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18 25

Page 1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반군, 48시간 내 미국 항모 3차례 공격?

후티는 텔레그램 메시징 앱을 통해

자국 군이 미 해군 항모 그룹을 목표

로 한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 공격은 북홍해에서 발

생한 ‘48시간 내 세 번째 공격’으로

AFP는 보도했다.

이에 대해 미 국방부 관계자는 후티

가 ‘계속해서 거짓말과 잘못된 정보

를 퍼뜨리고 있다’고 말하며, 후티가

‘자신들의 공격 결과를 과장하고 미

군의 공격 성과를 깎아내리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덧붙였다.

미 공군의 한 장교는 후티가 주장하

는 공격에 대해 ‘목표를 160km 이상

빗나갔기 때문에 확인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후티는 USS 해리 S. 트루먼 항모를

목표로 한 공격을 미국의 공습에 대

한 보복으로 간주하고 있다.

3월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

령은 후티에 대한 대규모 군사 작전

을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미 국방부

는 이번 공습이 홍해에서 항모 USS

해리 S. 트루먼에서 발진한 전투기들

을 통해 30여 곳을 목표로 한 것이라

고 밝혔다.

후티가 관리하는 보건 당국은 3월 15 일 미국의 공습으로 최소 53명이 사

망하고 98명이 부상했다고 주장했다.

후티가 운영하는 알마시라 방송과 사

바 통신은 3월 17일 저녁에 미국의

공습이 호데이다와 알살리프 지역을

타격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후티 안

사롤라는 3월 18일 새벽, 미군 공습

이 예멘의 수도인 사나를 타격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최근 미국의 예멘 공습을 국

제법과 국가 주권을 위반한 행위로

간주하며 이를 결코 정당화할 수 없

다고 비난했다. 3월 18일 조선중앙통

신(KCNA)은 북한 대사 마 동희의 발

언을 인용해, “미국은 군사력을 동원

해 민간인과 재산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고 있다”고 전했다.

마 대사는 미국의 군사 행동을 ‘불법

적이고 무모한 행위’라고 강력히 비

난하며, “미국은 지리적 야망을 실현

하려는 집착에 사로잡힌 나라”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측의 반응은 전 해지지 않았다. https://thanhnien.vn/ houthi-tan-cong-tau-sanbay-my-3-lan-trong-48gio-18525031811433375.htm?g

러시아 국방부 성명에 따르면, 러시

아군이 자포로지아 지역의 스테포베

마을을 점령하고 우크라이나 방어선

을 돌파했다고 한다. 친러시아 군사

블로거인 유리 포돌리아카는 러시아

군도 인근 마을인 말리 셰르바키에 침입했다고 말했다.

포돌리아카는 “ 우리 부대는 자포로

지아 방향으로 첫 번째 방어선을 돌 파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반면 우크라이나 군대는 스테포베가

러시아의 손에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

지 않는다. 우크라이나 군 소식통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이 스테포베와

인근 로브코베 마을 근처에서 공격을

격퇴했으며, 그 근처에서 아직도 세

차례의 전투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우크라이나 군과 연계된 딥 스테이트

웹사이트의 보고에 따르면, 러시아군

이 스테포브 근처에 나타났으며 우크

라이나의 제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

요 도로 방향으로 다소 진전했다. 딥

시작한 이후 우크라이나군을 서부 쿠 르스크 지역에서 몰아내려고 시도했 다.

전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 통령이 3월 18일에 푸틴 대통령과 갈 등 종식을 위한 회담을 가질 예정인 가운데 발생했다.

https://vtcnews.vn/nga-xuyenthung-phong-tuyen-mien-namchiem-them-mot-so-khu-vuccua-ukraine-ar932332.html 라이프플라자/ 반히엔대학 인턴 기자 이엔니–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한미연합훈련은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최

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

획재정부 장관은 18일 한미연합군사

령부 전시지휘소(CP TANGO)를 방

문해 한반도 방어를 위한 정례 한미

연합훈련인 ‘자유의 방패’(프리덤실

드·FS) 연습 상황을 점검하고 한미

장병들을 격려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최 대행은 브리핑룸

에서 연습 상황을 보고받은 후 “연합

연습과 훈련은 강력한 연합방위태세

의 상징으로, 대북 억제력 제고에 필

수”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올해 역대 최대규모의 연

합야외기동훈련을 통해 전투 현장에

서 연합성을 강화하고, 각자의 위치

에서 충실하게 임무를 수행하는 한미

장병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6·25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나 자유롭고 번영된 국가로

성장했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를 기반으로 도움을 받는 나라에

서 도움을 주는 나라로 변모한 유일

한 국가”라며 “이러한 대한민국의 성

장과 발전에는 한미동맹이 든든한 버

팀목이 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합사의 전시지휘소에 한

미의 육·해·공군 전력을 지휘통제하

는 시설들이 잘 갖춰져 있고, 한미 장

병들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연습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니 굳건한 한미동

맹을 체감한다”고 전시지휘소 방문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최 대행은 이어 전시 지·해·공 작전을

통제하고 있는 전구작전본부(TOC)

로 이동해 제이비어 브런슨 연합사령

관의 안내에 따라 본부를 둘러본 뒤

현장의 한미 장병들과 함께 “같이 갑

시다! We go together!” 구호를 외

치며 전시지휘소 방문 일정을 마무리 했다.

이날 방문에는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브런슨 연합사령관, 강신

철 연합사부사령관, 조셉 윤 주한미

국대사대리 등이 동행했고, 화상으로

는 김명수 합동참모의장과 각 구성

군 사령관, 연합사 전투참모단이 참

여했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318128900504

(청주=연합뉴스) 이성민 기자 = 김원

섭 충북대병원장이 제5대 대한수련

병원협의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내달 1일부터 2027년 3월까 지다.

김 원장은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충북대 소아청소년과장, 의과대학

장 등을 지냈다. 대한소아과학회장도

맡고 있다.

김 원장은 “의정 갈등으로 인한 전공

의 부재 속에 수련병원이 직면한 어

려움을 정부와 협의해 해결하고, 전 공의들이 더 나은 수련 환경에서 역 량을 키울 수

https://www.yna.co.kr/view/ AKR20250318150600064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한국

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은 지난달 25일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3.00%에 서 2.75%로 낮추면서, 내수 등 예상 보다 더 나쁜 경기 상황을 근거로 들 었다.

동시에 다수 위원은 금리 인하에 따

라 환율과 가계부채, 주택가격 등 금

융 부문이 불안해질 가능성을 걱정 했다.

한은이 18일 공개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2월 25일 개최)

의사록에 따르면, 이창용 총재를 제

외한 6명 위원이 모두 인하를 지지했 다.

한 위원은 당시 회의에서 “국내 경

기 부진이 내수를 중심으로 가시화하

는 만큼 경기 회복에 좀 더 중점을 두

고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성이 커졌 다”고 주장했다.

다른 위원도 “물가(소비자물가 상승

률)가 목표 수준(2.0%)에 근접해 인 플레이션(물가 상승) 부담은 상대적

으로 덜한 반면, 불확실성이 큰 대내

외 환경 속에서 잠재성장률을 상당폭

하회하는 경기 상황을 감안해야 한

다”며 “지금은 크게 위축된 경제 심

리 회복이 관건으로, 이에 정책의 우

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위원 역시 “물가는 안정적 흐

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성장의 경우 수출과 내수 흐름이 모

두 약해지면서 당초 전망 경로를 크 게 하회할 것”이라며 금리 인하를 통 한 경기 부양 필요성에 힘을 실었다.

환율 변동성, 가계부채, 부동산 가격

등은 금리 인하의 위험 요소로 꼽혔 다.

한 위원은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

이 크고 가계와 기업의 경제 심리가

위축된 만큼, 기준금리 인하가 실물

경제와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정도

가 통상적 경우보다 약할 가능성이

있다”며 “동시에, 기준금리 인하가

환율, 가계부채 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서울 일부 지역의 토지거래

허가구역 지정이 해제되면서 해당 지

역을 중심으로 주택 매도 호가가 급

등했고, 수도권 여타 지역에서도 주

택가격 선행지표들이 엇갈려 향후 주

택시장이 선도 지역을 중심으로 과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 했다.

다른 위원도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

와 주택가격 등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계속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

했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318146200002

CIDCA 대변인 리밍은 “중국은 자신

의 능력 내에서 계속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미래에 우크라이나 재 건 작업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고 밝혔다. 리밍 대변인은 중국이 “모

든 당사자의 요구에 따라 지원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

르면, 이 발언은 우크라이나의 볼로

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중국의 우

크라이나 평화 촉진과 재건에서 중요

한 역할을 강조하면서 우크라이나가

중국과의 대화를 통해 평화적인 해결

책과 국가 재건을 모색할 준비가 되

어 있다고 말한 후 나온 것이다.

리밍 대변인은 또한 중국이 2022년 2

월 24일 러시아의 군사 작전이 시작

된 이후 4차례에 걸쳐 우크라이나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충돌이 시작된 2주 후, 중

국은 79만 달러 상당의 아동용 분유,

담요 및 방습 매트를 포함한 지원을

3차례에 걸쳐 우크라이나에 전달했

으며, 그 후 몇 주 뒤에는 추가로 157

만 달러의 지원을 제공했다.

중국 관리들의 이러한 지원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정부가

미국 국제개발청(USAID)을 통한 해

외 원조를 대폭 삭감한 이후 나온 것

이다. 이는 국제 원조에서의 상당

한 차이를 우려하게 만들었고, 중국

이 그 빈 자리를 채울 수 있을지에 대 한 논의를 촉발했다고 South China Morning Post는 전했다.

또한, 충돌 후 협상에 관한 논의가 증 가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의 휴전과 평화 정착을 촉구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우크라 이나 재건 시나리오에서 “자리를 찾 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시비하가 만났다. 이 자리에 서 왕이 장관은 중국이 키이우를

구이자 파트너”로 간주하며 중국-우 크라이나 관계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3월 초, 양국은 중국이 우크라이나산 완두콩과 야생 어류 제품을 수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농업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할 것을 약속하는 두 개의 협정을 체결했다.

우크라이나의 향후 10년 동안의 재건 과 복구 비용은 5240억 달러로 추정 된다. 현재까지 우크라이나는 130억 달러를 재건에 사용했으며, 이는 국 제 파트너와 민간 부문 지원 덕분이 다. 이는 우크라이나 정부, 세계은행, 유럽연합 및 유엔의 공동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https://thanhnien.vn/trungquoc-san-sang-tham-giatai-thiet-hau-xung-dot-oukraine-185250318112647991.ht m?gidzl=IQ3NNfMcea16jzHQbh gXG4kzrLo1klT3KhFKMD2yfXC 0jjS9WB6aG5VgqrlIxF94KBQCM p3aFqSjdwcaGW 라이프플라자/ 반랑대인턴 기자 단 비 –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3월 17일) 워싱턴에서 기자들에게 “우크라이나에

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좋지 않지만, 우리는 평화 협정, 휴전을 이룰 수 있을 지 알아볼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지난주 수락한 30일간의 휴전 제안을 푸틴 대통령에게 지지하도록 설득하려 하고 있다. 이 전화 통화는 러시아와 우크 라이나가 3월 17일 오전까지 치열한 전투를 계속하고 있던 상황에서 이루어

졌으며, 러시아는 수개월간 쿠르스크 지역에서 점유해 온 우크라이나 군대

를 몰아내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쿠르스크 지역의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러시아 군대에 포위

되어 “큰 위기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미국 대통령은 이달 초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중단하고 논란의 여

지가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오벌 오피스에서 회동 한 것이 키이우가 마음을 바꾸는 데 도움이 되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사람이 죽었고 우리는 우크라이나가 옳은 일을 하도 록 강요했습니다. 저는 그들이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저녁 연설에서 푸틴 대통령이 전쟁을 장기화시키고 있다 고 비난하며, 러시아 대통령이 트럼프와 통화했을 때 일주일 전에 휴전 제안 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 제안은 오래

삶을 의미합니다 .”라고 말했다.

회담에서 고려될

있다.

대변인 캐롤라인 리빗은 월요일 정례 기자 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 과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국경”에 있는 발전소에 대해 논 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렘린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트럼프 대통령 의 영토 및 발전소에 대한 발언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다. 3월 14일 크렘린은 푸틴 대통령이 모스크바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온

미국 특사 스티브 윗코프를 통해 트럼프의 휴전 계획에 대한 메시지를 보냈 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3년간의 갈등을 종식시킬 협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신중한 낙관론”을 표명했다.

일요일(3월 16일) 위즈코프 장관, 미국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가 안보보좌관 마이크 월츠는 러시아가 휴전을 수용하기까지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고, 더 나아가 전쟁에 대한 최종적인 평화적 해결책을 제시하기 까지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말했다.

ABC 인터뷰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가 점령한 영토를 유지할 수

하는 평화 협정을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월츠는 “우리는 스스 로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의 국가적 이익이 될까요? 그것이 현실 적일까요? ... 우크라이나의 모든 인치에서 모든 러시아 군인을 몰아낼 수 있 을까요?”라고 말했다.

대통령은

https://vtcnews.vn/dien-dam-nga-my-se-ban-ve-nhuong-bo-lanhtho-de-cham-dut-xung-dot-ukraine-ar932325.html 라이프플라자/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미국에서 법원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조치들 중 일부에 대

해 제동을 걸었는데도 행정부가 사법부의 명령을

무시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갈등이 증폭되고 있 다.

트럼프 정부가 권력분립과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훼손하면서 헌정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간 뉴욕타임스는 17일(현지시간) “백악관과 법

원들 사이의 갈등이 헌정위기가 될 위험이 있다”

며 “최근 트럼프의 행정조치 다수를 중단시키려고

시도한 연방법원들과 법원 명령의 공개적 거부에 가까운 일을 거듭해 온 행정부 사이의 발화점”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한

이 없고 견제받지 않는 권력을 휘두르는 대통령”

의 모습을 세상에 과시하려 한다며 “트럼프가 법

원들과 충돌하는 경로로 이미 가고 있으며 가속페 달을 밟았다”고 표현했다.

지난 주말부터 큰 이슈가 된 것은 ‘추방 항공편’ 문 제다.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의 제임스 보스버그 판사

는 트럼프 대통령이 1798년 제정된 ‘적성국 국민

법’(AEA) 등을 근거로 베네수엘라 국적자 수백명

을 범죄조직원으로 일방적으로 지목해 재판 등 절

차 없이 추방하려고 한 조치를 일단 중단토록 하

면서, 설령 추방 항공편이 이미 이륙했더라도 미 국으로 돌아오도록 조치하라고 정부에 토요일인 15일 명령했다.

따르지 않고, 엘살바도르 정부와 미리 협의해둔

계획에 따라 추방 대상자들을 엘살바도르의 감옥 에 수감시켰다.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스티븐 청 백악관 공

보국장 등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보스버그 판사

를 조롱하는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의 게시물을 공유하며 조롱에 가세했다.

이번 사건에 대해 폴리티코는 “트럼프 2기 임기에

서 견제와 균형이라는 미국의 시스템에 대한 가장

비중 있는 시험이 찾아왔다. 그리고 결과는 그 어

느 때보다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백악관에서 ‘국경 담당 차르’로 불리는 톰 호먼은

17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우리는 멈추지 않을

것”이라면서 “나는 판사들이 뭐라고 생각하든, 좌

파가 뭐라고 생각하든 신경쓰지 않는다”며 강제

추방 드라이브를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보스버그 판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신의 명령을

위반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17일 법무부 변호사를

심문에 출석시켜 추방 항공편들의 출발지·경유지·

목표지와 출발·도착 시간 등 기초적 사실관계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다.

그러나 법무부 변호사는 “국가안보 우려”를 대며

답변을 계속 거부했다.

NYT에 따르면 법무부는 변호사를 출석시키기 전 부터 답변을 거부할

트럼프 행정부가 따를지는 불확실하다. 이외에도 트럼프가 내린 행정명령이나 조치 중 최 근 법원에서 제동이 걸린 경우는 상당히 많다. 헌법에 규정된 ‘출생 시민권’을 120여년 된 기존 대 법원 판례와 달리 해석해서 제한적으로 적용하라 는 명령, 트랜스젠더 치료를 하는 의료기관들이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유지하는 기관 들로부터 연방정부 자금을 박탈하라는 명령, 노동 관계위원회(NLRB) 위원 해직 등 다양한 조치에 대 해 법원이 잇따라 제동을 걸었다.

폴리티코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법적 혼선이 발 생하는 데 대해 “’일단 결정부터 내리고 법적인 방 어는 나중에 생각하자’는 방식으로 정책을 만들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 매체는 “이 행정부는 적어도 범죄조직원으 로 지목된 이들을 실은 추방 항공편 문제에서는 여 론이 자신들의 편이라고 확신하고 있다”며 이 문제 가 쟁점이 되는 것을 공화당 측이 환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318144100009

Tel: 090-179-5475

Add: 78 Phan Khiem Ich, Tan Phong Ward, Dist. 7, HCMC

식당

쌈밥&고기마당 093 924 1710

B0.06, Saigon South Residences, Nha Be, HCMC DAI VIET 028 3813 471

113-115 Cong Hoa Street, Ward 12, Tan Binh Dist, Ho Chi Minh City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