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1425

Page 1


40년 숙제‘KCC건립 기금’문제 풀리나? 김정희 회장·이사들,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에 5만 달러 전달

뉴욕한국문화센터(KCC) 김정

희 회장과 이사들은 13일 뉴저지

에 있는 바다이야기식당에서

KCC 기금 5만 달러를 김민선 미 주한인이민사박물관 관장에게 전 달했다.

이 자리에서 김정희 회장은

“지난 40년간 문화센터를 통해 한

인 문화 발전을 위해 운영해왔고, 그 뜻을 이어나갈 올바른 단체를 물색해 왔었다”며,“한국 문화를

지키고, 주류사회에 홍보해 나가

1970년대 말~80년대 초 뉴욕한 인회 15대 이성종 회장, 16대 박지 원 회장에 이어 뉴욕한인회관을

마련한 16대 강익조 회장 때에

전 1960년대~70년대

일어나 수년 동안 7만여

달러를 모금하고 은행이자가 붙어

모두 10만2,000 달러 정도의 기금 이 있었다.

KCC는 이 기금을 이관하지 않아

여러 큰소리들이 오고 갔다. 그 후

이 기금의 관리와 용도를 놓고 한

인사회는 40년 가까이 여러 의견

들이 있어왔는데 이번에 미주한인

이민사박물관에 기증함으로써 40 년 숙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를 찾

게 됐다.

그동안 10만2,000 달러 정도의

기금을 관리하고 있던 김정희 회

장은 2001년‘21세기, 어떻게 살 것

인가?’등 교양잡지 등을 발행하 여 한인사회에 배부했고, 2016년 뉴욕한인회관이 재산세 체납으로

차압 풍문이 나돌 때 이 기금에서

뉴욕한인회에 1만 달러를 전달함

으로써 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풀기도 했다.

김정희 회장은 당시 한인사회 에서“뉴욕한국문화센터의 건립 이 사실상 무산됐고, 활동도 미미 한 상태이니, 기금을 한인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좋겠다”는 여론이 다시 일었으나“이사들과 논의하 겠다”며 계속 기금을 보관해 왔는 데, 이번에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

를 충당하기 위해 긴급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

요청했다.

씨 후원 사이트 https://www gofundme com/ f/help-free-will-kim-fromice-detention ▶ 서명운동 사이트 https://win newmode net/nat ionalkoreanamericanserviceand educationconsortium/releasewill iamnow?utm_campaign

▶ 전화걸기 캠페인 사이트

https://secure everyaction co m/KMr19v9xCkSNRKU9sNxv pw2?utm_campaign

△민권센터의 이민자 권익 운 동에 대한 문의는 전화(뉴욕 718460-5600, 뉴저지 201-416-4393) 또는 카카오톡 채널 (http://pf kakao com/_dEJxc K)에 가입한 뒤 1:1 채팅으로 하 면 된다.

“당신은 이민 인문작가인가?, 인문작품 쓰고 있는가?” 한국 문학평론가 박양근 교수의 문학특강, 50여 문인들‘열공”

한국 문학평론가 박양근 교수

의 문학특강이 13일(수) 플러싱에

있는 산수갑산2 연회장에서 열렸

다. 미동부한인문인협회(회장 윤

영미) 주최로 열린 이번 특강은 문

인협회 회원을 비롯해 원근각처

의 문학을 사랑하는 50여 명의 문

학인들이 참여해 뜨거운 호응 속

에 진행됐다.

박양근 교수는‘인문작품을 위

한 작가의 길’특강에서, 프랑스

작가 랭보의‘작가는 세상너머를

볼 수 있는 견자(見者)’라는 말을 서두로, 인문작가로서 몽테뉴가 1580년에 고안한 에세(Esssis-에 세이)라는 문학양식에 대해 주목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어 아우구스티누스, 데카르트, 하 이데커, 칼 융, 톨스토이 그리고 언어유희를 주장한 오스트리아 작가 비트겐슈타인에 이르기까지 시대별로 짚어가면서 단순한 작 가가 아닌‘인문작가’로서 인문성 문학에 대해 강의를 이어나갔다.

박양근 교수는 이어“이를 바 탕으로 인문작품을 창작할 때 자 아, 가족, 사회, 생태, 예술, 우주, 마침내는 신(God)의 7단계로 이

루어지고, 오르면 오를수록 점점

그 길은 가팔라진다”고 말했다.

박교수는 참석자들에게“현재

뉴욕에 살고 있는 이민자로서 문 학인 각자에게 과연 우리는 이민

인문작가인가, 인문작품을 쓰고

있는가?”스스로에게 반문하게 함

으로써 강의의 끝을 맺었다.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충남콘텐츠진흥원,

미주한인이민사박물관(관장 김민선)과 충남콘텐츠진흥원(원장 김곡미)간

미주 최대 아시안 슈퍼마켓 체 인 H마트가

NationsBenefit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NationsBenefits Flex Card 사용을 모든 H 마트 매장으로 확 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해당 건 강보험 플랜에 가입한 자격 있는 H마트 고객들은 이제 모든 매장 에서 NationsBenefits 플렉스 카 드를 사용하여 신선한 농산물, 특 산 식재료, 일반 의약품 및 웰빙 상품 등을 NationsBenefits Flex Card로 구매할 수 있게 된다. NationsBenefits의 실시간 바 스켓 승인 서비스(Basket Adjudication Service)에 기반한 이번 연계로, 고객들은 매장 계산 대에서 직접 자신이 보유한 추가 복지 혜택을 사용해 문화적으로 익숙한 음식을 구매할 수 있다. H마트 브라이언 권 사장은“H 마트는‘문화는 식탁에서 시작된 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그들의 건강을 챙기는 동시에 정 체성과 전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며,“이번 파트 너십은 우리가 서비스를 제공하 는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의미 있는 발걸음 이라 고 밝혔다. NationsBenefits 마이클 파커 공동대표는“문화적으로 익숙한 음식은 건강과 일상 모두에 중요 한 역할을 한다”며“이번 파트너 십을 통해 회원들이 자신이 신뢰 하는 식재료를 동네 매장에서나 집 앞 배송을 통해 더 쉽게 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방적 건강 관리와 장기적인 웰빙을 강화하 고 있다.”라고 전했다. ◆ H마트 = 1982년 뉴욕 우드 사이드에 1호점을 개점한 이래, 현재 미국

“미국에서 자라나는 청소년들

에게 우리 한국의 역사와 문화, 인

물을 공부하게 하여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자긍심을 갖게 함

으로써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더

크게 길러주자”

대뉴욕지구 경기여고동창회

(회장 강용진) 산하, 경운장학회

■ 결선진출상-2

(회장 곽인영)는 2025년 5월 3일 (토) 오후 1시(미 동부시간) 맨해 튼에 있는 코리아 소사이어티에서 제15회 영어웅변대회를 화상 및

대면 하이브리드(hybrid)로 개최 했다. 올해 주제는‘내가 경험한 한국문화(Korean Culture: My Experience)’였다.

Jeong(정, 情)

참가 대상은 미 전역에 거주하 는 9학년부터 12학년의 한국계, 미 국인 또는 다민족 고등학생으로 신분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었다. 참가희망자는‘내가 경 험한 한국문화’를 주제로 영어 글 자수 1,400자 내, 웅변길이는 4-6 분의 원고를 작성하여 경운장학회 로 보내면 경운장학회는 원고를 심사하여 결선 진출자를 선정하 고, 결선 진출자들은 장학회가 진 행하는 스피치 워크샵을 통해 스 피치 코칭을 받은 후, 5월 3일 본선 에서 경합했다. 이번 대회에는 미 전역에서 9학년부터 12학년의 한 국계와 비한국계 고등학생 70여

MichellePark[FortLeeHS, NJ]

“InKorea,‘we’oftenmeans‘I, bondedby jeong, toyou,’whereasinEnglish,‘we’just representsanymultiple‘I’s’”. Theconceptof “jeong”stemsfromtheChinesecharacter情 (qing), meaning“emotion”or“feeling”. Ithas beensaidthat“Koreanscryforjeong, laughfor jeong, liveforjeong, anddieforjeong”. The applicationofthisideainKoreanculturerefersto abondthatunitesKoreans, creatingasenseof “us/we”versus“them”

Overthecourseofmylife, Ihavebeenlucky enoughtoresidewithinaprimarilykoreandominatedcommunitythathasneverforcedme tohavetopushmyculturalidentityasideor experiencethefeelingofhesitationandfearof embracingmyheritagethatmanyAsianAmericansfaceduetoexternalpressuresto conformtotheAmericanstandards. Weekly sundayworshipatchurch, 8 amSaturdayKorean Schoolclasses, thesmalltalkthatIhavewith randomKoreanajummaswhowholeheartedly insisttheyrememberseeingmewhenIwasa newbornbaby— theseareafewofthemany peopleandmomentsthatIfindasenseof comfortinandhaveshapedmyappreciationfor thesenseofcommunitythatKoreansvalueso deeply.

Ihavecometoarealizationthatwhilenot explicitlystated, thereisasubtleshiftinthe atmosphere— anunspokenwarmthand inclusivity— thatemergesasIbegintoconverse inKoreanatthelocalKoreanpharmacyorhelpa Koreanelderlywhoappearstobestrugglingto communicateinEnglish. Thesubtlesurprisein theireyesandsuddeneaseinmoodthatconveys thesilentcomforttheyfeelisanunexplainable senseoffamiliaritythatIbelievecanonlybe explainedbythisambiguousconceptof“jeong”

“Jeong”isawordwhosetranslationthat capturesitsentirenuancecannotbefoundinany dictionary.

“Jeong”isthegenerosityofthe“seobiseu”, or freedishes, thatIreceiveatKoreanrestaurants. “Jeong”iseatingfromthesamejjigaeorsharing thespreadofbanchanatthetable—something thatAmericansocietydeemsas“gross”or “unsanitary”.“Jeong”explainswhyKoreansrefer toeachotheras“our”ratherthan“my” , conveying

명이 원고를 제출, 13명이 결선에 진출했다. 경운장학회 관계자들은 “대회를 거듭할수룩 한국에 대해 올바를 인식을 갖게하는 등 교육 적 효과가 크다. 우리 학생들이 학 교에서 배우지 못하는 한국의 역 사, 문화, 상황, 인물, 디아스포라 (전 세계에 진출해 살고 있는 한인 들)을 스스로 공부하는 과정에서 한국에 대한 자긍심이 커지는 등

trulyleavingnoonebehindtofendforthemselves ifyoucanhelpit. Itmeansthatifyoufeel happiness, everyonesharesinthatjoy” Growingup, Ihaveneverquestionedor wonderedwhenhearingstrangersrefertoKorean womenworkingatrestaurantsas“eemo”orwhenI callmymother’sfriendsandthemotherofmy ownfriendsas“eemo”withoutgivingitasecond thoughtastowhyIamcallingpeoplewhoarenot evenbiologicallyrelatedtome, orsharethesame blood, asmy“aunt”. However, Ibelievethatthe strongsenseofemotionalandphysiologicalbond thatKoreansvaluecanexplainhowweperceive relationshipsandthelevelofconnectionweput oneventothosethatarenotfamily. Ithelps explainhowthesenseof“jeong”canbeextended tothosethattakecareofyouinsomeway. Callingtheworkers“eemo”acknowledgesbeyond thefactthattheytakeyourorder, orprovideyou withmorebanchan. Itacknowledgesthe “motherly”or“aunt-like”presencetheyprovide solelybythefactthattheyaretakingcareofyou evenifitiswithinarestaurantsetting.

Sincemychildhood, Ihavehad2 friendswho meantheentireworldtome, notonlydefinedby thelengthofourfriendship, butbyeverything

“Jeong”explainswhyKoreansrefertoeachotheras“our”ratherthan“my” , conveyingourcommunitarianculture. Ihaverealizedthatthe reasonbehindwhymymothercallsme“ooriddal” , whichdirectlytranslatesto“ourdaughter”ratherthan“naeddal”(mydaughter) is becausetheterm“our”demonstratesthatrelationshipsaremutualandcollectiveratherthanone-sidedandsingular. Theterm“stresses loyalty, puttingfamilyfirst, comingtogethertohelpbringeveryoneup, trulyleavingnoonebehindtofendforthemselvesifyoucanhelpit. It meansthatifyoufeelhappiness, everyonesharesinthatjoy”

ourcommunitarianculture. Ihaverealizedthat thereasonbehindwhymymothercallsme“oori ddal” , whichdirectlytranslatesto“ourdaughter” ratherthan“naeddal”(mydaughter) isbecause theterm“our”demonstratesthatrelationshipsare mutualandcollectiveratherthanone-sidedand singular. Theterm“stressesloyalty, puttingfamily first, comingtogethertohelpbringeveryoneup,

theyaswellastheirfamilieshavedoneforme. By referringtotheirmothersas“eemo” , Ibelieve thereisastrongercontextormeaningbehindthis wordthansimplybeingawordusedtoreferto someoneoutofrespect.

Callingthem“eemo”acknowledgesthe countlesstimestheyhaveofferedtodriveme somewherewhenIdidn’thavearide, theoffering

ofbuyingmefood, andhowtheytreatedmeasif Iweretheirowndaughter. Itacknowledgeshow ourmothersshareasenseof“sisterhood”and strongsupportsystemastheysharefeelingsof grievancesandhappinesstogether—something usuallyseenbetweenfamilies. Itshowsmy recognitionofthisbondasmorethanjustmy friend’smother, buttherepresentationofthe gratitudeandappreciationIfeelfortheirrolein mylifeassomeonewhocaresformeandmy familyasifwearemembersoftheirown.

TheprofoundlevelofcarethatKoreans provideforoneanother, especiallythroughfood, is somethingIhavenoticedandcometo appreciateasIhavegottenolder. Asachild, I neverthoughtdeeplyaboutwhenmymomwould savesomeextrabanchanorkimchishemadefor myfriends’familiesorwhenwewouldstopby theirhousestopickupastackofjeonscarefully placedinawhitehmartbag. Tillthisday, the spaceonthefloornexttomydoorrarelyseemsto beempty. Whetheritmaybeanewskincare productthatmymomreceivedoranextrabagof buchimgaruthatshegotonsaleatHmart, itis mostlikelyplacedinoneofthesamethreebags thatmymomandherfriendshavebeenrotating withitemstoshareforthepastcoupleofyears.

ThisdeeplyengravedvaluethatKoreans placeonfoodasbeyondasourceofnourishment isexemplifiedinoneofthemostcommonlyused phrasesofgreeting“bapmeogosseoyo?”which translatesto“Didyoueat?” . However, theusage ofthisphraseislessaboutthefooditself, but ratherawaytocheck-upontheindividual, reflectingthewayfoodisinterconnectedwiththe careandconcernforthehealthandwell-beingof others(Haah). Itisawaythatfurtherservesasa reminderthatothersarelookingoutforyou, establishinganunspokenbondandwayofsaying “Icareaboutyou” . Normalizedactsofservice suchasfeedingfriendsandfamilywithcarefully constructed“ssams” , orapackageofrice, samgyupsal, ssamjang, kimchi, garlic, wrappedin gatenipandlettuce, furthershowcasesthelevelof careandlovethatKoreansexpresstowardone anotherthroughfood.

Whetherthismaybethecutuppiecesoffruit thatmymomleavesonmydeskwhenIstudyor thepiecesofsteamedtteokcoveredwithcling wrapsheleavesbehindonthetablebeforegoing toworkformetoeatisawayofshowinglove thatIdeeplyvalueasaKoreanindividualmyself. “Jeong”inKoreancultureallowsustounderstand thatevengesturessuchasservingfoodcan nurturerelationshipsandfosterasenseof collectivecare.“Jeong”transcendsbeyonda simpleemotion. Itisasharedbondthatis transformativeyetservesalmostasaninvisible threadthatsecuresasenseofbelonging, love, and community.

MichellePark

[

독자시단 (詩壇)]

곧 사라져 없어질지라도

곡천(谷泉) 박원희(朴元喜) <뉴저지 레오니아 거주 프라미스교회 장로 미주 크리스찬문학가협회 회원>

“ … 하나님의 손에 들린 도구가 되어서 …“ [사진 출처= www.watv.org]

시들은 잡초같은

마음 한 구석에 버려진 희망도

동남풍 바람에 실려 내리는 이

그 역활이 다르나니

시냇가에 내린 비는

떠 내려 흘러가버리지만

메마른 땅에 내린 비는

생명의 양식이 되어

새 싹의 움을

돋아나게 하는도다

인생의 종착역이 가까운

나그네 된 애달픈 삶이지만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의 단비에 덤뿍 젖어

하나님의 손에 들린 도구가 되어서

새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위로와 격려와 도움이 되기를 원하노라

김성준 <희망보험 (HopeAgencyInc)대표 뉴욕한인보험재정협회 2대 회장>

재산에 대한 보험이 화재 (Fire)와 상해(Casualty)라고 하

는 손실의 원인(Causes of Loss=Perils)에 대해서 보험을

드는 것처럼, 건강보험은 건강의

상실이라는 손실의 원인에 대해 서, 은퇴연금은 노화라고 하는 필

연적인 손실의 원인에 대해서 보 험을 드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

다. 생명보험은 필연적이지만 또 한 예기치 않은 죽음이라는 손실 의 원인에 대해서 보험을 드는 것

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생명보험의 다용도성 생명보험은 죽음과 함께 소멸

되는 각 개인이 그가 속한 가정에

대해서 지닌 금전적 가치를 부분

적 또는 전체적으로 보상해주는

유일한 수단이다. 생명보험은 가

입자의 죽음과 동시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생동안 저축할 수 없

는 액수의 현금을 즉각 창출한다.

이처럼 생명보험은 가장 필요한 바로 그때 현금을 즉시 창출하므 로, 다른 어떤 형태의 자산보다도

융통성(Liquidity)이 큰 자산이

다. 또한 대 부분의 경우에 보험료

경영상 닥칠지 모르는

는 소득세를 내고 남은 돈(After Tax Dollar=Net Income=Take Home Pay)으로 지불하기 때문 에 그로 인한 열매라고 볼 수 있 는 생명 보험금(Life Insurance Proceeds)은 소득세의 대상이 되 지 아니한다.

생명보험은 자산으로서 융통 성과 영구적 생명보험의 저축성 은 우리들의 개인적(Personal Use) 또는 사업적(Business Use) 여러 가지 재정적 목적이나 목표의 달성을 보장하거나 보완 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적 용도로, 충분한 액수의 생명보험은 자녀들을 양육하는 기간에는 (1)가족의 생계비 (Family Income)를 보장하는 수 단으로, (2)자녀들의 고등교육비 (Accumulation of Educational Fund)를 보장하는 수단으로, (3) 주택 모기지(Home Mortgage) 를 갚아주는 수단으로(Mortgage Payoff), (4)자선 헌금으로 (Charitable Bequest), 특히 저축 성 생명보험은 거기에 축적되는 현금가치(Cash Value)를 조만간

닥치게 될 (5)노년기의 생활비를 보조(Supplemental Retirement Income)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때로 필 요하게 되는 (6)비상금 (Emergency Fund)으로 그리고

인생의 종점에서 맞이하게 되는 자기 자신의 (7)장례비를 마련하 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생명보험의 사업상 용도 생명보험의 사업상 용도로, 중 견 간부의 생명보험(Key Man Life Insurance), 단체 생명보험 (Group Life Insurance), 동업자 들의 생명보험(Partners’ Life Insurance to fund Buy-Sell Agreement), 주주들의 생명보험 (Stockholders’ Life Insurance to fund Stock Redemption Plan) 등으로 쓰인다. 이에 대해 오늘부터 4회에 걸쳐 설명해 보고 자 한다. 첫 번째 중견 간부의 생명보험 은, 어떤 회사의 사장이나 중역처 럼 없어서는 안 될 사람이 예기치 않은 죽음으로 그 회사의 미래를

1982년부터 미동북부지역에서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