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2022-01호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연구보고서2

Page 1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연구보고서 Ⅱ WHY 2022 01 호 © 행복한홈스쿨

02

06

STORY│우리의 삶은 감사마당

│연구 요약 및 감사코칭 사업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이론적 배경

4 감사비타민 프로그램과 아동의 성장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연구 설계 및 절차

4 자료 분석

결과

1 연구 대상의 인적구성 및 변인별 상관관계

변인별 집단 동질성 검증 결과

변인별 사전 사후 차이 분석 결과

및 제언

CONTENTS
감사코칭
Preface
08 제1장 서론
13 제2장 연구
16 제3장 연구
2
3
27 제4장 결론
30 Addition│나에게 감사코칭이란?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연구보고서 <감사코칭> 프로젝트는 기아대책 행복한홈스쿨의 특화프로그램으로, 감사연구소와 함께 개발하여 진행하는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입니다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연구보고서Ⅱ

감사코칭 STORY: 변화 사례

우리의 삶은 감사마당

“평안한 가운데서도 감사를 찾으면 더욱 풍성한 삶으로 감사하게 되고 힘겨운 가운데서도 감사를 찾으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인생역전이 찾아온다.”

“오늘도 생동감! (생각하고 행동으로 감사를 표현합시다.)”

우리의 삶은 감사마당: 감사 44 를 마 4 음에 담아 당 4 당하게 표현하는 삶

1년 3개월의 육아휴직을 마치고 복직하는 날, 여러 가지 업무들과 변화된 상황들에 적응해야 함과 동시에 감사코칭 프로젝트를 접하면서 제겐 일 하나가 더 얹어진 듯한 부담감이 있었습니다. 교육을 들으며 차근차근 진행할 수 있는 시간적, 심적 여유가 없었기에 더욱 어렵게만 느껴졌습니다. 감사코칭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한 뒤 코치 양성 교육을 들으면서 매일 감사노트에 감사를 기록하기 시작했을 때, 정말 뭘 써야 될지 몰라 망설이고 고민하던 시간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하루 이틀 기록의 시간이 쌓이면서 감사의 제목을 생각하는 것이 조금씩 수월해졌습니다. 감사코칭 프로젝트를 맡게 된 후 출근하는 길 버스 안에서 계속적으로 감사의 제목을 생각해보게 되었다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변화였습니다. 사소한 것이었지만 저에게는 큰 것이었습니다.

02

행복한홈스쿨에서는 열심히 일하는 사회복지사로, 집에서는 두 아이와 씨름하는 엄마로 일과 육아로 바쁘고 피곤하다는 생각만이 들던 내 일상적인 삶에 감사라는 크고 소중한 선물이 들어오면서 삶이 더 아름답고, 풍요롭게 느껴지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이 순간을 향한 하나님의 선물을 알고 감사하게 됐다는 것이 어쩌면 저에게 가장 큰 변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런 변화들로 2022년에 하게 될 감사코칭 프로젝트를 더 기대하게 되고, 저뿐만 아니라 행복한홈스쿨 아동들의 변화를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리게 됩니다. 더 멋진 에피소드들로 우리들의 감사노트가 채워지길 바라며~ 오늘도 감사합니다! - 경운행복한홈스쿨 한수정 교사

“감사는 일상이라는 스케치 위에 아름다운 색을 입혀가는 과정이다.”

03

연구요약

본 연구는

● 기아대책 행복한홈스쿨 지역아동센터 아동 및 청소년(이하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함양과 아동의 전반적인 심리적인 요인들의 증진을 통한 내면의 힘 강화 를 위하여 개발한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실제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들의 성장에 긍 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출된 연구 결과 ●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다른 일반적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에 비해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의 1)감사성향, 2)자기조절력, 3)낙관성, 4)회복탄력성, 5)학교적응력, 6)사회적응력 향상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의 감사성향 향상에 다른 프로그램에 비 해 더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감사의 행동적 요소 측면에서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또한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자기조절력 향상에도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인지, 정서, 행동적 측면 등 다양한 측면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정서 조절에 있어 다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에 비해 큰 효과가 나타났다 아동 의 문제적 행동과 적응 문제와 주요하게 관련된 정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감사비타민 프로그 램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의 낙관성 및 회복탄력성 향상에도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04

●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아동 성장의 중요한 과업이라 할 수 있는 학교적응과 사회적응에 있 어서도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실제적인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학교적응력에 있어 교우관계 향상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응력의 사회적 활동성, 협동성, 안정성 측면 모두에서 다 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에 비해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에는

● 향후에는 사전 사후 검사와 함께 추후연구가 진행되어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할 필 요가 있고, 양적 데이터와 함께 질적 데이터가 함께 분석된다면 보다 풍부한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마지막으로 추후에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탐 색하여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본다면 아동의 성장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행복한홈스쿨은 희망친구 기아대책이 직영으로 운영하는 지역아동센터의 명칭으로, 돌봄이 필요한 지역사회 아동들의 보호, 교육, 문화, 정서지원, 지역사회연계 등 종합적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시설입니다

2004년부터 전국의 지역교회 또는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모델로 시작되어 현재 전국 38개 센터에서 전국 약

명의 돌봄취약계층을 돌보고 있습니다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고 다양한 교육 활동을 동해 아동의 전인적 성장 발달을 도모하며 행복한 아동과 가정을 만들어 가도록 돕습니다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기아대책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행복한홈스쿨의 특화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진행하는 아동 대상 감사증진 프로그램입니다

05
1100

감사코칭 사업 개요

사업 목적

본 사업의 목적은 아동들의 마음 관리를 통해 코로나 심리정서적 문제를 예방하고, 일상 생활

및 미래의 삶을 자기주도적으로 설계할 역량을 키우며 감사 습관을 통한 긍정적 인생관을 형성 하여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데 있다 아울러 2차적으로 교사 또한 별도 교육 운영 및 활동 참여를 통해 감사의 내재화를 높이고, 감사코칭을 지도하는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키움 으로써 아동과 교사가 동반 성장하는 감사공동체를 이루어가는 데에 최종적인 목적을 둔다

1)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뉴노멀 적응 지원: 마음방역 강화

2) 감사 프레임 훈련을 통한 아동의 긍정적 인생관 및 자기주도적 습관 형성

3) 감사의 내재화를 통해 감사공동체로 성장하는 행복한홈스쿨로 성장하기 사업 목표

1) 감사 프레임 기반 아동의 긍정적 마음역량 증진

- 아동의 코로나 블루 예방 및 감사 프레임 형성(감사성향, 자아효능감, 회복탄력성 등 증가)

2) 감사 습관 형성 및 유지

- 감사 인지 및 표현 빈도수 증가, 감사 습관 유지 대상

기아대책 행복한홈스쿨 아동

1

2

코로나19로 인한 뉴노멀 환경에 적응이 필요한 아동

코로나

)
)
19로 인해 ‘COVID 블루’를 경험하는 아동 3) 건강한 일상과 삶의 목표를 정립하기 원하는 아동 4) 감사하는 작은 습관을 통해 몸과 마음이 성장하고 싶은 아동 5) 긍정적 자존감과 인생 계획을 수립하고 싶은 아동 06

기대 효과

1) 작은 감사를 통한 긍정적 인생관(세계관) 형성

2) 긍정적 세계관 형성을 통한 행동의 변화 유도

3) 교사 코칭 및 자기주도적 습관 형성을 통한 개인 및 공동체의 변화

4) 습관 형성을 통한 아동의 마음역량 증진(성취감, 자존감, 자아효능감 증가 등)

5) 자존적 자기 성장 및 건강한 자아상, 미래관 형성

6) 능동적 인생 설계 및 실행을 통한 아동의 꿈 발견, 재능(달란트) 개발 사업 기간

2021년 6월 ~ 2022년 4월(11개월) 단계별 진행과정 구분 대상 진행내용

교사 대상 <감사코치> 기본 / 심화과정 교육 진행

• 신청교사 대상 심화과정 교육

1단계 교사

• 아동 감사노트 작성 지도&코칭

• 감사 활동 /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전반 진행

• 교사 대상 감사 공모전 실시

• <감사코칭> 프로젝트 전반 참여

• 센터 등원시 매일 감사노트 작성

2단계 아동

• 하반기 감사코칭 프로그램 진행

• 감사페스티벌: 우수자 수상 & 감사나눔 센터별 행사

• 센터별 감사페스티벌 진행

• 희망친구 감사공모전 개최

3단계 공통

• 감사코칭 연구발표회(결과보고)

[감사코칭1111]1

• 매일1: 매일 감사노트 작성

• 21일 단기 습관형성 프로젝트 진행 (one change) 전체 공통

• 매주1: 감사증진프로그램 <감사비타민 캠프> 프로그램 진행

• 매월1: 이달의 감사왕(우수 참여자 시상) / 센터별 감사활동 진행

• 매년1: 감사페스티벌 / 감사특강

• 희망친구 감사공모전 진행

1 <감사코칭 1111>이란 감사코칭

감사노트 쓰기를 포함하여 감사에 대한 인지를 높이기 위한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07
프로젝트의 실행 활동으로,
활동을 시 스템화 하였다 매일 1회 / 매주 1회 / 매월 1회 / 매년 1회로 진행되는 각 주기별 실행 활동을 통해 감사코칭 활동을 쉽게 이해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연 스럽게 감사 인지력과 표현력, 습관 유지를 높일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08

1. 연구 배경 <감사코칭> 프로젝트는 2020년 10월부터 전국 기아대책 직영 지역아동센터인 행복한홈스쿨 38개 센 터 교사 및 아동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마음역량 증진 프로젝트이다 기아대책은 코로나19 이후 교사와 아동의 마음 방역, 긍정적 습관 및 가치관 형성을 위해 감사노트, 감사비타민 프로그램과 같은 감사증진 교육 및 관련 감사 활동을 기획, 진행하였다 1차 연도에 사전과 사후 진단을 통해 연구한 결과, 감사코칭 의 긍정적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교사의 감사성향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높아지고, 업무성과 및 다른 직 원이나 조직에 도움이 되는 조직시민행동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및 청소년들의 경우에 도 본 연구에 사용된 긍정성을 나타내는 심리적 변수들의 상승이 유의하게 나타나 프로젝트 이후 감사성 향이 증가했으며 부정정서가 감소하고,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감사성향의 상승 정도는 감사노트를 진정성 있게 작성한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다만 사후 진단 이후에 일정기간이 지나 진행된 추후 진단에서 교사의 감사성향이 사후 진단에 비해 소폭 하락하는 결과2가 나타났다 교사가 지속적으 로 감사성향을 유지하며, 아동에게 감사를 재인식할 수 있도록 심화된 교육을 경험해야 하는 이유이다 또한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에도 보다 정교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감사를 계속 인지하고, 행동에 적용하 여 변화를 지속할 수 있는 보다 심화된 감사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2021년도에 진행한 2차년도 감사코칭 프로젝트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 및 청소년 개개인의 눈높이에서 감사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소통의 방법과 태도를 생각해볼 수 있는 1:1 감사 코칭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심화 코칭 과정 교육 커리큘럼을 기획, 진행하였다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2020 년도에 진행했던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진행 후, 각 센터에서 현장의 의견을 낸 피드백 및 1차년도 연구 보고의 제언을 반영하여 아동에 더 맞춤형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감사증진 프로그램을 설계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아동 대상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을 진행한 행복한홈스쿨 교사로 구성된 프로그 램 TF 위원들이 함께 참여하여 각 센터 내 참여율과 호응도가 높았던 감사 촉진 활동을 분석하고, 추가 되면 효과적일 감사 증진 활동 아이디어 등을 수렴하여 <감사비타민 캠프>라는 이름으로 콘텐츠를 구성 하였다 이번 <감사비타민 캠프>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구성한 아동용 감사 증진 프로그램으로, 감사

: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연구보고서(

감사는 왜 필요할까요? 제1장 서론│Why? Gratitude 2 희망친구 기아대책 행복한홈스쿨 성장 프로젝트
2021. June Vol. 02)

의 3가지 요인(인지, 정서, 행동)을 중심으로 감사를 내재화하도록 설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성향 을 높여주고, 감사의 3가지 요인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한 감사비타민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에게 실제 생활에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기획되었다 특별히 장기화된 코 로나 펜데믹 상황에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으로 기획한 <감사비타민 캠프>프로그램이 다른 유사 프로그 램에 비해 구체적으로 아동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2. 연구 목적 광의적으로 보면 본 연구는 행복한홈스쿨의 아동이 감사의 가치를 내재화, 습관화하는 <감사코칭> 사업 을 통해 감사의 긍정적 효과성을 확인하여 감사 증진 교육 및 프로그램을 통한 사업 전반의 성과를 검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협의적으로 보면 아동의 마음역량 증진을 위한 특화프로그램으로 개발된 <감사비 타민 캠프> 프로그램이 다른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유사 프로그램과 심리정서적 측면에서 어떤 차 이를 보이는지 조사하고, 아동이 감사에 더욱 집중할 때 얻을 수 있는 유익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이 아동 성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을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검증된 형태의 지속적인 사업으로 정착시키고, 더욱 효과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보완, 설계하고자 한다.

3. 이론적 배경 감사의 개념: 감사(gratitude)의 사전적 의미는 ‘고마움을 나타내는 인사’이다 감사는 타인에 대한 긍 정성을 높여주는 동시에 자기 긍정성도 높여주는 대표적인 활동이다 3 따라서 감사성향이 높으면 상대적 으로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타인을 용서하고, 인정하며, 자신의 좋은 의도와 생각과 같은 좋은 점을 발 견하고, 인정하기가 쉬워진다 이런 이유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을수 록 학교적응은 낮아지며,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학교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감사성향이 높아지 면, 긍정적인 정서가 높아져서 시야가 넓어지고, 상호작용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지기에 공동체 적응이 좋 아진다 그뿐 아니라 문제에도 좌절하지 않고 회복되는 긍정적인 힘인 회복탄력성도 좋아진다 이러한 긍정적 정서로 인한 아동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사성향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지속해 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감사성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감사의 개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09

3 회복탄력성(김주환, 2019)

4 아동의 스트레스 경험과 감사성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임경희, 2010)

년도

Fitzgerald, 1998

Lazarus and Lazarus, 1994

Lambert, Clark, Durtschi, Fincham, & Graham, 2010

Michael E. McCullough et al, 2001

누군가 혹은 어떤 것에 대한 따뜻한 인정 (appreciation)과 사람 혹은 사물을 향한 선한 마음 (goodwill) 그리고 인정과 선한 마음으로부터 흘러나 온 행동하기 위한 특질(disposition)이다

타인에게서 받은 혜택(benefits)에 대한 사려깊 음(thoughtfulness)으로 감사는 공감적인 감정 (empathic emotion) 중 하나로 봐야 한다

자기 자신에게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것에 대한 인식 혹은 자각으로부터 발생하는 감정(emotion)이나 상태이다

타인의 자애로움(benevolence)을 받았음을 인식하고, 후에 삶에서 다른 누군가를 돌보기 위한 더 강력한 동기부여를 가진 반응이다

Watkins, Grimm, &amp; Kolts, 2004 감사를 표현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정하며, 받은 선물로서 삶을 음미하는 태도이다

Weiner, 1985 좋은 결과에 대한 인식과 그 결과가 외부에서 왔음에 대한 인식이다

노지혜 외, 2011 자신에게 이익을 준 특정 대상에 대해 인식하여 느껴지는 정서로 적응적인 행동 경향성을 가진다

정서

행동

감사를 인지, 정서, 행동의 3가지 요인으로 강조한 경우에는 좋은 일을 제공한 대상을 인식하고, 동시에 경험되는 정서적 변화가 타인 중심의 행동 경향성으로 이어짐을 말해준다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이런 3가지 요인을 활동을 통해 경험하고, 반복할 수 있도록 외부 존재로부터 얻게 되는 좋은 점을 인식하고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서로의 좋은 점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인정/칭찬의 감사 표현 활동에 중점을 두었 다 이는 정서적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유사한 형태의 프로그램인 그림 그리기나 독서, 놀이 활동 등과 감 사성향의 측면에서 분명한 차별화 요소를 제공할 것이다 감사 환경: 감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 및 청소년이 생활하는 환경 또한 생각해 보아야 한다 감사와 학 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부모와의 유대 관계라는 연구가 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 구에서 부모가 바람직한 양육의

무관심한 양육, 애정 결여

10 연구자,
정의 강조점 인식 (cognition)
(emotion)
(action)
◯ ◯ ◯
◯ ◯
◯ ◯ ◯
◯ ◯ ◯
◯ ◯ ◯ 표1│감사 정의5
모습이 형성될 경우 그렇지 않은 애정적 제약,
통제 상태와는 다르게 감사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 요인들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이 증명되었다 6 5 감사가 근로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감사일지쓰기에 대한 유사실험 연구- (한건수, 2015) 6 중학생의 부모유대관계유형에 따른 감사와 학교적응 비교 (박효정 외, 2016)

이는 아동 및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그에 따른 적응을 높이기 위해 돌보는 양육자와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 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행복한홈스쿨에서 아동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감사코치의 역할모델 훈련도 같은 이유에 있다 감사코치의 역할모델 훈련은 아동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함께 감사를 찾아갈 수 있도록 아동과의 유대 감을 형성하고, 이를 위해 공감적 경청과 발견 질문 그리고 인정/칭찬을 해줄 수 있는 코치의 역량 강화 교 육이다 기아대책은 감사코칭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교사 전문 교육을 먼저 실시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1차년도에는 감사코치로서의 기본 소양을 교육하였고, 감사비타민 캠프 프로그램이 개 발된 2차년도에는 아동과의 라포 형성을 통해 자연스럽게 아동의 감사 습관을 코칭하는 감사코치로서의 태도와 행동에 관한 사전 심화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사 대상 심화 교육은 자율적으로 신청한 행복한홈스 쿨에 한하여 진행하였으며, 이런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교사의 감사성향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의 저자인 앨런 도이치먼은 변화를 읽으키는 중요한 3가지 요인으로 다음의 3가지를 꼽았다 첫째로 관계를 맺고(relate), 둘째로 관계 안에서 관점을 새롭게 하고 (reframe), 셋째로 이를 반복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감사가 단순한 개인적 차원을 넘어 공동체 안에 서 바람직한 관계 속에서 지속해서 훈련될 수 있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4.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기아대책 <감사코칭> 프로젝트의 아동 대상 감사 증진 프로그램이다 1차년도의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2차년도에는 특별히 <감사비타민 캠프>라는 이름으로 리뉴얼하여 코로나 시기에 보다 즐거운 감성을 북돋울 수 있는 이름으로 설계하였다 7 이번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아동 및 청소년의 관점에서 감사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10주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각 주차별 커리큘럼은 경험적 활동으로 감사의 의미와 실천을 배울 수 있도록 콘텐츠를 설계했고, 인식의 차원에서 정서와 행동으로 감 사의 개념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고려되어 완성되었다 첫째로, 새롭게 설계된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에는 음악을 활용한 감사 인지 증진의 환경을 조성하였다 고 립 아동의 정서 지능을 높여주고, 또래 관계를 높이기 위해 음악을 활용하였다는 연구8 에서 볼 수 있듯, 아 동 및 청소년이 좋아하는 쉽고 대중적인 노래 <문어의 꿈>을 개사하여 감사를 주제로 편곡하였다 주제가 는 아동 및 가수가 부른 2가지 버전으로 제작하여 초등학생 및 청소년, 각 대상에 맞는 방식으로 노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매주 프로그램 진행 시 아동들이 익숙하게 주제가를 부르면서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하 였고,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와 더불어 평소에도 아동들이 쉽게 노래를 따라 부르며 감사를 떠 올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둘째로, 감사의 개념을 인지, 정서, 행동 3가지 측면에서 정의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강조 하기 위해서, 10주간의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을 “라라라라!”9 로 요약 표현하였다 구체적으로 10주 간의 프로그램을

11

내용과 강조점에 맞추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7 본 연구에서는 이하 <감사비타민 캠프> 프로그램을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으로 명칭하기로 한다 8 음악 활동을 통한 학급 단위 집단 지도 프로그램이 고립 아동의 정서 지능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소정, 2021) 9 1 라 : 찾아라! (인식) 2 라 : 인정하라! (정서) 3 라 : 표현하라! (행동) 4 라 : 만들어라! (행동)

12

대상 진행내용 진행시기

1 감사비타민 캠프를 떠나라! 투호통에 감사 메시지 넣기 인지/정서

2 숨겨진 ‘감사’를 찾아라!(1) 감사의 제목이 적힌 보물찾기 인지

3 숨겨진 ‘감사’를 찾아라!(2) 숨은 그림 찾기와 감사 찾기 인지

4 ‘감사’를 인정하라!(1) 친구의 달라진 점 찾기 칭찬샤워 인지/정서

5 ‘감사’를 인정하라!(2) 내 마음의 감사 사전 감사 키워드 인지/정서

6 ‘감사’를 표현하라!(1) 감사 편지 쓰기 정서/행동

7 ‘감사’를 표현하라!(2) 감사 비행기 날리기 정서/행동

8 ‘감사’를 만들어라!(1) 달란트(재능) 찾기 인지/정서/행동

9 ‘감사’를 만들어라!(2) 천 원의 나눔 인지/정서/행동

10 ‘감사’를 기억하라! 감사 골든벨 인지/정서/행동

표2│프로그램 단계 셋째로, 아동 및 청소년들이 활동을 통해 감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주별로 4기진작(四氣振作)10 의 네 가지 단계로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1 넷째로, 아동 및 청소년들의 흥미 유도를 위해 아동의 눈높이에 맞는 디자인의 워크북을 제작하였으며 열린 질문형 방식의 교재 지문으로 스스로 참여한 활동에 대해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분
10 사기진작 : 네 가지 기쁨이 충만하여 굽힐 줄 모르는 씩씩한 기세를 떨쳐 일으킴 11 1 마음열기 : 감사코칭 영상을 통해 감사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갖습니다 2 활동하기 : 즐겁게 감사를 몸으로 직접 체험하는 활동을 합니다 3 돌아보기 : 함께해본 활동을 돌아보고 감사의 의미를 생각해봅니다 4 감사담기 : 오늘 찾은 감사를 정리하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해봅니다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 38개소 행복한홈스쿨 아동 중 (6개 센 터) 총 103명의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의 효과 성을 보다 정밀하게 검증하기 위하여 총 2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감사비 타민 프로그램에 참여한 53명,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50명이다 일반 적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미술, 종이접기, 반려식물 만들기와 같은 내용들로 구성된 프로그램 에 참여한 학생이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3>과 같다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각각 45 6%, 54 4% 였으며 연령별로는 주로 초등학생이 86 4%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초등학생(고학년)인 11 13세 가 46 6%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지역은 수도권(74 8%)이 비수도권(24 3%)에 비해 높은 비 율을 차지하는 양상을

13

마지막으로

살펴보면 감사성향 척도

보였다 감사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요? 제2장 연구 방법│How? Gratitude 표3│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항목 구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소계 성별 남 24(45 3) 23(46 0) 47(45 6) 여 29(54 7) 27(54 0) 56(54 4) 연령 초등학생(저) 8 10세 25(47 2) 16(32 0) 41(39 8) 초등학생(고) 11 13세 23(43 4) 25(50 0) 48(46 6) 중학생 14 16세 4(7 5) 9(18 0) 13(12 6) 고등학생 17 19세 1(1 9) 1(1 0) 지역 수도권 40(75 5) 38(76 0) 77(74 8) 비수도권 13(24 5) 12(24 0) 25(24 3) 합계 53(51 5) 50(48 5) 103(100 0) 2.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 활용한 척도는 총 8가지로 기본적인 감사성향 외에도 자신과 관련된 인지적 측면인 자아존중 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의 주요한 변인인 낙관성, 회복탄력성,
적응 력 차원의 학교적응력, 사회적응력을 살펴보았다 각각의 측정도구를 구체적으로

는 임경희(2010)가 개발한 감사성향 척도와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2006)이 개발한 한국판 감사성향 척 도(K-GQ-6)를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척도는 5점 척도로 인지, 정서, 행동 총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총 10문항으로 사전 사후 신뢰도(Cronbach α)는 840, 859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가 개발한 척도를 아동의 연령에 맞게 5문항으로 축소한 한국아 동패널(2021) 자아존중감 척도를 활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5점 척도로 단일요인으로 구성되며 사 전 사후 신뢰도(Cronbach α)는 885, 878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임태홍(2014)이 개발한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CC) 중 자기효능감 4문항을 활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척도 역시 5점 척도로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며 사전 사후 신뢰도(Cronbach α)는 .872, .921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력 척도는 최단 비, 김경성(2015)이 개발한 자기조절력 척도를 활용하되 아동의 연령에 맞게 15문항으로 축소하여 사용 하였다 자기조절력 척도는 5점 척도로 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 되며, 사전 사후 신뢰도(Cronbach α)는 .918, .925로 나타났다. 낙관성 척도는 임태홍(2014)이 개발한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CC) 중 낙관성 4문항을 활용하였 다 낙관성 척도는 5점 척도로 단일요인으로 구성되며 사전 사후 신뢰도(Cronbach α)는 8837, 892 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척도 역시 임태홍(2014)이 개발한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 PCC) 중 회복 탄력성 척도를 활용하였다 회복탄력성 척도는 5점 척도로 총 3문항으로 단일요인으로 구성된다 사전 사후 신뢰도(Cronbach α)는 770 782로 나타났다 학교적응력 척도는 지성애, 정대현(2006)이 개발한 학교적응 척도로 사용한 한국아동패널(2021) 학교 적응 척도를 활용하였다 아동의 연령에 맞게 10문항으로 축소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적응력 척도는 5 점 척도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4개의ㅡ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사전- 사후 신뢰도 (Cronbach α)는 851, 861로 나타났다 사회적응력 척도는 Kohn과 Rossman(1972)의 사회적 능력 평정 척도인 SCS(Social Competence Scale)를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재구성한 정윤희(2000) 의 연구를 참고하여 총 10문항으로 축소하여 사용하였다 사회적응력 척도는 5점 척도로 사회적활동성, 협

긍정심리자본척도 중 회복탄력성 척도

한국아동패널(2021) 학교적응 척도

782

851 861

사회적응력 Kohn과 Rossman(1972)의 사회적 능력 평가척도(SCS)를 수정 보완한 정윤희(2000) 연구 척도 10 769 887

14 표4│측정도구별 문항수 및 사전 사후 신뢰도 계수 구분 측정도구 출처 문항수 Cronhach's α 사전 사후 1 감사성향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2006)의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 및 임경희(2010)의 감사성향 척도를 수정 보완 10 840 859 2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패널(2021) 자아존중감 척도 5 885 878 3 자기효능감 임태홍(2014)의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 중 자기효능감 척도 4 872 921 4 자기조절력 최단비, 김경성(2015) 자기조절력 척도 15 918 925 5 낙관성 임태홍(2014)의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 중 낙관성 척도 4 837 892 6 회복탄력성 임태홍(2014)의 한국판
3 770
7 학교적응력
10
8

동성, 안정성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사전 사후 신뢰도(Cronbach α)는 769, 887로 나타났다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실험설계로 행복한홈스쿨의 아동 및 청소년을 2개 집단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집단은 감사 비타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으로 구분하 여 감사 비타민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감사 비타민 프로그램 실시는 2021년 8월 부터 12월 사이에 10주에 걸쳐 총 10차시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일반적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 역시 동일 기간동안 시행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검사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시행 후 사후검사를 실 시하였다 연구참여는 연구에 대한 안내 및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한 안내 후 연구참여에 동의한 아동 및 법정대리자의 동의가 이루어진 아동에 한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 설명 하였으며 개인적 연구결과에 대한 비밀보장 원칙도 주지시켰다 실제 사전 사후 검사는 무기명으로 진행 되었으며 연구참여자의 개인적인 참여 정보를 연구가가 확인할 수 없었다

4. 자료분석

자료분석을 위해서 감사 비타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을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 에 참여한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를 개인별로 매칭 후 사전 사후 검사 매칭이 된 인원만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최종적으로 실험집단은 53명, 통제집단은 5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26 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변인별 기술통계 및 상관분 석, 집단별 사전 동일성 확인을 위한 사전검사의 독립표본 t검증12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무선배치로 집단을 구성했음에도 일부 변수들에 있어 두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어 집단별 프로그램 효과 성 분석을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하여 분석이

15

방법으로 유의확률(p-value)를 통해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는 분석방법임 공변량 분석은 연구자가 수행한 처치 요인 외 집단 간 차이를 만드는 요인들을 직접 통제할 수 없는 경우, 이를 공변량(covariate)으로 처 리하여 그 효과를 통제하고 연구자가 수행한 처치 요인의 순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방법임

3.
가능한 공변량 분석(ANCOVA)13를 실시하였다 표5│최종 집단설계 및 분석 대상 집단구분 집단구성 사전검사 인원(명) 사후검사 인원(명) 최종분석 인원(명) 비고 실험집단 감사 비타민 프로그램 참여자 78 69 53 사전 사후 검사 동일 참여자 53명 최종 분석 통제집단 일반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 참여자 57 58 50 사전 사후 검사 동일 참여자 50명 최종 분석 12. t검증: 일반적으로 2개의 집단 간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분석방법으로 유의확률(p-value)를 통해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는 분석방법임 13 공변량 분석(ANCOVA): 공변량 분석 역시 집단 간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1. 변인별 상관관계 사전 데이터를 기준으로 변인별 상관을 확인한 결과, 변인별 상관관계는 524-.868의 범위로 모두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성향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변인들은 학교적응력( 744), 자기조절력( 735), 순으 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력 변인은 다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가 .670-.868의 범위에 있어 이 연구에서 측정한 다른 변인들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인 임을 확인할 수 있다

635** 631** 735** 581** 524** 744** 679**

자아존중감 635**

자기효능감 631** 611**

611** 707** 658** 583** 654** 693**

846** 754** 631** 742** 720**

자기조절력 735** 707** 846** 1 727** 670** 868** 844**

낙관성 581** 658** 754** 727** 1 600** 726** 671**

회복탄력성 524** 583** 631** 670** 600** 1 665** 685**

학교적응력 744** 654** 742** 868** 726** 665** 1 815**

사회적응력 679** 693** 720** 844** 671** 685** 815** 1

2. 변인별 집단 동질성 검증 결과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을 참여한 실험집단 53명, 유사한 심리정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교집단 50명의 감 사성향,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낙관성, 회복탄력성, 학교적응력, 사회적응력에 있어 동질한 집단인지 확인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무선 배치로 집단을 구성했음에도 일부 변수들에 있어 두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어 사전검사 점수 를 통제하여 분석이 가능한 공변량 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이에 사전검사 점수인 공변인의 효과

통제한 후 감사 비타민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를 파악하였다

16
감사코칭으로 무엇이 바뀔 수 있나요? 제3장 연구 결과│Change? Gratitude 표6│변인별 상관 관계 1 2 3 4 5 6 7 8 1 감사성향 1
2
1
3
1
4
5
6
7
8
* 주) 사전 데이터로 분석 * p< 05, ** p< 01, *** p< 001

표7│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변인 집단(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t 감사성향

실험(N=53) 4 06 0 632 2 002*

통제(N=50) 3 80 0 710 자아존중감

실험(N=53) 4 20 0 759 2 226* 통제(N=50) 3 83 0 946 자기효능감

실험(N=53) 3 88 0 880 2 785** 통제(N=50) 3 37 0 980 자기조절력

실험(N=53) 3 88 0 688 2 754** 통제(N=50) 3 46 0 840 낙관성

실험(N=53) 4 09 0 772 2 297* 통제(N=50) 3 68 0 981 회복탄력성

실험(N=53) 3 60 1 092 1 581 통제(N=50) 3 28 0 982 학교적응력

실험(N=53) 4 17 0 691 3 038** 통제(N=50) 3 72 0 801 사회적응력

실험(N=53) 3 82 0 783 1 661 통제(N=50) 3 53 0 939

변인별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기 전 공변량 분석의 기본가정이 충족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집단별 회귀선 기울기의 동질성 검증 결과 감사성향(F=.160, P=.690), 자아존중감(F=.588, P=.445), 자기효능감(F=1 753, P=.189), 자기조절력(F=.029, P=. 866 ), 낙관성( F= 2 071 , P=. 153 ), 회복탄력성( F= 3 051 , P=. 057 ), 학교적응력( F=. 705 , P=.403), 사회적응력(F=.525, P=.470) 모든 변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즉, 두 집단간 회귀선 기울기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어 공변량 분석의 기본가정을 충족시켰기에 이후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3.

1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 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의 감사성향 차 이(F=3 255, P< 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성향의 하위요인별 공변량 분석결과 인지, 정서적 요인에는 집단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행동 요인(F=6 102, P< 05)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들의 감사성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감사성향의 행동적 요인을 향상시키는 데 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17

* p< 05, ** p< 01
X
변인별 사전-사후 차이 분석
) 감사성향 분석 결과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행복한홈스쿨 아이들의 감사성향에

N=50

N=53)

(N=50)

N=53)

(N=50)

19

94

74

747

687

817

881

06

33

07

08

733

734

754

0 796

132

145

132

690

721

402

340 2 775**

48

902

61

836

132

200

18 표8│감사성향에 대한 집단별 기술통계량 표9│감사성향에 대한 공변량분석 결과 변인 집단(사례수) 평균(표준편차) 사전 사후 평균차 t 사전 사후 감사성향 실험 (N=53) 4 06(0 632) 4 27(0 612) 0 210 2 595* 통제 (N=50) 3 80(0 710) 3 93(0 681) 0 132 1 644 인지 실험 (N=53) 4 22(0 711) 4 39(0 619) 0 167 1
통제 (
) 3 92(0
) 4
(0
) 0
1 341 정서 실험 (
4
(0
) 4
(0
) 0
1
통제
3
(0
) 4
(0
) 0
1
행동 실험 (
3
(0
) 4
(
) 0
통제
3
(0
) 3
(0
) 0
1
변인 소스 제곱합(ss) 자유도(df) 평균제곱 F 에타제곱 감사성향 사전검사점수(공변량) 16 151 1 16 151 61 461*** 0 381 집단 0 855 1 0 855 3 255* 0 032 오차 26 278 100 0 263 합계 1772 800 103 인지 사전검사점수(공변량) 11 585 1 11 585 33 002*** 0 248 집단 0 920 1 0 920 2 621 0 026 오차 35 103 100 0 351 합계 1881 000 103 *p< 05, **p< 01, ***p< 001 그림1│감사성향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감사성향 실험 통제 인지 실험 통제 정서 실험 통제 행동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사전 사후 4 06 4 27 3 8 3 93 4 22 4 39 3 92 4 06 4 433 19 3 94 4 . 07 4 08 3 74 3 48 3 61

2)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분석 결과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행복한홈스쿨 아이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 인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 과, 두 집단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 단 간 자기조절력의 차이(F=5 155, P< 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가 나타 난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별 공변량 분석결과 동기를 제외한 인지(F=3 700, P< 05), 정서(F=13 472, P< 001), 행동(F=8 567, P< 01) 요인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행복 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들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자기조절력의 인지, 정서, 행동 측면을 향상시키는 데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19 *p< 05, **p< 01, ***p< 001
변인 소스 제곱합(ss) 자유도(df) 평균제곱 F
에타제곱
정서 사전검사점수(공변량) 22 394 1 22 394 66 684*** 0 400 집단 0 281 1 0 281 0 838 0 008 오차 33 583 100 0 336 합계 1871 688 103 행동 사전검사점수(공변량) 18 731 1 18 731 38 489*** 0 278 집단 2 970 1 2 970 6 102* 0 058 오차 48 668 100 0 487 합계 1590 444 103 그림2│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자아존중감 실험 통제 자기효능감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사전 사후 4 2 4 36 3 . 83 3 93 3 398 88 3 . 37 3 37
20 표10│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에 대한 집단별 기술통계량 변인 집단(사례수) 평균(표준편차) 사전 사후 평균차 t 사전 사후 자아존중감 실험(N=53) 4 20(0 759) 4 36(0 737) 0 160 1 883 통제(N=50) 3 83(0 946) 3 93(0 807) 0 102 0 992 자기효능감 실험(N=53) 3 88(0 880) 3 98(0 966) 0 100 0 756 통제(N=50) 3 37(0 980) 3 37(0 980) 0 005 0 050 *p< 05 **p< 01 ***p< 001 그림3│자기조절력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자기조절력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사전 사후 3 88 4 05 3 46 3 51 인지 실험 통제 정서 실험 통제 행동 실험 통제 동기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3 7 3 97 3 . 2 3 38 4 01 4 24 3 67 3 62 3 97 3 69 3 23 3 99 4 07 3 69 3 75 3 25

N=50

N=53

N=50

N=53

N=50

N=53

N=50

709

881

979

105

727

900

38

24

0 918

0 945

0 700

270

184

230

442*

62(0 753) 0 052 0 471

97

25

0 906) 0 287 2 449*

1 066)

013

101

99(0 965) 0 090 0 659

75(0 843) 0 057 0 676

표11│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에 대한 공변량분석 결과 변인 소스 제곱합(ss) 자유도(df) 평균제곱 F 에타제곱 자아 존중감

사전검사점수(공변량) 26 164 1 26 164 76 283*** 0 433 집단 1 106 1 1 106 3 224 0 031 오차 34 299 100 0 343 합계 1830 560 103 자기 효능감

사전검사점수(공변량)

21

897 77 764*** 0 437 집단

897

650 5 155* 0 049 오차

사전검사점수(공변량) 38 275 1 38 275 66 672*** 0 400 집단 1 734 1 1 734 3 020 0 029 오차 57 408 100 0 574 합계 1490 563 103 자기 조절력

650

016 100 0 320

1530 316 103 인지

사전검사점수(공변량)

498

036

24
1 24
1
1 1
32
합계
43 741 1 43 741 99 323*** 0
집단 1 630 1 1 630 3 700* 0
오차 44 039 100 0 440 합계 1482 063 103 정서 사전검사점수(공변량) 15 401 1 15 401 40 480*** 0 288 집단 5 125 1 5 125 13 472*** 0 119 오차 38 045 100 0 380 합계 1646 063 103 행동 사전검사점수(공변량) 40 378 1 40 378 68 491*** 0 406 집단 5 050 1 5 050 8 567** 0 079 오차 58 953 100 0 590 합계 1446 889 103 변인 집단(사례수) 평균(표준편차) 사전 사후 평균차 t 사전 사후 자기조절력 실험(N=53) 3 88(0 688) 4 05(0 741) 0 167 1 805 통제(N=50) 3 46(0 840) 3 51(0 760) 0 053 0 641 인지 실험(N=53) 3 70(1 001) 3 97(
) 0
2 461* 통제(
) 3 20(1 010) 3
(
) 0
1 867 정서 실험(
) 4 01(0
) 4
(
) 0
2
통제(
) 3 67(0
) 3
행동 실험(
) 3 69(0
) 3
(
통제(
) 3 23(1
) 3
(
0
0
동기 실험(
) 4 07(0
) 3
통제(
) 3 69(0
) 3

확인하기 위하여 사 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의 낙 관성(F=7.795, P<.01)과 회복탄력성(F=15.486, P<.001)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 및 청소년들의 낙관성과 회복탄력성 향상에

22 표12│낙관성, 회복탄력성에 대한 집단별 기술통계량 변인 집단(사례수) 평균(표준편차) 사전 사후 평균차 t 사전 사후 낙관성 실험(N=53) 4 09(0 772) 4 31(0 783) 0 220 2 237* 통제(N=50) 3 68(0 981) 3 67(0 962) 0 009 0 119 회복탄력성 실험(N=53) 3 60(1 092) 3 97(0 938) 0 373 2 788** 통제(N=50) 3 28(0 982) 3 22(0 961) 0 057 0 638 *p< 05 **p< 01 ***p< 001 3)낙관성, 회복탄력성 분석 결과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행복한홈스쿨 아이들의 낙관성,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행복한홈스쿨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변인 소스 제곱합(ss) 자유도(df) 평균제곱 F 에타제곱 동기 사전검사점수(공변량) 26 920 1 26 920 48 336*** 0 326 집단 0 000 1 0 000 0 000 0 000 오차 55 693 100 0 557 합계 1620 063 103 *p< 05, **p< 01, ***p< 001 그림4│낙관성, 회복탄력성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낙관성 실험 통제 회복탄력성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사전 사후 4 09 4 31 3 68 3 67 3 97 3 . 6 3 28 3 22

795**

사회적응력 분석 결과

프로그램이 행복한홈스쿨 아이들의 학교적응력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 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 단의 학교적응력(F=5 543, P< 05)과 사회적응력(F=11 990, P< 01)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공변량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학교적응력에서는 교우 관계(F=12 375, P< 01) 요인이, 사회적응력에서는 사회적 활동성(F=+6 925, P< 05), 협동성(F=10 412, P< 01), 안정성 (F=8 538, P< 01) 요인 모두 집단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행복한 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들의 학교적응력과 사회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학교 교우관계 향상에 효과적이며, 사회적응력의 사회적 활동성, 협동성, 안정성 향상에 도움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5│사회적응력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23 표13│낙관성, 회복탄력성에 대한 공변량 분석 결과 변인 소스 제곱합(ss) 자유도(df) 평균제곱 F 에타제곱 낙관성 사전검사점수(공변량) 42 650 1 42 650 120 280*** 0 546 집단 2 764 1 2 764 7
0 072 오차 35 459 100 0 355 합계 1720 375 103 회복 탄력성 사전검사점수(공변량) 41 352 1 41 352 83 184*** 0 454 집단 7 698 1 7 698 15 486*** 0 134 오차 49 711 100 0 497 합계 1430 000 103 *p< 05, **p< 01, ***p< 001 4)학교적응력,
감사비타민
사회적응력 실험 통제 사회적활동성 실험 통제 협동성 실험 통제 안정성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사전 사후 3 82 4 04 3 53 3 47 3 . 78 3 97 3 . 54 3 45 4 . 35 4 17 3 83 3 79 3 76 3 . 38 3 07 3 . 05
24 그림6│학교적응력 사전 사후 변화 그래프 학교적응력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사전 사후 4 17 4 3 3 72 3 78 학습활동 실험 통제 학교규칙 실험 통제 교우관계 실험 통제 교사관계 실험 통제 3 3 2 3 4 3 6 3 8 4 4 2 4 4 4 6 3 94 3 99 3 . 44 3 . 49 4 41 4 55 3 96 4 18 4 37 4 16 3 84 4 43 4 27 3 71 3 384 75

│학교적응력,

변인 소스 제곱합(

사전검사점수(공변량)

집단

오차

857

177

자유도(df) 평균제곱 F 에타제곱

25 857 121 790*** 0 549

177 5 543* 0 053

231 100 0 212

1727 920 103 학습 활동

사전검사점수(공변량) 41 691 1 41 691 94 775*** 0 487

집단 0 691 1 0 691 1 571 0 015

오차 43 990 100 0 440 합계 1526 111 103

사전검사점수(공변량) 19 644 1 19 644 53 777*** 0 350 집단 0 502 1 0 502 1 374 0 014 오차 36 528 100 0 365 합계 2017 000 103 교우 관계

학교 규칙

사전검사점수(공변량) 20 506 1 20 506 48 599*** 0 327 집단 5 222 1 5 222 12 375** 0 110 오차 42 195 100 0 422 합계 1760 778 103 교사 관계

사전검사점수(공변량) 27 417 1 27 417 46 099*** 0 316 집단 1 808 1 1 808 3 039 0 029 오차 59 475 100 0 595 합계 1849 500 103

964***

990**

367

202 100 0 552

사전검사점수(공변량)

361 1

632 1

333 103 안정성

361 37 320*** 0 272

632 8 538** 0 079

391 100 0 894

750 103

25 표14
사회적응력에 대한 공변량분석 결과 사회 적응력 사전검사점수(공변량) 21 337 1 21 337 57
0
집단 4 414 1 4 414 11
0 107 오차 36 812 100 0 368 합계 1513 830 103 사회적 활동성 사전검사점수(공변량) 36 548 1 36 548 74 764*** 0 428 집단 3 385 1 3 385 6 925* 0 065 오차 48 885 100 0 489 합계 1504 760 103 협동성 사전검사점수(공변량) 10 173 1 10 173 18 429*** 0 156 집단 5 747 1 5 747 10 412** 0 094 오차 55
합계 1772
33
33
집단 7
7
오차 89
합계 1321
ss)
학교 적응력
25
1
1
1 1
21
합계
*p< 05, **p< 01, ***p< 001

15│학교적응력, 사회적응력에 대한 집단별 기술통계량

변인 집단(사례수) 평균(표준편차) 사전 사후 평균차 t 사전 사후

학교적응력 실험(N=53) 4 17(0 691) 4 30(0 658) 0 136 2 112* 통제(N=50) 3 72(0 801) 3 78(0 705) 0 058 0 743 학습 활동 실험(N=53) 3 94(0 954) 3 99(0 868) 0 047 0 425 통제(N=50) 3 44(1 008) 3 49(0 969) 0 050 0 517

학교 규칙 실험(N=53) 4 41(0 740) 4 55(0 641) 0 140 1 477 통제(N=50) 3 96(0 980) 4 18(0 833) 0 217 1 975 교우 관계 실험(N=53) 4 16(0 855) 4 37(0 757) 0 207 2 171*

통제(N=50) 3 84(0 955) 3 75(0 816) 0 088 0 721 교사 관계 실험(N=53) 4 27(0 790) 4 43(0 721) 0 160 1 966 통제(N=50) 3 71(1 054) 3 84(1 087) 0 132 0 891

사회적응력

실험(N=53) 3 82(0 783) 4 04(0 780) 0 226 2 273* 통제(N=50) 3 53(0 939) 3 47(0 739) 0 060 0 585 사회적 활동성 실험(N=53) 3 78(0 904) 3 97(0 921) 0 192 1 769 통제(N=50) 3 54(0 936) 3 45(0 918) 0 091 0 864 협동성 실험(N=53) 4 17(0 817) 4 35(0 777) 0 180 1 682 통제(N=50) 3 83(1 737) 3 79(0 830) 0 038 0 168 안정성 실험(N=53) 3 38(1 118) 3 76(1 094) 0 380 2 337* 통제(N=50) 3 07(1 101) 3 05(1 111) 0 019 0 135

26 표
*p< 05, **p< 01, ***p< 001

결론 및 제언

미래를 꿈꾸게 만드는 감사비타민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기아대책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함양과 아동의 전반적인 심리적인 요인들의 증진을 통한 내면의 힘 강화를 위하여 개발한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실제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들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다른 일반적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에 비해 행복한홈스쿨 아동의 감사 성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감사 성향의 행동적 요소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보다 실천적 감사성향의 모 습이라 할 수 있는 감사 행동 증가에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에 대한 존재적 가치를 의미하는 자아존중감, 자신의 능력에 대 한 신념인 자기효능감 증가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다만, 일반적인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 동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역시 증가되어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는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및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 모두 행복한홈스쿨 아동들의 자아 존중감, 자기효능감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실제 다양한 심리정서 프로그램 역시 아동의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촉진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기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자기조절력 향상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 기조절력은 자신의 목표 달성 또는 계획 실천을 위해 스스로 과제를 설정하고, 주변 환경을 점검하며 바람 직한 행동과 정서, 동기를 유지하고, 외부에서 발생하는 방해요인을 극복하고 자신의 부정적 행동과 정서, 동기를 조절하는 능력이다(최단비, 김경성, 2015) 즉, 아동의 성장에 있어 중요한 능력으로,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 동기 모두를 조절하는 매우 통합적인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비록 동기조절에서는 집단별 차이 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인지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에 있어 유의미한 긍정적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정서조절에 있어 다른 심리정서 지원 프로

27

제4장
│Next? Gratitude

28

그램에 비해 큰 효과가 나타나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데 특히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동의 정 서문제는 행동, 적응과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는데(한정아, 2017; Thompson, 1994), 감사 비타민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문제적 행동과 적응 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서를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낙관성, 회복탄력성 향상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낙관성과 회복탄력성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인의 발전을 추구하는 긍정적 심리상태를 의미하는 긍 정심리자본(Luthans, Avey, Avolio, Norman & Combs, 2006)의 주요 요소이다. 감사비타민 프로 그램은 개인의 미래에 긍정적인 믿음과 희망을 의미하는 낙관성(Peterson, 2000)과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Dyner & McGuinness, 1966)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족 내 자원의 부족 및 부모의 돌봄 부재 빈도가 일반아동에 비해 높은 행복한홈스쿨의 아동들에게 낙관성, 회복탄력성과 같은 긍정심리자본 요소 향상은 아동의 안정적인 심리정서적 성장에 보다 의미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학교와 사회 적응력 향상에도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학령기 아동에게 있어 학교생활 적응은 매우 중요한 과업으로 학업성취와 규범준수, 또래 및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는 능력인 학교 적응력 향상에 행복한홈스쿨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심리정 서 프로그램에 비해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감사비타 민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들의 교우관계가 크게 향상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사회 적응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응력은 사회적 행동이 사회화되는 정도, 사회 집단에 참여하는 정도, 대인관계의 목적을 달성하는 정도(유봉애, 옥경희, 2013)로 학교라는 공간을 넘어 보다 폭넓은 범위라 할 수 있는 사회적응에 대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사회적응력이 높은 경우 사회 적 기술 발달 촉진뿐 아니라 심리적 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나타나 아동의 성 장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관심받고 있는 변인이다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사회적응력의 하위요인 인 사회적활동성, 협동성, 안정성 측면 모두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 다른 심리정서 지원 프 로그램에 비해 사회적응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언

이번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 인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생각할 것들이 존재한다 향후 더 욱 효과적인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 여건의 한계로 사전 사후 검사 외에 추후검 사를 실시하지 못하여 일정 시간이 흐른 후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 어진 변인들의 변화 양상까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감사비타민 프로그 램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아동 대상의 지속적인 검사가 진행 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또한 양적 효과성 분석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 되어 학생 개별의 프로그램 참여 소감, 참여 모습 등을 분석한 질적 자 료는 분석되지 않았다 추후에는 양적 자료와 함께 질적 자료가 분석되 어 다양한 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한다면 보다 풍부한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감사비타민 프로그램은 단순히 감사성향만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행복한홈스쿨 아동 및 청소년의 자 기조절력, 낙관성,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 향상 등 광범위한 아 동의 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변인들 을 중심으로 감사비타민 프로그램 효과성을 비교하였으나 추후에는 아 동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중요한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탐색하여 프로그 램 효과를 분석한다면 보다 다양한 변인들의 효과까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29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생명이다. 시들시들한 나에게 생명력을 불어넣어 주었다!

– 노량진행복한홈스쿨, 송지은 생활복지사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내비게이션이다.

– LH동편행복한홈스쿨, 오우림 생활복지사

30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내가 만나 미래를 꿈꾸게 해주는 터닝 포인트이다.

– 아름다운행복한홈스쿨, 박은희 생활복지사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삶의 전환점이다. 나의 삶을 감사로 새롭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반월중앙행복한홈스쿨, 주선경 생활복지사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시원한 물가에서의 휴식이고 재충전의 시간이다.

– 문산행복한홈스쿨, 강신영 생활복지사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가능성이다.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 문화행복한홈스쿨, 서영이 생활복지사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생활의 활력소이다.

– 강서성결행복한홈스쿨, 이희자 생활복지사

Addition

행복한홈스쿨 교사들이 정의한 <감사코칭> 프로젝트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행복한 동행이다. 내가 순간순간 감사해야 할 인생의 삶이기 때문이다. – LH동편행복한홈스쿨, 유영하 시설장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치유의 시간이다. 힘들었던 사건들로 우울하고 가슴 아팠던 시간들이 있었지만 감사코칭 으로 울고 웃다보니 치유가 된다. – 화도행복한홈스쿨, 이경숙 시설장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회복과 기대다. 감사코칭을 통해 아이들에게 괜찮아, 있는 모습 그대로 괜찮아 라고 말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밀알행복한홈스쿨, 김윤하 시설장

나에게 감사코칭은 마음을 적셔주는 단비다. 업무로 지친 팍팍한 마음을 촉촉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 반월중앙행복한홈스쿨, 김인숙 시설장나에게 감사코칭이란 나를 알고, 너를 알고, 우리가 행복해지는 시간이다.

– 아름다운행복한홈스쿨, 윤지은 시설장

나에게 감사코칭은 기억이다. 잊혀진 순간이 생각나고 감사로 해석하게 한다.

– 푸른물결행복한홈스쿨 윤현숙 시설장

나에게 감사코칭이란 산소 발생기이다. 몸과 마음이 지치지 않도록 때에 맞는 에너지와 산소를 공급해주어 나에게 새 힘을 주기 때문이다.

– 람원행복한홈스쿨, 박미자 시설장

31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연구보고서 Ⅱ

연구보고 2022 01

연구기관: 희망친구 기아대책

발행인: 유원식

발행일: 2022년 10월

집필진: 감사연구소(한건수, 조영아)

편집인: 기아대책 국내사업본부 법인운영팀

발행처: 희망친구 기아대책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59다길 109

전화: 02 544 9544

기아대책WHY 보고서는 국내 취약 계층 아동과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국내 사업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조사한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입니다

WHY 아동마음역량증진사업 <감사코칭> 연구보고서 Ⅱ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