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mboo Insights
# 로블록스의 상장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메타버스
2021년 3월 뉴욕거래소에 상장한 로블록스는 상장 당시 증권신고서(S-1)에 메타버스라는 단어를
16번 언급하며 메타버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으로
여겨지는 로블록스는 2021년 11월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3분기 매출을 발표해 빠른 외형
성장과 가파른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다. 로블록스 상장 이후 미국과 국내에서는 메타버스 ETF들이
출시되며 투자처로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 메타버스 = AR + VR + MR + XR
메타버스는 1992년 SF소설에서 처음 등장한 개
념으로 모든 디지털 공간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플랫폼, 현실
의 지도를 그대로 인터넷 공간에 옮겨 음식 배달
이 가능하게 한 배달의 민족과 같은 어플도 넓은
의미에서 메타버스의 요소가 적용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하며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를 씌우는 기술을 활용한 포켓몬고
게임과 같은 증강현실(AR) 게임이 등장했고,
나아가 VR기기를 쓰고 하는 VR게임도 등장했다.
최근에는 AR과 VR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는
경우 쓰이는 용어인 혼합현실(MR)과 앞으로의
모든 가상화 기술을 총칭하는 확장현실(XR)
우 ・ 출처 Bloomberg, Roblox ・ 출처 Fnguide, 언론보도 ・ 출처 각 사 홈페이지, 책「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이라는 용어가 생겨나기도 했다. 종합하면 AR, VR, MR, XR 이 모든 것이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 높은 확장 가능성과 시장 성장률을 보유한 메타버스 산업 기존의 SNS플랫폼과 비교해봤을 때 메타버스 플랫폼이 가지는 특징은 확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AR과 VR을 활용하면 가상 세계에서의 몰입감과 실재감을 높일 수 있어 시뮬레이션
메타버스의 두 가지 효용 : 신규 시장 창출과 비용 감소 메타버스의 시장 성장이 높게 추정되는
기업과
각자의 입장에서 동시에 효용을 얻을 수 있다.
번째 효용은 기존에 없던 신규 시장을 창출하며 발생한다. 신규 시장은 기업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새롭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한다. 아바타 기반의 국내 대표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에서는 구찌와 나이키 같은 리테일 브랜드들이 실제로 입점해 아이템을 판매한다. 전 세계 사용자가 2억명이 넘는 제페토를 통해 기업들은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고객층을 확대 시킬 수 있다. 한편, 주요 유저층이자 스마트폰에 익숙한 MZ세대들은 신규 플랫폼에 빠르게 적응해 다양한 가상 활동을 펼치며 재미를 느낀다. SM 걸그룹 에스파의 사례를 보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도
확장하며
알 수 있다. 코로나로 인해 시작된 온라인 콘서트는 연예 기획사들의 신규 수익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같은 팬 플랫폼 기업은 상장을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산업에서도 VR 기기를 통해 즐겁고 편안한 가상현실을
・ 출처 전자공시시스템, 디어유
메타버스의 두 번째 효용은 비용을 감소시킨
다는 점이다. 기업들은 AR과 VR기기를 활용해
업무 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데, 조립 공정이
많고, 안전성이 중요해 유지 보수가 필요한 제조
산업에서 AR과 VR은 유용하게 쓰인다. 자동차
제조사 BMW의 생산 공정에서는 AR 헤드셋을
착용해 여러 조립 공정 과정을 따라가며 매뉴얼
을 익힌다. AR 솔루션이 트레이너를 대신하기에
인건비가 줄어들게 된다. 항공기 제조사 보잉의
경우에도 VR을 활용해 실제 항공기를 대신함에
따라 유지 보수 시나리오 훈련을 보다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다른 예시로 건축, 설계, 디자인 산업의 기업
들은 가상 공간을 접목시킨 협업 툴을 활용해
업무 과정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AR과 VR기기 대신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프로 그램을 활용하는 것인데, 실제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가상 공간에서 여러 팀과 함께 3D 시뮬
레이션을 진행해 오차를 줄이고 업무 과정을
최적화시킨다. 이러한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보통 엔진이라고 부른다. 게임
개발 용도로 한정되었던 엔진은 이제 다양한
산업에 쓰이고 있다.
비용 감소가 제품가에 전이되는 경우에는 소비
자에게도 큰 효용이 발생한다. 바로 저렴한 상품
을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인데, 온라인 전문 안경
판매 업체 Warby Parker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AR을 활용해 온라인 쇼룸을 제공하고 기타 유통
과정을 단순화시켜 소비자는 기존 대비 1/5 수준
의 가격으로 안경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 메타버스 산업을 구성하는
밸류 체인과 관련 기업
메타버스 산업 성장에 기여하는 기업들은 크게
플랫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인프라 네 가지로
나누어 분류해볼 수 있다. 플랫폼은 가상활동을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대표적으로 게임형인
로블록스와 제페토가 있다. 게임형 메타버스
플랫폼의 가장 큰 특징은 콘텐츠 제작 툴을
제공해 유저들이 직접 게임을 개발하거나 아이 템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제작한 콘텐츠
에서 파생되는 수익은 제작자와 플랫폼이 나누
어 가지기에 자생적인 생태계 발전이 가능한 구조이다. 게임형이 아닌 플랫폼으로는 SM의 자 회사인 디어유와 방탄소년단의 소속사 하이브가
보유한 유니버스와 같은 팬 플랫폼도 경제 활동
이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다.
하드웨어 분야에서는 현재 페이스북이 인수한 오큘러스가 전체 XR기기 시장에서 75% 점유 율을 차지하며 VR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애플, 삼성전자 등의 하드웨어 기업들도 AR기기를 안 경 형태로 출시했거나 출시할 예정에 있어 주목 할 만하다. 소프트웨어 기업으로는 3D 시각화를 통한
- 가상활동을 펼칠 수 있는 공간, 플랫폼 내에서 경제 활동 가능한 특징 - Roblox, 제페토, 디어유 플랫폼
- AR/VR기기를 활용, 몰입감과 실재감 높이는 도구
- Facebook(Meta platforms), Sony, Apple, Xiaomi, 삼성전자, Lumentum 하드웨어
- 엔진을 활용, 3D 시각화와 리얼타임(실시간) 렌더링 기술 접목
- Unity, Nvidia, Microsoft, Autodesk, Ptc, Ansys 소프트웨어
- 5G,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빠른 통신 환경 구축 필요 - 통신사, Cloudflare, Fastly 인프라
# 메타버스 시장 성장은 현재 진행형
최근 몇몇 빅 테크 기업과 글로벌 리테일 기업의 행보를 보면 메타버스를 성장 동력으로 삼고
본격적인 시장 침투를 시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래를 앞서 보고 그래픽카드 시장을
선점한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자사 개발
자대회 기조연설에서 메타버스가 오고 있다고
언급한 후 2020년 12월 협업 툴인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출시했다. 2021년 10월에는 SNS 시장의 강자이자 VR기기 시장 확대를 주도 하는 페이스북이 메타버스 기업으로의 정체성을
# 메디컬로봇 산업의 현재와 미래
로봇은 인간이 하는 일을 대신 수행해 주는 시스템
을 뜻한다. 로봇은 내재화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거쳐 작동한다는 것에서 여타의 기계장치와 구분
되어지는데, 프로그램을 고도화 시킬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이 발전함에 따라 과거보다 훨씬 더 정밀 하고 지능화된 업무가 가능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고도화로부터 수혜를 받을 것
이라 예상되는 분야 중 하나가 메디컬로봇 시스템 이다. 메디컬로봇은 의료인력을 대신하거나 보조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대상이 환자라는 것에
서 훨씬 더 높은 기술력이 요해진다는 것과, 높은
수준의 임상적 검증을 마쳐야 세상에 나올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메디컬
로봇은 그 중요성에 비해 활발한 R&D가 이뤄지지
못했고, 기술적 해자를 가진 특정 기업의 독주가
지속되며 제한적인 시장 성장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의 메디컬로봇 산업은 어떨까? 메디컬
로봇을 수술로봇과 재활로봇으로 이분화해서
살펴보자면, 수술로봇 산업에서는 글로벌 플레
이어들의 본격적인 시장 진입이 예상되고, 이에
따라 해당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 생각
된다. 또한 재활로봇 산업에서는 각국 정부의
지원을 토대로한 양적 성장과 관련 기술의 질적
성장이 함께 일어나 강력한 시장 확대가 이뤄질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양 시장의 통합적인 시장
성장률은 2018년 $4.8B에서 2025년 $16.6B 으로, 연평균 19.2% 수준의 성장이 전망된다.
[수술 로봇 시스템] [재활 로봇 시스템]
・ 출처 Surgical Robots Market to Reach a Valuation of ~ US$ 13.1 Bn by 2027(Transparency Market Research), Research and Markets(2019), ‘Rehabilitation Robots: Market Shares, Strategy, and Forecast, Worldwide, 2019 to 2025’, 국가 표준화체계 건설 발전 계획(2016~2020), Intuitive Surgical, CyberDyne, 스마일게이트자산운용 자체 가공
# 수술로봇 산업 현황
먼저 수술로봇 산업에 대해 살펴보자. 수술로봇
산업은 연평균 13.5%로 성장 중인데, 이는 산업
의 독과점 상황, 그리고 독점 기업(Intuitive Surgical)의 높은 시스템 공급가격으로 인해
수술로봇이 빠르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현 상
황이 반영된 수치이다. (이 분야는 Intuitive Surgical이 기술적/영업적 해자를 세워, 다른
중소형 바이오텍들의 시장 진입이 쉽지 않음)
그 와중에 Intuitive Surgical은 오로지 수술
로봇 시스템을 판매하여 20년 가까이 안정적 이고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해당 산업의 잠재력
을 증명하고 있고, 수술방에 수술의료 장비들을
매출하고 있던 다국적 의료장비 기업들을 위협 하는 정도까지 성장 중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잠잠했던 다국적 수술장비 기업들이 인수합병 또는 기술을 제휴하는 방식으로 수술로봇 시스템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기존에 판매하고 있던 장비들을 고부가가치 시스템으로 대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AURIS
Osiris Therapeutics(2019)
Mobius Imaging Cardan Robotics(2019), Orthospace(2020)
Mazor Robotics(2018)
#수술로봇 시스템의 종류
수술로봇은 크게 복강경 수술로봇, 기관지경
정형외과 수술 시스템은 고도화된 시각화장치 를 통해 수술을
수술로봇, 정형외과 수술로봇 등으로 나뉘어
진다. 그 중 복강경 수술로봇 시스템은 개복술
이나 최소 침습 복강경 수술을 대체할 수 있으며,
대상 적응증 범위가 넓고 부가가치가 높아 대형
의료장비 기업들의 1순위 R&D 대상이다. 기관지경 수술로봇은 최소 침습으로 폐생검을 하는 시스템인데, 이를 발전시키면 경구를 통한 종양 제거 수술까지 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로봇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출처 : Intuitive Surgical,
## Intuitive Surgical – 시장 주도 기업
수술로봇 시장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대표
적인 기업은 Intuitive Surigcal이다. 동사는
전세계 수술로봇 시장에서 80% 이상의 매출을 점유하고 있는 이 분야 대표 기업이며, 복강경
수술로봇의 표준이라 할 수 있는 ‘Da Vinci System’과 2019년 출시한 기관지경 로봇 ‘ION System’을 라인업으로 갖추고 있다. Intuitive Surgical은 외과, 흉부외과, 비뇨기과, 산부인과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복강경
수술에 대해 허가를 받았고, 전세계적으로 5천대 이상의 ‘Da Vinci System’을 설치하는 등의 압도
적인 시장 지배력을 지니고 있다. 수술로봇 시스템
은 높은 설치 비용 때문에 한번 사면 오랫동안 교체되지 않으며, 호환 장비를 소모품으로서
사용한다는 특성을 지니는데, 이러한 특징이
장기적 성장성과 수익성을 보장해준다. 동사의 연평균성장률은 16%(2016-2021)인데, 이는 기존 수술방에서 의료기기들을 판매하고 있는 대기업(Medtronic, J&J)들의 매출이 정체 된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의 성장률이라 볼 수 있고, 로봇수술이 기존방식인 개복수술이나 복강경 수술을 조금씩 대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도 한다. 이에 따라, 대형 의료장비 기업들은 상 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수술로봇 시스템과 호환장비를 개발하여, 판매중인 제품들의 부가가 치를 높여야 하는 니즈를 지니게 되며, 수술로봇 시장 진입에 강한 유인을 갖게 된다. Intuitive Surgical의 입장에서는 이들 수술방 터줏대감
## Medtronic, Johnson&Johnson, Stryker – 경쟁 기업
수술방을 지배하고 있는 대형의료장비 기업들은
Intuitive Surgical과는 반대입장으로, 수술로봇을 통해 시장 부가가치를 높여야 하는 과제를 지니고
있다. Medtronic과 J&J은 자사의 복강경 수술
로봇인 ‘Hugo System’과 ‘Ottava System’
개발에 가장 힘을 쏟고 있는데, 각각 2023년과 2025년에 이들을 출시할 예정으로, ‘Da Vinci System’ 대비 단가를 낮추고 자사 장비들을
로봇시스템과 연동시키는 방법 등을 통해 경쟁력
을 갖출 계획이다.
Stryker는 일찍이 관절 수술로봇 시스템인
‘Mako System’을 확보하여 고관절과 무릎관절
시장에서 높은 성과를 도출하고 있고, Mobius Imaging, Cardan Robotics, OrthoSpace 등의
바이오텍들을 인수하여 척추 수술로봇 개발과
관련한 기술들을 확보하고 있다.
수술 의료장비 기업들의 로봇시스템 R&D는
‘현재진행형’이며, 보유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 한 기술 수요와, 보유하지 못한 시스템들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시가 총액$164.5B $427.8B $103.7B
전환 대상 - 수술 의료장비 매출 규모 $30B - 고부가가치 로봇시스템으로 전환 - 로봇 시스템에 기존장비 integration - 가격 경쟁력을 통한 시장 점유 전략 - 수술 의료장비 매출 규모 $10B - 고부가가치 로봇시스템으로 전환 - 수술 의료장비 매출 규모 $14.3B - 적극적인 수술용 로봇의 도입을 통해 경쟁력 강화
- 복강경 수술로봇 (2023이후 출시 예정)
보유
- 척추 수술로봇(시판 중)
- 단일공 복강경 수술로봇 시스템
미보유 (추가적 R&D 및 M&A 대상)
- 관절 수술로봇 시스템
- 기관지경 수술로봇 시스템
- Mazor Robotics 인수(2018)
로봇 기업 인수 합병
- Titan Medical 공동연구(2020)
- 복강경 수술로봇 (2023 → 2025 출시 지연)
- 기관지경 수술로봇(시판 중)
- 슬관절 수술로봇(FDA approved)
- 최소 침습 복강경 수술로봇 시스템, 기술력 미비 - 단일공 복강경 수술로봇 시스템
- 척추 수술로봇 시스템
- Verb surgical 인수(2019)
- AURIS health 인수(2019)
- 고관절, 슬관절 수술로봇(시판 중) - 척추 수술로봇(도입, 응용 개발)
- 척추 수술로봇 시스템 개발 중 - 기타 추가적인 외과/정형외과 시스템 강화
- Mako Surgical(2013) - Mobius Imaging(2019) - Cardan Robotics(2019)
- Orthospace(2020)
## 재활로봇 시장 동향 재활로봇은 작동자의 재활치료를 돕거나,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독립적으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 다. 재활로봇은 전세계의 중소 바이오텍들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개발되고 있는 제품들은 기초적인 것부터 웨어러블 거동 보조 시스템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재활로봇 산업의 가장 중요한 성장 동력은, 고령화사회의 중요한 대응책 중 하나로,
것과 현재에도 이러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미충족 수요를 가진 환자들이 넘쳐난다는 사실에 있다.
・ 출처 : Medtronic, Johnson & Johnson, Stryker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18.7.) – ‘월간 기술과 혁신 – 웨어러블 로봇’, KOTRA 해외시장뉴스(2019.5.17), ‘中, 미국 유럽이 주도하는 의료용
재활로봇 산업은 2018년 $640M 규모에서, 2025년에는 $6.4B까지 연간 39% 수준으로 성장할 것
이라 예상되는데, 2025년 전체 재활의료 장비의 시장규모 기대치가 $16.6B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재활로봇이 기존 재활의료 장비들을 빠르게 대체할 것이라 예상된다. 재활로봇은 뚜렷한 ‘시장주도기업’ 또는 ‘시장주도시스템’ 없이 전세계적으로 많은 기업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으며, 국제 표준의 부재, 식약처 인허가, 임상적 애로사항 등 절차적 허들로 인해 산업적 성장이 제한되고 있다는 아쉬운 점 또한 남아있다.
・ 출처 Research and Markets(2019), ‘Rehabilitation Robots Market Shares, Strategy, and Forecast, Worldwide, 2019 to 2025’, 국가 표준화체계 건설 발전 계획(2016~2020) / Market Intelligence
## 재활로봇 - 중개 기술 재활로봇의 대부분은 뇌졸중 후유증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지금까진 기존 장비들의 경량화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발전이 좀 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재활로봇 시스템이 중증 환자에게까지 더 넓은 범 위에서 쓰이기 위해서는 좀 더 근본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거동에 문제 없는 사람이
생각대로 팔다리를 움직이는 것처럼, 거동이
불편한 작동자 또한 생각하는 것만으로 시스템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것이다.
이와 관련한 중개기술의 하나로 ‘Brain Computer
Interface(BCI)’가 있는데, 이는 환자의 뇌신경
에서 나오는 전류를 컴퓨터에 전달하여 특정한
명령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쉽게 말하
자면, 다른 조작 없이 생각하는 것만으로 기계 장치를 조종하는 것이며, 재활로봇의 궁극점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 말할 수 있겠다.
로봇시장 진입에 박차’, Milebot, CyberDyne ・ 출처 Neuralink, Synchron,
이러한 기술을 갖고 있는 기업은 Neuralink와 Synchron이 있는데, 두 기업 모두 놀라운 성과를 공개하며 BCI의 상용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일론
하는 장면을 공개해
놀라게 했고, 생체 전극 의약품 개발사 인 Synchron은 임상시험에서 자사의 신경 칩 인 ‘Stentrode’를 마비 환자의 뇌혈관에 삽입해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에 성공 하였다. 이는 가히 놀라운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재활로봇 산업은 높은 수요를 바탕으로 한 양 적 성장과, 혁신적 중개기술을 통한 질적 성장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 정리할 수 있겠다. 메디컬로봇 산업은 제2의 도약기를 앞두고 있으며 과거보다 더 빠른 산업성장이 기대된다. 이에 우리는 해당 산업의 혁신과 변화를 주시하여, 관련한 다양한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스마일게이트자산운용의 글로벌 펀드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 또는 기술 도입으로 인해 비용을 낮추거나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 시장지배력을 확대하는 성장성 높은
Global Growth equity
미국, 중국, 홍콩 주식시장 등에 상장된 글로벌 주식 중에서
매출액, 매출총이익 성장률이 높으며 현금 흐름이 우수한 기업
Disruptively Innovative equity
성장성이 높은 글로벌 주식 중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혁신을 가능하게 하고, 혁신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 3.
글로벌 혁신 기업에 투자하여 운용 수익 극대화를 추구합니다.
향후 10년간 미래사회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2025년까지 현재 수행 중인 업무의 50%가 자동화
양자 컴퓨팅의 활용 사례는 2035년 무렵에 1조 달러 이상의 잠재력
2027년까지 글로벌 GDP의 10%가 블록체인과 연결
2050년까지 글로벌 에너지의 75%가 재생 에너지가 될 것
미래
2030년까지 글로벌 인구의 80%가 5G를 이용 모든 서비스에 음성비서와 같은 어플라이드 AI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 인간 게놈
혁명
소재
CONTACTS
스마일게이트자산운용㈜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17(역삼동)
오렌지플래닛 빌딩 14~15층 T 02-2192-5400 / F 02-2192-5441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smilegateam
인스타그램 @smilegate_asset_offi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