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하노이시 공안청 산하 경제범죄수사
과(PC03)는 최근 조직적으로 활동하
며 대규모 전자담배를 밀매한 조직
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수사 초기 단
계에서 공안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14명을 ‘금지된 물품 유통’ 혐의로 형
사입건했다고 전했다.
이번 사건에서 핵심 피의자로 지목
된 인물은 푸엉티미 외 14명이다.
초기 수사에 따르면, 이들은 중국 내
밀수조직과 연계해 전자담배 제품을
다량 구매한 후, 다양한 수단을 동원
해 불법으로 베트남으로 반입한 것
으로 나타났다. 하노이에 도착한 제
품은 은밀한 창고에 보관된 뒤 하위
대리점으로 유통됐다고 설명했다.
푸엉티미 일당은 단속을 피하기 위
해 정기적으로 집결지를 변경하고, 다양한 교통수단을 사용했으며, 시내
의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 창고를
이용해 제품을 은폐하는 등 교묘한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
품 유통은 대부분 SNS를 통해 이뤄
졌으며, 거래 직후 흔적을 지우는 방
식으로 이루어졌다고 공안은 전했다.
해당 피의자 14명은 지난 7월 5일, 경
제범죄수사과의 동시 단속을 통해 체
포됐다. 이 과정에서 약 “12만7천개”
의 전자담배 제품이 압수되었으며,
시가로 약 400억 동에 달하는 규모라
고 밝혔다.
하노이시 공안청은 이번 사건과 관련 한 수사를 계속 확대하고 있으며, 추
가적인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https://vtcnews.vn/ha-noi-phaduong-day-thuoc-la-dien-tu-trigia-40-ty-dong-ar956010.html
라이프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
유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최근 호찌민시에서 교통법규를 위반
한 시민들이 경찰서나 은행에 가지
않고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과태료
를 납부할 수 있다는 안내를 받고 놀
라움을 나타내고 있다고 교통경찰이
밝혔다. 실제로 약 70~80%의 위반자
들이 이 같은 온라인 납부 방식을 선 택하고 있어, 시간과 비용을 아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인승 차량을 운전하던 N.V.L 씨는
도로 위 정차 금지 구역에 차량을 멈
춘 혐의로 벤탄 교통경찰대에 의해 단속됐다. 그는 평소처럼 운전면허증
과 차량 등록증 원본을 제출했으나, 경찰은 VNeID 앱을 통해 운전면허
증을 전자앱으로 확인하고, 국가공공
서비스포털에서 온라인으로 과태료
를 납부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이에
대해 L 씨는 “너무 간편하다. 하루 휴
가를 내지 않아도 되니 훨씬 좋다”고
말했다.
껀터시에 거주하는 타인주이 씨도 비
슷한 방식으로 단속됐으며, 교통경찰
의 온라인 납부 안내 덕분에 호찌민
까지 왕복할 필요가 없었다고 전했 다.
과거에는 교통법규 위반 시 경찰서에
직접 방문해 과태료 결정서를 받은 후, 은행에서 납부하고 다시 경찰서
에 가서 서류를 돌려받는 등 번거로
운 절차를 거쳐야 했다. 그러나 현재
는 경찰이 단속 과정에서 VNeID에
운전면허증이 연동되어 있는지를 먼
저 확인하고, 빠르고 간편한 온라인
납부 절차를 안내하고 있다.
각 교통경찰 민원실에는
납
절차를 설명하는 QR 코드가 비치
되어 있으며, 절차 중 어려움이 있는 경우 경찰관이 직접 도와준다고 전했
다.
한 경찰 관계자는, 시민들은 여전히
은행 납부 또는 국가공공서비스포털
을 통한 온라인 납부 중 선택이 가능
하며, VNeID에 연동된 운전면허증
의 경우 전자영수증이 자동으로 시스
템에 반영되어 경찰 측에서 경고 조
치를 해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만약 시민이 VNeID에 면허증을 연
동하지 않았거나 차량이 압수된 경우
에도 동일한 절차로 납부할 수 있으
며, 납부 완료 후에는 면허증을 우체
국을 통해 유료로 수령하거나, 차량
은 직접 방문해 찾아야 한다고 덧붙
였다.
대부분의 민원 담당 경찰은 시민들에
게 온라인 납부를 우선적으로 권장
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의 경우
MoMo, Visa, MasterCard 등 다양 한 결제 수단을 사용해 손쉽게 과태
료를 납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
면, 스마트폰이나 은행 계좌가 없는
고령층은 여전히 오프라인 납부를 선
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thanhnien.vn/nguoi-vipham-bat-ngo-vi-csgt-chi-cachnop-phat-khong-can-den-truso-185250722182403226.htm
라이프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
유 - 번역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안
와르 이브라힘(Anwar Ibrahim) 총
리는 만 18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23.67달러(약 60만 동 상당)의 일회
성 현금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계획은 8월 31일부터 시
행될 예정이며, 2025년 한 해 동안 총
35억5천만 달러 규모의 예산이 투입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번 발표는 오는 7월 26일 수도 쿠
알라룸푸르에서 예정된 반정부 시위
를 앞두고 나왔다. 이번 시위는 물가
상승과 공약 이행 실패를 이유로 안
와르 총리의 사퇴를 촉구하며, 야당
주도로 진행될 예정이며 약 1만~1만
5천 명이 참가할 것으로 경찰은 전망
했다.
안와르 총리는 “여러 대책을 내놨음
에도 불구하고 생활비가 여전히 국민
에게 큰 부담이라는 지적을 받아들이
며, 이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정부가 세수 확대와 생산
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
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는 최저임금
인상, 대용량 전기 소비자 대상 전기
요금 인상, 판매 및 서비스세 확대 등
이 포함된다고 전했다. 이브라힘 총리는 이러한 조치들이 대 기업과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것이 며, 저소득층에는 영향을 최소화하려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 비판 세력은 “이러한 조치가 결국 소비자, 특히 저·중산층에게 부담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편, 정부는 오랜 기간 논의되어온 RON95 휘발유 가격 정책 개편안에 대한 세부 내용을 9월 말까지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편 이후 말레 이시아 국민은 휘발유를 리터당 1.99 링깃(약 1만2300동)으로 구매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현재 가격인 2.05링 깃보다 낮은 수준이다.
안와르 총리는 “외국인은 시장
따라 연료를 구매해야 하며,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강조 했다.
https://vtcnews.vn/chi-phi-sinhhoat-tang-cao-malaysia-hotro-tien-mat-cho-nguoi-danar955976.html
라이프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 유 - 번역
부동산, 매각에 반영되는 세금에 ‘들썩’
베트남 재무부는 부동산 양도소득세(TNCN)를 이익의 20%로 부과하는 방 안을 제안했다. 부득이하게 매입가 및 관련 비용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 보유 기간에 따라 판매가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보유 기간이 2년 미만 인 경우 10%, 2년 이상5년 미만은 6%, 5년 이상10년 미만은 4%, 10년 이상 은 2%다.
TAT 법률사무소의 쯔엉 아잉 뚜(Trương Anh Tú) 대표는, 이번 조치는 기존
의 일괄 2% 과세 방식과 달리 보유 기간에 따른 차등 과세로, 투기 억제 효과 를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는 단순히 보유 기간만으로 투기를
판단하는 것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하며, 개인적 사정으로 단기 보
유 후 매각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흥부엉대학교 짠 비엣 아잉(Trần Việt Anh) 부총장은, 세율이 과도할 경우
시장에 충격을 주고 거래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상속 부
동산에 대해 2% 과세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며, 이는 미국 등 고세율 국가
에서도 시행하지 않는 방식이라며 비판했다. 그는 세금이 최종 구매자에게 전 가되어 부동산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계약서상 낮은 가격을 기재하 고 나머지를 비공식적으로 거래하는 등의 탈세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
적했다.
증권 양도 이익에도 20% 세금 TNCN 법 개정안에 따르면, 증권 및 지분 양도 이익에도 20%의 세율이 제안 되었다. 매입가 및 비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거래 금액의 0.1%를
민당꽝(Minh Đăng Quang) 법률사무소의 쩐 소아(Trần Xoa) 대표는,
범위도 명확히 규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현실적 시세에 과세하지 않도록 신중해야 쯔엉 아잉 뚜 변호사는 보유 기간이 아닌 거래 빈도에 따른 과세, 세 번째 부 동산부터 고세율 적용, 투기지역 및 특정 자산군에 대한 차등 과세, 이익 구간
별 누진세 방식 등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2억 VND 이하 수익은 비과세, 2억10억 VND은 510%, 10억 이상은 15~20% 과세 방식이 보다 공 정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또, 원가 및 비용 증빙을 장려해 탈세 방지와 거래 투명성을 높일 수 있 다고 덧붙였다. 쩐 소아 변호사 역시 2년 미만 보유 시 10% 과세는 과도하며, 다주택자 대상 누진 과세 등의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TNCN 개정안 제15조는 부동산 보유 기간을 개정법 시행일 이후부터 계산하겠다고 규정했으나, 이는 15년 이상 보유한 부동산조차 2년 미만으로 간주되어 과도한 세금이 부과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삭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짠 비엣
https://thanhnien.vn/bat-dong-san-chung-khoan-choang-vithue-185250723225304154.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제4호
베트남 국가기상수문예보센터에 따르면, 7월 23일 밤, 북부 동해상에 위치 한 열대저기압이 제4호 태풍 ‘코마이(코마이, Cỏ May)’로 발달했다. 태풍의 국제 명칭은 베트남이 제안한 것이다. 현재 태풍의 중심 최대 풍속은 시속 6288km(89급), 순간 최대 풍속은 11급으로 측정되었다.
7월 24일 오전 4시 기준, 태풍의 중심은 북위 16.7도, 동경 118.3도 부근의 북동해 동쪽 해상에 위치하고 있다. 태풍은 시속 약 15km로 남동쪽을 향해 이동 중이다.
태풍의 영향으로 북부 동해 동쪽 해상에는 풍속 78급, 태풍 중심 부근은 910 급, 순간풍속은 12급에 달하며, 파고는 4~6m에 이른다. 이 지역은 매우 거센
풍랑 상태로, 해당 해역을 항해 중인 선박은 강풍과, 높은 파도, 천둥·번개,
그리고 회오리바람 등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중부 동해 및 카인호아(Khánh Hòa)에서 럼동(Lâm Đồng)에 이르는
해역에는 남서풍이 6급, 돌풍은 78급으로 불고 있으며, 파도는 23.5m에 이
르고 있다. 북부만(Vịnh Bắc Bộ)과 동해 북부 및 중부 지역(호앙사 군도 포
함)에는 비와 뇌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북부 동해 동쪽 해상에는 폭풍성
강수도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뇌우 지역에는 회오리바람과 강풍이 동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7월 24일 밤에는 남꽝찌(Quảng Trị)에서 꽝응아이(Quảng Ngãi) 해
역에 걸쳐 비와 뇌우가 예상된다.
기상청은 앞으로 2472시간 동안 태풍이 시속 1015km로 동남동 방향으로 이 동할 것으로 내다봤다. 7월 24일 16시경에는 북위 16.3도, 동경 119.3도 부 근의 북동해 동쪽 해상에 위치할 것으로 예보되었으며, 중심 풍속은 9~10급, 순간풍속은 12급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법무법인(유) 한별은 2004년 설립이후 그동안 축적된 경험,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문화된 법률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심연와 구성원 변호사
연락처: 010 4193 1485
이메일: wah1248@hanbl.co.kr
사이트: www.hanbl.co.kr
주소: 06234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24, 6·7층 (역삼동, 삼원타워)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호치민시 사회보험청은 최근 사회보험 및 건강보험 시행과 관련한 방안을 담
은 건의서를 호치민시 당위원회에 제출하였다.
시민의 권익 보장을 위해, 호치민시 사회보험청은 행정구역 통합 이전의 3개
지역에서 적용되었던 최고 수준의 지원 정책을 토대로 새로운 결의안을 마련 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호치민시 사회보험청은 퇴직자나 국가예산으
로 지원받는 대상이 아닌 만 60세 이상 만 75세 미만의 시민에게 건강보험료
를 100%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생과 대학생에게는 건강보험료의 20%를 추가 지원하고, 빈곤층에 가까
운 가구 및 최근 3년 내 빈곤에서 벗어난 가구는 건강보험료 전액을 지원한
다. 실업급여 수급 기간이 종료된 후 취업하지 못한 자에게는 12개월간 건강 보험료 100%를 지원한다. 중증 질환자, 경증 장애인, 고아에게는 일부 지원 이 이루어진다. 이전의 3개 지역에서는 자발적 사회보험 및 지역 치안 유지 관련 대상자에게 건강보험료와 자발적 사회보험료를 전액 지원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정책을 계속 유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자발적 사회보험
료는 빈곤가구에는 30%, 차상위 가구에는 25%를 추가 지원한다. 현재 행정 구역 통합 이후에도, 호치민시는 여전히 옛 지역별로
구(舊) 지역의 경우, 껀저(Cần Giờ)군에 거주하는 만
자가 사망한 아동, 중증 질환자, 6세부터 16세까지의 경증 장애 아동에게도 지원이 이루어진다. 빈곤가정의 학생에게는 건강보험료의 70%를 지원한다. 바리아-붕따우(Bà Rịa - Vũng Tàu) 구 지역의 경우, 만 65세 이상의 시민, 20222025년 사이 빈곤에서 벗어난 시민, 20202021학년도부터 학생과 대학 생에게 건강보험료의 50%를 지원하였다.
빈즈엉(Bình Dương) 구 지역은 만 70세 이상의 시민, 실업급여 종료 후 미 취업 노동자, 최근 2년 내 빈곤에서 벗어난 자, 소수민족 주민에게 건강보험 료 전액을 지원하였다.
호치민시 사회보험청은 건강보험 가입률이 낮은 일부 집단, 예를 들어 건강 보험 가입률이 80% 이하인 일부 대학의 학생, 91,607명이 등록된 화교(華 僑) 사회 내 약 40만 명의 미가입자 등을 대상으로 건강보험 가입을 독려하고 홍보 활동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정책은 연말에 열리는 호치민시 인민의회(HĐND) 회의에서 상정될 예정이다. 호치민시는 2025년 말까지 전체 노동력의 57%가 사회보 험에 가입하고, 전체 인구의 95%가 건강보험에 가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ttps://thanhnien.vn/bhxh-tphcm-de-xuat-mien-phi-bao-hiem-y-techo-nguoi-tu-60-tuoi-185250723174445141.
라이프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서윤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들이 강선우 전 여성
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두고 시각차를 드러내면서 당심을 얻으려 는 이들간의 경쟁이 더욱 달아오르는 모습이다.
공개적으로 강 전 후보자 사퇴를 촉구했던 박찬대 후보는 이른바 ‘명심’(明
心·이 대통령의 의중)과의 접점을 강조한 반면, 강 전 후보자를 엄호했던 정
청래 후보는 강 후보자를 위로하며 당원을 결집할 목소리를 내는 데 힘을 쏟
았다.
박 후보는 24일 YTN 라디오에서 강 전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하기 전 대통
령실과 사전 조율을 거쳤느냐는 질문에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는 어
떤 것도 해야 하겠다고 하는 그 부분에 있어서 많은 부분이 일치됐다”고 답 했다.
대통령실과 사전에 구체적인 논의를 거치지는 않았지만, 인사권자인 이 대통
령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총대를 메고 강 전 후보자의 사퇴를 이끌었다는 취 지다.
다만 박 후보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퇴 요구 17분 후에 그런 (사퇴)
발표가 있을 줄은 전혀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앞서 박 후보는 전날 민주당 의원 가운데 처음으로 강 전 후보자의 사퇴를 공 개 요구했다. 그로부터 17분 뒤 강 전 후보자가 전격 사퇴를 선언하면서 당
일각에서는 친명계 핵심인 박 후보와 대통령실 간 모종의 조율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박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검찰과거사위원회법을 제정해 현재 재판 중인
이 대통령 사건 공소 취소를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사건 조작·검찰권 남용이 확인된 사건은 아예 공소를 취소하게 해서
피해자를 확실하게 구제하겠다”며 “대통령에 대한 정치 검찰의 조작 수사가
사실로 확인된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도 예외 없이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전 후보자와는 다른 사안이지만 대통령과의 관계를 재차 부각할 만한 정
책 이슈를 소재로 당원들의 지지를 호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헬로 아카이브 구매하기
박찬대 의원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인 박찬대 의원이 24 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검찰개혁 등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 다. 2025.7.24 pdj6635@yna.co.kr
정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동지란 이겨도 함께 이기고 져도 함께 지는 것. 비가 오면 비를 함께 맞아 주는 것”이라며 “인간 강선우를 인간적으로 위로 한다”고 적었다.
정 후보는 강 전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의혹이 불거졌을 때도 공개적으로 그
를 엄호한 바 있다. 그는 이어 “아무리 어려워도 오직 당원, 당심만 믿고 간다”며 “국민 이기는
정권 없고, 당원 이기는 정당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야권을 겨냥해 선명한 메시지를 내면서 권리당원 표심에 더욱 호 소하는 모습이다. 정 후보는 “내란 척결의 훼방꾼들은 또 하나의 내란동조 세 력일 뿐”이라며 “내란특별재판부를 반드시 도입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강 전 후보자에 관한 두 당권주자의 시각차를 두고 당내 반응도 엇갈렸다. 이날 당에서는 “박 후보가 민주당과 대통령을 위해 먼저 욕받이를 자처했 다”(안태준 의원), “대통령이나 대통령실이 하기 어려운 궂은일, 지저분한 일 을 대신하겠다는 명확한 방향성을 보여줬다”(장철민 의원)는 반응이 나왔다. 반면 강 전 후보자가 현역 의원 최초로 인사 청문 과정에서 낙마하며 결과적 으로 민주당이 정권 초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 재선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박 후보의 행동은 대통령을 위해서 악 역을 맡겠다는 취지로 보이지만, 그보다는 왜 우리 편을 지키지 못했냐는 측 면이 더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후보 측 관계자는 “사퇴 요구 이후 박 후보에게 실망했다는 지적이 나오면 서 오히려 박 후보 측 지지층이 쪼개져서 싸우는 상황”이라고 평가하기도 했 다. 강 전 후보자가
두 후보는 오는 27일 당이 주최하는 2차 방송 토론회에서 맞붙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24094600001
1990년대 초, 베트남 정부는동남부 지역 주요 항만들이 대형 선박 접안과 과 밀한 연결 인프라 문제에 직면하자 심해항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했다. 그 중 카이멥-티바이(Cái Mép - Thị Vải) 항만군은 깊고 넓은 강 수심, 침적이 적은 지형, 남중국해 국제 항로와의 인접성 등 지리적 장점을 기반으로 중점 개발됐다.
2009년, 이 항만군은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으며, 정부가 승인한 항만개발 5호 계획에 따라 남부지역의 국제 관문항으로 지정되었다. 운영 첫 해에는 유
럽과 미주에서 출발한 8만 DWT급 컨테이너선이 입항하며, 베트남 사상 처음 으로 싱가포르나 홍콩 등 중계항 없이 직항 노선을 개통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카이멥-티바이는 베트남 최대 규모의 심해항이자 전국 물류 시스템의 전략적 거점으로 평가된다. 호찌민에서 약 60km, 붕따우 조타소에서 18해
리 떨어진 이 항만은 동남부 산업 벨트의 핵심 위치에 있으며, 푸미3, 미쑤언 B1, 롱선, 쩌우득 등 주요 산업단지 및 동나이성, 빈즈엉성, 호찌민시와 긴밀 히 연결돼 있다.
항만군에는 현재 총 24개 프로젝트가 운영 중이며, 투자 총액은 5조5천억 동 (한화 약 3조원 이상)에 달한다. 이 중 6개의 컨테이너 부두는 연간 830만 TEU의 처리 능력을 갖췄고, 2024년 총 화물 물동량은 약 1억5천2백만 톤으 로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의 약 34% 를 차지했다. 전체 해상 수출입 화물의 약 70% 가 이 항만을 통해 통관되고 있다. 특히, 카이멥-티바이는 최대 21만4천 DWT급 초대형
목을 받고 있다. 2023년에는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중 하나인 OOCL Spain호가 입항하였고, 항만군은 미국행 22개 노선, 유럽행 2개 노선, 아시아 역내 10개 노선을 운영 하며, 이는 2018년 대비 약 3배 증가한 수치다. 같은 해, 카이멥-티바이는 세 계 컨테이너 항만 순위 톱 30위권에 진입했다.
더욱이, 2024년 6월 세계은행(WB)과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S&P Global) 가 공동 발표한 컨테이너 항만 성과지수(CPPI) 에서 카이멥-티바이는 세계 7위에 올랐다. 이 지수는 선박 접 안 시간, 하역 효율성, 디지털화 수준, 운항 선박 규모 등을 종합 평가한 결과 이다.
이 순위는 일본 요코하마항(9위), 홍콩항(15위), 싱가포르항(17위) 을 앞지르 는 성과로, 베트남 항만산업이 글로벌 물류 체계 내 새로운 위상을 확보했음 을 보여준다. 불과 1년 전인 2023년에는 12위였던 것을 감안하면, 단 1년 만 에 5계단 상승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호찌민시가 추진 중인 카이멥하 자유무역지대와 연계하여, 항만의 전략적 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연결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카이멥-티바이와 국가 철도망을 직접 연결하는 철도 노선 개
https://vtcnews.vn/ngam-cang-nuoc-sau-lon-nhat-viet-nam-thuongxuyen-don-sieu-tau-quoc-te-ar955890.html
태국, 국경 지뢰 폭발
7월 23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태국 우본랏차타니(Ubon Ratchathani)주 캄보디아 접경 분
쟁 지역에서 같은 날 오후 지뢰 폭발
사고가 발생해 태국 군인 5명이 부
상이며 이 중 1명은 다리를 절단하는
중상을 입었다.
태국 정부는 성명을 통해 푸탐 위총
리(Phumtham Wechayachai)의
발언을 인용하며, 프놈펜과의 외교
관계 수준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
혔다.
이에 따라 태국군은 ‘짜끄라퐁 푸완 나트(Chakrapong Phuwanart)’ 비
상 대응 계획을 가동했다. 이 계획은 지난 2011년 프레아 비히어(Preah Vihear) 사원을 둘러싼 양국 간 긴장 이 고조되었을 당시 마지막으로 시행 된 바 있다. 이번 계획은 태국 중부 평야를 관할 하는 제1군구와 동북부 지역을 담당 하는 제2군구가 포함된다. https://thanhnien.vn/thai-lantruc-xuat-dai-su-campuchiasau-vu-no-min-moi-o-biengioi-185250724003405538.htm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외정대 인턴 기자 타오 비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월 22
일 백악관에서 “증거는 거기 있다. 그
는 유죄다. 이것은 반역죄”라며 버
락 오바마 전 대통령을 강하게 비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증거를 제
시하지 않은 채, 오바마 전 대통령이
자신과 러시아 간의 연계를 조작해
2016년 대선 캠페인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은 지난 7월 18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 툴시 개버드 (Tulsi Gabbard)의 발언에 근거한
것이다. 당시 개버드는 2016년 오바
마 정부 고위 관리들이 러시아의 대
선 개입 관련 허위 정보를 조작해, 트
럼프 당시 후보를 저지하려는 “반역
적 음모”에 가담했다고 주장하며 관
련 문건들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이달 초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발표한 공식 평
가, 2018년 상원에서 채택된 초당적
보고서, 그리고 개버드 국장 본인이
해제한 일부 정보들과는 상반된 내용 이다.
https://thanhnien.vn/ong-trumpkeu-goi-dieu-tra-cuu-tongthong-obama-ve-cao-buoc-phanquoc-18525072322505619.htm
라이프플라자/ 호치민시 외정대 인턴
기자 타오 비 - 번역
전명훈 기자 = 전격적으로 이뤄진 미
국과 일본의 무역 합의가 한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의 대미 관세 협상 시계도
앞당길지 주목된다.
아직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하기 전
인 아시아 국가들이 기존에 통보받은 고율 관세 부과 시점인 내달 1일 이전
에 이번 미일 합의 수준의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가속도를 붙일 가능성이
거론된다.
실제 미국과 아시아 국가들의 협상이
연쇄적으로 타결될 경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전쟁의 ‘강공법’
이 나름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분석
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영국 BBC방송은 23일(현지시간) 미국
과 일본이 체결한 관세 합의를 분석하
면서 “아시아의 주요 (대미) 수출국 입
장에서는, 8월 1일 이전에 이번 미일 합
의보다 더 나은 합의를 타결해야 한다
는 압박이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일본산 제품에 부과
하기로 한 ‘15% 관세’에 대해 “한국, 대
만 등 대미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국가
에는 기준점”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산업·수출 구조가 일본과 유사
한 한국은 미국 시장 내 주도권을 놓고
일본과 치열한 경쟁을 계속하고 있다.
BBC는 한국과 일본이 철강·자동차 분
야에서 경쟁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런 면에서 이번 미일 합의는 중요한
기준선이 될 수밖에 없다.
이번 합의 결과 일본은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27.5%에서 15%로 낮췄다. 한
자동차에만 기존대로
한국 협상단은 관세율을
일본도
25%에서 15%를 낮추는 조건으로 5천500억 달 러(약 759조원) 규모의 대미(對美) 투 자를 약속한 바 있다.그러나 아시아 국 가들이 모두 이런 대규모 투자를 약속 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BBC는 아직 미국과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아시아 국가 가운데 캄보디아, 라 오스, 스리랑카 등은 자국 경제 사정 등 을 고려할 때 미국 내 투자를 협상 조건 으로 내세우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마커스 국장은 “유럽연합(EU)도 15% 가 최선으로 보이고, 다른 아시아 국가 들은 19~20%로 합의를 타결했다”며 “ 일본처럼 미국을 놀라게 할 수 없는 국 가는 그 정도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일본의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중국
조선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
부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지난 상반기
에 신규 수주시장 점유율에서 세계 1
위를 유지했으나, 점유율 하락은 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중국매체 국제선박망 등에 따
르면 중국선박공업업계협회는 상반 기 중국의 신규 수주물량 시장 점유
율이 68.3%로, 전년 동기 74.7%보다
내려왔다고 밝혔다. 신규 수주물량
은 전년 동기 대비 18.2% 감소한 4천 433만 중량이었다.
중국의 상반기 선박 완공량은 전년
동기 대비 3.5% 줄어든 2천413만 중
량t으로 시장 점유율은 51.7%였다. 6
월 말 기준 선박 수주 잔고는 전년 동
기 대비 36.7% 증가한 2억3천454만
중량t으로 시장 점유율 64.9%였다.
국제선박망은 “중국 조선업이 이들 3
대 지표상 시장 점유율에서 세계 1위
를 유지했다”고 전했다.
상반기 한국의 신규 수주물량 및 완
공량 시장 점유율(중량t기준)은 각각 21.9%, 26.5%였다. 일본의 경우 두
점유율이 각각 5.7%, 17.6% 수준이
었다.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SCMP)는 중국의 신규 수주물량 점
유율 하락 등과 관련, 선박 구매업체
들이 미국의 규제를 우려하기 때문이
라고 해석했다.
중신증권 산하 선물업체의 우자루 수
석 애널리스트는 “선주들은 유조선
주문 시 신중하게 조선소를 선택한
다”면서 “미국이 원유·액화천연가스
(LNG) 수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10월 중순부터
중국산 선박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할 방침인데, 이는 중국 조선업
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
다는 것이다.
반면 화시증권의 유다오주 애널리스
트는 미국의 입항 수수료 부과에도
불구하고 중국 조선업체들이 비용 효
율성 등을 내세워 안정적 시장 점유 율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http://yna.co.kr/view/ AKR20250724094700009?section=search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부과하기로 한 32%의
고율 관세를 낮추기 위해 미국과 4차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24일 자유시보와 연합보 등 대만언론
에 따르면 라이 총통은 전날 민진당 주
석 자격으로 당 중앙상무위원회에 참
석, 정리쥔 부행정원장(부총리 격)이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측과 4차 실
무회담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라이 총통은 정 행정부원장과 정부 협
상 대표단이 대만과 미국의 경제무역
관계, 양자 상호 이익과 상호 보완을 심
화한다는 원칙을 견지해 협상을 진행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 이익 보호와 산업 이익 수호,
국민 건강 수호 및 식량 안보 확보라는
4대 임무를 완수하길 희망한다고 밝혔
다.
그러면서 대만과 미국의 양자 무역 균
형을 촉진하고 양측이 과학기술과 국
가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한다
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 소식통은 대만 정부 협상 대표단으
로 나선 정 부행정원장이 지난 12일 미
국 측과의 협상을 마치고 귀국한 이후
공개 일정 없이 총통부(대통령실 격), 행정원 고위 관계자, 각 부처 수장과의 회의에
고 전했다. 그는 이번 4차 협상이 내달 1일 상호관 세 부과를 앞두고
협상일 가능성 에 대해서는 협상의 진전 여부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이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를 아시아에서 가장 낮은 15%로 인하한 것은 대만에 대한 압박과 기대를 동시 에 주고 있다고 풀이했다. 한 경제학자는 미일 간의 협상으로 결 정된 상호관세의 세율이 대만과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 대한 기준 및 협상 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했다고 설명 했다.
이어 미국이 시장개방과 투자에 관심 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 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일본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췄다면서 대만도 일본처럼 반도체 관세에 대해 혜택을 받을 수 있 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른 경제학자는 대만이 미국과의 관 세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정부 “北대남방송 재개되면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정부는 작년 초 북한의 대남 선전방송이 중 단된 데 따라 우리도 대북방송을 중단했다며, 북한이 재개하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3일 취재진과 만나 국가정보원이 최근 대북 라디오·TV 송출을 중단한 데 대해 “북한이 선제 조치를 취해서 우리도 조치한 것”이라 며 “상대가 (대남방송을) 재개하면 대응하겠지만 우리가 먼저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달 들어 국정원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민의 소리, 희망의 메아리, 자 유FM, 케이뉴스, 자유코리아방송 등 대북 라디오 방송과 대북 TV 방송 송출
이 순차적으로 중단됐다.
이는 북한이 작년 1월 통일의 메아리와 평양방송, 평양FM 등 대남 방송 송
출을 중단한 데 따른 대응 조치라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앞서 대북 소
식통도 연합뉴스에 같은 취지로 설명한 바 있다.
북한은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선언한 뒤 통일·동
족 개념을 사회 전반에서 지웠고, 그 일환으로 대남 방송도 중단했다.
그동안 북한이 한국의 대북방송을 방해할 목적으로 송출하던 전파 10여개가 22일 밤 10시를 기해 중단돼, 지금은 2∼3개만 남았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국정원의 대북 방송 송출이 모두 중단된 후에도 북한의 방해전파는 일주일
이지만, 북한인권 단체들에서는 이재명 정부가 남북 간 화해 분위기 조성을
위해 북한 주민에 대한 정보 제공을 포기했다며 비판하고 있다.
정부는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하고 민간의 대북 전단 살포도 말리는
등 긴장 완화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렇지만 정부도 북한이 당장 대화에 응하리라고 기대하지는 않고 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담은 쌓고 있지만 대화에 응할 가능성은 있다고 판단한
다”면서도 “그러나, 쉽게 대화에 나오지는 않을 것이고 당장은 아닐 것”이라
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남북 대화를) 급하게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하고 우발적 충돌을 막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미국이 확실한 메시지를 발신해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보 인다”고 밝혔다.
한편 국정원 기조실장에 이어 감찰실장까지 진보 성향의 민주사회를위한변 호사모임 출신 변호사를 발탁한 데 대해 이 관계자는 “우연의 일치”라고 말 했다.
그는 “투명성 강화 차원에서 (감찰실장에) 외부 인사를 모신 것”이라며 “과거 잘잘못을 밝히기 위한 것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조만간 국정원 에 2∼3급 인사가 있는데. 이에 맞춰 감찰실장 인사를 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과거 국정원에서 1급 전원을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미국 보잉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전쟁에서 계속해서 수혜를 보고 있다.
협상 상대국이 보잉사 항공기 구매를 협상 카드로 제시하면서다.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관세 협상에서 양보하면서
보잉이 글로벌 계약을 따내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 다.
백악관은 일본이 22일 미국과 무역 합의를 하면서 보잉 항공기 100대를 구
매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보잉 항공기 구매에 나선 것은 일본만이 아니다. 앞서 체결된 영국과 인도네
시아의 무역 합의에도 보잉 항공기를 주문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앞으로 체결될 미국과 중국 간 장기 무역 협정에도 비슷한 합의가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인도 역시 협상 카드로 보잉 항공기 주문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와 체결 한 경제협력 합의에도 보잉기 구매가 포함됐다. CFRA 리서치의 애널리스트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사 중 하나인 보잉이 따낼 수
특히 유용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짚었다.
밀러 애널리스트는 “항공기 구매는 비싼 가격 때문에 무역 통계를 빠르게 변 화시킬 방법”이라며 “보잉은 점점 더 미국의 수출 수단으로서 기본 선택지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일련의 계약은 보잉의 주가 회복을 돕고 있다. 상호관세 발표와 부진한 실적, 대(對)중국 납품 중단 등으로 주가가 폭락했던 4월 이후 보잉 주가는
70% 상승했다.
다만 보잉 항공기 주문이 외교 카드로 이용된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고 악 시오스는 지적했다. 일례로 2011년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가 200여대의 보잉 항공기를 구매하기로 한 뒤 “틀리지 않다면 보잉이 체결 한 최대 규모의 거래”라며 자랑하기도 했다.
악시오스는 “항공기 품질 문제와 법적 문제, 무역 장벽 등으로 사업상·규제상 재앙으로 어려움을 겪던 회사로서는 결정적인 전환”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이 같은 상황이 조성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보잉을 꼭 좋 아해서라기보다는 보잉이 그에게 유용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2409550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