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New 04 25

Page 1


외교부·경찰청·소방청,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해외에서 발

생할 수 있는 사건사고 예방 및 위기

상황 대처 방법을 알리고, 정부의 해

외안전 지원제도를 홍보하기 위해 제

5회 ‘해외에서 겪은 사건사고 경험담

공모전(이하 ‘공모전’)’을 공동으로 개

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3월 14일(금)부터 5

월 18일(일)까지 66일 동안 진행되

며, 응모작을 대상으로 1·2차 심사를

거쳐 총 16편의 수상작을 선정할 예 정이다. 시상식은 7월 9일(수) 외교부

에서 개최된다.

지난해 공모전 대상작인「까망콩싹

의 전신마비 이야기」는 해외에서 사

고로 전신이 마비된 후 재외공관과

영사협력원의 도움으로 무사 귀국한

사례를 영상으로 풀어내어 국민들의

공감과 응원을 이끌어냈다.

※ “단 1초만에 전신마비가 된 까망

콩싹(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채널)” 유

튜브 조회수 147만 회(3.11. 기준) 기

록 및 각종 언론보도

이번 공모전은 ▴동영상 ▴인스타툰

(10컷 이내 만화) ▴수기(사진 포함)

의 3개 부문에서 응모작을 접수하며, 국내외 거주하는 우리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주제는 해외에서 겪

은 사건사고 경험 관련 ▵해외 안전

여행 팁 ▵해외여행 위험 대처요령 ▵

영사조력을 받은 경험이다.

※ 해외에서 위급상황 시 우리 대사

관이나 총영사관 또는 영사콜센터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나, 응급의료상담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 등

이번 공모전의 통합 대상 수상자에

게는 외교부장관상과 부상이, 응모

부문별 최우수상·우수상·장려상 수상

자에게는 경찰청장상 또는 소방청장

상과 부상이 수여된다. 또한, 우수 작

품들은 재외공관, 공공기관과 교육기 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 해 해외안전여행 홍보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외교부·경찰청·소방청은 이번 공모

전 공동 개최를 통해 해외 사건사고

예방 및 대처 방법에 대한 국민의 이

해도를 높이고, ‘원팀’으로서 재외국

민 보호망을 더욱 촘촘히 하는 계기

로 삼을 계획이다. 앞으로도 세 부처

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해외에서의

우리 국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번 공모전 응모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외교부(www.mofa.go.kr), 경찰청(www.police.go.kr) 및 소방 청(www.nfa.go.kr) 누리집에서 확

인할 수 있다.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푸틴 대통령-시진핑 주석, 7시간 회담 진행

러시아와 중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

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모스크바

회담 이후 약 30건의 협정을 체결했

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두 정상은 7

시간 이상 대화했다.

서명된 문서에는 양국 간의 포괄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

기 위한 공동 성명, 글로벌 안정과 국

제법을 지지하는 선언, 무역, 에너지, 농업, 항공, 인공지능, 우주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협정이 포함되

어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양국이 상호

무역을 자국 통화로 결제하기로 합의

했다는 것으로, 이는 외화 의존도를

줄이고 경제적 안정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푸틴 대통령은 중국 지도자와의 회담

후 기자들에게 모스크바와 베이징이

회담을 통해 “야심찬 목표”를 설정했

다고 밝혔다. 그는 양국이 상호 무역

및 투자를 확대하고, 경제 관계를 강

화하며, 첨단 기술 공동 프로젝트의

비율을 높이고, 혁신적인 전자상거래

방식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한, 러시아와 중국은 국제 관계에

서의 일방적인 행동과 패권주의 정

책에 반대하며, 보다 공정하고 다극

적인 세계 질서를 구축할 것을 촉구 했다.

푸틴 대통령은 중국이 러시아의 최대 파트너라고 강조하며, 양국 간 무역

규모가 올해 2,450억 달러로 사상 최

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는 양

국 간 투자 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

라고 덧붙였다. 현재 약 2,000억 달

러 규모의 90여 개의 주요 공동 프로

젝트가 진행 중이거나 준비 단계에

있으며, 이들 프로젝트는 제조업, 운

송, 물류, 농업, 광물 채굴 등의 주요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양국이 “국제 사회에

서 안정적이고 긍정적이며 진보적인

세력”이며, “평등하고 질서 있는 다

자주의를 촉진”하는 목표를 공유하 고 “앞으로도 굳건히 함께 나아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시진핑 주석의 이번 방문은 러시아중국 관계를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 한 진전으로 평가되며, 특히 서방과 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더욱 그 의미가 크다.

https://vtcnews.vn/cuoc-hoidam-7-gio-cua-tong-thong-putin-va-chu-tich-tap-can-binhar942254.html

라이프플라자/

최근 호치민시 전역의 동·사에서는 호치민시 인민의회가 2024년 12월

11일 채택한 제40호 결의안에 따라, 지역 내 인구 정책을 성실히 이행한

개인 및 단체에 대해 포상 및 지원 정

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조치는 둘째 자녀 출산과 관련이

있으며, 인구 정책의 질을 향상시키

고 저출산 및 인구 고령화 문제를 해

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 동·사의 지침에 따르면, 출산 여성

은 두 개 그룹으로 나뉘어 포상 및 지

원을 받는다.

첫째, 자녀를 두 명 낳고, 둘째 자녀

를 2024년 12월 21일부터 2025년 4

월 15일 사이에 출산한 여성이다.

둘째, 빈곤 가정이거나 사회보호 대

상자로서 같은 기간에 출산한 여성 이다.

팜짠쭝 호찌민시 보건국 산하 인구

관리과장은 제40호 결의안은 2024 년 12월 21일부터 발효된다고 설명 했다.

이에 따라, 결의안 발효일 이후 둘째

출산하고 만 35세 이전인 여 성은 해당 정책에 따라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 중, 1그룹은 300만 동, 2 그룹은 200만 동을 각각 지원받는다. 반면, 결의안 발효일 이전에 둘째 자 녀를 출산한 경우에는 이번 정책의 지원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팜짠쭝 과장은 또한, 2024년 12월 21 일부터 2025년 4월 15일까지의 기간 을 설정한 이유는, 각 동·사가 첫 번 째 지원 대상자 명단을 정리하고 통 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이며, 이후 에도 여러 차례 지원이 이어질 예정 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인구관리과는 행정단위별 실행 절차에 대한 지침을 기다리는 동안, 지원 요건을 충족하는 여성들의 명단 을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https://thanhnien.vn/vi-saotphcm-khong-che-thoi-giansinh-con-thu-2-moi-thuong-2-3trieu-185250508173609078.htm

라이프플라자/(UEF)인턴 기자 레 황 쿤 키에–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지난

해 일찌감치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국

내 현실을 고려해 노인 의료비를 국

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

김준현 건강정책참여연구소 소장은 9일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등이 주

최한 ‘노인의료비 국가책임제 시행방 안’ 국회토론회에서 이런 제안을 내 놨다.

김 소장은 “초고령사회에서 건강보험

운영방식도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

다”며 “정부 책임을 강화하는 방식으

로 노인 의료비에 따른 건강보험 재

정 불안 요인을 해소하고, 노인 의료

의 안전망을 구현해야 한다”고 말했 다.

그는 “2014∼2023년 건강보험 급여

비는 연평균 8.1% 늘었고, 2023년

기준 급여비는 83조원에 달해 2014

년의 약 2배가 됐다”며 “특히 65세 이

상 노년층의 급여비 증가율은 10.5%

로 14세 이하 유년층(4.6%), 15∼64

세 노동연령층(6.8%)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노인 인구가 급증할 것

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70

세 이상 노인의 총인구 대비 비중은

2023년 11.9%에서 2050년 32.2%,

2070년 40.7%로 늘어난다. 45년 뒤

에는 인구 10명 중 4명이 70세 이상

인 셈이다.

김 소장은 “노년층이 차지하는 건

강보험 급여비 비중은 2070년에는

78.8%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

다”며 “인구 구조 변화로 건강보험

재정 운영도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한

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인 의료비 국가책임제를

시행하면 건강보험 재정의 불안을 해 소하고, 자녀 세대의 가계 부담을 완

화함으로써 가계의 가처분소득도 늘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509079500530

대만 행정원(총리실 격)의 비서장(사

무총장 격)이 미국에서 관세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이 9일 보도했다.

행정원은 전날 궁밍신 행정원 비서

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만 대표단을

미국 측 최대 규모 투자 유치 행사인

‘2025 셀렉트 USA 투자서밋’에 파견

하기로 결정했다.

궁 비서장은 정리쥔 부행정원장(부총

리 격)을 대신해 오는 10일 대만 폭스

콘 등 100여 개 기업 및 정부 관계자

등과 출발할 예정이다.

다만 그는 이번 행사가 열리는 메릴

랜드주 내셔널하버에 앞서 워싱턴

DC부터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궁 비서장이 이번 방미

때 미국 측과 관세 협상에 나설 가능

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궁 비서장은 2020년부터 4년간 대만

정부의 국가 발전 관련 최고 주무 기

관인 국가발전위원회(NDC) 주임위 원(장관급)을 역임했다.

한 관계자는 미국 측과 상호관세 등 경제무역 의제에 대한 실질적 교섭으 로 인해 바쁜 정 부행정원장을 대신 해 궁 비서장이 미국을 방문하는 것 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 세를 발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 통령은 대만에 대해서도 32% 관세를 부과키로 했다가 다른 국가들과 함께 90일간 유예했다. 다만, 10% 일괄 관 세는 여전히 적용되고 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대만의 두 번째 로 큰 수출 시장으로, 세계 최대 반도 체 파운드리(수탁생산) 기업 TSMC 의 본거지인 대만이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 가운데 약 60%가 반도체를 포 함한 정보통신기술 제품이다.

https://www.yna.co.kr/view/ AKR2025050908 2900009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교황 선출] 정글 헤치며

구호…페루인들 ‘북쪽의

황철환 기자 = “도와야 할 사람이 있으면 장화를 신고 진흙탕을 헤쳐 나가길

주저하지 않는 분이었어요.”

미국 출신으로는 처음 교황으로 선출돼 전 세계 14억 가톨릭 신자를 이끌게

된 레오 14세에 대해 비영리단체 카리타스의 일원으로 페루에서 그를 만났

다는 하니나 세사는 8일(현지시간) 이같이 말했다.

실제로 2022년 페루 치클라요 지역과 주변 마을에 막대한 양의 비가 쏟아지

자 현장으로 뛰쳐나간 레오 14세는 정확히 그러한 행동을 보였다고 세사는

강조했다.

1955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난 레오 14세는 사제 교육을 받은 뒤 1985년

선교단의 일원으로 페루로 간 뒤 정글 등 오지를 넘나들며 10여년간 복음을

전파하고 어려운 이들을 돕는 데 앞장섰다.

아우구스티노회 시카고 관구장으로 선출돼 1999년 미국으로 귀국했지만, 2014년 고(故)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빈민가와 농촌이 많은 페루 치클라

요 교구의 주교로 임명됐고 이듬해에는 아예 페루 국적을 취득했다. 그런 그는 식량과 모포 등을 실은 흰색 픽업트럭을 몰고 안데스산맥 오지의

마을들을 자주 찾았다고 한다.

바닥에 얇은 매트리스만 깔고 잠을 청했고 감자와 치즈, 옥수수 등 현지 주 민들이 주는 것이라면 가리지 않고 먹었지만, 기회가 될 때면 멕시코식 고기

요리인 카르네 아사다를 콜라 한 잔과 함께 즐기는 여유를 보였다는 것이다.

“그(레오 14세)는 고장 난 트럭이 달릴 수 있을 때까지 고치는 데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면서 차량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람이었다고 회상했다. 페루 출신의 아우구스티노회 소속

그는 “심지어 페루의 (다른) 주교들조차 그를 성인이라고, 북쪽의 성인이라 고 불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8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페루를 찾았을 때도 레오 14세가 프란 치스코 교황이 집전할 미사를 앞두고 야외에 진을 친 신자들과 함께 밤샘 기 도를 올렸다면서 “로베르토는 그런 스타일을, 그런 친밀감을 갖고 있었다. 아마도 그건 제도적으로는 훌륭하지 못한 제스처였겠지만 인간적인 제스처 였다”고 평가했다.

치클라요 교구의 소통 책임자를 맡고 있는 수사 피델 푸리사카 비힐은 “아무 리 많은 문제가 생겨도 그는 늘 유머 감각과 즐거움을 잃지 않았다”고 말하

기도 했다고 AP 통신은 보도했다.

레오 14세는 수년 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

이 페루를 덮쳐 무려 21만7천명이 목숨을 잃는 참사가 벌어졌을 때도 더 많

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분투했다.

가능한 모든 곳에서 지원을 끌어모은 덕분에 그는 인공호흡기 생산 공장 두

개를 구매할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날 바티칸에서 열린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에서 레오 14세가 제 267대 교황으로 선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페루 수도 리마의 대성당에선

축하의 종소리가 울려 퍼졌다.

페루 대통령은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9077900009

2025학년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등록금이 전국 대학에서 속속 공개되 고 있다. 입시 지원 시 중요한 고려 요소인 등록금은 특히 보건 계열에서 가

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일부 전공에서는 연간 5,000달러(약 1억 2,900만 동)의 등록금이 책정되었다.

의료계열 등록금 상위권… 일부 전공 6,300만 동 이상

껀터 의약대학은 2025학년도 정규 학부 등록금을 공개했으며, 의학, 치의학, 약학 세 전공은 연간 6,300만 동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외 전공도 4,400

만6,000만 동 수준이며, 2024년 대비 1,000만1,400만 동 가량 인상됐다. 다

낭 의약기술대학교 역시 의학과 약학 등록금을 4,000만 동으로 설정했으며, 의학은 전년 대비 890만 동 증가했다.

호치민시 의약대학은 2025년 등록금을 동결했지만, 전공별로 3,000만 ~8,470만 동에 달한다. 가장 높은 전공은 치의학(8,470만 동), 다음은 의학 (8,220만 동), 약학(6,050만 동) 순이다. 사회복지학과는 올해 첫 신설되어 3,000만 동으로 가장 낮다.

사립대, 영어 과정 등록금 5,000달러

부온마투옷 의약대학은 의학과의 베트남어 과정 등록금을 6,000만 동에서 6,500만 동으로 인상했고, 영어 과정은 5,000달러로 발표했다. 전통의학과

는 5,000만 동, 예방의학과는 4,000만 동, 공공보건학과는 2,000만 동으로

책정됐다.

국제홍방대학교는 치의학과, 의학과의 1학기 등록금을 7,200만 동으로 공지

했으며, 전체 15학기 기준 등록금은 약 10억 8,000만 동이다. 기타 보건 계

열 전공은 학기당 2,200만~3,200만 동 수준이다.

인문·사회 계열도 인상… 심리·언론 전공 2,980만 동

호치민시 국립대 사회과학인문대학은 20252026학년도 등록금을 1,660만 2,980만 동으로 발표했다. 심리학, 언론학, 국제관계, 일본어, 한국어, 중 국어 등은 상위 그룹으로 분류돼 2,980만 동에 달한다. 국제과정 등록금은 6,000만 동으로 동결됐다. 베트남학 외국인 전공은 7,200만 동으로, 전년 대 비 600만 동 인상됐다.

연계 과정 2억 5,600만 동도

호치민시 개방대학교는 전공에 따라 2024년 대비 150만200만 동 인상을 예 고했으며, 일반 과정은 2,400만2,850만 동, 우수 과정은 4,650만~4,950만

동이다.

호치민시 경제대학교는 2025년부터 학점당 등록금을 20만 동 이상 인상하 며, 베트남어 과정은 학점당 약 110만130만 동, 영어 및 실습 중심 과정은

이보다 2040% 더 비싼 수준이다.

호치민시 국립대 소속 공과대학은 등록금을 3,000만~8,000만 동으로 발표 했으며, 국제 연계 프로그램은 2억 5,600만 동으로 책정되었다.

일부 대학 등록금 동결 유지

한편, 호치민시 공과대학교(HUTECH)와 경제금융대학교(UEF) 등 일부 사 립대는 전 과정 등록금을 고정해 학기당 평균 1,300만~2,000만 동 수준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https://thanhnien.vn/hoc-phi-dai-hoc-tang-cao-trongnam-2025-185250508192404571.htm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니니- 번역

라이프 플라자 데일리 뉴스

전 세계 지도자들, 로버트 프란치스 프레보스트 추기경의 교황 즉위 환영…

교황의 명은 ‘레오 14세’

로버트 프란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이 공식적으로 교황으로 선출되면서, 전

세계 지도자들과 국제기구들이 축하의 메시지를 보냈다. 이들은 교황 레오 XIV의 새로운 교황직이 평화, 연대, 그리고 종교와 민족 간의 존중을 증진시 킬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사건을 “미국인이 처음으로 교황으로 선

출된 것은 큰 영광”이라고 언급하며 “미국에게 큰 영광이며, 교황 레오 XIV

를 만날 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부인 미셸은 “시카고 출신 동료에게 축하의 말을

전하며, 오늘은 미국 역사에서 중요한 날”이라고 말했다. 그들은 교황이 가

톨릭 교회를 이끌고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줄 것이라고 기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유럽에서는 지도자들이 교황 레오 XIV가 가톨릭 공동체를 이끄는 역할을 통

해 현재의 과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은 새 교황직이 “지혜와 힘에 의해 이끌어지기를 바란다”며, “평화와 대화에 대한 헌신을 통해 영감을 주 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이를 “가톨릭 교회와 전 세계 신자들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칭하며, 교황에게 “형제애의 메시지를 전하고, 그의

교황직이 평화와 희망의 시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영국 키르 스타터 총리는 교황 레오 XIV의 선출을 “세계와 교회의 지도력에

과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며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냈다.

스페인 페드로 산체스 총리는 교황 레오 XIV의 교황직이 “대화와 인권 보호 의 강화를 위해 기여할 것”이라고 희망했다.

폴란드 안드르제이 두다 대통령은 “공동의 가치와 책임에 기초해 바티칸과

의 특별한 관계를 계속 강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 통령도 축하 메시지를 보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와 바티칸 간의 건설적

인 대화와 협력이 계속될 것”이라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정의 회복과 평화 달성을 위한 바티칸의 지속적인 정신적 지원을 기대한다”고 밝 혔다.

중동에서는 이스라엘 아이작 헤르초그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바티칸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성지와 전 세계의 유대인과 기독교인 간의 우정을 증진시 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멕시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교황에게 축하의 메시지를 전하며, “ 전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한 공동의 인도적 헌신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은 교황 레오 XIV의 평화 메시지를 “인류 대다수에게 울려 퍼지는 강력한 호출”이라고 평가하며, 전임 교황 프 란시스의 유산을 계승한다고 말했다.

국제기구 측에서는 유엔 안토니오 구테레스 사무총장이 “유엔과 바티칸 간 의 오랜 협력을 바탕으로, 연대와 화해,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세계를 위한 협력을 계속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https://thanhnien.vn/cac-lanh-dao-the-gioi-chao-mung-giao-hoang-leo-xiv-185250509064032372.htm

라이플라자/ 휴텍대 인턴 기자 하은- 번역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