 명에게 도움을 전할 수 있었습니다.

끝나지 않은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기후위기까지 심화되면서 오늘날 세

계가 직면한 인도적 위기로 인해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이라는 우리의 비전이 얼마 나 중요한지 깨닫는 한 해였습니다.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으로 치솟은 식

량과 연료비를 감당하지 못해 생계에 큰 타격을 입었고, 지금 이 순간에도 36초에 한 명 씩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옥스팜을 비롯한 많은 구호단체가 전 세계 취약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여전히 해 결되지 않은 문제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저는 지난 10월 방글라데시 사업 현장에서 만 난 배 거주민들의 모습을 아직까지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마땅히 살 곳을 찾 지 못해 배 위에서 평생을 살아가는 찬드푸르 주민들은 오염된 강물을 식수로 마시고, 배가 아파도 마땅한 의료시설을 찾을 수 없습니다.

우리가 늘 당연하다고 여기던 것들이 어떤 곳에서는 결코 당연하지 않았습니다. 인도적 위기에 처한 사람들에게는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 식량, 교육, 의료서비스 등 어느 것 하 나 당연한 것이 없습니다. 전쟁을 피해 어린 자녀들과 피란길에 오르고, 오염된 물인지 알면서도 아이에게 줄 수밖에 없는 현실이 누군가에게는 평범한 일상입니다.

옥스팜은 전 세계 87개국에서 활동하며 빈곤국의 취약계층이 생존을 넘어 자립할 수 있도록 가난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인도적 위기를 마주 하며 느끼는 절망과 무력감 속에서도 변함없이 옥스팜을 믿고 함께해 주시는 후원자분 들 덕분에 힘을 내 달릴 수 있었습니다.

힘든 상황 속에서도 가장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손을 놓지 않고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

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지난 1년간의 함께 만든 변화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옥스팜코리아 대표 지경영 드림

옥스팜 활동 영역

1942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 난민을

구호하고 기근을 구제하기 위해 ‘옥스퍼드 학술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영국에서 처음 출범되었습니다.

87개국

가난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글로벌 운동의 일환으로 전 세계 63개의

활동국가와 24개의 후원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지 정부와 지역사회, 시민단체, 지역 NGO 등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인도주의적 위기 속 가장 필요한

도움을 전합니다. 2,792개 파트너 2021/22
그 외 국가 1,400,000 명 967 개 중남미 806,000 명 377 개 중동 및 북아프리카 3,900,000 명 180개 서아프리카 1,300,000 명 324 개 남아프리카 1,500,000 명 187 개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지난 한 해* 옥스팜은 전 세계 87개국에서 활동하며

1,560만 명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했습니다

* 2021. 4. ~ 2022. 3. 한국사무소를 포함한 옥스팜 인터내셔널 기준

아시아

2,500,000 명

594 개

동·중앙 아프리카

4,000,000 명

154 개

태평양 지역

22,000 명

9 개

수혜자 수

파트너(협력기관) 수

비전 VISION

옥스팜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

고 믿습니다. 모든 사람은 생존을 넘어

번영할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목표 PURPOSE

공정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옥스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빈곤을 심

화시키는 불평등에 맞서야 합니다.

가치 VALUES

전 세계 모든 직원과 이해관계자에게

다양성 포용과 역량 강화, 책무성 준수 의 가치를 동일하게 추구합니다.

· 옥스팜Oxfam의 기관명은 영국 옥스퍼드 학술위원회the Oxford Committee for Famine Relief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머리글자Ox와 기근Famine의 앞 글자를 조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 ‘활동국가’는 옥스팜의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이 전개되는 국가를, ‘후원국가’는 모금과 사업 수행의 주체가 되는 국가를 칭합니다.
04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05

지붕없는 감옥 가자지구

지리적으로 이집트와 이스라엘 사이에 위치한 가 자지구는 양국에 편입되기를 반복하다가 1994 년부터 팔레스타인의 자치구로 인정되었습니다.

2006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무력 충돌 이후 이스라엘이 안보를 이유로 가자지구를 포함한 팔

레스타인의 국경을 전면 봉쇄한 지 15년이 흘렀습

니다. 2021년 5월, 또 다른 무력 충돌로 가자지구의

어린이 66명을 포함한 242명이 사망하고 1,900명

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현재까지 가자지구 주민 210만 명은 극심한 생활

고에 시달리고 있으며, 지역민 80%가 해외원조에

의지해야만 하는 심각한 인도적 위기를 겪고 있습

니다. 옥스팜은 가자지구 70만 명을 대상으로 깨

끗한 물과 식량 을 제공하고 폭격으로 파괴 된 사회 기반시설을 재건하여 더이

상의 민간인 피해자가 발생 하지 않도록 국제사회에 적극 호소하고 있습니다.

예멘 내전 7년, 생존에서 자립까지

예멘 내전이 발발한 지 7년, 전체 인구의 70%에

해당하는 2,100만여 명이 전쟁으로 인한 인도주 의적 위기에 처했습니다. 400만 명 이상은 피란

길에 올라야만 했고 빠르게 확산되는 코로나19

로 그 어느 때보다도 취약계층의 안전과 건강이

위협을 받았습니다. 옥스팜은 전쟁으로 위협받는

300만 명의 예멘인을 대상으로 인도주의 활동

을 전개했습니다. 안전한 식수와 위생용품을 제

공하고, 화장실을 설치하는 등 예멘 실향민들이

위생적인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을 이 어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2년

코로나19가 2년 넘게 지속되면서 많은 이들이

건강과 생명을 잃고 일상이 마비되는 충격을 경

험하였습니다. 특히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던

빈곤국의 취약계층은 오늘의 생존도 불투명한

최악의 위기를 마주했습니다. 옥스팜은 도움이 필요한 70여 개국에서 1,430만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대응 활동을 펼치며, 모든 사람이 하

루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안전할 때까지 아무도 안전하 지 않습니다.

전쟁과 기후위기, 감염병 등 다양한 인도

주의적 위기가 덮친 지난 한 해였습니다.

여러분이 함께해 주신 덕분에 옥스팜은 어

려움 가운데서도 1,560만 명의 취약계층

을 대상으로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 다. 2021/22년의 주요 사건과 옥스팜의

활동을 키워드로 소개합니다.

키워드로 만나는 옥스팜
© Lorenzo
Tugnoli/OxfamContrasto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강제 이주민 인구 1억 명 돌파

올해 초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전 세계

강제 이주민Forced Migration 인구가 사상 최초로 1

억 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발표한 8,930만 명

보다 1,000만 명 이상이나 많은 수치이며,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 사무총장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기록’이라며 난민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

고 깊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강제 이주민의 35%가

넘는 3,650만 명이 18세 미만의 미성년자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잃어버린 세대’를 만들지 않으려면

국제사회의 노력이 더욱 필요합니다.

우크라이나를 덮친 비극

지난 2월 시작된 러시아의 군사 행동으로 우크라

이나 전역은 10개월째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습니

다. 지금까지 16,200명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

으며, 병원, 학교, 주택, 상수도 등 주요 사회기반시

설이 파괴되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인구의 1/3에 해

당하는 약 1,400만 명이 집을 떠나 피란길에 올라

야만 했고, 이 가운데 90%는 여성과 어린이, 노인

과 같은 취약계층이었습니다.

또한 전쟁 이후 성폭력이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조

국을 떠나 이웃 국가로 이동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정신적 외상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전쟁을 피해 열

악한 환경 속에서 생활하는 이들은 매서운 추위

를 견디며 전쟁이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인근 국가에서 지역 파트너

와 협력하여 물과 위생, 식량

지원, 법률 및 심리

상담 등 다양한 활동

을 통해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고통으로 얻는 이익

코로나19 이후 생계비가 급속도로 상승하면

서 전 세계 빈곤층의 인구가 계속해서 증가

하고 있습니다. 감염병 사망자만 2,000만 명

을 돌파한 가운데 이제는 전 세계적으로 불평

등까지 심화되면서 취약계층에게는 더욱 비

극적인 상황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4초마다

한 명이 불평등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빈곤국 취약계층입니다. 옥스팜은

2022 세계경제포럼 기간 중 불평등 보고서

‘고통으로 얻는 이익Profiting From Pain’을 발

표하며 취약계층의 심각한 현실과 불평등한

경제 구조를 밝혔습니다.

기후위기 취약계층

탄소배출에 가장 책임이 적은 사람들이 기후위기 의 피해는 가장 크게 받고 있습니다. 남태평양의 솔 로몬 제도는 최근 잦은 태풍과 홍수를 겪는 가운데,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까지 더해져 기후위기의 중심에 놓였습니다. 20년 동안 솔로몬 제도의 해수 면은 15cm 가량 상승했으며, 저지대에 위치한 가옥 들은 이미 모두 침수되었습니다. 지역민의 대부분 이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여 탄소배출 기여도는 크

지 않지만, 전 세계 막대한 탄소배출량으로 인한 기

후위기의 피해는 가장 크게 받습니다. 옥스팜은 기

후위기 지역을 대상으로 생계지원 및 보호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06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07
* 상세 활동은 이어지는 보고서 내용과 옥스팜코리아 홈페이지의 ‘옥스팜 스토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Arlette Bashizi/Oxfam
우크라이나 긴급구호 업데이트 인도주의적 긴급구호 활동 기후위기 대응 보건위생 지원 옥스팜 현장 직원 인터뷰 여성 역량 강화 지역사회 리더십 향상 10 12 14 16 18 20 22
주요
08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09
옥스팜 인터내셔널
활동

우크라이나 긴급구호 업데이트

2022년 2월 시작된 러시아의 군사 행동으로 우크라이나는 심 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 가 발생하고 사회기반 시설이 파괴된 가운데 우크라이나 인구

1/3에 해당하는 1,400만여 명이 생존을 위해 피란길에 올라야 만 했습니다. 옥스팜은 우크라이나, 폴란드, 루마니아, 몰도바 전역에서 지역 당국 및 파트너와 협력하며 전쟁 난민들을 대상 으로 긴급구호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올 3월부터 아이들과 함께 몰도바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수입도, 미래에 대한 전망도 없는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모든 것이 도전입니다.

얼마 전부터는 옥스팜으로부터 필수 식량을 배급받기 시작했습니다. 저희를 도와주는

이웃들이 없다면 앞으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 나탈리아Natalia, 우크라이나 키이우 난민

지역사회 협력 대응

옥스팜은 현지 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지역사회 전문

가들과 대응팀을 구성해 체계적인 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생명에 필수적인 물·위생 대응부터 난민 자격 획득을 위한 법

률 자문 및 보호활동까지, 난민들에게 가장 필요하고 실용적인

도움을 전합니다.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을 위한 옥스팜과 현지

파트너의 활동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됩니다.

· 난민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물·위생, 비상식량, 생필품 지원

· 국경 지점에서 대피소와 핫라인을 비롯하여

난민 전용 안전시설 확보 및 운영

· 인신매매와 성폭력 방지를 위한 정보 지원과

난민 보호를 위한 심리 상담 제공

· 난민 자격 획득 및 장기 정착을 위한 법률 자문 제공

©JB Russell/Panos/Oxfam ©JB Russell/Panos/Oxfam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상세 지원 현황 2022. 8. 기준

폴란드 Poland

인도적 지원 329,082명

난민 1,436,558명

협력기관 8개

필수 위생시설 설치 56개

우크라이나 Ukraine

인도적 지원 146,820명

국내실향민 6,200,000명

협력기관 9개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11,353명

루마니아 Romania

인도적 지원 66,697명

난민 86,206명

협력기관 7개

비상식량 배급 200,000인분

몰도바 Moldova

인도적 지원 67,629명

난민 92,443명

협력기관 4개

생필품 배포 50,470세트

우크라이나 난민 긴급구호 활동 성과 난민 지원 비상식량 배급 생필품 배포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필수 위생시설 설치 610,228명 200,000인분 50,470세트 11,353명 56개 ©JB Russell/Panos/Oxfam 폴란드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몰도바
10 2021/22
11
옥스팜 연례보고서

인도주의적 긴급구호 활동

갑작스럽게 덮치는 재난에 맞서 옥스팜은 생존과 재건을 위한 긴급구호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철저한 예방을 통해 위기

에 대비하고, 예기치 못한 재난 상황에서 생존하며, 지역사회

가 공정하고 주체적인 방식으로 재건 및 자립할 수 있도록 현 지 파트너와 함께 취약계층을 지원합니다.

2021/22 주요 성과

긴급구호 활동 전개

12,100,000명

동아프리카 기근 대응

2,600,000명

상세 지원 현황

케냐 Kenya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40,000명

코로나19 예방 교육 및 물·위생 지원

기근 인구 2,800,000명

에티오피아 Ethiopia

물·위생 지원 및 보호활동 180,000명

식수 및 비상식량 제공 105,296명

기근 인구 9,400,000명

소말리아 Somalia

물·위생 지원 183,000명

생계지원 24,600명

기근 인구 7,700,000명

남수단 Republic of South Sudan

비상식량 및 생필품 배급 400,000명

물·위생 지원 130,000명

기근 인구 8,300,000명

동아프리카 대기근

남수단 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

동아프리카는 40년 만에 가장 건조한 기후로 최악의 기근 위기에 내 몰렸습니다. 기후변화와 무력분쟁,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메뚜기떼

와 홍수까지 덮쳐 지역민 4,470만 명에게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 다. 케냐,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남수단에서는 2,100만 명 이상이 극심한 식량 불안을 겪고 있습니다. 2022년 2월, 옥스팜은 동아프리

카 기근 위기를 ‘최고’ 단계로 격상시키고 집중 대응을 시작했습니다.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필리핀 태풍 라이 긴급구호

72,685명 268,000명

예멘 내전 피해자 지원

“태풍으로 모든 것이 쓸려 나갔어요. 집과 살림 대부분을 잃었습니다. 거센 바람 소리가 정말 무서웠어요.”

– 크리스멜Krismel, 태풍 라이 이재민

필리핀 태풍 라이

2021년 12월, 필리핀에 상륙한 초대형 태풍 라이Rai로 990만 명의 인구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디나가트 섬Dinagat Island 에서는 대부분의 가옥이 살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되거나 완전히 날아갔고, 약 227개 도시와 마을에서는 전기가 끊겨 생활이 어려워지기도 했습니다.

옥스팜은 이재민들이 신속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대피소를 마련 하고 재건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키우던 소는 모두 죽고 이제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습니다.

낙타와 염소 몇 마리가 겨우 살아남았지만, 가뭄이 계속된다면 그마저도 잃게 될 것입니다. 식량도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언제 기근으로 죽기 시작할지 모릅니다.

이 상황이 참담하고 두렵기만 합니다.”

– 아흐메드 모하메드Ahmed Mohamed, 케냐 와지르 지역 목축민

7년 넘게 예멘 내전이 이어지며 인도주의적 위기 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전쟁의 여파로 2천만 명의 예멘 인구가 생존을 위협받고 있으며,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물가 급상승과 해외원조 삭감 이라는 새로운 위기를 낳았습니다. 장기화되는 위 기 속에서도 옥스팜은 30년 이상 예멘에서 긴급 구호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예멘 내전 7년 물·위생 지원
명 268,000
4,000,000
피해자
누적
비상식량 배급 10,590명 대피소 및 생필품 제공 20,865명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930명 물·위생 지원 및 대피소 제공 ©Petterik Wiggers/Oxfam Novib
/
61,700
명 2021/22 예멘 내전
지원 내전 발발 이후
지원
©Kaff Media
Oxfam
12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13
©A Single Drop for Safe Water and Roots of Health/Oxfam

기후위기 대응

옥스팜은 네팔,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에서 활동하며 기후위기에 취약한 지 역사회가 비상사태에 대비하고 미래에 닥칠 재난의 위험을 감소할 수 있도록 파트너

들과 함께 재난위험 경감 프로그램을 시행했습니다. 새로운 작물과 농업 기술을 도

입하여 농부들의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했으며, 자연재해가 발생하기 전 사전 훈련

을 실시하고 긴급 재난지원금을 지급하여 지역사회가 재난의 위험에도 안정될 수 있

도록 돕고 있습니다.

“벼보다 홍수에 더 강한 사탕수수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해충이나 악천후에도 끄떡없는 물 시금치와 파파야, 호박, 수박, 가지도 함께 키우며 흉작에 대한 걱정이 줄었어요.”

– 수나르Sunar, 네팔 농부

2021/22 주요 성과 기후위기 취약계층
523,000 명 재난위험
명 생계지원
프로젝트 COP26
시위
지원
경감 프로그램 474,000
양봉
기후정의
42,300
10,000
재난위험 경감 프로그램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Elizabeth Stevens/Oxfam

COP26

기후정의 시위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진행된 가운데, 옥스팜은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전 세계 주요 국가의 행동

을 촉구하며 현장에서 시위 활동을 펼쳤습니다.

낮은 탄소배출량으로 기후변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가장 큰 피해를 받고 있는 국가들

을 위해 국제사회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생계지원 양봉 프로젝트

기후위기는 멕시코 남부에서 파나마까지 이어지는 중앙아메리카의

건조 종주지대Dry Corridor의 농업 경제를 황폐화시키고 있습니다. 옥 스팜은 과테말라와 엘살바도르의 생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양봉 기술을 교육하는 ‘플랜 비Plan Bee’ 프로젝트를 전개하며 기후위기 상황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수입원을 제시합니다.

“기후위기로 모든 농사가 실패했을 때 절망에 빠질 뻔하기도 했어요.

하지만 벌들을 만난 뒤로는 희망을 되찾았습니다. 매년 지역 공동체와

함께 400병의 꿀을 생산하고 있는데, 수익을 모아 대학에 진학하고 싶어요.

공부에 대한 꿈을 놓지 않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말레니Marleny, 엘살바도르 농부

©Andy Aitchison/Oxfam ©James Rodriguez/Oxfam
14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15

©Suhaib Jarrar/Oxfam

코로나19 대응

보건위생 지원

옥스팜은 오랜 기간 식수 및 위생 분야에 전문성을 갖고 전 세계 재난 현장에서 보건위생 문제를 해결 하고 있습니다. 옥스팜의 똑똑한 혁신은 깨끗하고

안전한 위생 환경을 구축해 질병을 예방하고, 현지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는 WaSH(Water, Sanitation and Hygiene) 프로그램과 함께 시작됩니다.

2021/22 주요 성과

재난 현장 보건위생 대응

11,200,000 명

코로나19 보건위생 대응

9,690,000 명

위생시설 설치 후 손 씻기 36% 증가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2년, 옥스팜은 70여 개국에서 대응 활동 을 펼치며 감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습니 다. 과거 지카 바이러스나 에볼라와 같은 질병 발생 현장에서 축 적해온 경험을 토대로 감염병 확산 초기부터 신속하게 보건위생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취약계층 188만 명을 대상으로 깨끗한 물 을 제공하고, 97만 명에게 위생용품을 배급하며, 530만 명 이상 에게는 보건위생 교육을 시행했습니다.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옥스팜 손 세정대 The Oxfam Handwashing Station

재난 상황 속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손 씻는 습 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옥스팜은 6년간의 연구와 검증 과정 을 바탕으로 긴급구호 현장에서 빠르고 쉽게 사용할 수 있 는 손 세정대를 개발하여 보건위생 취약 지역에 설치하고 있 습니다. 옥스팜의 손 세정대는 저렴한 비용에 배수 처리까지 가능하여 뛰어난 내구성이 큰 장점입니다. 조립식으로 사용 이 가능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킬 수 있습니다.

“에티오피아, 방글라데시, 콩고민주공화국에

2,400개의 손 세정대를 설치했습니다.

앞으로 탄자니아와 예멘, 부르키나파소에도

적용할 예정입니다. 손 씻기는 질병 확산을 막고 생명을 구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입니다.”

– 파스칼린Pascaline, 옥스팜 공중보건 담당자

태양열 물 공급 시설

옥스팜은 긴급구호 현장에서 지속가능하면서도 기후변화에

최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해결책을 연구합니다. 일조량이

많은 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디젤 연료보다 90% 저렴한 태

양광 물 펌프 시스템을 설치하여 펌프마다 연간 19톤의 이산 화탄소를 절약하였습니다. 또한 활동 국가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해 풍력 발전과 같은 저탄소 기술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최근 레바논 전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정전으로 인해 태양열 발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에게는

실용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 마크Marc, 옥스팜 레바논 파트너 직원

©Arlette Bashizi/Oxfam
©Sam Tarling/Oxfam/ 유럽연합 자금지원 16 17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옥스팜 현장 직원 인터뷰

남태평양 국가 바누아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한

재난 취약 지역입니다. 최근 산사태와 홍수, 사이클론

등 자연재해가 잇따라 이어지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인

도적 지원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옥스

팜은 전 세계 9,000여 명의 직원과 함께 각지 현장에 서 활동하며 가장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 합니다. 블록체인을 통한 옥스팜의 재난대응 사례를 프 로그램 담당자 산드라 하트Sandra Hart의 인터뷰에 담아 소개합니다.

©Keith Parsons/OxfamAUS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옥스팜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새로운 인도적 지원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어느 지역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

저는 태평양 지역에서 옥스팜 생계지원 프로그램 담당

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자연재해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지역민들이 빠르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인도적 지원활

동을 계획하고 전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특히 바누아투에

서는 포괄적 기술 지원을 통한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 프로그

램을 개발 및 구축하고, 원활한 운용을 위해 지방정부를 비롯

한 지역사회, NGO 등 주요 이해관계자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활동 지역인 바누아투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바누아투는 3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남태평양 섬나라입니다. 80개 이상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기도 합니다. 동시에, 세 상에서 가장 재난에 취약한 나라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불의

고리’라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 위에 자리해 지진과 화산 폭 발, 홍수와 산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최근 몇 년 새 기후

위기가 심화되면서 사이클론 발생 빈도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

고 있습니다.

최근 바누아투가 겪은 자연재해는 무엇인가요?

지난 5년 동안 가뭄과 지진, 쓰나미, 사이클론, 화산 폭발

까지 대부분의 자연재해를 다 겪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중에서도 화산 폭발의 충격은 심각한 수준이었습니다. 대규

모 재해로 1만 명이 넘는 지역민이 생존을 위해 섬을 떠나 대피

해야만 했습니다. 최근에는 이상기후와 사이클론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지역민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거센 폭풍

이 몰려오면 밭과 정원, 집까지 모조리 휩쓸어버립니다.

현지 긴급구호 상황은 어떤가요?

바누아투는 재난에 특히 취약한 지역이라 지원이 필요 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대응 과정이

복잡하고 긴 시간이 소요됩니다. 재난 발생 시점 기준으로 이

재민들이 도움을 받기까지 평균 4주 이상이 걸리는데, 이는 옥

스팜이 전 세계 긴급구호 현장에서 강조하는 ‘골든타임 72시

간’보다 훨씬 더 깁니다. 비상식량으로는 보통 쌀이나 생선 통

조림을 배급받고 있는데, 나트륨과 녹말 성분이 많아 노년층을

포함한 많은 이들에게 적합하지 않습니다. 방수포, 담요, 위생 용품과 같은 구호물자를 옮기는 데도 제약이 많은 실정입니다.

옥스팜의 인도적 지원은 무엇이 다른가요?

현지 실태를 파악한 뒤 옥스팜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긴급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새로운 인도적 지원 방식을 도입 하고 있습니다. 물리적, 경제적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는 기존 의 전통적 재난 지원 모델에서 벗어나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 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해답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직접 구호 물자를 배급하는 것보다 쉽고 빠르며, 간단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합리적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덕 에 금융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지 않은 바누아투에서도 용이하 게 도입이 가능했고, 거래 내용이 자동으로 기록되어 자금운용 의 투명성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지역민들이 소매점에서 지 원금을 사용하여 지역사회 경제가 활성화된 것은 또다른 장점 이기도 합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요.

옥스팜은 현지 파트너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하고, 스마트 바우처 카드와 같은 형태로 지역민에게 긴급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점에서 필요 한 물건을 골라 계산대에서 스마트 바우처를 보여주면, 상점 주 인은 모바일 플랫폼에서 바우처를 스캔해 결제를 진행합니다. 결제를 통해 구매자의 바우처에 포함된 가상화폐가 상점 주인 의 가상 계좌로 이동하며, 이는 모두 현금으로 상환될 수 있습 니다. 이제 재난이 발생해도 구호물품을 받기 위해 오랜 시간 줄을 설 필요가 없고, 각자에게 정말 필요한 물품만 선별적으 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재난이 발생하면 보통 지역 경제가 침 체되는 경우가 많은데, 가상화폐 거래를 통해 현금이 유통되니 상점 주인들도 걱정을 한시름 덜게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활동 계획이 있나요?

현재까지 바누아투 화산으로 피해를 입은 1만 3,000 가 구 이상에게 스마트 바우처를 배부했습니다. 당장 주민들로부 터는 좋은 반응을 얻고 있지만 지속가능한 해결책으로 꾸준히 사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다양한 기술을 활 용해 더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인도주의 활동을 시도할 테니, 저 희 연구팀 ‘옥스랩Oxlab’과 전 세계 옥스팜 직원들의 도전을 계 속해서 지켜봐 주세요!

18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19

여성 역량 강화

여성 지원 프로그램은 옥스팜의 핵심적인 인도

적 지원 활동 중 하나입니다. 전 세계 빈곤층의

70%를 여성들이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코로

나19는 여성 빈곤율을 더욱 심화시키고 사회경

제적 기회를 박탈하였습니다. 옥스팜은 전 세

계 여성과 소녀들이 스스로 안전을 지키고 자

립할 수 있도록 교육과 생계지원, 보호활동을

이어갑니다.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하

여 옥스팜은 요르단, 인도네시아, 필

리핀 등에서 여성 경제력 강화를 위한

‘위 캔WEE CAN’ 프로그램을 전개했습

니다. 농업과 원예 등 직업훈련을 시

행하고, 창업 자금 지원과 리더십 교

육을 통해 여성들이 경제적 자립을 이

뤄낼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또한 지

역사회 교육을 통하여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개선하고, 여성이 주로 수

행해야 하는 무급 돌봄노동의 가치를

재정립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옥스팜 프로그램을 통해 과자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직접 만든 상품을 온라인과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죠.

이제는 스스로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어요.”

– 야티Yati, 인도네시아 식품생산자 주요 성과

873,000 명

돌봄노동 개선

7,900,000 명

우간다 소녀 교육

31,150 명

돌봄노동 환경 개선

케냐, 우간다, 에티오피아, 짐바브웨를 포함한 아프리카 국

가에서 돌봄노동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 케어

WE-Care’ 프로그램을 실시했습니다. 돌봄노동의 가치와 중

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정책 보고서를 발간하고 캠페인

을 펼쳤으며, 수도시설을 정비하고 설치하는 활동을 통해

여성이 물을 긷는 데 실질적으로 소비하는 시간을 크게 감 소시켰습니다.

경제 자립 프로그램
여성 역량 강화 프로그램
아프리카
남수단,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소녀 교육

코로나19로 학교가 봉쇄되면서 수많은 아동과 청소년이 교육

의 기회를 잃어버렸습니다. 남수단과 우간다의 소녀들은 조

혼과 임신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우간다의 한 난민캠프에서

는 10대 소녀가 임신하는 사례가 40%까지 증가하기도 했습

니다. 옥스팜은 소녀들이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700명의

교사 공동체를 구성해 각 가정을 방문하고, 학생들이 학교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교육 지원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임신 사실을 알게 된 후

학교를 계속 다니는 것이 정말 두려웠어요.

하지만 선생님들이 계속해서 저희 집에 방문하셔서

격려하고 용기를 북돋아 주셨죠. 출산 후에도

학교에 꼭 다시 돌아갈 거예요.”

– 오켈로Okello, 남수단 소녀

WHY WOMEN?

90%

비공식 노동자로 일하는

저소득 국가 여성의 비율

차지하는 여성의 비율 2 3

전 세계 빈곤층을

10억 명

성폭력으로부터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여성의 수

%

전 세계 무급 돌봄노동의

주체가 되는 여성의 비율

©Emmanuel Museruka/Oxfam
72
©Julius Ceaser Kasujja/Oxfam
20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21
©M. Nugie and Andito Wasi/Oxfam

지역사회

리더십 향상

옥스팜은 현지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을 만들어갑니다.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서 현지

파트너들은 가장 먼저 지역사회의 필요를 파악하고 대응하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정부와 시민단체, 현지 NGO에

이르기까지 옥스팜은 지역사회가 주도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리더십을 향상시키고 조직력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주요 성과

전 세계 협력기관

2,792 개

파트너 협력을 통한 네팔 코로나19 대응

190,000 명

잠비아

잠비아의 ‘공동체기술개발신탁CTDT’은 옥스팜과 협력하여 종자

은행을 설립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약 500명의 지역사회 농부

들이 각자가 보유한 종자를 기부해 지역 공동시설을 만들었으

며, 재해에 대비하고 동료 농부들과 농사 자본을 나누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농부들은 품종과 농업에 관한 정보를 빠르

게 교환하고 기후변화 상황에 함께 대처하면서 미래에 대한 계

획도 같이 고민합니다.

“수수와 조를 키우는 것을 특별히 좋아합니다.

알갱이가 큰 곡식은 팔기에도 좋죠.”

– 마리Mary, 잠비아 농부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Loliwe Phiri/Oxfam/ 유럽연합 자금지원

로힝야 난민캠프

©Fabeha Monir/Oxfam

미얀마의 군사 진압을 피해 방글라데시로 이주한 로힝야 난민들은 여전히 과밀하고 열악한 난민캠프 환경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옥스팜의 현지 파트너인 ‘여성복지협회RWWS’는 여성과 소녀들의 교육, 직업훈련, 심리 지원 및 난민권리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활동합니다.

©RDC/Oxfam

네팔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직후 옥스팜과 네팔 지역 파트너들은 긴급구호 활동 을 위한 대응팀을 구성했습니다. 감염병 발생 전에도 이미 보건위생 지원 활 동을 전개하고 있어, 코로나19 대응에 필수적인 깨끗한 물과 안전한 보건위 생 시설을 즉시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농촌개발센터RDC’를 비롯해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신속한 협력으로 55개의 검역소, 6개의 격리센터, 12개의 보

건의료 시설을 통해 감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에 필요한 물과 위생용품을 취 약계층에게 빠르게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저와 이웃들의 수입이 모두 끊겼어요.

혼자 세 아이를 책임질 생각에 막막했습니다. 옥스팜과 지역단체가

저희에게 제공한 것은 구호물자 그 이상이에요.”

– 사리판Sarifan, 네팔 지역민

23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22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Belinda Bradley/Oxfam
옥스팜-코이카 인도적 지원사업 국내 참여 활동 온라인 모금 캠페인 파트너십 및 언론보도 26 28 30 31 옥스팜코리아 주요 활동 24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25

옥스팜-코이카 인도적 지원사업

방글라데시는 홍수와 가뭄, 해수면 상승, 사이클론, 폭염 등 끊이 지 않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기후위기에 가장 취약한 국가로 꼽히 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홍수의 빈도와 피해 규모는 매 년 증가하고 있으며, 방글라데시 북부에 위치한 시라지간 지역은 방글라데시에서도 가장 홍수에 취약한 지역으로 우기가 시작되면

불어난 강물로 마을 대부분이 물에 잠기고 있습니다.

재난위험 대응활동

홍수 대비 식수 및 위생시설 설치

식수시설 화장실

20개 15개

도로, 대피소, 주택 등 주요 인프라 재건

취약가정 대상 정보 디지털화

취약가정

2,167개

마을 재난관리

위원회 형성

캐시포워크 참여

위원회 지역민

27
600 명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옥스팜은 2022년 2월부터 방글라데시 시라지간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주요 인프라를 구축

하고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 및 방글라데

시 재난관리위원회가 체계적인 기후위기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

도록 위기대응계획을 함께 수립하고, 지역민을 대상으로 비상대

피훈련 및 안전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기가 시작되면 마을이 물에 잠기기 시작합니다. 매년 반복되는 홍수로 익사 사고가 발생하고 특히 여성과 아이들 이 많이 사망합니다.

미나 카툰Mina Khatun, 방글라데시 시라지간 지역민

지난 6월부터 시작된 폭우로 수만 명의 사람들이 두

려움에 떨며 재난 현장에 고립되었습니다. 수위는 계속해 서 올라가는데 구조 작업이 더뎌 민간인의 안전과 생명이 위험합니다.

아쉬시 담레Ashish Damle, 옥스팜 방글라데시 대표

비가 많이 내릴 때는 3~4개월 넘게 학교가 대피소로 사용되는데 학교마저도 지반이 낮아 물에 잠기는 경우가 많 습니다. 지역민과 함께 흙을 단단하게 쌓아 올려 이제는 홍 수가 발생해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습니다. 세부 예산과 지역민의 기여도 등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학교 앞 에 세워 모두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투명한 정보 공개는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로 이어지며 지역민 모두 에게 동기부여가 되고 있습니다.

미레아 압둘 만난Mirea Abdul Mannan, 방글라데시 교육관리위원장

옥스팜은 피해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현지 주민들이 기후

위기 대응책을 구축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캐시포

워크Cash for Work’ 프로그램을 통해 인건비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홍수 발생 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취약가정은 일자리를 통해 소득 을 올리고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도 직접 참여할 수 있습 니다. 특히 우기가 시작되면 생계를 위해 타지로 떠나는 마을의 남 성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재난 발생 시 가족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6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27

국내 참여 활동

참가자 1,174 명

후원금

총 60,098,138 원

수혜자

5,851명

옥스팜 트레일워커

4인 1조로 38시간 내에 100km를 완주

하는 옥스팜 트레일워커는 30년 전 홍

콩에서 처음 시작되어 12개국에서 기부 문화를 만들어왔습니다. 한국에서는 6월

11~12일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서 개최되

어 5개국 100개 팀 400명이 참가했고, 323명의 참가자가 완주했습니다.

변화의 발걸음을 만드는 옥스팜 기부 걷기

옥스팜 트레일워커와 버추얼워커, 옥스팜워크는 일상 속 실천과 도전

으로 전 세계 취약계층에게 깨끗한 물과 안전한 자립을 지원하는 기

부 걷기 프로그램입니다. 참가자들은 각각 100km, 50km, 10km의 거

리를 통해 생존을 위해 매일 기나긴 걸음을 이어나가야 하는 사람들

의 삶을 체험하고 공감했습니다. 1,174명의 발걸음으로 총 60,098,138

원의 후원금이 모였고, 후원금 전액은 전 세계 긴급구호 현장에 전달

되어 도움이 필요한 5,851명을 위한 물, 위생, 교육 프로그램에 사용

되었습니다.

버추얼워커 50K

일상에서 실천하는 발걸음, 옥스팜 버추

얼워커 50K가 762명의 참가자 및 후원

자와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팀원 각자가

대회 기간 동안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걸으며 누적 거리 50km를 비대면으로

달성했고, 한 달간 매주 미션을 수행하

며 더욱 다채로운 참여를 만들었습니다.

옥스팜워크

여성과 소녀를 위한 발걸음, 옥스팜워크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올해도 비대면 방

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총 638명이 참여

한 가운데 환경을 위해 참가자 패키지 없

이 걷는 ‘그린 옥스팜워크’에도 많은 관심

을 갖고 걷기에 동참해 주셨습니다.

옥스팜
©Park Jung Hyun/Oxfam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새것 없는 9월, 세컨핸드 셉템버

의류 산업은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10%를 차지하며 기후위기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빈곤국의 취약계층은 탄소를 거의 배

출하지 않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겪고 있습니다.

취약한 사람들에게 기후변화는 더욱 가혹합니다. 세컨핸드 셉템버

캠페인은 9월 한 달 동안 새로운 물건을 구매하는 대신 원래 가지

고 있던, 또는 빈티지라 불리는 세컨핸드의 새로운 가치를 재발견

하는 도전입니다. MBC PLUS의 특별 기획 프로그램 ‘새옷 없는 한

달, 세컨패션 챌린지’에 케이팝 그룹 위아이와 22명의 케이팝 아

티스트가 참여해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직접 실천했습니다.

또한 부부 포크 듀오 ‘선과영’의 멤버 복태와 한군님이 치앙마이 바

느질 클래스로 도전을 이어갔고, 온·오프라인으로 1,200명 이상이

캠페인에 동참했습니다.

옥스팜 소셜미디어 활동가

WE ARE OXFAM

SNS 채널을 활용해 전 세계 긴급구호 소식을 알리는 옥스팜 소셜

미디어 활동가 ‘WE ARE OXFAM’이 발족되었습니다. 30여 명의 참

가자가 함께한 이번 활동을 통해 동아프리카 기근 위기와 방글라 데시 홍수 등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 취약계층의 소식이 전파되었

고, 옥스팜의 여성보호 프로그램과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 등 다양 한 인도주의적 활동이 카드 뉴스, 일러스트, 영상 등을 통해 130여 건 이상 공유되었습니다. 긴급구호 소식과 인도주의적 활동을 공 유하는 것만으로도 재난 현장에서 도움이 시급한 전 세계 취약계

층을 지원할 수 있으며, SNS 계정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재능 기

부자로 동참할 수 있습니다. 옥스팜 소셜미디어 활동가는 매년 5월

홈페이지를 통해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기후정의를 원해요!

엘리자베스 캠페인

옥스팜은 기후활동가 엘리자베스 와투티Elizabeth Wathuti와 함께 기후정 의를 위한 글로벌 서명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기후위기로 개발도상국 이 마주한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를 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 사국총회(COP27)에서 공식적으로 다룰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며, 한국 을 비롯해 전 세계 1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서명에 참여하며 뜻을 모았 습니다. 2022년 11월, 옥스팜과 엘리자베스는 COP27 총회의 슈 크리 의 장에게 서명을 전달했습니다. 각국의 기후활동가와 기후위기 문제에 적 극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의견들이 수렴되어 이번 총회에서 ‘손실과 피해’ 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되었습니다.

28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29
©Andy Sewell / Oxfam

긴급구호 캠페인 물·위생 캠페인

생존을 위해 국경을 넘어온 우크라이나 난민들. 하지만 이

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전쟁만큼 가혹한 현실이었습니다.

혹독한 추위가 찾아온 겨울이지만 창문도, 난방도 없는 체감

-20℃의 열악한 생활 환경에서 난민들은 매일 밤 추위와 두려

움에 맞서며 겨울을 나야 합니다. 전쟁의 장기화로 난민 규모

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 대다수가 여성과 어린이, 노약

자 등의 취약계층이라 스스로 안전을 지키는 것도 어렵습니

다. 옥스팜은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위한 인도적 대응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기금 마련 캠페 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엄마는 아이가 마실 물을 준비합니다. 물 한 잔을 따르고, 흙

을 조금 넣습니다. 부패한 동물의 사체와 배설물도 넣은 후 잘

섞어줍니다. 이제 이 물을 아이에게 건네야 합니다. 더러운 물

이 내 아이를 아프게 할 것을 알지만 엄마에게 남은 건 잔인한

선택뿐입니다. 전 세계 22억 명의 인구가 깨끗한 물이 없어 매

일 삶의 가장자리로 내몰립니다. 옥스팜코리아 홍보대사이자

후원자인 배우 이하늬님과 함께 안전한 물을 마실 수 있는 인

간의 기본적인 권리를 모두에게 전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여성보호 캠페인

성차별적 폭력은 여전히 전 세계 여성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여성의 1/3은 배우자 및 파트너에게 성적·신체적 폭력

을 당한 경험이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봉쇄는 여성들을 가정

폭력의 위험으로 몰아넣었습니다. 소말리아, 시리아 등 지중해

동부 국가 내 가정폭력 사례는 60%가량 증가했습니다. 2020

년 가족 구성원에 의해 사망한 여성과 소녀의 수는 4만 7,000

명이며 이는 11분마다 1명이 목숨을 잃은 것과 같습니다. 옥스

팜은 여성보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 세계 성차별적 폭력에 대한 실태를 알 리고 있습니다. 폭력은 누구에 게도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캠페인

기후위기에도 불평등이 존재합니다. 기후변화 때문에 굶주리

고, 삶의 터전을 잃고, 내일이 사라진 이들은 탄소 배출에 책임

이 가장 적은 사람들입니다. 오늘의 생존을 위협받는 기후위기

취약계층의 수는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2050년에 이르면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 등 자연재해로 최

대 10억 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 정

부가 빠르게 탄소 배출을 감축하더라도, 향후 10년간 최대 1억

3,200만 명이 극심한 빈곤층으로 내몰릴 수 있습니다. 옥스팜

은 기후위기 캠 페인을 통해 대

중 인식을 제고

하고 기후정의

의 중요성을 강 조했습니다.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기후위기
온라인 모금 캠페인

파트너십 및 언론보도

1 ‘죽음을 부르는 불평등’ 보고서 발표

옥스팜은 세계경제포럼을 맞아 ‘죽음을 부르는 불평등’ 보고서를 발

표하며, 코로나19 기간 동안 세계 인구의 99%가 소득 감소를 경험하

고 약 1억 6,0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빈곤층으로 전락했다고 밝혔 습니다. 같은 기간 세계 10대 부자들의 자산은 7,000억 달러에서 1조 5,000억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빈곤국에서는 기아, 기후위기, 의료 부족 등으로 4초마다 한 명꼴로 사망자가 발생한다고 분석했습 니다. 옥스팜은 과도하게 집중된 부를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전 세계 회복을 위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2 ‘2022 불평등해소실천지표’ 발표

옥스팜은 ‘2022 불평등해소실천지표’를 통해 코로나19 기간 동안 세

계 161개 정부의 지출과 조세, 노동 정책 등 불평등 해소 정책과 조치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대부분의 정부가 공공서비스 예산을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저소득과 중저소득 국가 중 49%는 교

육, 보건, 사회보장 예산을 축소하여 코로나19에 따른 빈곤층의 불평등

이 크게 악화되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3 ‘옥스팜 트레일워커’ 업무협약 체결

옥스팜코리아는 인제군, 인제천리길, 인제군체육회와 함께 옥스팜 트

레일워커 개최 및 인제천리길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

다. 협약을 통해 옥스팜 트레일워커를 향후 5년간 인제에서 개최하기

로 약속하고, 안전하고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하 였습니다. 인제군은 전 세계 12개국에서 개최하는 국제적인 행사를 유 치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사회적 취약계층을 돕는 기부문화 중 심도시로 성장해 나갈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4 ‘탄소 억만장자’ 보고서 발표

옥스팜은 ‘탄소 억만장자’ 보고서를 통해 최

상위 부자 125명의 탄소 배출량이 소득 수

준 하위 90%가 배출하는 2.75톤보다 100 만 배 더 많은 300만 톤이라고 밝혔습니 다. 보고서에 따르면 화석연료와 시멘트 등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오염 산업에 투

자한 최상위 부자들의 돈이 전체 투자금의

14%에 달했습니다. 소수의 부자들로 인해 배출되는 ‘투자 배출가스’

의 총합은 프랑스, 이집트, 아르헨티나 등의 국가 전체가 배출하는 것

과 동등한 양이며, 정책 입안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

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5 친환경 ESG 실천 위한 업무협약 체결

롯데칠성음료는 롯데마트와 옥스팜코리아와 친환경 ESG 경영 실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6월부터 3개월 동안 전국 롯데마트 점포에서 ‘환경을 사랑하는

작은 발걸음’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캠페인 기간 내 발생한 판매 수익금 중 2,000

만원을 옥스팜코리아에 기부하였고, 기부금은 기후위기 취약국인 방글라데시 식 수 위생 개선사업을 위해 사용될 계획입니다.

www.oxfam.org Carbon billionaires The investment emissions of he world’s richest people 30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31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Tineke D’haese/Oxfam
재정보고 보호정책 지속가능운영 함께하는 사람들 34 36 38 40 투명한 운영을
노력 32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33
위한

재정보고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금은 전 세계 가장 도움이 필요한 국가에서 생명을 살리

는 활동을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 재정보고는 2021년 4월 1일부터 2022

년 3월 31일까지의 옥스팜코리아를 포함한 옥스팜 영국의 재정 기록을 나타 내며, 매년 외부 회계전문기관을 통해 투명한 재정 운영을 검증받고 있습니다.

한 해 동안 가난의 구조적인 변화를 위해 옥스팜과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상세 보고는 국세청 홈텍스와 홈페이지 외부감사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82% 18%

프로그램 비용 CHARITABLE COSTS 운영 및 모금활동 SUPPORT AND FUNDRASING COSTS

긴급구호 활동 HUMANITARIAN 국제개발 활동 DEVELOPMENT

운영 비용 SUPPORT COSTS

캠페인 및 옹호활동 CAMPAIGN AND ADVOCACY

43% 37% 2% 8% 11%

기금 모금활동 FUNDRASING

· 채리티숍 활동비는 후원금 사용 비율 환산 시 제외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옥스팜은 후원금의 80% 이상을

‘가난의 구조적인 변화’를 위해 사용합니다

나의 후원금은 어떻게 사용되나요?

매월 영국 본부로 전액 송금되어 연 간 사업 계획 및 긴급구호 상황에 따라 물, 위생, 식량, 교육, 생계 지원 등 전 세계 가장 필요한 곳에 우선적으로 배분됩니 다. 옥스팜코리아는 별도로 책정된 영국 본부의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후원금의 80% 이상을 프로그램 운영비로 사용하고 있으며, 인도주의적 긴급구호 및 국제개발 활동은 물론 인식 개선 및 정책 입안을 촉구하는 활동을 전

개하고 있습니다. 옥스팜의 모든 프로그램은 빈곤국의 취약계층이 생존을 넘어 자립할 수 있도록 가난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후원금 수입 내역 후원금 사용 내역
강원도 보조금
포함
옥스팜코리아
포함
중고물품을
영국 전역 564개 상점에서 2만여 명의 자원봉사자를 통해 운영되며, 판매 수익금은 긴급구호 및 국제개발 활동 등에 사용됨 기준 환율 1GBP=1,550원 옥스팜코리아는 옥스팜 영국 본부의 한국사무소로서, 후원자분들의 소중한 후원금은
1) 한국국제협력단(KOICA) 기금 226,856,489원 및
79,966,640원
2)
모금액 10,643,725,545원
3)
판매하는 옥스팜 채리티숍은
총 수입 내역 총 사용 내역 5,782억 원 5,101억 원 38% 37% 37% 32% 24% 21% 정부 및 공공기관 지원금1) 2,182억 원 38% 일반후원 및 유산기부2) 2,137억 원 37% 채리티숍 판매 수익금 1,400억 원 24% 투자 수익 3억 원 1% 기타 59억 원 1% 긴급구호 활동 1,885억 원 37% 국제개발 활동 1,634억 원 32% 채리티숍 운영3) 1,065억 원 21% 후원기금 모금활동 405억 원 8% 캠페인 및 옹호활동 60억 원 1% 기타 53억 원 1% 1% 1% 1% 1% 8% 34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35

보호정책

옥스팜은 함께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보호정책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옥스팜의 모든 직원과 자원봉사자 및 파트

너 기관은 보호정책을 엄격하게 따르며, 어떤 목소리도 소외되

지 않도록 조직의 각 영역에서 본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안전한 보호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다음의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권력의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활동하는 국가 및 지역에 자원과 기술을 이전합니다.

· 프로그램의 설계 및 계획을 포함한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역사회가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안전한 채용, 자유로운 발언 기회, 사건 발생 시 적절한

보호 조치 등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계획을 구축합니다.

· 보호정책이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운영·교육·평가에

대한 관리 감독을 철저히 이행합니다.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Pablo Tosco

옥스팜 연례보고서

옥스팜은 보호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6개월마다 접수된 케 이스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정기적으로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위법행위가 발견될 경우 피해자의 안전을 최우선으 로 적절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하고 있으며, 위법행위에 대 해서는 엄격한 무관용의 원칙으로 누구나 안심하고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보호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위법행위에 연 루된 직원은 옥스팜뿐 아니라 다른 기관에서도 채용되지 않도 록 비영리 섹터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보호정책 핵심 기준

보호문화를 위해 개발된 세부 계획안은

1 2

경영진의 정기 모니터링을 통해 매년 개정됩니다.

옥스팜의 모든 사무소에는 직원과 보호정책 담당자 간 연락 체계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3 4

모든 직원과 이해관계자는 옥스팜의 행동강령에 서명하고 엄격히 준수합니다.

위법행위에 연루된 사람이 채용되지 않도록 철저한 검증 절차를 적용합니다. 5 6

모든 직원과 이해관계자를 대 상으로 보호정책 교육을 정기 적으로 실시합니다.

위법행위 발생 시 각 사무소에서는 피해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고 및 대응 절차를 수행합니다. 7 8

옥스팜이 활동하고 있는 모든 국가 및 지역에서는 누구나 안심하고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옥스팜의 모든 프로그램 및

활동에 대해서는 설계 단계

함께하는 모든 파트너는 옥스팜의 보호정책을 명확히 이해하며 자체적으로 보호 정책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9 10

부터 위험 평가를 실시하고

정기 모니터링을 진행합니다.

현지 스토리를 활용 시 민감한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콘텐츠 윤리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준수합니다.

2021/22
©Arlette Bashizi/Oxfam
36 37
©Arlette Bashizi/Oxfam

지속가능

운영

옥스팜은 후원자님들께 언제나 믿을 수 있고 투명한 국제구호 개발기구로 함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현장

활동, 회계관리, 조직운영 등 모든 활동에 있어 윤리적, 환경적

지속가능성 원칙을 최우선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을 실천 하고 있습니다.

수혜자 권리 보호를 위한

미디어 가이드라인

옥스팜은 엄격한 미디어 가이드라인에 따

라 사진 및 인터뷰 촬영 등 현장 취재 과

정에서 10가지 윤리 기본원칙을 준수하

고 있습니다. 수혜자는 무력한 존재가 아

닌 보호의 대상이자 독립된 인격체로서

존중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옥스팜은 인

도적 위기 상황에서 쉽게 무시될 수 있는

전 세계 취약계층의 현실을 전달하되, 지

나친 편견을 부추기지 않도록 세부 지침

을 마련하여 수혜자의 존엄성과 인권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10가지 윤리 기본원칙

©Aurelie Marrier d’Unienville/Oxfam

미디어 활동의 전 과정에서 지역민의 인권과 경험을 존중해야 합니다.

구호 현장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민감하게 바라보고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전 세계 취약계층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되, 수혜자를 무기력한 존재가

아닌 능동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독립적인 주체로 묘사해야 합니다.

옥스팜이 전하는 소식이 정치적·사회적·문화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활동해야 합니다.

취약계층의 사진과 소식 등이 향후 수혜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촬영 전 반드시 사전 동의를 얻어야 하며 결과물을 왜곡하거나 특정 목적을 위해

비용을 받는 일은 절대로 용납될 수 없습니다.

촬영 이후 진행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 최종 결과물을 공유해야 합니다.

데이터 보호법에 따라 결과물을 엄격하게 처리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결과물은 취약계층의 현실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내부 미디어 관계자를 비롯해 프리랜서 및 제작사 등 함께 일하는 모든 사람들이 옥스팜의 윤리 기본원칙을 준수하며 미디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옥스팜은 다양한 주체, 장소, 상황별 세부 지침을 통해 미디어 활동의 관행을 개선하고, 수혜자의 존엄성과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1_ 2_ 3_ 4_ 5_ 6_ 7_ 8_ 9_ 10_
Oxfam in Korea Annual
2021/22
Report

공정무역

옥스팜은 ‘모두를 위한 정의Justice for All’라는 목표를 갖고

1950년대부터 난민들이 제작한 소품을 판매해 난민 지원

금을 마련하는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1960~70년대

초, 무역 정책 및 관행에 큰 변화를 겪은 시기에 유럽 최초

공정무역 기관을 설립하여 취약계층이 단순히 수혜자로

살아가는 것이 아닌, 생산자로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원조가 아닌 무역을 기반으로 한 지원 모델을 제시

하였습니다. 옥스팜은 현재 전 세계 114개 생산자 단체 및

사회적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공정무역 제품을 유통하고

있으며, 소규모 생산자와 구매자를 비롯해 노동자, 활동가, 정부 관계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연

대하여 무역 정의를 알리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정부와 기업이 무역 관행과 구조를 개선하여 무

역 정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누구나 노동

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지속가

능한 무역을 통한 ‘모두를 위한 정의’를 지지합니다.

무역 정의는 ‘교환’이라는 순수한 경제적 특성보다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우선시하는 총체적인 무역 접근법입니다. 무역 정의는 무역의 분배적 측면을 포함해 지구의 지속가능성, 인권, 노동, 취약계층의 권리 등에 대한 침해를 고려하며, 부당한 억압 또는 환경 오염을 일으 키는 무역의 구조적인 문제를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인권영향평가

옥스팜은 노동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수년간 전

세계 식품 공급망에서 광범위한 모니터링을 진행하

고 있습니다. 2013년 ‘비하인드 더 바코드Behind The Barcodes’ 캠페인을 통해 기업들이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유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촉구하고 있습니다. 빈곤국의 노동자들은 적

절한 보호장비도 없이 하루 할당량을 채우기 위해 화

장실도 갈 수 없는 열악한 근로 환경 속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옥스팜은 모든 노동자가 안전한 환

경 속에서 정당한 권리를 보호받으며 일할 수 있도록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례로 보는 옥스팜 인권영향평가

2019년 옥스팜은 스웨덴 소매협동조합 쿱Coop스웨덴의 토마토 공급망에 대한 인권영향평가를 발표하였습니다. 본 조사

는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유엔 인권경영 원칙UNGPs’에 기초해 100여 명의 노동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경

영활동 과정에서 초래되는 인권 및 환경에 대한 실질적·잠재적·부정적 영향을 평가하였습니다. 2020년 옥스팜은 60개의

스웨덴 시민단체와 함께 스웨덴 정부를 대상으로 모든 기업의 공급망에 대한 인권실사를 의무화할 것을 요구하였고, 쿱스

웨덴으로 포함한 41개의 기업이 이에 동의하였습니다. 2021년 3월, 유럽 의회에서 기업의 공급망에 대해 인권실사를 의무

화하는 법안이 채택되었습니다.

38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39
©Kate Bensen/OxfamAUS

함께하는 사람들

세상의 모든 부모님들이 다 같은 마음이겠지만

아이가 태어나면 알려주고 싶은 것들이 참 많습 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였고 아이에게 기부를 통 해 느끼는 감사함과 나눔의 귀한 가치를 꼭 알려 주고 싶었습니다.

아이와 함께 후원을 이어가는 ‘이성미’ 후원자

물을 구하기 위해 먼 거리를 걸어야 하는 아이들 의 이야기를 들으며 옥스팜 트레일워커의 취지에 공감했습니다. 한걸음씩 내딛으며 어느새 ‘마음

부자’가 되어있는 우리의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2022 옥스팜 트레일워커 혼성팀 1위 ‘사족보행’

옥스팜은 방글라데시와 같은 기후위기 취약국에 서 활동하며 현지를 가장 잘 이해하는 지역민들

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 다. 지역사회가 문제를 직접 해결해 나갈 수 있도 록 돕는 것이 옥스팜 활동의 핵심입니다.

옥스팜 ‘이정온’ 국제개발팀장

저희가 직접 플리마켓을 운영하여 모은 소중한

후원금이 전쟁으로 도움이 필요한 우크라이나 친

구들을 위해 잘 사용되었으면 좋겠어요!

친구들과 함께 기부금을 모은 ‘이수민’ 후원자

소셜미디어 콘텐츠라는 형태로 잠깐이나마 옥스

팜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 기뻤고, 저에게도 큰 의 미가 되었습니다. 옥스팜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글과 그림으로 옥스팜을 알린 ‘라미리’ 소셜미디어 활동가

걷기만 해도 깨끗한 물을 전달할 수 있다니, 옥스

팜의 기부 걷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을 이유

가 없죠. 게다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걷는 길이 라면 언제든지 행복하답니다.

2022 옥스팜 버추얼워커 엄마와 딸 참가팀 ‘최나름’

매일 새로운 후원자분들을 만나 뵙고 기후위기

문제와 전 세계 취약계층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특별히 세컨핸드 셉템버로 참여해주신 케이팝 아 티스트와 기부자님들, 시민들께 감사합니다.

거리에서 옥스팜을 소개하는 ‘김민중’ 대면모금 활동가

옥스팜 트레일워커 자원봉사는 참가자들의 열정

을 느낄 수 있는 멋진 기회였습니다. 그들의 열정

이 온 세상에 전해질 수 있도록 오늘도 애쓰시는

옥스팜 직원들에게 파이팅을 전합니다!

땀으로 헌신한 ‘박동연’ 자원봉사자

©Heidi Levine/Oxfam
Oxfam in Korea Annual Report 2021/22
옥스팜코리아 파트너 기업 사회공헌 문의: infokorea@oxfam.or.kr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을 위한 소중한 관심과 응원을 잊지 않겠습니다. 늘 마음 깊이 감사합니다. 40 2021/22 옥스팜 연례보고서 41

1942년 그리스 난민을 돕기 위해 시작된 옥스팜이 설립 80주년을 맞았

습니다. 전 세계 90여 개국에서 활동하는 옥스팜의 시작은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을 위한 하나 된 마음이었습니다. 80년 전 처음 시작했을 때

의 ‘그 마음’으로 다시, 새롭게 시작하겠습니다.

www.oxfam.or.kr

facebook.com/oxfamkorea

instagram.com/oxfamkorea

youtube.com/oxfamkorea

blog.naver.com/oxfamkorea

@옥스팜코리아

우리는 모든 연합체가 옥스팜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빈곤과 불평등의 궁극적인 해결을 위해 전 세계에서 전략적으로 함께 활동하는 국제구 호개발기구입니다. 우리는 옥스팜에게 주어진 공동의 사명과 철학, 나아가 옥스팜이 활동하는 방식을 공유합니다. 옥스팜의 모든 구성원은 옥

스팜이 추구하는 가치에 동의하고 동등한 열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일합니다. 또한, 우리는 각 연합국이 함께 협력할 때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

다고 믿기 때문에 국제적인 연합체로서 긴밀한 협력을 통해 활동합니다. 우리는 전 세계 모든 사람의 존엄성이 보장되는 세상, 기본적인 욕구

가 충족되고

존중받는 세상, 그리고 누구나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옥스팜
행동강령
옥스팜코리아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9길 16, 성공회빌딩 본관 301호 대표전화 1566-2707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