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내기 직장인의 돈 관리

Page 1

새내기 직장인을 위한 자산관리 가이드


Contents_

01 취업이 끝이 아니다! …………………………………… 04

02 새내기 직장인의 제1과제 : 종잣돈 만들기…………… 06 ■ 무조건 종잣돈부터 모아야 할까?

03 자산관리 실전 …………………………………………… 10 - 1단계 : 지출 관리하기 - 2단계 : 급여통장과 비상금 통장 - 3단계 : 보험 가입하기 - 4단계 : 노후준비자금 모으기 - 5단계 : 독립과 주택마련자금 모으기 - 6단계 : 종잣돈 모으기 ■ 새내기 직장인의 소득포트폴리오 ■ 새내기 직장인의 자기계발


04 금융상품 기초지식 쌓기 ………………………………… 32 -

적금 CMA 보험 펀드 개인형퇴직연금(IRP)


01

취업이 끝이 아니다!

(1) 나는 얼마만큼 위태로울까? ○ 내가 돈 벌 수 있는 기간은? 2011년 통계청에 따르면 평균 정년은 57.14세 입니다. 그러나 평균 퇴사연령은 53세! 반면 평균 취업나이는 남성 28.7세, 여성 25.6세였습니다. (2009년 취업포털 인크루트) 28.7세 53세 81.9세 평균 취업연령

평균 퇴사연령

평균수명 (통계청, 2011)

돈 벌 수 있는 나이가 고작 24.7년?

전체 인생의 1/3에 불과하지!

○ 나는 승진할 수 있을까? 2011년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1,000명의 신입사원중 단 8명만이 임원 으로 승진하며 그 소요연수는 평균 21.2년이라고 합니다. 31.4% 37.8%

임원

8명

부장

25명

50대 23.6%

차장

67명

과장

282명

40대 41.8% 67.4% 30대

대리

674명

신입사원

1,000명

20대 자료 :「2011년 승진・승급관리 실태조사」 결과, 한국경영자총협회 (%)수치는 전직급에서 현직급으로 승진하는 비율입니다.

04


01 (2) 자산관리를 꼭 해야 하나요? ○ 인생,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할까? 취업 이후부터 결혼, 육아, 내집 마련 등 중대한 라이프 이벤트(인생의 주요 사건)가 발생 하는데 평균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후

육아 결혼

8,078만원(남성) 2,936만원(여성)

자녀1인당 2억 6,200만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여성가족부, 2011)

주택

현재 30대가 60세 시점에서 5억 3,100만원 (LG경제연구소, 2006)

서울 평균 4억 8,000만원 (국민은행, 2012)

○ 인생, 얼마나 많은 돈을 벌 수 있을까? 대졸 신입사원이 25년간 직장에서 벌 수 있는 총소득은 약

15억 원 !

(평균연봉 3,065만원(2012년 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상승률 연 5% 가정)

9,885만원

결혼, 육아, 노후, 주택... 생활비는 어떡하지?

3,065만원

약 15억원 물가상승률과 현재할인율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습니다.

쓰고 싶은 돈보다 실제로 버는 돈이 적을 뿐더러 돈을 많이 버는 시기와 큰돈을 써야 하는 시기가 다릅니다. 소득과 지출간의 이러한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서 지금부터 자산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www.invedu.or.kr

05


02

새내기 직장인의 제1과제 : 종잣돈 만들기

(1) 종잣돈이란? 내 인생 최초의 목돈

○ 종잣돈이란 앞으로 발생할 지도 모르는 미래의 중요한 사건을 대비하고 자신의 투자능력을 키울 목적으로 모은 최초의 목돈입니다.

종잣돈!

(2) 왜 종잣돈을 마련하죠?? ○ 종잣돈은 돈을 불리려고 하는 강한 의지를 심어줍니다. 수중에 100만원 밖에 없었을 때에는 흥청망청 썼던 사람도 일단 1,000만원 정도의 목돈을 만들게 되면‘좀 더 불려볼까?’ 하는 생각으로 돈을 굴리는 방법을 공부하게 됩니다. → 따라서 종잣돈은‘자산’ 을 열심히 굴리도록 나를 유인하는 돈입니다.

○ 종잣돈은 합리적인 수익률을 추구하게 만듭니다. 100만원은 20%로 불려도 겨우 20만원!

1,000만원은 5%로 불려도 50만원!

푼돈으로 투자하면 아무리 수익률이 높아도 돈을 모으기 힘듭니다.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투자하다가 적은 돈마저 잃어버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일정 이상의 자금이 생기면 안정적인 투자로도 만족스런 수익을 얻을 수 있 으니 합리적인 수익률을 추구하게 됩니다. → 따라서 종잣돈은 고수익・고위험 투자를 쫓고 싶은‘욕망’ 을 다스려주는 돈입니다.

○ 종잣돈으로 목돈을 만들어야 분산투자가 가능해집니다. 분산투자를 통해 안전하게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은 돈으론 여러 자산에 투자하기 힘들죠. → 따라서 종잣돈은‘투자 성공’ 을 위한 안전판이 되는 돈입니다.

06


02 (3) 종잣돈 제대로 마련하는 방법 제1원칙 종잣돈을 특별 대우하라! 목표한 금액 이상이 되기 전까지는 절대 쓸 수 없는 돈이라고 생각하고 종잣 돈을 지출 계획에서 배제합니다.

제2원칙 단숨에 모은다! 돈 모으는 게 지루해지면 포기하기 쉽거든요.

종잣돈을 모으는 기간 동안 지루해지지 않도록 1~2년 내 종잣돈을 모으도록 합니다.

제3원칙 눈에 보이게 모은다! 돈이 불어나는 모습이 눈에 확확~ 들어와야 매월 통장을 확인 할 때마다 신이 납니다. 2개 이하의 상품에 집중적으로 돈을 모읍니다.

제4원칙 안전한 상품에다 모은다!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단기 집중투자 하므로, 적금이나 채권형 펀드 등 안전한 상품을 고릅니다.

적금

○채권형 펀드

ELS

×주식형 펀드

제5원칙 뺄 것은 빼고 최대한 모은다! 총수입에서 최소 생활비와 생애계획에 따른 최소 지출액을 제외한 후, 가능한 많은 종잣돈 적립액을 결정합니다. 월급

생활비

생애계획 = 자금

식비

노후대비

교통비

주택마련

보험료

종잣돈 적립액

이를 바탕으로“1년 내에 종잣돈 1,200만원을 모으겠다!” 와 같은 가시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실천합니다.

www.invedu.or.kr

07


무조건 종잣돈부터 모아야 할까?

◎ A Type_부채가 있다면? 약 3,000만원 정도 빚진 것 같아요.

집안 사정이 안 좋다 보니 학자금 대출을 받게 되었어요.

빚부터 청산하고 종잣돈 모으기를 시작하세요! -‘자산관리’ 에서 가장 우선순위에 두어야 하는 것은 빚 청산 입니다. 돈을 모으거나 빌릴 때 근심거리가 없도록 일단 대출 상환에 집중하세요. - 왜‘빚 청산’ 을 우선해야 할까요? •시중금리가 아무리 높아 봤자 대출금리에 비하면 턱없이 낮습니다. 게다가 예적금으로 번 이자수익 중 15.4%는 이자소득세로 내야 하니, 세금까지 고려하면 시중금리는 대출금리보다 더더욱 작아지죠! •빚은 복리로 불어나기 때문에 시간이 갈 수록 무서운 속도로 늘어납니다. <100만원이 불어나는 속도 : 복리 vs. 단리> 복리

단리

(10년 후) 복리 : 196만원 단리 : 170만원

08

(20년 후) 복리 : 386만원 단리 : 240만원

(30년 후) 복리 : 761만원 단리 : 310만원


■ ◎ B Type_결혼을 앞두고 있다면?

전제 집 정도는 부모님 도움 없이 우리 힘으로 마련하고 싶어요.

저는 2년 뒤에 결혼을 약속한 여자친구가 있습니다.

일단, 결혼자금을 종잣돈처럼 모으세요! - 종잣돈 모으는 방식과 동일하게 단기간 (1~2년) 동안 결혼비용 마련에 힘씁니다. 월급

생활비

생애계획 = 자금

종잣돈 적립액

•왜 결혼자금이나 종잣돈을 모으면서 생애계획자금을 고려해야 할까요? → 생애계획자금은 주택, 노후, 자녀교육비용 등 앞으로 반드시 발생할 라이프이벤트에 대비하는 돈으로 최소한이더라도 장기간 꾸준히 준비해야 안정적인 삶을 가꿀 수 있습니다. - 일정 수준의 결혼비용을 마련한 뒤, 종잣돈 모으기에 집중합니다. 1~2년 취업 취업 취업 취업

결혼 결혼 결혼 결혼 결혼비용 마련

종잣돈 마련

•종잣돈과 결혼비용을 동시에 모으는 것보다 순차적으로 하나씩 모으는 것이 더 효과 적입니다. 둘 다 동시에 모으게 되면 목표 결혼자금을 기간 내에 모을 수 없을 뿐더러, 지출을 더 많이 줄어야 한다는 과도한 부담으로 인해 저축계획을 포기하기 쉽습니다.

www.invedu.or.kr

09


03

자산관리 실전

종잣돈을 모으기 위한 기초 자산관리 얼마씩 모아 종잣돈을 마련할까? 차근차근 정리해 봐야지!

1단계 지출 관리하기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 목돈 모아보자! - 지출 줄이기 전략

START

1년 안에 종잣돈 1,200만원을 모을 거야!

FINISH

6단계 종잣돈 모으기 남은 돈은 모조리 종잣돈 모으기에 집중하자!

5단계 독립과 주택마련자금 모으기 세제혜택이 있는 상품으로 주택마련 준비하자!

- 적금 □ - 펀드 □

- 주택청약종합저축 □

* 현재, 각 단계별 박스의 금융상품을 가지고 있는지 체크해 보세요! * 개인의 인생 및 재무계획에 따라 나에게 필요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판단해 보세요!

10


03 2단계 급여통장과 비상금 통장 가장 기본적인 금융계좌를 만들어보자! - 급여통장 : 예금 □ - 비상금통장 : CMA □

1단계 지출

종잣돈 ??? 만원

2단계 비상금 3단계 보험

5단계 4단계 주택마련 노후준비

3단계 보험 가입하기 삶의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안전판을 세워보자! - 상해・질병보험 □

4단계 노후준비자금 모으기 노후준비도 하고 소득공제도 받아보자! - 연금저축 상품 □ - IRP(개인퇴직연금) □

www.invedu.or.kr

11


03

1단계 : 지출 관리하기

(1) 나는 얼마나 잘하고 있을까? ○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25~35세 가장인 가계’ 는 다음과 같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적어보세요. 가장 연령별 가계 평균자산현황 (단위 : 만원)

25~30세

30~35세

9,166

17,280

금융자산

4,248

6,638

실물자산

4,918

10,642

자산총액

부채총액

1,458

4,284

순자산액

7,708

12,996

나의 자산 현황 ◆자산총액 : ________만원 - 금융자산 : ________만원 - 실물자산 : ________만원 ◆부채총액 : ________만원 ◆순자산액 : ________만원

(자료 : 통계청, 2011)

○ 현재 우리나라의‘30대 가장인 가계’ 는 한 달 평균 약 67만원을 저축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얼마를 저축하고 있나요? 30대 가장 가계 의 저축・지출현황 소득 약 380만원

저축 저축 저축 약 약 67만원 약 67만원 67만원 지출 약 313만원

평균연령 34.87세

나의 저축・지출 현황 ◆소득 : 월 _______만원 ◆지출 : 월 _______만원 ◆저축 : 월 _______만원

(자료 : 통계청, 2012)

(2) 저축의 기본 : 푼돈으로 목돈 만들기! ○ 푼돈을 절약하면 큰 돈이 됩니다. - 매일 마시는 5,000원 짜리 커피값만 절약해도 매월 150,000원(5,000원×30일)을 아낄 수 있습니다. - 한 갑에 2,500원씩 하는 담배를 끊으면, 매월 75,000원(2,500원×30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12

₩5,00 0


03 ○ 20만원이 인생을 바꿉니다. - 여느 ‘30대 가장 가계’ 처럼 매월 67만원을 저축한 손오공과 푼돈을 모아 20만원 씩을 추가해 87만원을 저축한 백설공주의 인생은 얼마나 달라질까요?

매월 67만원씩 저축

매월 87만원씩 저축

연이율 5%(월복리) 인생 널널하게!

연이율 5%(월복리) 20만원 차이

티끌 모아 태산!

이름 : 손오공 나이 : 30세

이름 : 백설공주 나이 : 30세

[10년 후 40세에 주택마련]

[10년 후 40세에 주택마련]

모은 돈 : 1억 빌린 돈 : 1억

2억

(대출이율 연 5%)

2억

모은 돈 : 1억 3천만원 빌린 돈 : 7천만원 (대출이율 연 5%)

집을 산 후, 이들은 매월 저축하던 돈으로 대출을 상환하기 시작했죠.

60세 시점(30년 후)에서 두 사람의 자산현황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에고고...아직도 빚이 남았어..ㅠㅠ 2억

빚 + 980만원

호호호~ 난 돈을 좀 모았지! 2억

금융자산 + 1억 5,400만원

(물가상승률, 세금 등은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자, 이제 좀 저축하고 싶은 기분이 드나요? 이제 본격적인 지출관리에 나서볼까요?

www.invedu.or.kr

13


03

1단계 : 지출 관리하기

(3) 예상 지출계획 세우기 ○ 월급날을 기준으로, 예상지출을 정리해보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이번 달 예상지출> 총 예상지출금액 : _________ 만원 지출분류

세부항목

금액

비고

고정지출

•부모님 용돈 • •

__________ 만원 __________ 만원 __________ 만원

수시지출

•교통비 •친구와의 유흥비 • • •

__________ __________ __________ __________ __________

•친구 생일 •

__________ 만원 __________ 만원

•의료비 •

__________ 만원 __________ 만원

정기 지출

비정기 지출 예비비

만원 만원 만원 만원 만원

- 정기지출이란 매 월마다 발생하는 지출을 의미합니다. 자의로 지출 액수를 조정할 수 없는 고정지출과 조정할 수 있는 수시지출로 나뉩니다. •(예) 고정지출 : 부모님 용돈, 월세, 통신비 등 •(예) 수시지출 : 식비, 의복비, 교통비, 데이트비용, 회식비 등 - 비정기 지출이란 경조비, 기념일 비용 등 매월마다 발생하지 않는 지출을 말합니다. - 예비비란 의료비 지출 등 만일에 대비하는 돈으로써,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하여 매월 지출규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지출분류와 그 내역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핸드폰 요금이 정액제인 경우 통신비는 고정지출이 되고, 종량제인 경우 수시지출이 됩니다.

14


03 (4) 가계부와 지출습관 평가하기 ○ 가계부 쓰기 - 소득・지출을 관리해 본 경험이 적을수록 자신의 지출습관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계부를 작성하면 자신의 지출습관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무엇을 줄여야 할지도 알게 됩니다. - 가계부 쉽게 쓰는 법은? •미리 작성해둔 예상지출 내역을 보며, 추가되거나 변경된 사항만 확인하세요.

105 89 만원 총 예상지출금액 : _________ 지출분류

정기 지출

세부항목

금액

비고

고정지출

•부모님 용돈 •통신비

__________ 50 만원 5 만원 __________

수시지출

•교통비 •친구와의 모임 •식비 •의류구입

__________ 6 5 2 __________ __________ 18 20 15 __________

만원 만원 만원 만원

-

변경 변경 추가

•카드 사용내역서, 현금영수증 사용내역서(www.taxsave.go.kr)를 이용하면 지출 __________ 만원 •친구 생일 비정기 내역을 쉽게 지출 정리할 수 있습니다. __________ 만원 • •의료비 __________ 만원 • __________ 만원 - 작성한 가계부를 바탕으로 다음 내용 중 해당하는 사항을 체크해보세요.

○ 내 지출습관예비비 평가하기

→ 체크한 항목이 있다면 지출습관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차근차근 지출내역을 검토 해 봅니다. □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있는데도 지출이 월급의 50%를 넘는다. □‘예상지출 내역에 없는 지출’ 이 월급의 10%를 넘는다. □‘예상지출 내역에 없는 지출’ 의 대부분은 충동구매로 인한 것이었다.

www.invedu.or.kr

15


03

2단계 : 급여통장과 비상금 통장

(1) 급여통장으로 어떤 금융상품이 좋을까요? ○ 급여통장이란? - 급여통장은 소득과 지출을 관리하는 기초통장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급여통장을 개설한 곳에서 결제, 이체, 대출, 저축, 투자 등 다양한 금융거래를 하며 인생의‘주거래 금융회사’ 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각종 카드대금, 공과금, 관리비 등 결제

대출금 상환

적금, 펀드, 보험 등 금융상품에 납입

통장 여 급

친구, 친지 등에게 송금

체크카드, 현금인출기 등을 통해 지출

→ 급여통장의 선택은‘자산관리의 첫걸음’ 이므로 신중하게 고르세요.

○ 어떤 금융상품을 급여통장으로 골라야 할까요? ① 당장은 아니더라도 향후 대출, 저축, 투자 등을 활용할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하는‘은행’ 에서 상품을 찾습니다. ② 입출금이 자유롭고 각종 수수료 면제 및 우대금리 혜택이 있는‘예금’ 을 선택합니다. ③ 그 중에서도 이체나 출금이 편리하고 수수료가 저렴한 상품을 선택합니다. - 급여통장을 통해 잦은 입출금, 각종 이체, 카드대금 결제, 공과금 납부, 대출금 상환 등을 하므로 수수료 수준을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④ 기본금리/우대금리를 살핍니다. * 한국투자자보호재단 홈페이지(www.invedu.or.kr)에서 [금융상품비교] → [기초통장] → [급여통장]을 통해 시중 주요 은행의 급여통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16


03 (2) 비상금통장은 어떤 금융상품이 좋을까요? ○ 비상금통장이란? - 비상금통장은‘병원비, 각종 축의금 등’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하기 위한 통장입니다. - 종잣돈을 모으는 도중 비상금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때 여윳돈이 없으면 종잣돈 계좌 를 해지하거나 중도인출 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합니다. → 비상금 통장은 종잣돈 마련 계획을 차질 없이 실천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계좌입니다.

○ 비상금 통장은 급여통장과 별도로 만듭니다. 비상금 통장으로는 입출금이 자유 롭고 주식・펀드 등에 쉽게 투자할 수 있는 CMA가 적합합니다. - CMA : 연 2~3% 수준의 수익을 지급하며 손실위험이 있는 투자상품 (증권회사・종합금융회사 등에서 가입) *p. 35 참고

○ 왜 비상금 통장을 따로 만들어두어야 하나요?

월급통장에 비상금을 넣어두면 슬금슬금 꺼내 쓰게 되거든요. 한 달의 수입과 지출 관리도 잘 안 되고~

○ 비상금통장에는 한 달 월급 정도의 여유자금을 보관하세요. 월급 받기 전날, 급 여통장에 남은 돈을 비상금 통장에 이체하면 예상보다 많은 돈이 모이는 것을 보게 될 거에요. 정리 : 두 개의 기초통장 마련 대표 저축통장 (은행)

www.invedu.or.kr

통장 여 급

비상 금통 장

(예금)

(CMA)

대표 투자통장 (증권사, 종금사)

17


03

3단계 : 보험 가입하기

(1) 왜 보험에 가입해야 하나요? ○ 보험이란 사망, 질병, 상해 등, 앞으로 닥칠지 모르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금융 상품입니다 ○ 예상치 못한 사고나 질병은 우리들을 빈곤에 빠트릴 수 있습니다. -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원인 중 3위가“병원비 부담” 이라고 합니다.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원인> ○ 1위 : 사업실패 ○ 2위 : 가정해체 ○ 3위 : 병원비 부담 (암, 교통사고 등) (사회보장학회, 중앙일보 공동조사 2005.5.)

•우리는 이런 사람들을‘의료빈민(Medically poor)’ 이라고 부릅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질병・상해보험에 가입해 두는 것은 결코 불필요한 지출이 아닙니다.

(2) 어떤 보험에 가입해야 하나요? ○‘질병・상해 보험’ 에 주목하세요! - 사회 초년생은 월급 등 들어오는 돈이 있긴 하지만 아직 목돈이 없기 때문에, 일할 수 없으면 소득이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몸이 재산이라고 할 수 있죠. - 그러므로 질병이나 상해로 인해 일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치료비 마련이 어렵거나 주변에 부담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질병・상해 발생시 병원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보험에 우선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자잘한 질병보다‘발생 확률은 높지 않더라도 발생시 직장을 그만둬야 하는 등 삶에 큰 위해가 되는 질병・상해’위주의 보장성 보험에 가입합니다.

18


03 (3) 보험 가입 시 주의해야 할 점은? ○ 저축성 보험에 과도하게 가입하지 않습니다. - 대부분의 사회 초년생들은 10년 내에 결혼, 주택마련(전세, 구매) 등을 위한 목돈이 필 요합니다. 만약‘저축성 보험’등 장기 보험상품에 과도하게 가입하면 도중에 해지하 거나 높은 이자율로 대출을 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납입 보험료가 전체 소득의 10% 이상을 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저축성 보험’ 에 대해서는 p. 36~37를 참고하세요!

○ 중복가입은 피합니다. - 부모님이 자식의 보험을 미리 들어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먼저 자신이 어떤 보험에 가입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보험가입 여부를 결정합니다.

○ 고지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 통지의무 등 보험가입자의 의무를 준수합니다. - 보험가입자의 의무를 위반한 경우, 보험이 해지되거나 나중에 사고・질병이 발생하더 라도 보험금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사실대로 기입하세요. ※ 보험 가입의 3원칙 1.‘보장성 보험’중심으로 가입합니다. - 목돈을 모을 목적으로‘저축성 보험’ 에 가입했다가 중도해지하는 경우 해지가산세 등으로 인하여 적금, 펀드 등 다른 금융상품보다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 예상치 못한‘위험’ 에 대비하기 위해 보험에 가입하는 것임을 명심하고‘저축성 보험’ 보다 질병・상해 보장 등‘보장성 보험’가입에 더 신경 쓰세요. 2. 치명적인 위험 위주로 보장항목을 선택합니다. - 보험료를 최소화하면서도 삶의 큰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보장항목을 선택합니다. - 발병률이 높아 보험금이 자주 지급되는 항목은 그만큼 보험료 부담도 높아‘낸 돈이 곧 받는 돈’ 이 되는 경우가 많음을 명심하세요. 3. 월 보험료를 최소화합니다. ① 소득발생기간을 고려하여 납입기간을 최대한 길게 설정합니다. (납입기간이 길어지면 총 보험료는 늘어나지만 매월 보험료 부담이 줄어듭니다.) ② 보장성 보험의 경우,‘만기환급금’ 을 최소화합니다. (만기환급금을 줄이면 보장수준을 유지하면서 보험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만기환급금은 보험사가 공짜로 주는 돈이 아니라 내가 낸 보험료에서 따로 적립된 돈임을 잊지 마세요.)

www.invedu.or.kr

19


03

4단계 : 노후준비자금 모으기

(1) 노후준비, 일찍 시작해야 하나요? ○ 일찍 시작할수록 부담은

확확~ 줄어듭니다.

이름 : 박신입 나이 : 30세 박신입은 60세 은퇴시점까지 5억 원의 자산을 모아 노후자금으로 쓰려고 합니다. 지금 당장 시작한다면 매월 약 50만원씩만 모으면 되죠. 하지만 10년만 늦어져도 매월 107만원씩 모아야 합니다. (연 수익률 6% 가정)

50세에 시작하면 매월 296만원씩

30세에 시작하면 매월 50만원씩

40세에 시작하면 매월 107만원씩

은퇴

준비기간은 20년에서 10년으로 절반이 되었는데 매월 적립금은 107만원에서 296만원으로 거의 3배가 되었네요. - 신기한 것은 준비기간이 줄어들면 매월 모아야 하는 돈이 확확~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이는 복리효과로 불어나는 수익 때문인데요, 빨리 시작할수록 적은 돈으로 수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 윽! 하지만 어떻게 한 달에 노후준비로 50만원씩 모아요? 지출할 데도 많은데!

넌 취직과 동시에 많은 노후준비를 하고 있단다. 개인적으로는 조금만 더 모으면 돼! 들어는 봤나? ‘3층 보장제도’ !

20


03 (2)‘3층 보장제도’ ○ 1인당 3종류의 연금을 통해 노후를 보장하게 하는 것을‘3층 보장제도’ 라고 합니다.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

여유 있는 생활 연금저축상품 등

안정적인 생활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개인형퇴직연금

기초생활 보장 공적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 국민연금 : 10년 이상 보험료 납부 시 만 65세(1969년 이후 출생자) 이후 죽을 때까지 연금으로 일정 금액을 다달이 받을 수 있는 제도로써 소득이 있는 한 자동 적으로 가입됩니다. •납입금은 소득의 9%이며, 이중 절반인 4.5%는 회사가, 나머지 절반인 4.5%는 노동 자가 부담합니다. •국민연금으로 납부한 보험료는 전액 소득공제 대상입니다. - 퇴직연금 : 회사가 매년 일정 금액을 사외 금융기관에 적립한 뒤, 직장인이 만 55세가 되면 5년 이상 연금※으로 지급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납입금은 소득의 8.33%이며 회사가 전액 부담합니다. •퇴직연금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DB: Defined Benefit)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DC: Defined Contribution)

개인형퇴직연금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퇴직연금 적립액의 운용을 기업이 알아서 하고 근 로자에게는 정해진 퇴직연금만을 지급하는 제도 퇴직연금 적립액의 운용을 근로자가 직접 책임지고 이 결과에 따라 퇴직연금 수령액이 결정되는 제도 퇴사 또는 중간정산으로 받은 퇴직금을 적립하거나, 퇴직연금 가입자가 연 1,200만원 한도 내에서 자기 부담으로 추가 납입함으로써 나중에 노후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금융상품

※ 퇴직연금이 아닌‘퇴직금’ 으로도 퇴직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개인연금 : 개인이 자율적으로 노후를 보장받기 위해 가입하는 연금상품입니다.

www.invedu.or.kr

21


03

4단계 : 노후준비자금 모으기

(3) 개인연금으로 얼마나 더 불입하면 될까요? ○ 30세 직장인이 노후준비를 위해 매월 적립해야 하는 돈은 50만원! - 당신은 이미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에 일부를 모으고 있으니, 개인적으로는 조금만 더 모으면 됩니다. * 국민연금공단의 사이트“NPS 내연금(csa.nps.or.kr)” 에서 국민・퇴직・개인연금을 설계해보세요.

월급 200만원(기본급)인 경우 국민연금 (공적연금)

매월 18만원씩 납입

퇴직연금

매월 16만6천원씩 납입

개인연금

얼마씩 모으면 될까?

(4) 연금저축계좌, 어떻게 활용하나요? ○ 대표적인 개인연금상품인‘연금저축계좌’ 는 5년 이상 납부하면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 계좌 내에서 다른 금융상품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연금저축계좌에서 구입할 수 있는 금융상품으로는‘신탁, 보험, 펀드’ 가 있습니다. - 연금저축신탁은 은행에서 판매하며 원금보장이 되지요. 수익률은 다소 낮지만 안전하고 예금자보호가 됩니다. - 연금저축보험은 보험회사와 은행에서 판매하는데요, 원금보장과 예금자보호가 됨은 물 론, 죽을 때까지 연금을 지급하는‘종신형’상품도 있습니다. → 다만, 보험료 중 사업비와 위험보험료 등으로 빠져나가는 부분이 있어 예상보다 연금지급액이 적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 연금저축펀드는 증권회사, 보험회사, 은행에서 판매하는 투자상품입니다. 기대수익률은 다소 높지만 원금손실이 날 수 있으며, 상품이 다양하므로 비교해보고 골라야 합니다. *‘펀드’ 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p. 38~39를 참고하세요.

○ 연금저축계좌에 납입한 돈은 개인형퇴직연금(IRP)계좌의 추가적립액과 합산하여 연 400만원까지 소득공제 됩니다. ○ 연금저축계좌를 해지하는 등 연금 의외의 방식으로 계좌 내의 돈을 빼내는 경우 기타소득세 22%(지방소득세 포함)를 부담하게 되므로 신중하게 가입하세요. ※2013.3. 이전 가입자는 가입 후 5년 내 해지 시 2.2%(지방소득세 포함)의 해지가산세를 추가로 부담하게 되니 더욱 신중하게 가입하세요!

22


03 에 대해 ’ 금 연 ‘퇴직 싶다면? 고 알 히 더 자세

고용노동부, 「김과장의 퇴직연금 탐방기」 로 알찬 퇴직연금 사례들을 만나보세요!

www.invedu.or.kr

23


03

5단계 : 독립과 주택마련자금 모으기

(1) 독립의 비용 ○ 독립의 비용은 얼마나 될까요? - 독립한 직장인은 한달 평균 37만 9,000원의 주거비와 15만 7,000원의 관리비 및 공과금을 부담한다고 합니다!(2012년 잡코리아 온라인 설문조사) → 생활비까지 계산하면, 독립의 부담은

훨씬~ 더 커집니다.

- 독립의 비용은‘종잣돈 모으기’ 를 어렵게 합니다. 용 용 비 비용 비 립 립비 립 독 독 원 독립 원 원 만 만원 만 55 55000

흑흑, 종잣돈은 언제 모으지?

월소득 200만원

남은 돈 150만원

⇒ 종잣돈 모으기가 늦어지면 자산관리가 그만큼 불리해지기 때문에, 이는 독립의 또 다른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독립은 쉬운 선택이 아닙니다. 독립을 마음먹은 새내기 직장인은 독립의 이득과 비용을 모두 고려한 뒤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독립의 이득

독립의 비용

자유 줄어든 출퇴근 시간과 비용

주거비 생활비

외로움

독립자금 마련을 위해 포기한 종잣돈 저축액

○ 만약 독립을 결심했다면, 주거비용 지출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독립을 계획합 니다 - 보통 월세보다 전세가 더 유리하므로 전세‘대출’이용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전월세전환율(월세이율)이 대략 연 10.32%(2013.2. 한국감정원)이므로 당신이 월세 를 지불하고 있다면 이자율 약 10%의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것과 같은 셈이죠! * 전월세전환율 : 월세를 전세자금에서 매달 발생하는 이자로 계산한 비율

24


03 (2) 주택마련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금융상품은 무엇인가요? ○ 주택마련을 위해서는 많은 금액을 장기간 모아야 하기 때문에 여러 금융상품을 활용해야 합니다. 주택마련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금융상품에는 이런 것들이 있으니 알아두세요!

주택청약 종합저축

국가가 여러 세제상・금리상 혜택을 줘서 주택마련을 돕는 금융상품

← 펀드・적금 ←

대출

(3) 주택청약종합저축 활용하기 ○ ‘주택청약종합저축’ 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청약통장으로 청약시점에서 원하는 주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직장인 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새로 지어진 아파트를 분양 받기 위해서는 ‘청약통장’ 이 필요하지요.

- 취급은행 : 기업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중앙회

○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장점은? - 2년 이상 가입 시 연 4%의 높은 이자를 지급받습니다. -‘무주택세대주’ 가 가입하면 납입한 돈의 40%를 소득공제 해줍니다. (납입 인정액 매월 10만원까지, 최대공제액 연 48만원) •무주택세대주란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세대주를 말합니다.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창구를 방문하여 무주택세대주임을 밝혀야 합니다. (무주택확인서 작성,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증 지침) ※ 무주택세대주라 할 지라도 5년 이내에 해지하거나 85㎡를 초과하는 주택을 사면 소득공제 혜택을 취소하니 주의하세요.

○ 월 불입금액 한도 : 매월 최소 2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납부 가능합니다.

www.invedu.or.kr

25


03

5단계 : 독립과 주택마련자금 모으기

(4) 대출 활용하기 ○ 대출은 담보유무에 따라‘신용대출’ 과‘(주택)담보대출’ 로 나뉩니다. - 신용대출 : 담보 없이 나중에‘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신용)’ 을 바탕으로 돈을 빌리는 것을 말합니다. - 주택담보대출 : 나중에 돈을 못 갚으면 주택에 대한 권리를 금융회사(은행 등)에게 넘 겨주기로 약속하고 돈을 빌리는 것을 말합니다.

○ 직장인 신용대출 활용하기 대출조건부터 확인하기

직장인 대출을 받으려면‘재직기간,‘소득’ ,‘신용등급’ 에서 일정 조건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예 : 6개월 이상 재직, 연소득 2,000만원 이상, 신용등급 6등급 이상

반드시 은행에서 대출!

금리가 저렴하고 신용등급에 불이익이 없는 일반은행 (제1금융권)에서 대출받습니다.

* 대출금리 비교하기 : 전국은행연합회(www.kfb.or.kr) 및 각 은행 홈페이지

※ 대출금리와 대출한도는 은행 별로 새내기 직장인의 소득과 신용 등을 반영하여 결정 됩니다. 은행을 직접 방문하여‘대출 상담’ 을 받아보세요.

우대금리 따져보기

자신에게 해당하는 우대조건이 있는 지 확인해봅니다.

•주거래 은행의 중요성 : 해당 은행으로 급여이체 하는 등 주거래 계좌를 유지하는 경우, 우대이율을 통해 낮은 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지점장 재량 등을 통해 우대금리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유리한 상환방식으로!

대출계산기를 이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상환할 때 이자부담이 가장 적은 지 확인하세요.

일시상환 : 매월 이자만 갚다가 만기에 원금을 갚음 원금균등분할상환 : 매월 일정한 액수의 원금을 갚아나감 원리금균등분할상환 : 매월 일정한 액수의 원리금을 갚아나감 → 일반적으로 중도상환비용이 없다면‘일시상환’ 보다는‘분할상환’ 이 유리하며,‘원리금 균등분할상환’ 보다는‘원금균등분할상환’ 이‘총이자액’ 면에서 더 유리합니다.

26


03 ※ 정부의 주요 주택마련 대출지원제도 ○ 근로자서민전세자금대출 •대출금액 : 세대당 8,000만원 한도(전세가격의 70% 이내) ※ 다자녀(만20세 미만 3자녀 이상)가정 : 1억원 한도

•대출금리 : 연 3.7% 고정금리(2012.12.21. 기준) ※ 65세 이상 직계존속 부양/장애인/다문화가정 : 우대금리 연 3.5% 다자녀(만20세 미만 3자녀 이상)가정 : 우대금리 연 3.2%

•신청조건 : 무주택세대주, 세대주 1인의 연소득이 4,000만원 이하(신혼부부는 4,500만원 이하) ⇒ 연소득은 기본급뿐만 아니라 수당, 상여 등을 합산한 총소득임 •주택제한 : 85㎡ 이하의 주택만 가능 •대출상환 : 2년 이내에 일시 상환(3회 연장 가능, 최장 8년)

○ 근로자서민주택구입자금대출 •대출금액 : 세대당 1억원 한도 ※ 다자녀(만20세 미만 3자녀 이상)가정 : 1억5,000만원 한도

•대출금리 : 연 4.3% 고정금리(2012.12.21. 기준) ※ 장애인/다문화가정 : 우대금리 연 4.1% 다자녀(만20세 미만 3자녀 이상)가정 : 우대금리 연 3.8%

•신청조건 : 무주택세대주, 부부합산 연소득이 4,000만원 이하(신혼부부는 5,000만원 이하) ⇒ 연소득은 기본금뿐만 아니라 수당, 상여 등을 합산한 총소득임 •주택제한 : 85㎡ 이하, 3억 이하의 주택만 가능 •대출상환 : 1년 거치 19년 분할상환 / 3년 거치 17년 분할상환

○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 •대출금액 : 세대당 2억원 한도(주택가격의 60% 이내,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소득의 50% 이내) •대출금리 : 연 3.8% 고정금리(2012.12.21. 기준) ※ 장애인/다문화가정 : 우대금리 연 3.6% 다자녀(만20세 미만 3자녀 이상)가정 : 우대금리 연 3.3%

•신청조건 :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무주택세대주, 부부합산 연소득이 5,500만원 이하 ⇒ 연소득은 기본금뿐만 아니라 수당, 상여 등을 합산한 총소득임 •주택제한 : 85㎡ 이하, 6억 이하의 주택만 가능 •대출상환 : 1년 거치 19년 분할상환 / 3년 거치 17년 분할상환 * 주택마련 지원제도의 금리 및 신청조건은 추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용 전‘국토교통부 국민주택기금포털’ 사이트(http://nhf.mltm.go.kr)를 방문해주세요.

www.invedu.or.kr

27


03

6단계 : 종잣돈 모으기

(1) 종잣돈, 어떤 금융상품으로 모을까? ○ 1~2년 동안 매월 납입할 수 있는 적립식 상품 중, 예금상품으로는‘적금’ , 투자 상품으로는‘펀드’ 가 있습니다. - 적금 : 원금손실 위험 없고 은행파산 시 원리금 5,000만원 한도에서 보호되는 안전한 상품입니다. * 적금 고르는 법에 대해서는 p. 34을 참고하세요!

- 펀드 : 원금손실위험 있으나 적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는 상품입 니다. → 펀드 중에서도 원금손실위험이 적은‘채권형 펀드’ 를 이용합니다. ※ 단, 펀드의 경우 상품간 수익률 편차가 크고 경제상황 및 경기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하므로 모든 펀드 상품이 적금보다 항상 우월한 수익을 거둔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 펀드 고르는 법에 대해서는 p. 38~39을 참고하세요!

< 금융소득세와 세금우대 > - 적금의 이자, 펀드의 수익 등, 금융상품으로 소득을 얻게 되면‘이자・배당소득 세’ 라 하여 소득의 15.4%를 세금으로 냅니다. ⇒ 종자돈을 모으려고 일부러 수익률이 낮은 적금에 투자하고 있는데 세금까지 내면 아깝죠! 세금을 줄여주는 상품에 가입해야 합니다. -‘세금우대’ 와‘비과세’저축 •세금우대 : 금융상품별 최대 1,000만원까지 이자소득세를 9.5%로 감면해주는 제도입니다. (2014년까지 가입 가능) •비과세 : 농협,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삼림조합 등(단, 저축은행 제외)에 저축 하는 경우, 최대 3,000만원까지 이자소득세를 감면해주고 농어촌특별세 1.4%만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2015년까지 가입 가능)

28


03 (2) 종잣돈, 어떤 방식으로 모을까? ○ 2개 이하의 상품에 종자돈을 모읍니다.

적금

채권형 펀드

- 안전한 적금 위주로 모으되, 원금손실위험을 감당할 수 있다면 채권형 펀드에 함께 투 자함으로써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종잣돈 모으기, 지금 당장 시작하세요!

적금 80% 펀드 20%

와! 계획 다 짰다!

수습 기간 끝난 뒤 부터 실천해야지!

뭐야?

○“12개월 안에 종잣돈 1,200만원을 모으겠다!” 라고 결심한 사람이 지금 시작하면 한 달에 98만원씩만 모아도 됩니다. 그러나 세 달 뒤에 시작하면 매달 132만원 씩 모아야 하죠. (연 수익률 5% 가정) 금액 1,200만원

매월 98만원씩 투자

3개월

3개월 뒤부터 매월 132만원씩 투자

12개월

기간

⇒ 미루지 말고 바로 지금부터 종잣돈 모으기를 실천해보세요!

www.invedu.or.kr

29


새내기 직장인의 소득 포트폴리오 <(예시) 내 월급 ______만원의 소득 포트폴리오> 200 50만 원 매월 적립할 종잣돈, ______원! 100만

지출 (용돈, 교통, 통신, 주거비 등)

종잣돈

10만 원

비상금

(적금, 펀드)

(CMA)

주택 마련

보험

8만 3천 원

(질병・상해)

(주택 노후준비 청약 (연금저축) 저축)

20만 원 10만 원

나의 목표 : “ ____개월 안에 종잣돈 __________원을 모으겠다!” 12 1,200만 - 지출 : 위 그림의 지출 50만원은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일반적인 미혼자 기준이며 독 립적인 생활을 꾸려가는 사람의 경우 추가로 생활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비상금 : 매월 5~10만원씩 불입하거나 월급 받기 전 남은 잔고를 불입하여 월급 1~2배 수준의 비상금을 유지합니다. - 노후 준비 : 연금저축은 5년 이상 납입하고 55세 후에 15년간 나누어 받는‘초장기 상품’ 이므로 소득의 10% 수준 이내에서 적정하게 가입합니다. 400만원 한도 내에서 불입금액이 소득공제 되므로 공제항목이 적은 미혼은 적극 가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 주택마련 : 주택청약종합저축에 월 10만원씩 불입합니다. 만일 무주택세대주라면 주택 청약종합저축의 경우 납입액의 40%를 48만원까지 소득공제해주므로 10 만원씩 불입하면 소득공제액 전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보장성보험 : 보장성 보험은 연 100만원 한도 내에서 불입액을 소득공제하므로 월 8만 3,000원 내외로 가입하면 보험료 불입액을 모두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30


새내기 직장인의 자기계발 자기계발도 투자입니다! 끊임없는 자기계발이 가장 큰‘자산관리’방법입니다!

능력 = = 능력 = 능력 가장 가장 큰 큰 자산 자산 큰 자산 가장 가장

<자기계발의 Tip> ① 자기계발은‘업무’ 에서 시작된다! - 자기업무와는 전혀 관련 없는 자격증을 공부하며 새로운 삶을 꿈꾸는 사회초년생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자신이 가진 환경적・경력적 장점을 포기하고 불모지를 개척 하는 것과 같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누구보다 잘 할 수 있도록 자신을 성장시키 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입니다.

② 기왕이면 어려운 자격증에 도전하라! - 쉽게 딸 수 없는 자격증은 돈과 시간만 낭비할 뿐 인정받지 못합니다. 기왕이면 하나 라도 제대로 된 자격증에 도전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③ 정부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라! -‘자기계발’ 을 위한 학원, 교재비등의 비용은 월급이 적은 새내기 직장인에게 큰 부담 입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각종 제도를 찾아 자기계발비를 절약하는 게 중요합니다.

근로자 직무능력향상 지원금

1년간 100만원 (5년간 300만원 한도) 지원

•신청대상 : 우선지원대상 기업 소속 근로자, 비정규직 근로자 ※ 우선지원대상 기업 : 업종별 상시 근로자 수가 100~500명 미만인 중소 기업 •지원방식 : 근로자가 훈련비용을 자비로 사전부담하고 훈련수료 후 훈련비 단가의 50~100%를 지급 •신청절차 : 근로자 직무향상 지원금 사용이 인증된 훈련기관에서 교육받은 뒤 30일 이내에 훈련기관 소재지를 관할하는 고용센터에서 관련서류를 작성하여 신청

재직자 내일배움 카드제

1년간 200만원 (5년간 300만원 한도) 지원

•신청대상 : 비정규직 근로자, 90일 내 이직 예정인 근로자 •지원방식 : 고용노동부가 훈련기관에 실 수강료 60~80%를 직접 지급하고 나머지는 자비부담 •신청절차 : 고용센터에서 내일배움 카드를 발급받은 뒤 내일배움 카드제 사용이 인증 된 훈련기관에 이를 제시하여 신청 * 더 자세한 정보는 HRD-Net(www.hrd.go.kr/)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www.invedu.or.kr

31


04

금융상품 기초지식 쌓기

금 어디에서, 어떤 금융상품,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까?

- 계좌이체, 결제 - 예・적금 가입 - 대출 - 펀드투자 - 신탁가입 - 보험가입 - 환전 - 카드가입

- 대출

- 할부금융상품 - 대출

32

- 대출 - 계좌이체, 결제 - 예・적금 가입 - 카드가입 - 대출 - 계좌이체, 결제 - 예・적금 가입 - 카드가입

- 계좌이체, 결제 - 예・적금 가입 - 보험가입 - 환전 - 카드가입


04

- 펀드운용

비슷함

- 자산관리・운용 자문 - 주식, 채권 투자 - 펀드투자 - 랩어카운트 투자 - 파생상품 투자 - 신탁가입 - 계좌이체, 결제 - 카드가입

www.invedu.or.kr

- 보험가입 - 펀드가입 - 대출 - 신탁가입

- 보험가입 - 펀드가입 - 대출 - 신탁가입

- 카드가입 - 대출

33


04

적금

적금...‘이자율’이 낮으나 안전한 저축상품으로 은행 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적금 고르기 ① 금리 비교하기 - 전국은행연합회 (http://www.kfb.or.kr) : 은행금리비교 - 상호저축은행중앙회(http://www.fsb.or.kr) : 저축은행금리비교 <매월 100만원씩 1년간 불입하면?> (2013.3. 전국은행연합회) 이자율

최저금리(3.4%)

최고금리(2.0%)

원리금(1년 후)

12,186,966원

12,109,980원

이자

186,966원

109,980원

이자소득세 15.4% 고려함

차이 76,986원

단 20분 투자해서 높은 금리를 찾았더니 앉아서 80,000원 벌었습니다.

② 우대금리 살펴보기 일반적으로 다음의 사항을 충족하면 우대금리 주는 곳이 많습니다. - 신규가입 고객 / 인터넷 가입 고객 - 월급통장 보유 고객 / 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한 고객(일부 은행) - 신용카드 발급 고객 - 만기축하금리 등 ③ 세제혜택 활용하기 - 세금우대 : 은행계좌 별로 최대 1,000만원까지 이자소득세를 9.5%로 감면해주는 제도입니다.(2014년까지 가입 가능) - 비과세 : 농협,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삼림조합 등(단, 저축은행 제외)에 저축하는 경우 최대 3,000만원까지 1.4%의 농어촌특별세만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2015년가지 가입 가능)

○ 알아두기! - 적금을 중도에 해지하면 적용 금리가 1% 이하로 작아집니다. - 적금에도 복리상품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리보다 이자율이 약간 낮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비슷한 이자를 받게 됩니다.) - 소득이 일정하지 않다면‘자유적금’ 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기적금 : 사전에 정한 금액만을 정해진 기간마다 불입 • 자유적금 : 수시로 원하는 금액을 불입

34


(투자상품) CMA

04

CMA(Cash Management Account)... 증권회사, 종금사에서 가입 할 수 있는 입출금통장으로 실세 단기금리 수준의 수익을 주는 투자상품입니다.

각종 카드대금, 공과금, 관리비 등 결제

계좌이체

잔고는 안전한 채권 등에 자동투자

주식, 채권, 펀드에 투자

CM

A

체크카드, 현금인출기 등을 통해 지출

○ CMA 고르기 CMA고르기 ① 이체・출금수수료와 면제조건 확인하기 CMA는 수익률이 높은 상품보다 이체・출금 수수료가 저렴한 상품을 고르는것이 좋 습니다. CMA에 넣어두는 돈이 얼마 안되다 보니 금리가 조금 높은 것보다 수수료를 줄이는 게 훨씬 이득이거든요. ② 수익률 확인하기 CMA는 가입기간이나 잔고금액 수준 등에 따라 다르며 금융회사별로 제시하는 금액 이 다르니 비교해 봅니다. * CMA 비교하기 : 한국투자자보호재단(www.invedu.or.kr)의 [금융상품비교] → [기초통장] → [CMA] 에서 각 증권회사의 CMA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③ 연계서비스 살피기 CMA에 가입할 때는 CMA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연계 서비스를 살펴야 합니다. CMA는 투자를 위한 기초통장이기 때문이죠. 주식・채권투자가 편리한지 펀드 추천 은 잘 해주는지* 등 서비스 평판을 고려하세요. * 펀드판매회사 평가 : 한국투자자보호재단(www.invedu.or.kr)의 [금융상품비교] → [펀드] → [우수 판매회사 검색]을 참고하세요!

www.invedu.or.kr

35


04

보험

보험... 우리를 둘러싼 여러 위험에 대비하는 금융상품입니다. ○ 우리를 둘러싼 위험 (연금)돈 없이 오래 살 위험

사망

상해, 질병

자동차사고, 화재

배상책임, 도난

보험의 종류와 보험회사

생명보험회사 -

사망보험(종신보험, 정기보험) 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상해, 질병보험 변액보험

손해보험회사 -

자동차보험, 화재보험 배상책임보험 상해, 질병보험 연금저축보험

* 연금보험 : 목돈 또는 매월 일정금액을 보험료로 납부하면 장래에 연금처럼 보험금을 받을 수 있으며 특정 조건을 충족할 시 보험차익까지 비과세 해주는 저축성보험 ** 연금저축보험 : 보험회사에서 판매하는 연금저축상품 (p. 22 참고)

○ 보험 고르기 보험고르기 ① 내가 내는 보험료 확인하기 보험료는 저축보험료, 위험보험료, 부가보험료로 구성됩니다. 이중 위험보험료만 사고발생시 지급받는 보험금을 위해 납부하는 돈이고 나머지 저축 보험료와 부가보험료는 해지・만기환급금 마련과 보험회사 운영에 쓰입니다. 보험료 (내가 낸 돈)

위험보험료

사고발생시 지급할 보험금 마련

저축보험료

해지・만기 환급금 마련(저축되는 금액)

부가보험료

사업비(보험회사 영업경비로 쓰임)

보험료부담을 줄이려면 부가보험료(사업비)가 싼 보험상품을 찾아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위험대비가 목적이라면 만기환급금을 줄여 저축보험료를 덜 내는 것이 현명합니다.

36


04 - 저축성보험 : 목돈마련을 위한 상품으로 만기에 낸 돈보다 많이 돌려받는 보험 → 저축성보험의 부가보험료인 계약체결비용, 계약관리비용, 모집수수료는 상품설명서, 보험회사 및 각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생명보험협회 (www.klia.or.kr), 손해보험협회(www.knia.or.kr)

- 보장성보험 : 위험대비를 위한 상품으로 낸 돈 보다 적게 돌려받는 보험 → 보장성보험은 부가보험료를 직접 확인할 수 없으나“보험료지수” 를 대신 살펴보면 됩니다. 보험료지수가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보험료가 싼 상품이며 상품설명서, 보험 회사 및 각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보험료지수 =

해당 상품의 영업보험료 참조순보험료*

×100

* 참조순보험료는 정부에서 보험료 비교를 위해 기준으로 정한 보험료입니다. (2011년 4월부터 적용, 이전엔“표준순보험료”사용 )

② 내가 받는 금리 확인하기 해지・만기환급금 마련을 위해 불입하는 저축보험료는 공시이율이 적용되어 불어나므 로 공시이율이 높은 상품을 고르는 게 좋습니다. * 공시이율은 주기적으로(예 : 1개월) 바뀌므로 각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③ 보험회사의 신뢰성과 건전성 확인하기 보험은 보통 10년 이상 가입하는 장기상품이며 가입 당시에는 그 상품의 가치를 알 수 없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시간이 흘러 실제 사고가 발생해야만 보험가입의 혜택을 볼 수 있으니까요. 따라서 보험회사가 믿을만한지 반드시 살펴야 합니다. - 불완전판매비율 살피기 : 상품을 잘못 추천하거나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고 판매하 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생명・손해보험협회 홈페이지(www.klia.or.kr / www.knia.or.kr)에서 확인하세요.

- 민원등급 살피기 : 해당회사에 불만이 자주 제기되는지, 불만은 잘 처리해 주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금융감독원의 금융소비자포털(www.consumer.fss.or.kr)에서 확인하세요.

www.invedu.or.kr

37


04

펀드 (투자상품)

펀드... 여러 사람의 돈을 모아 전문가가 대신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해주는 상품 입니다.

투자자 투자

주식

채권

부동산

선박

와인

영화

전시회

전문가(펀드매니저) ○ 펀드는 투자대상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증권펀드

주식, 채권 등에 50% 이상 투자 주식형

주식에 60% 이상 투자

혼합형

주식, 채권에 각 60% 미만으로 투자

채권형

채권에 60%이상투자

우리가 투자하는 펀드는 대부분 증권펀드(주식형, 채권형, 혼합형(주식+채권)이며 주식형 이 채권형보다 손실위험과 기대수익률이 높습니다. 부동산펀드 특별자산펀드

실물, 수익권 및 출자지분 등에 50% 이상 투자

혼합자산펀드

증권, 부동산, 특별자산 등 자유롭게 비중을 조절하여 투자

MMF

단기금융상품에 100% 투자

파생형

펀드 자산의 10% 이상을 위험한 파생상품에 투자

재간접형

38

부동산 관련 자산에 50% 이상 투자

펀드 자산의 40%를 초과하여 다른 펀드에 투자


04 ○ 펀드 고르기 펀드고르기 ①‘펀드 판매회사’잘 고르기 - 펀드를 만들고 운용하는 회사와 판매하는 회사가 다르다는 것! 다들 아시죠? 펀드판매회사는 좋은 펀드를 골라서 추천해 줍니다. 그러니 판매회사를 잘 만나야 좋은 펀드도 추천 받을 수 있겠죠? 펀드를 만들고 펀드를 만들고 만들고 펀드를 운용합니다. 운용합니다. 운용합니다.

자산운용 자산운용 자산운용

투자자에게 맞는 펀드를 투자자에게 맞는 맞는 펀드를 펀드를 투자자에게 추천, 추천, 판매합니다. 추천, 판매합니다. 판매합니다.

자산운용회사

펀드판매회사

투자자 투자자 투자자

은행, 증권회사, 종금사, 보험회사 등

•한국투자자보호재단 홈페이지에서 (www.invedu.or.kr)‘우수판매회사 검색’ 을 이용해 보세요. 투자자에게 제대로 추천, 설명해주는지 알 수 있어요. ② 펀드와의‘궁합’살피기 - 판매회사는 투자자가 제공한 정보(재무상황, 투자목적・기간・성향)를 토대로 투자 자의 특징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유형의 펀드를 추천해줍니다. 채권형 펀드

♥ 펀드1

투자자

주식형 펀드 - 1년 투자 - 안정형투자자

♥ 펀드2

투자자

- 3년 투자 - 공격형투자자

판매회사의 추천에 따라 가입하는 경우 추천 이유와 펀드 유형 의 특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들으세요. * 펀드 유형 : 주요 투자대상, 펀드의 위험등급을 살피세요.

③ 펀드의‘특징’살피기 - 펀드가 얼마나 큰지(펀드규모), 얼마나 오랫동안 운용되어 왔는지(운용기간) 투자비 용은 얼마나 드는지(보수와 수수료), 환매제한은 없는지 등을 살펴“규모가 너무 작 지 않고, 운용기간이 길고, 비용이 싼 펀드를 고르세요.” ※ 투자처, 투자기간, 펀드규모 등 내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펀드를 찾고 싶다면 한국투자자보재단 홈페이지 (www.invedu.or.kr)에서‘맞춤형 펀드 검색’ 을 이용해보세요.

www.invedu.or.kr

39


04

개인형퇴직연금(IRP)

(투자상품)

개인형퇴직연금(IRP)...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금융상품입니다 퇴직연금 납입액 외

금융회사

퇴직연금 가입자 퇴직연금 퇴직연금 가입자 가입자 추가 납입 퇴직연금 (DB형, DC형) (DB형, (DB형, DC형) DC형) (연 1,200만원 한도)

개인형퇴직연금 (IRP) 퇴직연금 미가입자 미가입자 퇴직연금 퇴직연금 미가입자 (퇴직금 수령자) 수령자) 퇴직금 등 (퇴직금 (퇴직금 수령자) 일시금 납입

55세 이후 퇴직연금 또는 퇴직일시금 수령

운영 및 관리

○ 개인형퇴직연금(IRP)의 개인형퇴직연금(IRP)의 장점 장점 ① 소득공제 혜택 퇴직연금 가입자가 개인형퇴직연금(IRP)에 추가로 납입한 돈은 연금저축 적립액과 합 산하여 연 40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10년 이상 유지해야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과 달리 원할때 해지 하더라도 소득공제 혜택이 유지되므로 소득공제 면에서 유리합니다. ② 과세를 미루거나 세율인하 가능 퇴직금 중간정산 및 이직・퇴직으로 받은 퇴직급여를 개인형퇴직연금(IRP)에 넣음으 로써 과세를 나중에 미루고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③ 분산투자 및 자유로운 금융상품 구매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으로 예금, 보험, 펀드, ELS 등의 다양한 금융상품을 원 하는 비율만큼 구입할 수 있어서 분산 투자와 자유로운 상품변경이 가능합니다.

○ 개인형퇴직연금(IRP) 개인형퇴직연금(IRP) 활용시 활용시 유의점 유의점 ① 적극적 수익추구 불가능 자금운용의 안정성을 위해 적립금의 40%이상을 주식에 투자할 수 없고, 주식형 펀드 등 고위험 상품 투자가 제한됩니다. ② 비용 부담 개인형퇴직연금(IRP)에 개인이 추가로 적립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금융회사에 별도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등 비용이 듭니다. ③ 비교를 통한 취사선택이 어려움 공시제도가 미흡해 각 금융회사 개인형퇴직연금(IRP)의 수익률이나 수수료율을 한눈 에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40


금융상품 정보 찾기 구분

어디서 찾나요?

홈페이지

전국은행연합회

www.kfb.or.kr

신용협동조합

www.cu.co.kr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새마을금고중앙회

www.kfcc.co.kr

생명보험협회

www.klia.or.kr

손해보험협회

www.knia.or.kr

한국투자자보호재단 → 금융상품비교 → 기초통장 → CMA

www.invedu.or.kr

한국금융투자협회 → 통합공시시스템

dis.kofia.or.kr

한국투자자보호재단 → 금융상품비교 → 펀드

www.invedu.or.kr

한국거래소

www.krx.co.kr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drt.fss.or.kr

부동산 (주 택)

국토해양부(부동산포털)

www.onnara.go.kr

국민은행

www.land.kbstar.com

세금

국세청

www.nts.go.kr

국민연금

국민연금관리공단

www.nps.or.kr

전국은행연합회

www.kfb.or.kr

신용협동조합

www.cu.co.kr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새마을금고

www.kfcc.co.kr

(캐피털, 카드사대출)여신금융협회

www.crefia.or.kr

대부업협회

www.clfa.or.kr

예적금

보험

CMA

펀드

주식•채권

대출

* 본 자료의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한국투자자보호재단 홈페이지에 방문하세요.

www.invedu.or.kr

41


투자상식 투자로... 돈 왕창 벌 거야~~~~

※ 투자는 어렵다! 투자란‘돈을 잘 굴려 돈을 버는 것’ 을 말합니다. 돈을 버는 게 어디 쉽던가요? 투자로 돈을 버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쉽게 돈을 벌 생각으로 투자를 하려 한다면 세상을 너무 만만히 본 것이죠.

투자가 어려운 이유는 뭐니뭐니해도 사전에 어느 상품이 제일 높은 수익을 거둘지 알 수 없기 때문이죠. 다양한 조사와 연구, 복잡한 투자 기법을 사용하는 전문가들도 정확한 답은 모릅니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투자로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을 수는 없다!” 는 것입니다. 기대수익이 높으면서 안전한 상품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지요. 기대수익이 높은 상품은 손실위험도 높고, 기대수익이 낮은 상품은 손실위험도 낮죠. 여러분은 기대수익과 안전 중 선택해야 합니다. ‘나는 어느 쪽을 더 중시하는가?’

안전하지만 기대수익이 낮은 투자상품

안전하지만 봉급이 낮은 공무원의 삶

유명해지기만 하면 대박나는 연예인의 삶

기대수익이 높지만 원금손실 위험이 높은 투자상품

※ 투자자 유형의 파악 금융회사에 가면‘투자자 정보확인서’를 작성하는데요, 투자자의 재무상황, 투자성향, 투자목적 등을 통해 여러분의 투자성향을 파악하기 위해서죠. 전문지식이 없는 투자자 대신 금융회사가 알아서 파악해 줍니다. (투자자유형구분은 금 융회사마다 다릅니다.) 위험회피형

안정형

안정성장형

기대수익과 손실위험이 낮은 금융상품을 선택해야 하는 투자자

42

성장형

공격형

기대수익과 손실위험이 높은 금융상품을 선택해야 하는 투자자


■ ※ 투자권유와 투자자의 권리 투자상품의 구조와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상품을 비교・선택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죠. 하나도 이해하기 힘든데, 둘을 비교해서 선택하라고요?

자! 나를 이해해봐!

펀드1

둘 중에 누구야? 하나만 골라!

펀드2

그래서 금융회사는 투자자의 유형은 물론 투자상품의 특징을 파악해서 투자자에게 잘 맞 을 것 같은 상품을 추천해줍니다. 그리고 왜 이 상품을 추천했는지 자세히 이야기해주죠. 각 상품의 특징을 설명해 주는 것은 물론이고요. 이런 과정을“투자권유”라고 합니다.

투자자 정보제공

투자자 유형분류

적합한 상품 추천

상품 설명듣기

이때! 투자자들이 꼭 알아둘 것이 있어요. ① 금융회사가“나에게 알맞은 투자상품을 추천하는 것” 은 그들이 추가로 제공하는 서비 스가 아니라 반드시 제공해야 하는 의무라는 것 따라서, 여러분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금융회사가 나에게 알맞은 상품을 추천하 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② 금융회사는 또한 추천한 상품에 대해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설명해 주어야 합니다. 판매직원 설명에도 추천상품을 이해하지 못했다면 이는 여러분의 지식이 부 족해서라기 보다 이해할 수 없는 상품을 추천하여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판매회사의 잘못입니다. 기억하세요! 투자자는 적합한 상품을 추천 받고 충분히 설명을 들을 권리가 있다는 사실!

www.invedu.or.kr

43


발행일 인쇄일 펴낸곳 주 소 전 화 팩 스 홈페이지 이메일

| | | | | | | |

2013년 4월 19일 2013년 4월 23일 한국투자자보호재단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5 동여의도빌딩 2층(150-878) (02) 761-5100 (02) 761-5166 www.invedu.or.kr info@invedu.or.kr

한국투자자보호재단은 특정 금융기관이나 단체로부터 독립되어 투자자보호 및 교육 업무를 수행하는 비영리 기관입니다.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