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태국,

【2025년 7월 25일】캄보디아 국방
부 대변인의 발언을 인용한 Khmer Times 보도에 따르면, 캄보디아군은
현재 국경 분쟁의 핵심 거점들을 장
악하며 전세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7월 24일 오
전 9시 30분경, 캄보디아군은 타끄라
베이(Ta Krabei) 사원에 대한 완전
한 통제권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또한 캄보디아군은 몸베이(Mom Bei) 지역도 장악했으며, 최초 교
전이 발생한 타모언톰(Ta Moan Thom) 차원에서도 주도권을 유지하 고 있다고 전했다. 양측의 사상자 및 피해 규모와 관련해서는 국방부가 아
직 정확한 수치를 확인 중이며, 혼란
을 방지하기 위해 신중을 기하고 있
다고 소체아타(Socheata) 대변인은 설명했다. 캄보디아 정부는 국경 지
역 상황에 대해 국민에게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태국군은 캄보디아군의 움직
임에 대응해 7월 24일 캄보디아-태
국 국경을 따라 수린(Surin), 시사
켓(Sisaket), 우본랏차타니(Ubon Ratchathani) 등 3개 주의 10개 지
역에 병력과 전차, 전투기를 투입했
다고 Thai PBS는 보도했다. 양측의
충돌은 총복(Chong Bok) 고개에서
발생했으며, 태국 공군의 F-16 전투
기는 안마(An Ma) 고개의 캄보디아
캄보디아–태국, 국경
군 진지를 공습했다. 태국군 전차는 삼태(Samtae) 지역의 캄보디아군 방
어선을 공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프레아비헤아(Preah Vihear)
사원 일대에서는 태국군이 전차 및
보병을 동원해 공격을 감행했으며,
총촘(Chong Chom) 고개에서도 교
전이 이어지고 있다. 타무언톰(Ta
Muen Thom) 지역의 상황도 여전
히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The Nation의 보도에 따르면, 태국
정부는 국경 지역의 민간인을 보호하
기 위해 4만 명 이상의 주민을 긴급
대피시켜 임시 대피소로 이동시켰다.
7월 25일 오전 기준으로, 태국은 3개
접경 주에서 민간인 11명을 포함해
총 12명의 사망자와 최소 31명의 부
상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측은 이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아
직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국제사회는 양국 모두에게 자
제를 촉구하며, 무력 충돌의 확산을
막기 위한 외교적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https://thanhnien.vn/campuchia-va-thai-lan-cap-nhat-thongtin-ve-tinh-hinh-cang-thang-obien-gioi-185250725065905612.
htm
라이프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서
윤 - 번역

2025년 7월 25일, 태국 국방부는 캄
보디아군이 다연장 로켓 BM-21과
다양한 중화기를 이용해 국경 지역에
집중 포격을 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에 따라 태국군은 전술 상황에 맞춰
대응 사격을 가했다고 덧붙였다.
캄보디아군도 태국군과의 포격전이
오다르미언쩨이 주와 프레아비히어
주 일대에서 계속되었다고 확인했다.
이 충돌로 최소 1명이 사망하고 5명
이 부상했으며, 교전 지역 인근 반테
이 암필 지역에서는 약 1,500가구가
긴급히 대피했다. 태국 보건부에 따
르면, 국경을 넘은 공습으로 인해 시
사껫 주 주유소 인근에서 발생한 공
격 등을 포함해 최소 12명이 사망했
다. 캄보디아 언론은 약 5,000명이
피난했다고 보도했다.
태국 푸탐 웨차야차이 총리 대행은
국경 충돌 사태가 전면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캄
보디아 국방부 대변인 말리 소체아타
는 태국이 프레아비히어 및 왓 께오
시크 끄리쓰와라 사원을 점령했다는
주장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그
지역에서 집속탄을 사용했다고 비난하며, 이는 국제협약 을 위반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이번 무력 충돌은 양국 간 오랜 영토 분쟁의 일환으로, AFP에 따르면 양 측 모두 상대방이 먼저 발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태국은 상황이 격화 되자 F-16 전투기를 동원해 캄보디아 육군을 공습했으며, 충돌 지역은 따 모안톰, 따끄라베이, 몸베이 지역 및 프레아비히어 사원 인근으로 파악됐 다.
캄보디아 훈 마넷 총리는 태국군이 7 월 24일 따모안톰 사원을 폐쇄한 뒤 공격을 감행했다고 밝혔다. 훈센 상 원의장 역시 이와 같은 사실을 확인 했다. 같은 날, 말레이시아 안와르 이 브라힘 총리는 페이스북을 통해 태국 과
https://vtcnews.vn/campuchiathai-lan-tiep-tuc-dau-phao-quabien-gioi-ar956281.html 라이프플라자/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2025년 호주에서 열린 탈리스만 세
이버 연합훈련에서 미국은 중거리 지
상발사체계 ‘타이폰’을 통해 SM-6 미
사일을 해상 표적에 처음으로 지상
발사하며 인도-태평양 지역 억제 전
략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SM-6는 2013년부터 미 해군 이지스
구축함에 실전 배치된 다기능 미사일
로, 탄도미사일 요격, 방공, 대함 공
격 능력을 모두 갖춘 것이 특징이다.
마하 3.5의 속도와 약 450km 사거리
를 통해 적 해군의 접근을 저지할 수
있다.
미국은 2020년부터 타이폰 시스템을
통해 SM-6의 지상 발사 운용을 시작
했으며, 이번 훈련은 그 실전 가능성
을 검증하는 계기였다. 지상 발사는 구축함 유지 비용을 줄이는 한편, 고
비용 유도무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SM-6는 저공 해상비행이 어
려워 탐지 및 요격에 취약하며, 대량
발사도 고비용 문제로 인해 제한적이 다. 이에 따라 미국은 향후 타이폰과 탐지 능력이 강화된 토마호크 블록 V
등 다양한 무기체계를 통합할 계획이 다.
미국은 위성·정찰기·조기경보기·드론
등과 연계해 ‘가상 접근 거부망(A2/ AD)’을 구축하려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해양 진출에 대한 비대칭
대응 수단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같은 전략의 실현을 위해선
SM-6의 성능 개량과 더 강력한 대함
무기와의 결합이 필요하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https://vtcnews.vn/my-pho-dien-sat-thu-sm-6-tai-thai-binhduong-ar955226.html
라이프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은
유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필리핀 언론, “U-23 베트남”

U.23 필리핀은 A조 2위로 조별리그
를 마치며 말레이시아 U.23과 브루
나이 U.23을 2승차로 누르고 승점 6
점을 얻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준
결승에 진출하려면 베트남과 캄보디
아는 물론 태국과 미얀마의 남은 경
기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베트남이
캄보디아를 2-1로 이기고 태국이 미
얀마와 비겨서 필리핀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조 2위로 준결승 티켓
을 거머쥘 때 행운이 팀에 미소를 지 었다.
맥퍼슨 감독과 선수들은 필리핀 U23
남자축구의 유례없는 업적인 이번 대
회에서 처음으로 준결승에 올랐을 때
기적을 일으켰다.
그는 또한 조별리그에서 2승을 거둔
성적이 필리핀 U.23 대표팀의 눈부신
성장을 주장하며 “이 수준에서는 역
대 최고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준결승에서 필리핀 U.23의 상대는
준결승에서 강하고 경험이 풍부한 베
트남 U.23이 될 것이다. 필리핀 언론
은 U.23 베트남이 여러 번 국제 대회
에 깊숙이 진출한 팀인 반면 필리핀
U.23은 충격을 주기 위해 황금기회
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이 경기가 매
우 긴장되고 매력적일 것으로 전망하
고 있다.
7 월 24 일 오후 준결승 전 기자회견
에서 필리핀 U.23의 맥퍼슨 감독도
그의 팀이 이룬 것에 대해 자부심을
표현했다. 그는 비록 처음에는 높이
평가되지는 않았지만 필리핀 U.23은
각 경기를 통해 매우 단결하고 발전
된 경기를 펼쳤다고 말했다. 그는 팀
이 준결승에 진출하는 것은 훌륭한
업적이었고 선수들은 고국의 열렬한
갈채를 받은 것에 대해 매우 자랑스 럽다고 말했다.
https://thanhnien.vn/baochi-philippines-goi-tran-banket-dau-u23-viet-nam-la-lichsu-185250725120435791.
라이프플라자/ 홍방대 인턴 기자 황 퉁 - 번역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 파원 = 2년 넘게 내전이 이어지는 수
단의 남부 지역에서 반군이 이틀새
주민 32명을 살해했다고 AP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지 활동가 단체 ‘응급실’에 따르면
반군 신속지원군(RSF)이 지난 23일
남부 서코르도판주 알나후드의 북쪽
에 있는 브리마 라시드 마을을 공격
했다. 이날 아침까지 이어진 RSF의
공격으로 주민 32명이 숨지고 50명
이상 다쳤다고 이 단체는 전했다. 현
지에서 전쟁 상황을 추적하는 의료단
체인 수단의사네트워크가 전날 보고 한 27명 사망, 47명 부상보다 증가한
수치다.
수단의사네트워크는 성명에서 “RSF
대원들이 무장하지 않은 여성, 어린
이, 노인을 포함한 민간인을 표적으
로 삼아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다”고 규탄했다.
1956년 독립 이후 잦은 내전과 정치
불안을 겪은 수단에서는 압델 파타
부르한 장군과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
RSF 사령관의 권력 투쟁 끝에 2023
년 4월 15일부터 정부군과 RSF 사이
에 내전이 이어지고 있다.
서 밀리며 지난 3월 말 하르툼을 정 부군에 내줬다.
수단 정부군은 동부와 북부·중 부 권역을, RSF 반군은 서부의 다르 푸르 대부분과 남부 권역 일부를 각 각 통제하며 대치하고 있다.
특히 남부의 코르도판 지역은 최근 몇 달간 서부 다르푸르 지역의 알파 시르와 함께 정부군과 RSF 간 주요 전선으로 부상했다고 AP통신은 덧붙 였다.
유엔에 따르면 양측의 분쟁으로 지금 까지 수단 곳곳에서 2만명 이상 숨졌 고 폭력 사태를 피해 집을 떠난 피란 민도 1천300만명이 넘는다. 이 가운 데 약 400만명이 차드, 이집트, 남수 단 등 주변 국가로 도피한 것으로 추 정된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725146600099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드론 촬영 중국 유학생 2명 일반
이적 혐의 구속기소

(부산=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우리
해군 기지에 입항한 미 해군 항공모
함 등을 드론으로 불법 촬영했던 중
국인 유학생들이 일반이적 혐의로 재 판에 넘겨졌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부산지검은
최근 일반이적 혐의를 적용해 중국인
유학생인 40대 남성 A씨와 30대 남
성 B씨를 구속기소 했다.
부산에 있는 대학에서 알게 된 이들
은 2023년 3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중국산 드론과 개인 휴대전화로 9차
례에 걸쳐 해군작전사령부는 물론 작
전 참여를 위해 해군 기지에 입항했
던 미 해군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스
벨트함 등을 무단으로 촬영한 혐의를
받는다.
범행 마지막 날인 지난해 6월 25일에
는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루스벨트함
에 방문해 시찰하고 한미 장병들을
만나 격려하는 일정이 있었는데도 드
론을 띄웠다.
불법 촬영물은 사진 172장과 동영상 22개 등 모두 11.9기가 용량이었고, 그 일부는 틱톡 등 중국 소셜미디어
(SNS)에 게시돼 무단으로 배포됐다.
앞서 이들을 구속했던 경찰은 A씨에
게만 일반이적 혐의를 적용했는데 검
찰은 두 사람 모두에게 해당 혐의를
적용했다.
일반이적은 형법 제2장 ‘외환의 죄’
제99조에 명시돼 있다.
이 조항은 ‘대한민국의 군사상 이익
을 해하거나 적국에 군사상 이익을
공여한 자는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판 기일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두 사람을 도왔던 다른 중국인 유학
생인 30대 여성 C씨는 군사기지법 위
반 혐의로 송치돼 검찰 수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725142000051?section=society/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