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경찰청·소방청,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해외에서 발
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 예방 및 위기
상황 대처 방법을 알리고, 정부의 해
외안전 지원제도를 홍보하기 위해 제
5회 ‘해외에서 겪은 사건사고 경험담
공모전(이하 ‘공모전’)’을 공동으로 개
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3월 14일(금)부터 5
월 18일(일)까지 66일 동안 진행되
며, 응모작을 대상으로 1·2차 심사를
거쳐 총 16편의 수상작을 선정할 예 정이다. 시상식은 7월 9일(수) 외교부
에서 개최된다.
지난해 공모전 대상작인「까망콩싹
의 전신마비 이야기」는 해외에서 사
고로 전신이 마비된 후 재외공관과
영사협력원의 도움으로 무사 귀국한
사례를 영상으로 풀어내어 국민들의
공감과 응원을 이끌어냈다.
※ “단 1초만에 전신마비가 된 까망
콩싹(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채널)” 유
튜브 조회수 147만 회(3.11. 기준) 기
록 및 각종 언론보도
이번 공모전은 ▴동영상 ▴인스타툰
(10컷 이내 만화) ▴수기(사진 포함)
의 3개 부문에서 응모작을 접수하며, 국내외 거주하는 우리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주제는 해외에서 겪
은 사건사고 경험 관련 ▵해외 안전
여행 팁 ▵해외여행 위험 대처요령 ▵
영사조력을 받은 경험이다.
※ 해외에서 위급상황 시 우리 대사
관이나 총영사관 또는 영사콜센터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나, 응급의료상담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 등
이번 공모전의 통합 대상 수상자에
게는 외교부장관상과 부상이, 응모
부문별 최우수상·우수상·장려상 수상
자에게는 경찰청장상 또는 소방청장
상과 부상이 수여된다. 또한, 우수 작
품들은 재외공관, 공공기관과 교육기 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 해 해외안전여행 홍보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이번 공모
전 공동 개최를 통해 해외 사건사고
예방 및 대처 방법에 대한 국민의 이
해도를 높이고, ‘원팀’으로서 재외국
민 보호망을 더욱 촘촘히 하는 계기
로 삼을 계획이다. 앞으로도 세 부처
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해외에서의
우리 국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번 공모전 응모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외교부(www.mofa.go.kr), 경찰청(www.police.go.kr) 및 소방 청(www.nfa.go.kr) 누리집에서 확
인할 수 있다.






플라자 데일리 뉴스

‘시리아 국민들의 새로운 시대’의 시작 다마스쿠스에서는 수천 명의 시민들이 움마야드 광장에 몰려나와 이 결정을 축하했다. 불꽃놀이가 밤하늘을 밝히고, 사람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 의 구호를 외치며 SNS를 통해 기쁨을 나눴다.
지역 언론인 쿠사이 누르는 “그는 시리아 국민들의 마음속 영웅입니다. 사람
들은 어제부터 계속 축하하고 있어요. 시리아는 매우 들떠 있습니다”라고 전 했다.
일부 시리아 시민들은 거리에서 직접 촬영한 동영상을 공유하며 불꽃놀이와
환호성이 울려 퍼지는 현장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언급하기도 했다. 미국의 시리아 제재 해제 이후 기쁨과 흥분이 곳곳에 퍼졌다.
프랑스24(France 24)에 따르면, 시리아 국민들은 미국의 제재 해제를 ‘새로
운 시대의 시작’으로 평가했다. 시리아 제2의 도시 알레포에서는 수십 명의
남성, 여성, 어린이들이 시 중심의 사달라 알아자비리 광장에 모여 새로운
시리아 국기를 흔들고 노래를 불렀다.
몇 시간 전 리야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가 오랜 대통령 바샤르 알아 사드가 12월에 축출된 후 재건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제재를 해제 하겠다고 발표했다.
54세의 비누 공장 주인 자인 알자발리는 이 소식을 듣자마자 광장으로 달려 갔다.
“이 제재는
번영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라고 그는 말했 다. 과도정부, 미국 결정에 환영 표명
시리아 외무부는 미국의 결정을 “안정을 가져오고 투자 유치를 가능하게 하 며 국가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주는 결정적인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힌드 카바와트(Hind Kabawat) 과도정부의 사회노동부 장관은 BBC 월드 의 Newshour 프로그램에서 “해방의 날” 이후 줄곧 제재 해제를 요구해왔다 며, 지금이야말로 국가를 재건할 시기라고 밝혔다.
14년간의 전쟁과 고립 끝에 시리아 경제는 심각하게 붕괴되었다. 국내총생 산(GDP)은 약 210억 달러로 줄었으며, 전체 인구의 90% 이상이 빈곤 속에 살아가고 있다. 제재 해제는 시리아가 다시 글로벌 시장에 접근하고 투자 및 국제 원조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준다.
과도정부의 아흐메드 알샤라(Ahmed al-Sharaa) 대통령은 포용적인 정부 수립과 국가 재건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또한 이스라 엘과의 관계 정상화 및 아브라함 협정(Abraham Accords) 참여 의사도 밝 히며, 이는 아직 시리아 정부의 공식 입장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https://vtcnews.vn/nguoi-dan-syria-an-mung-sau-khi-my-do-bolenh-trung-phat-ar943280.htm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진해마을라디오’ 진해역 공사로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진해 주민들이 직접 만드는 마을미디어 ‘진해마을라디오’가 올해 개국 5년차에 접어들어 갑작스럽게 맞은 방송 중단 위기를 가까스로 넘겼다.
마을라디오의 산실 역할을 하던 국가등록문화유산 ‘진해역’에서 보수정비 공
사가 진행된다는 사실을 미리 통보받지 못해 터를 갑자기 옮겨야 할 처지에
놓였지만, 이같은 언론 보도 이후 시가 공사를 당분간 보류하기로 결정해서 다.
15일 창원시와 진해마을라디오 제작단 설명을 종합하면 진해마을라디오는 창원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선보이는 비영리 마을미디어로 2021년 9월 첫 방 송을 시작했다.
개국 이후 현재까지 국가등록문화유산이자 무배차 간이역인 진해역에 둥지
를 틀고, 주 2∼3회 안팎으로 라디오 방송을 이어오고 있다.
시에서는 진해마을라디오에 진해역 사용승인을 내줘 진해역에 스튜디오를 구축하게 하고, 시 소유의 각종 방송장비도 무상으로 대여해줬다.
진해마을라디오는 출범 초기에는 시의 ‘마을미디어 활성화 사업’ 지원도 받
았지만, 2022년 말 해당 사업이 종료된 이후부터는 제작단 회비(월 1만원)를
통해 마을라디오를 자체 운영해오고 있다.
‘내가듣는라디오’, ‘참새 방앗간’, ‘벚꽃소녀들의 재미진해’, ‘라디오 진해살롱’, ‘진해역 맞이방’ 등 마을과 마을 공동체, 지역 안에서의 개인 기록을 담은 다
채로운 프로그램을 유튜브와 팟빵 앱을 통해 선보인다.
마을라디오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방송장비 사용·편집부터 유튜브 방송 송출까지 플랫폼 운영 전반에 이들의 손길이 닿는다.
그러던 중 제작단은 지난 12일께 갑작스럽게 진해역에서 보수정비 사업이 이뤄진다는 소식을 들었고, 이틀 만인 지난 14일 공사가 바로 시작됐다.
각종 방송장비를 갖춘 진해역 스튜디오 사용이 마땅치 않게 되면서 매주 규 칙적으로 해오던 방송 역시 난관에 부딪혔다.
당장 스튜디오로 쓸 대체 공간을 물색하는 일도 여의치 않은 형편이었다.
진해마을라디오 측은 개국 이후 만 4년 가까이 매주 빠지지 않고 방송을 업 로드해왔다며 마을라디오를 지켜나가는 데 시가 협조해 달라고 요청하고 나 섰다.
진해마을라디오 관계자는 “공사를 반대한다는 것이 아니라, 마을미디어가 진해역에서 만 4년간 고정적으로 방송을 해왔다면 적어도 시가 미리 공사를 안내하는 등의 절차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며 “마을미디어에 대한 인식, 이 해가 부족하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시에는 향후 협의를 통해
요청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사정이 언론을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
지시간) 중동 순방 2번째 방문국인 카타르에서 안보 협력 강화와 미국의 대( 對)카타르 대규모 수출 및 투자 유치를 주고받는 패키지 합의에 서명했다.
전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6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 및 수출 합의를 한 데 이
어 걸프 지역 부국과 안보 지원 및 협력 대가로 거액의 ‘오일 머니’를 받는 ‘
안보-경제 패키지 거래’를 이어갔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카타르에서 최소 1조2천억
달러(약 1천678조원) 가치의 경제교류를 창출하는 합의에 서명했다고 발표 했다.
백악관은 세부적으로 보잉과 GE에어로스페이스가 카타르항공과 960억 달 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미국산 보잉 787 드림라이너와, GE에 어로스페이스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보잉 777X 등 항공기 210대를 카타르 가 구매하는 계약이다.
백악관은 “이 역사적인 계약은 미국에 연간 15만4천개의 일자리를 지원할 것이며, 생산과 인도의 전 과정에 걸쳐 미국에 1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지
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미국의 에너지 전문
최첨단 양자 컴퓨팅 기술과 인력 개발 부문에 최대 10억 달러의 투자를 받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아울러 미국 방산업체 레이시온은 양국 정부 당국자 간의 서명에 입각해 카 타르의 드론 방어 역량 강화와 관련한 10억 달러 규모의 수주를 했다고 백악 관은 소개했다. 제너럴아토믹스는 카타르에 무인 군용기인 MQ-9B(스카이 가디언)를 납품하는 2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따냈다.
백악관은 “오늘의 합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카타르 안보 협력 관계에 대 한 카타르의 방위 분야 투자를 가속해 역내 억지력을 강화하고 미국 산업계 가 혜택을 보게 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 같은 거래와 동시에 미국과 카타르는 안보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의향서 에 서명했다. 380억 달러 규모의 잠재 투자를 담고 있는 이 의향서는 방공 및 해상 안보 관련 카타르의 미래 안보 역량을 미국이 지원하는 내용과, 현 지 ‘알 우데이드’ 공군기지에서의 부담 공유 등이 골자라고 백악관은 전했다. 백악관은 “카타르는 호텔, 관광, 금융 서비스, 기술, 의료, 에너지 분야에서 미국에 상당한 투자를 해왔다”며 “향후 5년간 더 많은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데, 이런 투자는 수백만 명의 미국 근로자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지원하고 미 국의 수출을 확대하며 연구 개발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미국 경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15002200071?section=international/all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교황 레오 14세, 분쟁 해결 위한 중재
의사 표명
2025년 5월 14일 바티칸에서 열린
동방 가톨릭 교회 관계자들과의 연설
에서 교황 레오 14세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성지에서 우크라이나까지, 레바논에
서 시리아까지, 중동에서 티그라이와
코카서스까지, 우리는 얼마나 많은
폭력을 목격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교황 레오 14세, 분쟁 해결 위한 중재
의사 표명
2025년 5월 14일 바티칸에서 열린
동방 가톨릭 교회 관계자들과의 연설
에서 교황 레오 14세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성지에서 우크라이나까지, 레바논에
서 시리아까지, 중동에서 티그라이와
코카서스까지, 우리는 얼마나 많은
폭력을 목격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레오 14세는 또한 중동에 거주하는
기독교 신자들에게 고향을 떠나지 말
것을 촉구하며, 포괄적인 평화 실현
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
다. AFP에 따르면 그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교황청은 언제나 적대하는 이들이 서로 가까워지고, 서로 마주 앉아 대
화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그리
전 세계 모든 이들이 다시금 희
망을 발견하고, 그들이 마땅히 누려
야 할 권리와 평화의 존엄을 되찾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세계의 모든 민
중은 평화를 갈망하고 있으며, 저는
그들의 지도자들에게 온 마음을 담아
호소합니다. 만나십시오, 대화하십시
오, 협상하십시오!”
앞서 5월 11일, 즉위 후 첫 주요 연설
에서 교황 레오 14세는 전 세계 지도
자들에게 분쟁 종식을 촉구했으며, 우크라이나에서의 “공정하고 진정하
며 지속 가능한 평화”와 가자지구에
서의 즉각적인 휴전을 강력히 요청
했다.
레오 14세는 지난 5월 8일 고(故) 프
란치스코 교황의 뒤를 이어 새 교황
으로 취임했으며, 가톨릭 교회 역사
상 최초의 미국인 교황이 되었다.
취임 후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비
전과 개혁을 계승하겠다고 밝히며, 고(故) 교황이 남긴 “소중한 유산”을
반드시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thanhnien.vn/giaohoang-leo-xiv-muon-lamtrung-gian-giai-quyet-xungdot-185250514171626731.htm
라이프플라자/(UEF)인턴 기자 레 황 쿤 키에– 번역

러시아 국영통신 타스(TASS)에 따
르면, 시베리아 동부 자바이칼 지역 (Zabaikalsk Krai)에서는 4월 말부
터 연방 차원의 비상사태가 선포된
상태다.
러시아 비상사태부는 5월 14일, 몽골
과 접경한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산
불을 진화하기 위한 대대적인 노력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49건의 산
불이 여전히 진행 중이며, 총 피해 면
적은 62만 9천 헥타르를 넘었다고 밝
혔다.
러시아 연방 산림청이 5월 13일 발표
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금까
지 140만 헥타르 이상의 산림이 산불
로 피해를 입었으면, 이는 올해 미국
과 캐나다 전체 산불 피해 면적의 약
세 배에 달하는 수치다.
유럽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
스(Copernicus)는 衛星(위성) 사진
을 통해 포착된 산불 연기가 수백 킬
로미터까지 퍼질 수 있으며, 이번 주
말에는 베이징과 북한까지 영향을 미
칠 수 있다고 예보했다.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전역에는 4월
부터 산불 대응을 위한 비상사태가
선포되어 있다.
앞서 5월 13일, 몽골과 접경한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Buryatia) 역시 지
역 차원의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산 림 출입을 전면 금지했다. RIA 노보 스티(RIA Novosti) 통신에 따르면, 부랴티야 지역에서는 3월 중순 이후 총 174건의 산불이 발생했으며, 이 중 90%가 인위적인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랴티야 지역에는 530명 이상의 소 방인력이 투입되어 진화 작업을 벌이 고 있으며, 5월 13일 기준으로 22건 의 산불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기상청은 올해 러시아의 산불 시즌이 예년보다 이르게 시작됐다고 경고했 다. 이전까지는 주로 5월에 산불이 시 작됐지만, 올해는 3월 중순부터 첫 산 불이 보고되었다. 이는 건조하고 고 온의 날씨에 기후변화가 더해지면서 작은 불씨도 빠르게 대형 산불로 확 산될 수 있는 조건이 형성이 됐기 때 문이다.
연방 항공산림보호국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올해 러시아 전역에 서 발생한 산불은 2,100건을 넘었다. https://vtcnews.vn/siberia-chayrung-nghiem-trong-hon-600-000ha-bi-thieu-rui-ar943278.html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유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국제 금값, 급락세… 하루 만에 온스
당 70달러 하락
5월 14일(현지시간) 미국 거래에서
국제 금값이 온스당 70달러 급락하며
2.1% 이상 하락했다. 금값은 3,236
달러에서 3,173달러로 곤두박질치
며 하루 낙폭이 70달러에 달했다. 이
로써 국제 금값은 심리적 지지선인 3,200달러선을 내주고, 4월 말 기록 한 사상 최고치(3,500달러) 대비 총
330달러 하락했다. 다만 1년 전과 비 교하면 여전히 840달러(35.7%) 상승 한 수준이다.
금값 하락은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 되며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줄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 심
리가 회복된 데 따른 것이다. 사코은 행(Saxo Bank)의 상품 전략 책임자
올레 한센(Ole Hansen)은 “주말 발
표된 관세 유예 조치 이후 주식시장
이 급등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안전자
산에 대한 수요가 줄었고, 이는 최근
수개월간 금값 상승을 이끌던 요인을
일부 상쇄시켰다”라고 분석했다.
한편, 시장은 오는 목요일 발표 예정
인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를
주목하고 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
제도(Fed)의 금리 인하 경로를 가늠
할 수 있는 주요 지표다. 앞서 발표
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예상
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연내 금
리 인하 기대를 키웠다. 현재 시장
은 Fed가 오는 9월부터 연말까지 총 53bp(0.53%포인트) 기준금리를 인 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https://thanhnien.vn/giavang-the-gioi-lao-thangdung-185250514203418842.htm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니 니- 번역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도널
드 트럼프 행정부에 반기를 든 뒤 정
부 지원금이 중단된 미국 하버드대의
앨런 가버 총장이 급여 4분의 1을 자
진 삭감했다.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다음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7월 1일부터 가버 총장의
급여가 25% 삭감된다고 밝혔다.
가버 총장의 정확한 연봉 수준은 공
개되지 않았지만, 전임자들은 약 100
만 달러(약 14억 원)의 연봉을 받았
다.
가버 총장의 연봉도 전임자들과 비슷
한 수준이라면 다음 회계연도에는 약
25만 달러(약 3억5천만 원)를 덜 받
게 될 전망이다.
이 같은 조치는 최근 하버드대의 재
정적 타격과 관련한 고통 분담 차원
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정부는 캠퍼스 내 유대
인 혐오 근절 등을 이유로 DEI(다양
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를 비롯
해 입학정책과 교수진 채용에 정부가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을 하버드대에
요구했다.
그러나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특히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교
칙 변경 요구 공문까지 공개하면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는 26억 달
러(약 3조6천400억 달러)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했 다.
이에 재정적 타격을 받은 하버드대는 교직원에 대한 성과급 인상을
고,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등 자구책 을 발표했다.
또한 재정적 타격이 큰 하버드대 보 건대학원은 박사과정 학생 정원과 셔 틀버스 운행 감축을 비롯해 컴퓨터 구매 제한 등 긴축 조치를 시행 중이 다.
하버드대의 종신 교수 90명은 자발적 으로 급여 10% 삭감을 학교 측에 제 안하기도 했다.
한편 하버드대는 연방정부의 연구자 금 지원 중단으로 발생한 공백을 메 우기 위해 다음 회계연도에 2억5천만 달러(약 3천500억 원)를 투입하겠다 고 밝혔다.
하버드대는 “중단되거나 취소된 연방 정부의 자금 전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