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Biblical Text Research Vol. 52 성경원문연구 52호

Page 1

- 제 52 호 -
2023. 4.

(제52호)

편집위원 홍성혁(위원장) 김선종(서기) 기민석 김대웅 김충연 배희숙 유은걸 이상일 이영미 이윤경 주기철 채영삼 Julie Faith Parker, Willem van Peursen, Stanley E. Porter, Jean-François Racine, Kristin Weingart

성경번역연구소 소장 이두희

편집 조지윤 장양미 유온유 강성은 김도현 백광희 정미현 조가히 영문 교정 김민정

2569 ☏ 02)2103-8783, 8784 Fax: 02)2103-8897

등록년월일 : 1962년 7월 20일 등록번호 : 제1-78

ISSN : 1226-5926 (print) / ISSN : 2586-2480 (online)

Journal of Biblical Text Research, Vol. 52.

Published Semiannually by the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Research of the Korean Bible Society

Editorial Board

Editors: Seong-Hyuk Hong (Seoul Theological Univ ), Sun-Jong Kim (Honam Theological Univ & Seminary), Min-Suc Kee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 Daewoong Kim (Chongshin Univ), Chung-Yeon Kim (Methodist Theological Univ), Hee Sook Bae (Presbyterian Univ. & Theological Seminary), Eun-Geol Lyu (Hoseo Univ.), Sang-Il Lee (Chongshin Univ.), Yeongmee Lee (Hanshin Univ.), Yoon-Kyung Lee (Ewha Womans Univ), Ki Cheol Joo (Kosin Global Univ ), Young Sam Chae (Baekseok Univ.), Julie Faith Parker (The General Theological Seminary), Willem van Peursen (Vrije Univ., Amsterdam), Stanley E. Porter (McMaster Divinity College), Jean-François Racine (Graduate Theological Union), Kristin Weingart (Ludwig Maximilians Uni , München)

Dean of the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Research: Doo-Hee Lee

Editorial Staff of the KBS: Ji-Youn Cho, Yang-Mi Chang, On-Yoo Yoo, Seong-Eun Kang, Do-Hyun Kim, Kwang-Hee Back, Mi-Hyun Jung, Ga-Hee Jo.

English Proofreader: Min-Jeong Kim

Cover Designer: So Young Kim

President of the KBS: Eui Hyun Kwon

The JOURNAL OF BIBLICAL TEXT RESEARCH is published semi-annually by the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Research of the Korean Bible Society, 2569, Nambusunhwan-ro, Seocho-gu, Seoul, Korea. Phone: 82-(0)2-2103-8783, 2103-8784. Fax: 82-(0)2-2103-8897.

ⓒ Korean Bible Society, 2023

표지 김소영 발행인 권의현 발행일 2023년 4월 30일 발행처 대한성서공회 성경번역연구소 06734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인쇄처 북토리

Analysis of Participants’ Agent Role in the Two Major Divisions of Leviticus

Jin / 101 Water (and Blood) in Ezekiel 16 and 36–37

S. An / 139

Inclusive and Exclusive Translations of ἄνθρωπος in the Gospel of Mark

Peter-Ben Smit / 167

머리말 5 • 논문 • “왜 악인들이 살아있는가?(Wyxy ~y[vr [WDm)”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 욥 기 21:7-16을 중심으로 조한근 / 7 성서 히브리어 발음 교육을 위한 제언 자음 명칭을 중심으로 김지명 / 30 마가복음의 어린아이 이야기의 주된 주제에 대한 고찰 παιδίον의 의미와 마가복음 10:15의 문장구조 이해를 중심으로 ············ 김서준 / 54 고린도전서 15:45의 이해와 해석에 대한 제안 “살아 있는 육신”인 아담과 “살려 주는 영”인 그리스도 김의창 / 81
······················Hannah
Gyusang
• 번역 논문 • 단어 또는 문구 사용과 맥락상의 의미 번역에 있어서 의미론적 논점들의 재고찰 ·············· 로버트 베스컴(Robert Bascom), 박덕준 번역 / 182 • 서평 • 그리스어야 놀자 (김창락, 서울: 분도출판사, 2022) ··············· 정혜진 / 202 「성경원문연구」 논문 투고 규정 ······························································ / 215 「성경원문연구」 투고 논문 심사 규정 / 243 차 례

「성경원문연구」 연구 윤리 규정 / 252

※표지: 슈투트가르트 히브리어 구약성서: 한국어 서문판 에스겔 37:5-7

※「성경원문연구」 표지 글자는 셩경젼셔(1911년) 및 셩경 개역(1938년)

의 본문 글씨들을 집자(集字)하여 디자인한 글자임

※뒷 표지 안쪽: <한글 성경 번역 계보도>

한국교회가 예배용 성경으로 읽어 온 셩경젼셔(1911년), 셩경 개역(1938

년), 성경전서 개역한글판(1961년), 성경전서 개역개정판(1998년), 그 외

의 공인역인 공동번역 성서(1977년)과 공동번역 개정판(1999년), 성경

전서 표준새번역(1993년)과 성경전서 새번역(2001년, 성경전서 표준새번

역 개정판을 2004년부터 줄여서 부름)의 번역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음

머리말

홍성혁 (성경원문연구 편집위원장)

이번 「성경원문연구」 52호에는 7편의 논문과 1편의 번역 논문, 1편의 서평

을 실었습니다.

조한근 교수는 “‘왜 악인들이 살아있는가?(Wyxy ~y[vr [WDm)’에 대한 사회학

적 해석 욥기 21:7-16을 중심으로 ”에서, 본문이 제기하는 악인의 번영에

대한 수사학적 질문을 신정론이나 인과응보 교리의 논쟁이 아니라 정치·사회

적, 경제적 배경에서 재해석합니다 그 결과, 욥기에 나타난 악인들은 당시 이 스라엘 사회에서 자신의 권력으로 가난한 자들을 수탈함으로써 정치와 경제

를 장악하고 사회적 침식의 원인을 제공한 자들이라고 결론을 내립니다.

김지명 교수는 “성서 히브리어 발음 교육을 위한 제언 자음 명칭을 중심 으로 ”에서, 히브리어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적절한 발음 교육을 실시하기 위 해서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여러 히브리어 발음의 차이와 그 원인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전제합니다 그리고 히브리어 발음 전통의 차이, 자음의 교육 실태, 그리고 히브리어와 우리말 사이의 소리의 차이 등을 분석함으로써 우리 나라 히브리어 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데 유익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김서준 교수는 “마가복음의 어린아이 이야기의 주된 주제에 대한 고찰 παιδίον의 의미와 마가복음 10:15의 문장구조 이해를 중심으로 ”에서, παιδίον 을 순수함의 상징으로 보는 많은 학자들의 견해와 달리 마가복음 9:33-37과

10:13-16에 나오는

παιδίον은 종, 더 나아가 고아, 다시 말해 사회적 약자를 상 징한다고 의미 분석을 합니다 이로써 예수의 하나님의 나라 말씀(막 10:14-15) 을 제자들로 하여금 어린아이처럼 순수해질 것을 촉구하는 말씀이 아니라 세 상의 끝자리, 즉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그들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결코 하나 님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는 말씀으로 해석합니다. 김의창 교수는 “고린도전서 15:45의 이해와 해석에 대한 제안 ‘살아 있 는 육신’인 아담과 ‘살려 주는 영’인 그리스도 ”에서, 고린도전서 15:35-50 에 나타난 부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5:45에 나타난 아담과 그리스도의 대 조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저자는 아담을 수식 하는 ψυχὴν ζῶσαν과 그리스도를 수식하는 πνεῦμα ζῳοποιοῦν을 분석하고, 앞 뒤 문맥에서 관련 용어가 사용되는 방식에 근거하여 우리말 성경에서 주로 ‘생 령’ 또는 ‘산 영’으로 번역된 πνεῦμα ζῳοποιοῦν을 ‘살아 있는 육신’으로 번역할 것을 제안합니다.

진규상 박사는 “Analysis of Participants’ Agent Role in the Two Major Divisions of Leviticus”에서 탈스트라(Eep Talstra Centre for Bible and Computer)

에서 개발된 본문의 위계적 분석 방법과 히브리어 성경 본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레위기 17:1–26:46을 성결법전이라는 하나의 단위로 보는 대다수의

학자와 달리 레위기를 1:1–24:23과 25:1–27:34의 대단락으로 구분하고 첫 번째

대단락을 1:1–15:33과 16:1–24:23의 소단락으로 구분합니다. 나아가 저자는 레

위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이와 같이 구분한 단락과 연결지어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단락 구획의 타당성을 뒷받침합니다

안한나 교수는 “Water (and Blood) in Ezekiel 16 and 36-37”에서 에스겔 16

장에 나타난 유기아(遺棄兒)의 주제와 거기에 담긴 물(과 피)의 이미지 등과 관련하여 에스겔 16장과 36-37장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밝힙니다 특히, 두 본문을 성경 내적 주해(Inner-Biblical Exegesis) 또는 재개적 주해(resumptive exposition)의 사례로 보고, 36:1–37:14의 이스라엘의 회복에 대한 메시지가 16 장의 예루살렘의 심판과 회복에 대한 메시지를 암시하는 방식을 면밀히 분석

합니다.

Peter-Ben Smit 교수는 “Inclusive and Exclusive Translations of ἄνθρωπος in the Gospel of Mark”에서 마가복음의 ἄνθρωπος가 영어 성경에서 다소 자동적

으로 남녀 포괄적 용어인 ‘human being’이나 ‘someone’으로 번역되는 데 이의

를 제기하고, 마가복음 10:9와 15:9 등의 사례 연구를 통해 문맥을 살펴 필요에

따라 ἄνθρωπος를 ‘man’(남자)으로 번역할 때 오히려 젠더 정의에 부합한다고

주장합니다

박덕준 교수는 “단어 또는 문구 사용과 맥락상의 의미 번역에 있어서 의

미론적

한발 더 나아가 맥락이야말로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을 촉발하는 중요한 요 소라고 합니다

교수는 “<서평> 그리스어야 놀자(김창락, 서울: 분도출판사, 2022)”에서 그리스어 낱말의 발음 또는 의미가 우리말의 어떤 낱말과 유사할

경우에 그 양자를 관련지어 암기하는 연상법, 외국어 낱말의 구성요소를 어원

상의 의미로

논점들의 재고찰 ”이라는 제목으로 세계성서공회연합회의 글로벌 번역 자문인 로버트 베스컴(Robert Bascom)의 논문 “Terms or Phrase Usage and
Translation” 을 번역하면서 의미의 기본 단위를 단어와 문구로 보는 기존 학자들의 견해에 서
Contextual Meaning: A Reexamination of Semantic Issues in
. 정혜진
분석하여 한데 모아서 암기하는 분석법, 그리고 저자의 설명을 잘 표현한 삽화의 사용을 이 책의 강점으로 소개하면서, 코이네 그리스어 학습자 가 그리스어 어휘를 쉽게 익히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