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민이 대가 치를 것”

(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13일(현지시간) 시작된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충돌 이후 나흘간 이스라
엘에서 최소 24명이 숨졌다고 이스라
엘 총리실이 밝혔다.
AFP,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이
스라엘 총리실은 16일 0시 이후에만 중부 텔아비브 인근 페타티크바와 브
네이브락과 브네이브락, 북부 하이
파 등에서 이란의 미사일 공격으로
총 11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나흘간 이스라엘 부상자는 총 592명이며 이 가운데 10명이 중태로 파악됐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이란이 13일 밤부
터 미사일 약 370기와 드론 수백대를
발사했으며 이스라엘 약 30곳에 미사
일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로 성명을 내고 아
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를 비난하며 “테헤란의 주
민들이 곧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 고 경고했다.
또 “비겁한 살인자가 된 테헤란의 오
만한 독재자는 자신의 전력을 약화하
려는 이스라엘군의 공격을 막아내고
자 이스라엘의 민간 거주지역을 표적
으로 공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616137400108

사실 이 사안 자체는 별다르게 주목
받을 만 한 일 아니었다. 만약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 행정부가 공개적
으로 “그린란드를 인수하겠다”고 밝
히지 않았다면 더욱 그러했을 예정
이다.
트를럼프 대통령은 수차례 이 섬 구
매 의사를 강조했고, “그린란드는 머
지않아 미국의 영토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JD 밴스 미
부통령과 그의 아내는 이 섬을 방문
했지만 이는 공식 방문이 아니었다.
이들은 섬에 위치한 미군 기지만 잠
시 들르는 데 그쳤다.
마크롱 대통령은 그린란드를 방문한 후 캐나다로 이동해, 캐나다가 순회
의장국으로 주최한 G7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이 같은 외교 행보를 통해
마크롱 대통령의 정치적 메시지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는 프랑스, 나아가 유럽연합 (EU)가 한결같이 그린란드와 덴마크 의 입장을 지지한다는 점이다. 이는 미국의 영토 야욕에 대응해야 할 상 황에서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 며, 덴마크 정부가 이 섬의 안보 역량 강화를 위해 국방 예산 증액 결정을 내린 후 더욱 의미가 강조되고 있다. 두 번째는 프랑스가 북대서양과 북극 지역에서 벌어진 지정학적 경쟁에 공 식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메시지 이다. 이는 우선적으로 미국, 캐나다, 러시아, 중국에게 전달되고 있다.
https://thanhnien.vn/ tong-thong-phap-toi-greenland-di-gan-de-nhamxa-185250615230413178.hm 라이프플라자/(UEF)인턴 기자 레 황 쿤 키에–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설승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오후 캐나다
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
의 참석을 위해 서울공항을 통해 출
국했다.
이번 일정은 이 대통령의 정상외교
데뷔전이자 본인이 천명한 ‘국익 중
심 실용 외교’가 첫발을 내딛는 무대
가 된다.
이 대통령은 부인인 김혜경 여사와
함께 1박 3일간의 일정을 소화한 뒤
18일 귀국할 예정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
서 “이 대통령은 이번 자리를 통해 각
국 정상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통상
문제를 비롯한 현안에서 실질적 성과
를 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
며 “특히 계엄과 내란을 이겨낸 우리
국민의 위대함과 K 민주주의의 저력
을 세계에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선 첫날인 16일 오후 (이하 현지시간) 캐나다 캘거리에 도
착해 초청국 주요 정상들과 양자 회
담을 가진다.
이번 G7 회의에는 회원국인 미국, 영 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캐
나다 외에도 한국과 호주, 브라질, 인
도,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
라이나 등 총 7개국 정상이 초청받았 다.
이튿날인 17일에는 이 대통령은 G7
국가와 초청국까지 포함한 확대 세션
에 참석해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인
공지능(AI) 에너지 연계 등을 주제로
발언할 예정이다.
특히 둘째 날 확대 세션 참석을 계기
로 미국과 일본 등 G7 국가 정상들과
회담이 성사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 다.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관세 협
상이나 주한미군 및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한미 간 현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질 수 있어 주목된다.
대통령실

(서울=연합뉴스) 정윤주 이율립 기자 =
이 어지며 국제사회의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경찰이 양국의
경비를 강화했다.
16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종로경찰서는 주한이스라엘대사관 앞 기동대 버스 를 기존 1대에서 2대로 늘렸다.
용산경찰서 역시 용산구에 있는 주한이란대사관 및 대사관저에 대해 순찰을 강화했다.
종로서와 용산서 모두 기동대원들에게 경비 태세 강화를 주문한 것으로 전 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습한 지난 13일부터 경비를 강화했다” 고 설명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16133400004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616081900001


국회는 의원 460명 중 451명의 찬성으로 교원의 지위와 권리를 규정한 최초 의 전문 법률인「교원법」을 통과시켰으며, 이 법은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
된다. 응우옌 닥 빈 국회 문화사회위원장은 본 법안이 사교육 자체를 금지하
지 않으며, 교원이 학생에게 사교육을 강요하는 행위를 제한해 과도한 사교
육 문제를 해결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교육부 규정에 따라 교
사는 자신이 맡은 학생에게 사교육을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통과된「교원법」은 교사들의 급여 및 복지 정책과 관련된 획기적인 변
화를 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법률에 따르면, 교원의 급여는 행정 및 공공서비스 분야의 급여 체계 중 가
장 높은 수준으로 책정된다. 교사들은 직무 성격과 근무 지역에 따라 직업
수당 및 기타 수당도 함께 지급하게 된다.
특히 유치원 교사, 소수민족 지역·산간·국경·섬 지역·경제사회적으로 특별히
어려운 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 특수학교 교사,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교사,
특정 전문 분야에서 활동하는 교사들은 일반 근무 조건의 교사보다 높은 급
여 및 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비공립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급여는 노동법의 관련 규정을 따른 다.
아울러 교원법은 교사들에게 직무 수당, 책임 수당, 우대 수당, 오지 근무 수
당, 통합교육 수당, 근속 수당, 이동 수당 등 다양한 추가 혜택을 제공해 교사
들의 종합적인 소득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법은 또한 다음과 같은 교원 지원 정책을
등
분야에
유치원 교사의 경우, 본인의 희망에 따라 최대 5년 조기 퇴직이 가능하며, 15 년 이상 사회보험을 납부한 경우 연금 감액 없이 퇴직이 허용된다. 반면, 교 수, 부교수, 박사 및 특정 분야 교사에 대해서는 정년 연장 조치가 가능해, 우 수 인력의 지속적인 활동을 유도한다.
이번 법은 또한 직업직명 체계와 직업역량 기준 체계를 통합해, 공립·비공립 구분 없이 적용되는 새로운 기준 체계를 도입한다. 이는 전체 교원 역량의 균일화, 학생들의 교육 접근 형평성 보장, 교원 평가 및 선발 과정의 투명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교원 채용 및 배치에 있어 교육부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조항도 포함됐다. 고 등교육기관과 공립 직업교육기관의 경우, 기관장이 교원을 자율적으로 채용 할 수 있으며, 유아교육·초중등·평생교육 기관의 교원 채용 권한은 교육부 장관에게 부여된다.
이번 권한 이양은 교원 인사 정책의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인력 수급 불균 형 문제 해결, 향후 단기·중기·장기적인 교원 인력 개발계획 수립에 큰 전환 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vtcnews.vn/luong-giao-vien-duoc-xep-cao-nhat-he-thongva-khong-cam-day-them-tu-nam-2026-ar949077.html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하은- 번역

플라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공개적인 논쟁 이후, 미국의 전략적 미사일 방어 프로젝트인 ‘골든 돔(Golden Dome)’에서 스페이스X의 역할이 재검 토되고 있어, 일론 머스크가 보유한 국방 계약들의 향후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몇 주간, 스페이스X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
령의 정책과 행보를 비판하고 탄핵 시도를 지지하는 발언을 소셜미디어에
올리면서, 양측 간의 설전이 격화됐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한 반응을 보였으며, 백악관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와 스페이스X 간의 파트너십이 “정밀하게 재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는 모든 입찰서 및 계약에 대해
엄격한 검토 절차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
현재 골든 돔 프로젝트와 관련된 향후 계약에 대한 발표는 없다”라고 언급했 다.
익명의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국은 스페이스X의 일부 역할을 대체할
방안을 검토 중이며, 팔란티어(Palantir) 또는 안두릴(Anduril)과 같은 트
럼프 행정부와 더 가까운 군사기술 기업들에게 위성감시 임무를 이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일론
포함되어 있다. 스페이스X가 골든 돔에서 배제될 경우, 이는 향후 주요 프로젝트에서도 재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선례가 될 수 있다. 일부 연방의회 의원들은 과거 계약 들이 공정한 입찰 원칙을 위반했는지 여부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기 시작했 다.
최근 일론 머스크는 논란이 된 일부 발언을 철회하며 갈등을 완화하려는 움 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백악관은 스페이스X의 기존 역할 복원에 대해 아무 런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보낸 백악관의 성명에 따르면, “모든 결정은 미국에 가장 유리 한 조건을 우선하며, 가장 진보적이고 창의적인 기술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돔’ 프로젝트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구체적인 책임 배분 조건은
https://vtcnews.vn/sau-mau-thuan-voi-ong-trump-vai-tro-cuamusk-trong-du-an-cong-vang-bi-bo-ngo-ar948623.html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유-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트럼프 대통령, 역사상 최대 규모의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민자들을 추방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할 계획이라
고 방금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대대적인 추방 프로그 램”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로스앤젤레스에서 폭동이 발생한 이후, 연방
요원들에게 민주당이 주도하는 도시들에서 불법 이민자에 대한 단속과 추방
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6월 15일 일요일 저녁, 자신의 Truth Social 플랫폼을 통해 이민세관단
속국(ICE) 요원들에게 “역사상 최대 규모의 추방 작전을 수행하라”는 지시 를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백만 명의 불법 이민자가 거주 하고 있는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뉴욕 등 주요 대도시에서의 구금 및 추방 활동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로스앤젤레스와
국가를 키
이에 대해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과 로스앤젤레스 시장 캐런 배스는 ICE 단속으로 촉발된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주 방위군과 해병대를 투입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뉴섬 주지사는 이러한 조치 는 위법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국방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헌법을 무시하고, 권한을 넘어선 방식으로 국민 에게 공포를 조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화요일 로스앤젤레스 도심 일부 지역에서는 약탈과 파괴 행위, 경 찰과의 충돌이 며칠간 이어졌으며, 결국 통금령이 발령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운동 기간 동안 전임 대통령 조 바이든 행정부의 “개방 된 국경” 정책을 철회하고, 멕시코 국경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6월 14일에는 미국 전역에서 500만 명이 넘는 인원이 트럼프 대통령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했다. 이번 시위는 2,000개 이상의 도시와 지역에서 열 렸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동안의 정책과 행보에 항의하는 의미
에서 “No Kings(왕은 없다)”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이 시위는 ‘50501 운동’, ‘여성행진’, ‘인디비지블’, ‘사회주의 해방당’ 등 다양 한 단체와 운동이 주도해 조직되었다.
https://vtcnews.vn/tong-thong-trump-cong-bo-chuong-trinh-trucxuat-lon-nhat-trong-lich-su-ar949126.html
라이플라자/ UE대 인턴 기자 지민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팜 민 찐 총리는 각 부처 및 지방정부가 법령에 대한 국민의 의견 및 건의사 항을 접수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명확하고 직접적인 내용의 답변을 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팜 민 찐 총리는 최근 제89호 총리 긴급지시문에 서명했으며, 이를 통해 법
령에 대한 반영 및 건의사항을 접수·처리하는 정보 시스템을 각 부처와 지방
정부에 구축할 것을 요청했다.
총리는 각 부처 장관, 동급 기관 수장 및 각 성·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에게, 개
인, 기관, 조직, 기업 등이 제출하는 법령에 대한 반영·건의사항을 정책 과제
로 간주하고, 제도 개선 및 경제·사회 발전, 국민과 국가의 이익을 위해 신속 히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처 및 지방정부의 지도자들은 수장의 책임감을 제고하고, 해당 기관 및 공
무원이 해당 업무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건의사항 처
리 및 답변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감독하여 누락이나 지연이 없도록
해야 하며, 답변하지 않거나 기한을 넘기면 법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한다.
총리는 각 부처 장관, 동급 기관 수장 및 성·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에게, 법령 에 대한 건의사항을 접수·처리하는 정보 시스템을 부처 및 지방정부의 전자
정보 포털과 연계·통합할 것을 지시했으며, 이 작업은 6월 20일까지 완료되
어야 한다.
건의사항을 접수·처리·답변하는 과정에서, 총리는 다음의 원칙을 분명히 했 다.
건의사항이
건의사항이 해당 기관의 소관이 아닐 경우에는,
할 기관으로 이관해야 한다. 여러 기관이 공동으로 책임져야 하는 건의사항의 경우, 주관 기관이 관련 법 령을 검토한 뒤, 관계 기관과 협조하여 답변해야 하며, 이관은 접수일로부터 2일 이내, 협조 기관은 10일 이내에 검토 후 협조해야 한다.
총리는 협조 기관이 기한 내에 명확한 답변을 제공해야 하며, 모호하거나 무 책임한 답변, 책임 회피는 금지된다고 강조했다. 만약 기한 내에 의견을 회신 하지 않으면, 주관 기관의 의견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총리는 법무부 장관에게, 시스템 운영의 주관 기관으로서 시스템을 구축하 고,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국민, 기관, 기업 등이 법령의 모순, 중복, 부적절 함을 제기할 수 있도록 홍보할 것을 지시했다.
재정부 장관은 각 부처 및 지방정부가 시스템을 운영하고 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매년 예산 내에서 상시 운영비를 편성하고, 2025년도 예산을 조 속히 배정할 것을 지시받았다.
내무부 장관은 관련 기관과 협력하여, 법령 건의사항
행정 개혁 평가 지표를 마련하고, 2025년부터 적용 가능하도록 준비해 야 한다.
https://vtcnews.vn/lanh-dao-bo-nganh-dia-phuong-phai-tra-loikien-nghi-cua-nguoi-dan-trong-15-ngay-ar949076.html
라이플라자/ 후플릿대 인턴 민찌 - 번역


미국 백악관은 6월 초, 12개국 국민의 입국을 금지하고 또 다른 7개국 국민
에 대해서는 입국을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어 로이터(Reuters)는 6
월 16일자 보도에서,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이 서명한
내부 외교 전문을 입수해 보도하며, 미국이 우려하는 다수 국가들에 대한 대
응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전했다.
전문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60일 이내에 제시된 기준과 요건을 충족하지 못 할 경우, 입국이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중단될 수 있는 36개 우려국을 지정 했다”라고 밝혔다.
미국이 제기한 주요 우려는 일부 국가 정부가 신뢰할 수 있는 신분증명 서류
를 발급할 능력이 부족하거나 협조하지 않는 점이다. 또한 해당 국가들의 여
권이 보안상 의심된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이 외에도 일부 국가는 미국 내에서 비자를 초과 체류한 자국민의 강제 송환
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는 테러 활동이나 미국 내 반유대
주의적 행위에 관여하고 있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미 국무부는 이러한 우려 사항들이 모든 36개국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덧붙였다.
고위 관계자는 “우리는 미국 국민과 법을 준수하는 외국인의 안전을
앞서 미국은 6월 초,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 미얀마(Myanmar), 차 드(Chad), 콩고공화국(Republic of the Congo), 적도기니(Equatorial Guinea), 에리트레아(Eritrea), 아이티(Haiti), 이란(Iran), 리비아(Libya), 소말리아(Somalia), 수단(Sudan), 예멘(Yemen) 등 12개국 국민의 입국을 금지했다.
또한 부룬디(Burundi), 쿠바(Cuba), 라오스(Laos), 시에라리온(Sierra Leone), 토고(Togo),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 베네수엘라(Venezuela) 등 7개국 국민에 대해서는 입국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조치는 워싱턴(Washington) 행정부가 이민 정책을 한층 더 강화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 은 6월 16일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불법 이민자 추방 노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민은 도시와 학교, 지역사회가 불법 이민자들로 인 해 발생하는 범죄, 갈등, 혼란 없이 안전하길 바란다”며 “그래서 나는 전 행 정부가 가능한 모든 자원을 이 노력에 집중하도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시카고(Chicago), 뉴욕(New York) 등 대도시에 불법 이민자가 수백만 명 거주하고 있다며, 이들 지역에서 적극적 으로 체포 및 추방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이민 친화 정 책을 펼치는 도시들이 민주당(Democratic Party)의 권력 기반으로 변모했 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불법
금지할 가능성이 있는 36개국은 다음 과 같다: 앙골라(Angola), 앤티가 바부다(Antigua and Barbuda), 베냉 (Benin), 부탄(Bhutan), 부르키나파소(Burkina Faso), 카보베르데(Cabo Verde), 캄보디아(Cambodia), 카메룬(Cameroon), 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지부티 (Djibouti), 도미니카(Dominica), 에티오피아(Ethiopia), 이집트(Egypt), 가봉(Gabon), 감비아(Gambia), 가나(Ghana), 키르기스스탄(Kyrgyzstan), 라이베리아(Liberia), 말라위(Malawi), 모리타니(Mauritania), 니 제르(Niger), 나이지리아(Nigeria), 세인트키츠네비스(Saint Kitts and Nevis), 세인트루시아(Saint Lucia), 상투메 프린시페(São Tomé and Príncipe), 세네갈(Senegal), 남수단(South Sudan), 시리아(Syria), 탄자 니아(Tanzania), 통가(Tonga), 투발루(Tuvalu), 우간다(Uganda), 바누아 투(Vanuatu), 잠비아(Zambia), 짐바브웨(Zimbabwe).
https://thanhnien.vn/my-xem-xet-them-36-nuoc-vao-danh-sachcam-nhap-canh-185250616082149838.htm 라이플라자/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