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Page 1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이 미국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 (LNG) 개발 사업 참여를 위한 본격적인 협의에 나섰다. 8일 현지 매체 네이션에 따르면 태국 정부는 미국 알래스카 LNG 사업에 참

여해 매년 LNG 최대 500만t을 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태국 에너지부는 국영 에너지기업인 PTT와 EGCO에 미국 측과 실무 협상

을 시작하도록 했다.

에너지부는 두 기업에 공동 개발, LNG 수입 모두에 초점을 맞춰 논의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쁘라섯 신숙쁘라섯 에너지부 차관은 최근 미국을 방문해 마이크 던리비 알

래스카 주지사를 비롯한 사업 관계자들을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앞서 던리비 주지사가 지난 3월 태국을 찾아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를 제안했다.

쁘라섯 차관은 “알래스카에서 연간 LNG 300만

협상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LNG 장기 공급을 확

보하고 태국이 아시아의 LNG 허브가 되려는 목표를 실현할

에서는 10∼15일이면 돼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태국의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검토는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목적 도 있다.

태국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앞두고 LNG 수입 확대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4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 다.

미국은 상호관세 부과 유예에 앞서 태국에 관세율 36%를 적용한다고 밝혔 다.

양국 관세 협상은 지난달 개시 예정이었으나 미국이 연기했다.

미국은 알래스카 북부 천연가스를 남부 해안가로 나른 뒤 액화해 수출하기 위해 약 1천300km 길이 가스관과 액화 터미널 등을 건설하는 대규모 사업 을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제2차 세 계대전 승리 기념일(5월9일·전승절)에 맞춰 일방적으로 선언한 사흘간의 우

크라이나 휴전일이 8일(현지시간) 시작됐다.

다만 휴전 발표 시점부터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휴전을 선언해놓고도 북동부 수미주 등에 공격을 퍼부었다고 반발하고 있 다.

미국 CNN 방송, 로이터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푸틴 대통령이 발표한 3 일(8~10일)간의 휴전이 시작된 지 3시간도 되지 않아 러시아가 공격을 퍼부

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공군은 러시아가 동북부 수미주에 유도폭탄을 두차례 발사했다 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동부전선의 군 대변인도 러시아가 자정이 지나 휴전을 선언한

날이 됐는데도 여러 지역에서 군사 공격을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우크라이나의 주장을 별도로 확인할 수는 없었으며, 우크라이나군

도 공격에 따른 피해 상황은 따로 밝히지 않았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그러면서 이날 오전부터는 우크라이나의 주요 도시 상공이 이전보

다는 상대적으로 조용한 편이었다고도 언급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러시아의 공습에 따른 폭발음과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의 일방적인 전승 절 휴전 선언은 연극에 불과하다며 거부했다. 푸틴 대통령이 고른 휴전 기간은 전승절 행사 기간으로 러시아 우방국 지도 자들이 모스크바를 찾는 만큼 이 기간에 우크라이나의 공격을 차단하기 위 한 의도라고 본 것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이 고립에서 벗어나는 데 유리한 분위기를 만들려 는 술책에 휘말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는 그러면서 전승절 행사 직전인 7일까지 이틀 연속 모스크바에 대한 공습을 멈추지 않았다.

이 때문에 러시아는 전승절 행사에 초대된 우방국 정상들의 방문을 앞두고 모스크바 인근 주요 공항의 운영을 일시 중단하거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등의 조처를 해야 했다.

한편 지난 2월 러시아의 드론 공격으로 파손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의 격 납고를 복구하는 데는 수천만 유로가 필요하며, 수리 비용은 서방이 부담하 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격납고를 완전히 복구하는 데 드는 비용은 유럽부흥개발은 행(EBRD)이 보유한 비상 기금 2천500만유로(약 395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EBRD가 보유한 기금을 넘어서는 비용은 결국 영국을 포함한 서방 정부가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가디언은 또 격납고를 완전히 복구하는 데는 적게는 몇 달, 길게는 몇 년까 지 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8148700009?section=inter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응우옌 호아 빈 상임부총리는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 불교의 인본주의적 가치를 확산하자는 강력한 호소라고

강조했다.

2025년 5월 8일, ‘유엔 베삭의 날’ 폐

막식이 베트남 불교 아카데미(호치민

시 빈찬군)에서 성대히 거행되어 일

련의 국제 종교 및 문화 활동을 마무

리했다.

폐막식에는 응우옌 호아 빈 상임부

총리, 응우옌 반 넨 호치민시 당서기,

마이 반 찐 부총리, 다오 응옥 중 민

족·종교부 장관 등 중앙 정부 관계자

와 다수의 고위 지도자들이 참석했

다. 또한 여러 국가의 불교 지도자들

과 베트남 불교계 고승들도 함께 자

리했다.

응우옌 호아 빈 상임부총리는 폐막

연설에서 “‘인간 존엄을 위한 연대

와 관용: 세계 평화와 지속 가능한 발

전을 위한 불교 지혜’라는 주제는 국

제 협력을 촉진하는 강력한 메시지”

라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베삭이 자

비, 정념, 윤리 등 불교의 핵심 가치

를 현대사회에 확산시키고, 인류 공

동의 과제 해결에 기여했다고 평가했

다. 또한 베삭 2025가 베트남의 평화

와 인도주의 전통을 보여주며, 종교

의 자유를 존중하는 국가 정책을 뒷

받침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번 행

사의 성공은 국제사회에서 베트남의

위상과 역할을 확인하는 계기”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2025년까지 베트남이

추진하는 인도주의 정책으로는 아동

학비 면제, 임시주택 철거 및 22만3

천 채 신규 주택 건설, 국민을 위한

병원비 면제 등이 있다고 소개했다. “

베트남은 유엔이 인정한 빈곤 퇴치의

모범 국가이며, 평화와 안정, 환대의

상징”이라고 덧붙였다.

폐막 연설에서 베트남불교협회 지도

자인 틱 탄 니우 장로는 “1,000편 이

상의 논문이 제출되었으며, 이는 연

대와 관용이라는 불교 정신을 실천하

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의지를 보여준

다”고 밝혔다. 그는 베트남 불교가 민

족과 함께하며, 대단결과 애국, 나눔

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파해왔다고

강조했다.

베삭 2025는 인도주의적 메시지와

국제 연대 정신, 그리고 인류의 평화

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향한 공동의

의지를 담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

다.

https://vtcnews.vn/dai-le-vesak2025-khang-dinh-vi-the-cua-viet-nam-lan-toa-gia-tri-nhan-vanar942099.html

라이플라자/ UEF대 인턴 기자 지

민- 번역

한국과 유럽연합(EU)이 7일(현지시

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21차 공동위

원회를 열고 글로벌 복합 위기 대응

을 위해 디지털·혁신, 경제안보 협력

을 강화하기로 했다.

양측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과 지정

학적 리스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유

사 입장국 간 경제안보 협력이 중요

하다는 데 공감하고, 핵심광물안보

파트너십(MSP) 등 주요 협의체 개최

계기 핵심광물 공급망 등 주요 이슈

에 대한 정책 공조를 확대하기로 했

다.

한국 측은 철강 세이프가드, 탄소국

경조정제도(CBAM) 등 EU 규제 관련

우리 기업의 공정한 경쟁이 보장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요청했다.

EU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발

효 이후인 지난달 1일부터 철강 세이

프가드 조치를 강화, 한국 등 제3국이

EU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물량

을 약 15% 줄였다.

또 내년 6월말로 종료되는 세이프가

드 조치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무

역보호 조치를 마련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양측은 이날 한국의 EU 연구혁신 재

정지원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

참여, 한-EU 디지털 통상협정(DTA) 타결 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디 지털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실 질적인 협력 방안도 모색하기로 했 다.

한-EU 안보방위 파트너십과 관련해 서는 작년 11월 채택된 합의 문서를 바탕으로 파트너십이 착실히 이행되 고 있다고 평가했다. 양측은 이르면 상반기 첫 안보방위대화 개최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한반도 정세, 우크라이나, 인도·태평양 지역의 전략 환경 등 주 요 지역 및 글로벌 안보 이슈에 대해 서도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한-EU 공동위는 2001년부터 매년 서 울과 브뤼셀을 오가며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트럼프 ,첫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 국 대통령은 5월 7일 저녁(현지시

간), 자신의 SNS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올린 글에서 “매우 존경받

는 한 주요 국가와의 대규모 무역 합

의와 관련해, 5월 8일 오전 10시 백악

관 오벌 오피스(Oval Office)에서 중

대한 기자회견을 열겠다”고 밝혔다.

트럼프(Trump) 대통령은 국가명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번 합의는 앞으로 이어질 여러 건의

무역 협정 중 첫 번째가 될 것”이라

고 전했다.

한편,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 프(Trump) 대통령이 영국(Britain)

과의 무역 협정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5월 6일, 한 영국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Reuters)>와의 인터뷰에서

“철강과 자동차에 대한 낮은 관세 한

도를 포함한 무역 협정에서 양국이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가 공식화될 경우, 이는 트

럼프(Trump) 대통령이 지난 4월 2

일 여러 국가에 대해 높은 보복 관세

를 부과한 이후 처음으로 발표되는

무역 합의가 된다. 다만 일부 국가는

90일간 관세가 유예된 상태다.

영국(Britain)은 10%의 관세가 부

과됐지만, 미국보다 수입량이 더 많

아 추가 관세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

았다. 미국 관리들은 이 10%의 기본

관세를 철폐하는 방안은 고려하지 않

는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영국은 철

강, 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받고 있으며, 런던(London)은 이를 철회해 줄 것을 워싱턴 (Washington)에 지속적으로 요구 해 왔다.

현재까지 백악관과 영국 정부는 관련

무역 합의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

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합의는 양국

간 오랜 경제 협력 기대를 현실화하

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또한, 트럼프(Trump)

행정부가 인도(India), 이스라엘 (Israel)과도 무역 합의에 근접하고

있으며, 한국(South Korea), 일본 (Japan), 베트남(Vietnam) 등과의

협상도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Trump) 대통령은 지난주 연

설에서 “우리는 협정을 꼭 체결해야

할 입장이 아니다. 지금 당장이라도

25개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협정을 ‘해야만’ 하는 것은 아

니다. 그들이 우리와 협정을 체결해

야 한다”고 발언해, 미국보다 상대국

들이 더 절박하다는 인식을 드러냈

다. https://thanhnien.vn/ lo-dien-nuoc-dau-tiendat-thoa-thuan-thuongmai-voi-my-ong-trump-sapcong-bo-185250508101643408. htm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니 니- 번역

5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대국

인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중국 수입품에 대한 145% 관세

를 철회할 의향이 있는지 기자들의

질문에 “아니요”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 협

상 대표가 스위스에서 허리펑 중국

부총리를 만나 무역 및 경제 문제를

논의하기 전에 나왔다.

5월 7일, 중국은 미국 측이 이 회동을

요청했으며, 베이징은 협상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에 “강력

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이 중국

과 무역 협상을 시작했다는 것을 부

인했고, 워싱턴의 촉구로 협상이 시

작되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기록

을 다시 살펴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은 무역 분야에

서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이 심화되

고 있으며, 관세 인하에 대한 실행 가 능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두 나라 가 직면한 어려운 길을 강조하고 있 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인하에 대한 구체적인 기간을 밝히지 않았지만, 중국과의 모든 거래는 “공정해야” 한 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중국의 최 근 성명 중 일부를 “긍정적”이라고 칭 찬하며 양측이 향후 무역 협상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최 대 145%의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은 즉각 미국 수입품에 125% 관세를 부 과하며 보복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시장은 혼란에 빠졌고, 많은 미 국인이 의존하는 의류와 장난감 등 제조 장비와 저렴한 제품의 가격이 급등할 위기에 처했다. 현재 상황은 양측 모두 무역 긴장을 완화할 기회를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 주지만, 구체적인 합의에 도달하기까 지는 아직 극복해야 할 많은 장애물 이 있다.

https://vtcnews.vn/my-khonggiam-thue-de-khoi-dong-damphan-voi-trung-quoc-ar942081. html

라이프플라자/ 반히엔대학 인턴 기자 이엔니–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러,휴전 발효 우크라이나

러시아가 선언한 3일간의 휴전이 5월

8일(목) 아침부터 발효되면서, 여러

날 밤 공습을 견뎌낸 우크라이나 주

요 도시들에 평온한 하늘이 찾아왔다

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공군은 러시아가

북부의 수미(Sumy) 지역에 유도폭

탄을 두 차례 투하했다고 밝혔으며,

피해 상황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공군이

보고한 두 건의 유도폭탄 투하 외에

는, 5월 8일 새벽 러시아가 우크라이

나 도시들에 무인기나 장거리 미사일

을 발사했다는 추가적인 보고는 없었

다고 한다.

현지 시간 기준 이날 새벽, 수도 키

이우(Kyiv)는 매우 조용했으며, 이는

24시간 전 러시아의 공습과 우크라

이나의 방공 사격으로 폭발음이 가득

했던 상황과는 대조적이었다.

현재로서는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

군 간의 최전선에서 전투가 일시적으

로 중단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로이

터 통신은 우크라이나 동부 최전선

인근에 위치한 한 목격자의 말을 인

용해, 5월 8일(목) 아침에는 전투 소

리를 듣지 못했다고 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

통령은 5월 7일, 자국은 러시아와의

분쟁 속에서 제안한 30일간의 휴전안

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야간에 공개한 영상 연설에서 “

우리는 이 제안을 철회하지 않았으

며, 이는 외교적 기회를 열 수 있다”

고 강조했다.

러시아의 이번 휴전은 제2차 세계대

전에서의 나치 독일 승전 80주년 기

념일과 맞물려, 현지 시각 자정에 발

효되었다.

이번 기념행사와 관련해, 블라디미

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시진핑 중 국 국가주석 및 여러 국가 지도자들

을 모스크바에 초청할 예정이며, 5월 9일에는 붉은광장에서 열병식을 진 행할 예정이다.

https://vtcnews.vn/lenh-ngungban-co-hieu-luc-cac-thanh-phoukraine-yen-tinh-ar942131.html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 유- 번역

5월 7일 오후(현지 시간), 응우옌 꽝

응옥 중장(베트남 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은 붉은 광장에서 열리는

열병식에 참가하는 베트남 대표단을

방문해 격려했다.

응우옌 반 탄 소장(육군사관학교 부 교장 겸 대표단장)으로부터 대표단

장병들의 숙소 및 훈련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응우옌 꽝 응옥 중장

은 각 장병들을 따뜻하게 위로하고,

낯선 기후와 시차 등으로 인한 어려

움에 공감하며 격려의 말을 전했다.

응우옌 꽝 응옥 중장은 지난 기간 동

안 특히 5월 7일 오전에 진행된 붉은

광장 열병식 리허설에서 보여준 장병

들의 노력과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5

월 9일 열병식 본 행사에 참가하는 대

표단장, 훈련 교관, 지원 인력 및 전

장병들이 단결된 모습으로 지금까지

의 성과를 이어가며 계속해서 훈련

에 매진해, 붉은 광장에서 당당히 행

진함으로써 영웅적인 베트남 인민군

의 전통에 걸맞은 모습을 보여줄 것

을 당부했다.

그는 또한 베트남이 최근 호찌민시에

서 4월 30일 남부 해방 50주년 기념

식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사실을 언

급하며, 장병들이 러시아에서 호찌민

부대의 아름다운 본질과 정신을 더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강조 했다.

같은 날 오후, 짠 푸 투언 러시아 베 트남인협회 상임부회장 겸 사무총장

거주

교민사회의 따뜻한 마음을 담 은 작은 선물을 전달했다.

푸 투안 부회장은 “5월 9일 붉은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최근 며칠간 러시아 내 베 트남 교민사회가 장병들의 훈련과 준 비 과정을 관심 있게 지켜보며 전폭 적인 신뢰를 보내왔다고 밝히며, 이 날 전달한 작은 선물들이 장병들이 러시아라는 아름다운 나라에서 보내 는 짧은 시간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 는 소중한 추억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앞서 5월 7일 오전, 베트남 인민군 소 속 68명의 장병들은 붉은 광장에서 열린 열병식 최종 리허설에 참가했 다. 러시아에 거주하는 많은 베트남 교민들이 광장 인근에 모여 장병들에 게 응원과 격려를

마음을 전했다. https://vtcnews.vn/doan-vietnam-san-sang-cho-le-duyetbinh-tren-quang-truong-doar942126.html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하 은- 번역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