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Page 1


외교부·경찰청·소방청,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해외에서 발

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 예방 및 위기

상황 대처 방법을 알리고, 정부의 해

외안전 지원제도를 홍보하기 위해 제

5회 ‘해외에서 겪은 사건사고 경험담

공모전(이하 ‘공모전’)’을 공동으로 개

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3월 14일(금)부터 5

월 18일(일)까지 66일 동안 진행되

며, 응모작을 대상으로 1·2차 심사를

거쳐 총 16편의 수상작을 선정할 예 정이다. 시상식은 7월 9일(수) 외교부

에서 개최된다.

지난해 공모전 대상작인「까망콩싹

의 전신마비 이야기」는 해외에서 사

고로 전신이 마비된 후 재외공관과

영사협력원의 도움으로 무사 귀국한

사례를 영상으로 풀어내어 국민들의

공감과 응원을 이끌어냈다.

※ “단 1초만에 전신마비가 된 까망

콩싹(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채널)” 유

튜브 조회수 147만 회(3.11. 기준) 기

록 및 각종 언론보도

이번 공모전은 ▴동영상 ▴인스타툰

(10컷 이내 만화) ▴수기(사진 포함)

의 3개 부문에서 응모작을 접수하며, 국내외 거주하는 우리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주제는 해외에서 겪

은 사건사고 경험 관련 ▵해외 안전

여행 팁 ▵해외여행 위험 대처요령 ▵

영사조력을 받은 경험이다.

※ 해외에서 위급상황 시 우리 대사

관이나 총영사관 또는 영사콜센터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나, 응급의료상담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 등

이번 공모전의 통합 대상 수상자에

게는 외교부장관상과 부상이, 응모

부문별 최우수상·우수상·장려상 수상

자에게는 경찰청장상 또는 소방청장

상과 부상이 수여된다. 또한, 우수 작

품들은 재외공관, 공공기관과 교육기 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 해 해외안전여행 홍보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이번 공모

전 공동 개최를 통해 해외 사건사고

예방 및 대처 방법에 대한 국민의 이

해도를 높이고, ‘원팀’으로서 재외국

민 보호망을 더욱 촘촘히 하는 계기

로 삼을 계획이다. 앞으로도 세 부처

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해외에서의

우리 국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번 공모전 응모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외교부(www.mofa.go.kr), 경찰청(www.police.go.kr) 및 소방 청(www.nfa.go.kr) 누리집에서 확

인할 수 있다.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VTC 뉴스】백악관은 세계 양대 경

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이 무역 문제

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11일 밝 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

무장관은 협상 종료 후 기자들에게 “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이 중요한

진전을 이뤘으며, 구체적인 합의 내

용은 12일 오전(현지시간) 발표될 예

정”이라고 전했다.

같은 날, 허리펑(He Lifeng) 중국 국

무원 부총리 역시 “미중 무역 협상이

상당한 진전을 이뤘고, 주요한 공감

대를 형성했다”라고 밝혔다.

허 부총리는 “양국은 무역 및 경제 문

제에 대한 협의 메커니즘을 구축하기

로 했으며, 각각의 대표자를 지정해

향후 미국이 관심을 갖는 사안들에

대해 추가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중국의 입

장은 분명하고 일관되며, 무역 전쟁

을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허 부총리는 “무역 전쟁은 승자가 없

는 싸움이다. 우리는 싸움을 원하지

않지만, 만약 미국이 이를 강요한다

면 중국은 두려워하지 않고 끝까지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청장(Li Chengzhang) 중국 측 무

역 협상대표는 “이번 협상은 매우 효

과적으로 진행됐으며, 양측이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제대로 해결하는

데 첫걸음을 뗐다”라고 평가했다.

리 대표는 “중국은 항상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무역 및 경제 협

상에 임해왔으며, 향후 체결될 어떤

합의도 중국의 발전 이익에 부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협상 분위기

에 대해서도 “상호 존중의 자세가 있

었다”라고 전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

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중국과의 협상이 매

우 잘 진행됐다. 많은 사안에서 논의

와 합의가 있었으며, 양국 간 무역 관

계가 우호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

로 재정립되고 있다”고 전하며, “미 국 기업에 중국 시장을 개방하는 것

이 양국 모두의 이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vtcnews.vn/nha-trangmy-da-dat-thoa-thuan-thuongmai-voi-trung-quoc-ar942710. html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니

니- 번역

5월 10일 정오, 러시아를 공식 방문

중인 토럼 총서기는 블라디미르 푸

틴 러시아 연방 대통령과 회담을 가

졌다.

이번 회담은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

궁에서 열렸으며, 토럼 총서기의 러

시아 공식 방문과 제2차 세계대전 승

전 80주년 기념행사 참석 일정의 일

환으로 진행됐다.

회담 직후, 토럼 총서기와 블라디미

르 푸틴 대통령은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언론에 입장을 밝혔다.

토럼 총서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 아 대통령과 단독 회담 https://thanhnien.vn/tongbi-thu-to-lam-hoi-dam-voitong-thong-nga-vladimir-putin-185250510210038497.htm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유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

통령은 5월 15일 터키에서 블라디미

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기다릴 것

이라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크렘린궁의 직접

대화 제안을 우크라이나가 즉각 수용

할 것을 공개 촉구한 이후 나온 발언

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

스 X(엑스)를 통해 “나는 목요일, 터

키에서 푸틴 대통령을 기다릴 것이

다. 직접 대면하겠다... 이번에는 러

시아 측이 회피하지 않기를 바란다”

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

령의 이번 발표는 지난 48시간 동안

유럽 지도자들이 일제히 5월 12일부

터 시작되는 30일간의 휴전을 촉구하

는 가운데 나왔다. 같은 기간 푸틴 대

통령은 예상치 못하게 TV 연설을 통

해 5월 15일 이스탄불에서 양국 간

첫 직접 대화를 제안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이 실제로 회담에 직접 참석할

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크렘린궁의 제안은 유럽 주요국들

이 키이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

령에게 “30일간의 무조건적인 휴전”

을 수용할 것을 촉구하며, 그렇지 않

을 경우 더욱 강력한

푸틴 대통령은 연설에서 “무조건적인

직접 협상”을 제안했지만, 직후 유리

우샤코프 대통령 보좌관은 “협상은

2022년 평화 협정 초안과 현재의 실

질적인 정세를 기반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서방과 우크라이나의

휴전 요구 형식의 ‘최후통첩’을 일축

하며, 러시아 외무부는 휴전에 앞서

이번 전쟁의 근본 원인에 대한 논의

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AFP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의 직접 회담 의사를

밝힌 것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SNS 게시글 이후 나온 반응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푸틴

대통령은 휴전 합의를 원하지 않고,

이번 목요일 터키에서 직접 만나 피

를 흘리는 사태를 끝내기 위한 협상

을 하기를 원한다. 우크라이나는 이

를 즉시 수용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러시아는 젤렌스키 대통령

의 이번 제안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

을 내놓지 않고 있다. https://thanhnien.vn/ ong-zelensky-muongap-truc-tiep-ong-putinngay-155-185250512072007959. htm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카타

르 왕실로부터 보잉 747 항공기를 기

증받아 이를 예비에어포스원으로 활

용할 예정이다.

ABC 뉴스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

해, 카타르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증

정할 선물이 다음 주 공식 발표될 예

정이라고 보도했다. 보잉 747 항공기

의 가치는 약 4억 달러에 이르며, 이

금액에는 미군의 개조 비용은 포함되

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번 보잉 747 기증은 외국 정부가

미국에 기증한 선물 중에서 역사상

가장 귀중한 선물이 될 가능성이 있

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플로

리다주 웨스트 팜 비치 공항에 주차

된 카타르 왕실의 전용기 보잉 747-8

모델을 직접 둘러보았다.

백악관 및 법무부 관계자들에 따르

면, 해당 항공기 기증은 법적으로 허

용되며, 단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종 료 전까지 항공기의 소유권은 트럼프

대통령 도서관 재단으로 이전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은- 번역 미국 정부는 해당 보잉 747 항공기에 스파이장비를 점검하고, 이를

에어포스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미 군은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동안 사 용할 수 있도록 기준에 맞춰 장비를 설치하고 개조 작업을 진행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보잉 747 개조 작업은 텍사스에 본사를 둔 방 산업체 L3해리스가 맡았다. 백악관과 카타르 정부는 이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백악관은 노후화된 기존 에어포스원 항공기를 대체하기 위한 방안을 추 진 중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고비 용을 이유로 차세대 에어포스원 계약 취소를 시사했으며, 이후 공군은 파 산한 러시아 항공사의 보잉 747을 구 매해 개조하기로 했다. https://vtcnews.vn/qatar-tangong-trump-may-bay-boeing-747ar942709.html#google_vignette 라이플라자/ UEF대 인턴 기자 지 민-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핵심광물 확보 위해 12개국과 기술협

국제포럼 개최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핵심 광물 공급망 확대를 위해 호주, 캐나

다, 아프리카 등 12개국이 한국과 기

술협력 등을 논의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2일부터 이

틀간 서울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2025 핵심광물 국제포럼’을 연다고

밝혔다.

지질연과 산업부, 외교부가 공동 주 관한 이번 포럼은 핵심광물 관련 정

책과 기술, 투자 전략을 공유하고 국

제공동연구 협력 기반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참여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

스탄, 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 나

이지리아, 몽골, 베트남, 인도네시아

와 함께 올해는 키르기스스탄, 타지 키스탄, 호주, 캐나다 등이 추가돼 총

12개국 장차관급 고위인사와 핵심광

물 기관, 기업 대표단 등이 참여했다.

포럼 첫날에는 다니엘 프랭크스 유엔 (UN) 사무총장 에너지전환 핵심광물

패널 고문과 올루벵가 오쿤롤라 아프

리카 지질학회장이 기조강연했다.

또 지질연 보유 광물자원 기술 및 국

내 핵심광물 연구현황을 소개하고 이

분야 선진국인 호주·캐나다와 기술협

력 세션을 통해 협력 가능성도 논의

했다.

둘째 날에는 펜타 데헨 우두 에티오

피아 도시인프라부 장관이 기조연설

하며 포럼 참석 국가들이 자국 핵심

광물 현황과 공동연구 등 협력 수요

를 발표한다.

지질연은 포럼기간 아프리카연합광

물개발센터와 탄자니아 지질조사소

등과 핵심광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을 맺는다.

또 각국과 미팅 및 국가별 기업체 간

담회도 열어 공급망 협력 및 민간기

업 해외 진출도 모색한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세계적 수준

의 지질연 광물자원 전주기 기술을

바탕으로 제련 및 소재화의 중간산업 기술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2030 글

로벌 핵심광물 신공급망’ 구축을 선

https://www.yna.co.kr/view/ AKR20250512075500017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도

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

책을 계기로 미국 금융 시장을 빠져

나간 투자 자금이 대거 일본에 유입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재무성이 12일 발표한 ‘대내외

증권 매매 계약’ 집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중 해외 투자자의 일본 주식·채 권 순매수액(단기채권은 제외)은 8조

2천130억엔(약 79조원)에 달했다.

이는 통계가 있는 2005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로, 종전 최대인 2023년 4

월의 6조엔대도 크게 뛰어넘는 수준

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전했다.

닛케이는 일본 자산에 해외투자자의 자금이 몰린 배경으로 트럼프 대통령 의 관세 정책과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에 대한 압박으로 미국 자산에 대한 매도세가 확대된 점을 꼽았다. 이와 관련해 자산운용사인 미쓰이스 미토모트러스트애셋매니지먼트 전략 가는 “미국 (금융) 시장이 혼란해진 가운데 안전자산으로서 일본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증권 유형별 순매수 규모는 중장기채 가 4조5천371억엔이고 주식·투자펀 드는 3조6천759억엔이었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51207920007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