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제22회 대비 강의로 쌓는 기본개념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Page 1

22회 대비 ]

나눔의집 사회복지사1급

강의로 쌓는

이 책의 강의를 쿠폰 등록일부터 365일 동안 무료로 제공합니다.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1영역 인간행동과
1과목—사회복지기초 21번째 개선 SINCE 2002
[ 2024년
사회환경
기본 개념
일 기본개념 17강
무료제공

의 개정으로

최적화된 “개념정리”

스캔하시면 바로 기본개념강의, 문제은행, 보충자료 등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QR코드를 찍어보세요.

※ 네이버의 ‘스마트렌즈’, 카카오톡의 ‘코드스캔’ 기능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 각 도서의

21번
8영역의 기본개념 강의를 합격할 때까지
단, 시험 미응시 시 서비스 종료 및 낱권 구매 시 쿠폰등록일 기준 1년(365일) 강의 무료제공 아임패스로 만나는 데이터 기반 학습법 출제내용 수록률 99% (제21회 시험 기준) 나눔의집 합격률 78.3% (제21회 가채점 기준)
코드를 활용하세요! 당신이 있는 곳이 바로 강의실이 됩니다. 지금 QR코드를
최신 강의 제공
QR
해당 수강권을 등록하신 후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켜고, QR코드를 찍기 1 화면에 안내된 접속안내 팝업을 터치 2 강의목록에서 강의를 터치하여 수강 3 QR코드로 바로 강의 수강하기 QR www.impass.co.kr I’m pass 나는 꼭 합격한다.

나눔의집 사회복지사1급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1영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과목—사회복지기초 기본 개념 [ 2024년
22회 대비 ]
강의로 쌓는

CONTENTS

2023년 제21회 사회복지사1급 국가자격시험 결과•4

합격을 잡는 학습방법•6

강의로 쌓는 기본개념 활용맵•8

사회복지사1급의 모든 것•12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안내문•14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응시자격•15

일러두기•16

1장–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18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20

1 인간행동, 발달, 사회환경과 사회복지•21

2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환경 및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29

이 장의 대표기출•32

2장–정신역동이론•34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36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37

2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57

3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69

4 융의 분석심리이론•77

이 장의 대표기출•90

3장–인지행동이론•94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96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97

2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119

3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132

이 장의 대표기출•141

4장–인본주의이론•144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146

1 매슬로우의 욕구이론•147

2 로저스의 현상학이론•157

이 장의 대표기출•166

5장–사회체계이론•168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170

1 사회체계와 인간행동•171

2 생태체계관점•183

이 장의 대표기출•194

6장–가족체계,

집단체계•196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198

1 가족체계•199

2 집단체계•203

7장–조직체계, 지역사회체계, 문화체계•210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212

1 조직체계 및 지역사회체계•213

2 문화체계•220

이 장의 대표기출•227

8장–태아기, 영아기, 유아기•228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230

1 태아기•233

2 영아기•243

3 걸음마기•254

4 학령전기•261

이 장의 대표기출•269

9장–아동기•272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274

1 아동기•275

이 장의 대표기출•285

10장–청소년기•286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288

1 청소년기•289

이 장의 대표기출•301

11장–청년기•302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304 1 청년기•305 이 장의 대표기출•311

12장–장년기•312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314

1 장년기•315 이 장의 대표기출•325

13장–노년기•326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328

1 노년기•329

이 장의 대표기출•341

미주목록ㆍ참고문헌•342

2023년 제21회

국가자격시험 결과

21회 시험의 합격률은 지난 20회 36.2%보다 조금 오른 40.7%로 나타났다. 많은 응시생들이 힘들어하는 3과목 정책론, 행정론, 법제론 영역이 지난 해보다 다소 쉽게 출제되면서 합격률 상승의 역할을 했을 듯하다. 내년 시험도 35~40% 수준의 합격률을 유

지할 수 있는 난이도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지만, 각 영역별 난이도는 어떻게 달라질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합격기준에 유의하면서

22회 시험을 대비하기 바란다.

1회~21회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합격률 추이 18 19 20 21 합격률
제21회 사회복지사1급 응시현황 및 결과 접수인원 응시인원 결시인원 응시율 합격자 수 합격률 9,826명 30,544명 24,119명 6,425명 79.0% 40.7% ※이는 필기시험 결과로, 서류심사에 따른 최종합격자는 9,673명, 최종합격률은 40.1%이다.
사회복지사1급

21회 기출 분석 및 22회 합격 대책

21회 기출 분석

여러 학자의 이론에 관한 문제를 비롯해 체계이론의 개념 및 생태체계이론의 특징, 이후 각 발달단계별 특징을 확인하는 문제 등이 두루두루 출제되었다. 기존의 출제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충실히 학습했다면 큰 어

려움 없이 답을 찾을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22회 합격 대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은 크게 앞부분의 발달이론과 뒷부분의 발달단계로 나뉘는데, 발달이론에서 공부한 내용을 발달단 계와 연결하여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워낙 많고 어려운 이론들 때문에 시작부터 힘들 수 있지만, 거의 유사한 패턴으 로 출제되고 있기 때문에 기본개념을 탄탄히 쌓고 기출문제를 통해 반복적으로 확인하다 보면 고득점을 노릴 수 있는 영 역이다.

21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21회 키워드

1 3 인간발달의 특징, 인간발달이론과 사회복지실천, 이상행동

2 3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주요 특징,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주요 개념, 융의 이론

3 3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

4 2 매슬로우의 이론,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

5 3 생태체계이론의 유용성, 체계이론의 주요 개념, 브론펜브레너의 사회환경체계

6 1 집단의 유형 및 특징

7 2 문화의 특징, 다문화

8 3 영아기(0~2세)의 특징, 유아기(3~6세)의 특징, 신생아기(출생~1개월)의 반사운동

9 2 아동기(7~12세)의 특징, 생애주기별 특징

10 1 청소년기(13~19세)의 특징

11 0 -

12 1 중년기(40~64세)의 특징

13 1 노년기(65세 이상)의 특징

합격을 잡는 학습방법

아임패스와 함께하는 합격

나눔의집의 모든 교재는 강의가 함께한다. 혼자 공부하느라 머리 싸매지 말고, 아임패스를 통해 제공되는 강의와 함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암기하고 문제풀이 요령을 습득해보자. 또한 아임패스를 통해 선배 합격자들의 합격수기, 학습자 료, 과목별 질문 등을 제공하고 있으니 22회 합격을 위해 충분히 활용해보자.

1단계

강의로 쌓는 기본개념

어떤 유형의, 어떤 난이도의 문제가 출제되더라도 답을 찾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개념이 탄탄하게 잡혀있어야 한다. 기본

개념서를 통해 2급 취득 후 잊어버리고 있던 개념들을 되살

리고, 몰랐던 개념들과 애매했던 개념들을 정확하게 잡아보

자. 한 번 봐서는 다 알 수 없고 다 기억할 수도 없지만 이제

1단계, 즉 이제 시작이다. ‘이렇게 공부해서 될까?’라는 의심

말고 ‘시작이 반이다’라는 마음으로 자신을 다독여보자.

5단계

강의로 풀이하는 합격예상문제집

내 것이 된 기본개념들로 문제의 답을 찾아보는 시간이다. 합격을 위한 필수문제부터

응용문제까지 다양한 문제를 수록하여 정답을 찾는 응용력을 키울 수 있다.

강의로 완성하는 FINAL 모의고사 (3회분)

그동안의 학습을 마무리하면서 합격에 대한 확신을 가져보자. 답안카드를 포함하고 있 으므로 모의고사는 반드시

시험시간에 맞춰
풀어봐야 한다.
impass.co.kr

※이 내용은 합격수기 게시판에 올라온 선배 합격자들의 학습방법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2단계

강의로 요약하는 합격노트

8영역을 공부하다 보면 먼저 공부했던 영역은 잊어

버리기 일쑤인데, 요약노트를 정리해두면 어디서 어

떤 내용을 공부했는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책

은 왼쪽 페이지에는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오른쪽 페이지에는 노트 공간을 두어 학습자가 자신에게 필

요한 내용을 추가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기출문제 번호 보는 법

21 01 25

기출회차

영역 문제번호

impass.co.kr

‘기출회차-영역-문제번호’의 순으로

기출문제의 번호 표기를 제시하여 어느 책에서든 쉽게 해당 문제를 찾 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3단계

강의로 잡는 통합기출문제집

장별 기출문제집과 회차별 기출문제집 2권으로 구성되

어 있다.

1권: 장별 기출문제집은 기본개념서의 목차에 따라 편집 하여 해당 장의 기출문제를 바로 풀어볼 수 있다.

2권: 회차별 기출문제집은 학습자가 자체적으로 모의고 사처럼 시험시간에 맞춰 풀어볼 것을 추천한다. 4단계

강의로 복습하는 기출회독

한 번을 복습하더라도 제대로 된 복습이 되어야 한다는

고민으로 만들어진 책이다. 기출 키워드마다 다음 3단계

과정으로 학습해나간다. 기출회독의 반복훈련을 통해 내

것이 아닌 것 같던 개념들이 내 것이 되어감을 느낄 수 있

을 것이다.

1. 기출분석을 통한 이론요약

2. 다양한 유형의 기출문제

3. 정답을 찾아내는 훈련 퀴즈

4단계 3단계

★ QR코드를 활용하세요!

스마트폰의 카메라, 네이버의 ‘스마트렌즈’, 카카오톡의 ‘코드스캔’ 기능으로 QR코드를 찍으면 관련 동영상 강의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한눈에 쏙 + 주요 학습내용 각 장에서 학습하게 될 내용들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동안의 출제

율을 반영하여 중요도 및 22회 출

이 장의 기출 포인트

각 장마다 어떤 내용들이 출제

아임패스 문제은행

아임패스 홈페이지[www.impass.co.kr]를

통해 기본개념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쌓기

제 예상도를 표시하였다.

되고 있는지, 어떤 내용에 초점

있도록 다양한 문제를 제공하고 있다. QR코드를 통해 기본개념강의를 볼 수 있어요.

을 두고 학습해야 하는지를 안 내하였다.

문제와 함께 자신의 학습정도를 파악할 수

정신역동이론

1. 에릭슨의 생애

➌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➍ 융의 분석심리이론

개요

3 심리사회이론의 발달단계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1. 아들러의 생애

2 개인심리이론의 개요

3 개인심리이론의 성격발달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1. 융의 생애

2 분석심리이론의 개요

3 발달단계와 발달과업

4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각 장에서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장별 학습내용 안내 34 사회복지사 1 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눈에 쏙! 중요도
기본개념강의 2 장 ➊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 정신분석이론의 개요 3 심리성적 발달단계 4 방어기제 5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1. 프로이트의 생애 ➋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2 심리사회이론의
2단계
강의로 쌓는 기본개념 활용맵

살펴보기

5년간 출제분포 및 평균 출제문 항수, 기출 키워드를 안내하였다.

5개년도 기출문제 LIST 해당 장에서 출제된 기출문제를 정리하였다. 정답률을 통해 어느 정도의 난이도로 출제되고 있는 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17회 시험부터 21회 시험까지 최근 5개년의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안내하였다. 장별 기출경향 안내 36 사회복지사1 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번호 정답률 3회독 1 21 - 01 - 0 5 88% 2 21 - 01 - 0 6 83% 3 21-01-1 3 78% 4 2 0-0 - 0 4 36% 5 2 0-0 - 0 5 89% 6 2 0-0 - 0 6 75% 7 2 0-0 - 2 0 83% 8 2 0-0 - 2 4 71% 9 19 - 01 - 0 4 67% 10 19 - 01 - 0 5 52% 11 19 - 01 - 0 6 34% 12 19 -0 -0 7 23% 13 18-01-0 6 77% 14 18-01-0 9 78% 15 8-0 - 0 80% 16 18-01-1 2 57% 17 17 -0 -0 4 71% 18 17 -0 -0 5 12% 19 17 -0 -0 6 57% 20 7 -01-0 7 65% 21 17 - 01 - 0 8 88% 22 23 24 25 5개년도 기출문제 LIST 17~21회 기출문제 확인은 <통합기출문제집>으로 4.2 문항 기출회차 영역 문제번호 2 1 0 1 2 5 최근 기출경향 살펴보기 기출 키워드 기출번호 보는 법 평균 출제문항수 출제분포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융의 분석심리이론 빈출 빈출 빈출 빈출--5 4 3 2 1 0 문항수 회차 7 18 9 20 21 5 4 4 5 3 최근 5개년 기출경향

본문에서 짚어주는 기출경향 및 중요도

공부하는 내용이 많다 보니 어느 부분이 중요한지, 어떤 내용이 출제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본문에 기출과 관련된 사항들을 안내하였다.

기출회차

1회부터 지금까지 얼마나 자주 출제된 내용인지를 알 수 있도록 출제된 회차 를 표시하였다.

중요도 그동안의 기출경향을 파악하여 학습의 포인트를 짚어주었다.

21회 기출

21회 시험에 출제된 부분은 별도로 표 시하였다.

꼭!

꼭! 봐야 할 내용을 놓치지 않게 한 번 더 강조하였다.

더 쉬운 개념 이해를 위한 구성

간단한 개념정리, 함께 봐두면 도움이 될 만한 내용, 쉽게 헷갈릴 수 있는 내용들을 바로바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잠깐

용어의 정의나 개념설명을 간략히 안 내하였다.

합격자의 한마디

선배 합격자들이 공부하면서 헷갈렸던

내용들이나 암기하는 요령 등에 대해 짚어주었다.

한걸음 더 본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지만 한번 쯤 살펴볼 만한 내용을 담았다.

QR코드로 보는 보충자료

시험에 출제되지는 않았지만 이전 수험

생들이 궁금해 했던 내용이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추가 자료를 따로 담았다.

홈페이지 아임패스 [impass.co.kr]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공부한 내용을 확인하는 문제

이 장의 대표기출

기출 키워드 중 특히 출제빈도가

높은 빈출 키워드를 정리하여 해

당 키워드 중 최신 회차의 기출문

제를 담았다. QR코드를 통해 이

장의 대표기출에 대한 강의만 별

도로 볼 수 있다.

제시된 키워드 번호를 <기출회독>에서 찾아보세요. 더 많은 기출문제와 답이 보이는 학습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사회복지사1급의 모든 것

1998년부터 26년 동안 사회복지 분야의 책을 전문적으로 출판해온 나눔의집은 2002년부터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대비 수험 서를 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 21번째 개정판을 출간하였습니다.

2012년부터는 매년 가채점 데이터를 축적하여 최근 12년간 출제된 2,480문항에 대한 21,447명의 마킹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 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출제율 96.5%의 핵심키워드 278개와 마킹률 데이터를 통해 수험생에게 필요한 자세한 내용 분석을 제공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눔의집 사회복지사1급 수험서는 종이에 인쇄된 단순한 책이 아닙니다.

나눔의집을 만나는 순간, 당신의 합격을 위한 최고의 전략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모든 것 4,640문항 모든 기출을
데이터 기반
강의로 쌓는 기본개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장 장명 출제문항수 평균문항수 정답률(%) 체크 1 2장 정신역동이론 21 4.2 65 2 5장 사회체계이론 17 3.4 64 3 3장 인지행동이론 16 3.2 56 4 8장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 14 2.8 67 5 1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환경 13 2.6 80 6 4장 인본주의이론 9 1.8 77 7 10장 청소년기 7 1.4 84 8 9장 아동기 6 1.2 54 5년간 데이터로 찾아낸 합격비책 여기에서 82.4%(20.6문항) 출제
사회복지사1급의
분석해 찾은
학습법
강의로 복습하는 기출회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0년간 데이터로 찾아낸 핵심키워드 장 기출회독 No. 빈출키워드 출제문항수 정답률(%) 체크 1 5장 015 생태체계이론 15 73 2 3장 008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4 61 3 10장 023 청소년기 13 78 4 2장 004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12 60 5 2장 005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12 73 6 1장 001 인간발달 11 89 7 2장 007 융의 분석심리이론 10 62 8 3장 009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 10 58 9 7장 018 문화체계 10 69 10 8장 019 태아기 10 70 11 12장 025 장년기 10 74 12 13장 026 노년기 10 79 13 3장 010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9 63 14 4장 013 로저스의 현상학이론 9 79 15 5장 014 체계이론 9 67 16 8장 020 영아기 9 66 17 8장 021 유아기 9 61 18 9장 022 아동기 9 62 19 1장 002 인간발달이론 7 81 20 4장 012 매슬로우의 욕구이론 7 63 21 2장 006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6 63 22 6장 017 집단체계 5 86 23 3장 01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4 48 24 11장 024 청년기 4 87 25 1장 003 발달과 유사개념 2 68 여기에서 90.4%(22.6문항) 출제

(50분)

휴식시간 10:20 ~ 10:40 (20분)

•사회복지실천론(25문항)

•사회복지실천기술론(25문항)

•지역사회복지론(25문항) 10:40 10:50-12:05 (75분)

휴식시간 12:05 ~ 12:25 (20분)

•사회복지정책론(25문항)

•사회복지행정론(25문항)

•사회복지법제론(25문항)

※ 이는 일반수험자 기준이며, 장애인수험자 등 응시편의 제공 대상자는 1.5의 시간을 연장함 ※ 시험관련 법령 등을 적용하여 정답을 구하여야 하는 문제는 시험 시행일 현재 시행 중인 법령을 기준으로 출제함

합격(예정)자 결정기준(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

12:25 12:35-13:50 (75분)

•시험의 합격결정에 있어서는 매 과목 4할 이상, 전 과목 총점의 6할 이상을 득점한 자를 합격예정자로 결정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합격예정자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응시자격 서류심사를 실시하며, 응시자격서류를 정해진 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거나 심사결과 부적격자인 경우에는 최종불합격 처리함

최종합격자 발표 후라도 제출된 서류 등의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르거나 응시자격 부적격 사유가 발견될 때에는 합격을 취소함

※ 시험관련 정보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사회복지사1급 홈페이지(http://www.q-net.or.kr/site/welfare)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홈 페이지(http://www.welfare.net)에서

시험방법 시험과목수 문제수 배점 총점 문제형식 3과목(8영역) 200 1점 / 1문제 200점 객관식 5지 선택형 시험과목 및 시험시간 구분 시험과목 입실시간 시험시간
1교시 사회복지기초(50문항)
09:00 09:30-1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5문항) •사회복지조사론(25문항)
2교시 사회복지실천(75문항) 3교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75문항)
확인할 수 있다. ※ 다음은 2023년 1월 14일 시행된 21회 시험에 대한 공고 내용이다. 시험공고는 시험일로부터 대략 3개월 전에 발표되고 있다.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안내문

사회복지사1급

대학원 졸업자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까지 학위를 취득한 자 포함). 다만,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지 아니하고 동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포함한(2004. 7. 31 이후

입학생부터 해당) 필수과목 6과목 이상(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포함하되, 대학원에서 4과목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선택

과목 2과목 이상을 각각 이수하여야 한다.

대학교 졸업자

①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까지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포함)

② 법령에서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을 졸업한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 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까지 동등학력 취득자 포함)

외국대학(원) 졸업자

외국의 대학 또는 대학원(단,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한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학사학

위 이상을 취득한 자로서 대학원 졸업자와 대학교 졸업자의 자격과 동등하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자

전문대학 졸업자 ①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한 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② 법령에서 고등교육법에 따른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로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

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사회복지사 양성교육과정 수료자

①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을 졸업하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

12주 이상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교육훈련을 이수한 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업

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② 사회복지사 3급 자격증 소지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3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사회복지사가 될 수 없음.

가.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나.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끝나지 아니하였거나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자

다. 법원의 판결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라. 마약ㆍ대마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중독자

마.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른 정신질환자(다만, 전문의가 사회복지사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예외)

※ 응시자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HRD고객센터(1644-8000), 한국사회복지사협회(02-786-0845)로 문의

국가시험 응시자격

일러두기

◍ 이 책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2022 사회복지 교과목 지침서』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시험의 출제경향, 대학교재의 공 통사항, 학습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 <사회복지법제론>을 비롯해 수험서에서 다루고 있는 법률은 2023년 3월 초 현재 시행 중인 규정을 따랐다. 이후 추가적인 개정사항이 있을 시 주요 사항을 정리하여 아임패스 내 ‘학습자료’를 통해 게시할 예정이다.

◍ 이 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에 대해서는 아임패스 내 ‘정오표’ 게시판을 통해 정정할 예정이다.

◍ 학습 중 헷갈리거나 궁금한 내용이 있을 때에는 아임패스 내 ‘과목별 질문’ 게시판을 이용할 수 있다.

교과목 목표

●사회복지의 기본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인권과 사회정의의 맥락에서 관련 이론들을 설명할 수 있다.

●전인적 차원에서 인간행동과 관련된 주요 이론들을 설명할 수 있다.

●인간을 둘러싼 사회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의 구조와 변동 및 사회적 차별과 억압을 이해하는 이론들을 설명할 수 있다.

●체계이론과 생태체계이론의 기본 가정들을 이해하고, ‘환경 속의 인간’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

●인간의 행동 및 사회, 사회환경과 관련된 지식들을 바탕으로 전 생애 발달의 주기별 특징과 과업들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생애주기 전반의 사회적 약자(아동, 여성, 노인, 장애인, 인종, 민족, 계급, 종교, LGBT 등)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설명할 수 있다.

●인간의 행동과 발달, 그리고 사회 및 사회환경과 관련된 제 이론이 사회복지실천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17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➊ 인간행동, 발달, 사회환경과 사회복지

3.

전제와 원리

➋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환경 및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8 사회복지사1급
한눈에
쏙! 중요도
1 장
기본개념강의
1. 발달과정과 사회복지실천 2. 성격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2. 인간발달 인간발달의 4. 인간의 발달단계 5. 발달과업 1. 인간행동의 이해

이 장의 기출 포인트

이 장은 본격적인 인간발달 관련 이론들을

학습하기에 앞서 인간발달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들을 정리해두고 있으며, 대체로 2~3

문제는 출제된다. 인간발달의 개념 및 원리

에 관한 문제, 인간발달의 이론이 사회복지

실천에 미친 유용성을 살펴보는 문제, 성장, 성숙 등 발달과 관련된 유사 개념을 확인하 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다.

아임패스 문제은행

기본쌓기 문제, OX퀴즈, 기출문제 등 을 아임패스 홈페이지를 통해 만나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문제풀이를 통 해 합격점을 탄탄히 다져보세요.

인간발달의 특징 및 인간발달의 전제와 원리를 이해해야 하며, 성장, 성숙, 학습, 사 회화 등 발달과 유사한 개념들을 확인해두자. 또한 인간발달단계에 따른 주요 발달

과업도 살펴봐야 한다.

[필수 개념] 인간발달의 개념, 인간발달의 특징, 인간발달의 전제, 인간발달의 원리, 인간발달단계, 발달의 유사개념

인간의 발달과정과 사회복지실천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이해해야 하며, 인간발

달이론의 유용성을 살펴봐야 한다.

[필수 개념]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

1 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19
주요 학습내용 22회 출제 예상도

최근 5개년 기출경향 살펴보기

5개년도 기출문제 LIST

인간발달

인간발달이론  발달의 유사개념

20 사회복지사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번호 정답률 3회독 1 21-01-01 64% ⓵⓶⓷ 2 21-01-03 95% ⓵⓶⓷ 3 21-01-25 55% ⓵⓶⓷ 4 20-01-01 94% ⓵⓶⓷ 5 20-01-02 75% ⓵⓶⓷ 6 20-01-03 94% ⓵⓶⓷ 7 19-01-01 62% ⓵⓶⓷ 8 19-01-02 95% ⓵⓶⓷ 9 18-01-01 97% ⓵⓶⓷ 10 18-01-03 87% ⓵⓶⓷ 11 17-01-01 72% ⓵⓶⓷ 12 17-01-02 69% ⓵⓶⓷ 13 17-01-03 75% ⓵⓶⓷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17~21회 기출문제 확인은 <통합기출문제집>으로 2.6 문항 기출회차 영역 문제번호 21
01 25
기출 키워드 기출번호 보는 법 평균 출제문항수 출제분포도
빈출 빈출--5 4 3 2 1 0 문항수 회차 17 18 19 20 21 3 2 2 3 3

인간행동, 발달, 사회환경과 사회복지

1. 인간행동의 이해

클라이언트의 욕구, 문제,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환경에 대해 정확히 사정하

고 개입 계획을 세우기 위해 사회복지사는 인간행동과 발달을 다음과 같은 관

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1) 환경 속의 인간 관점

인간행동은 사회환경과 개인이 내적·외적으로

다양하게 상호작용한 결과이 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인간행동을 ‘환경 속의 인간’ 관점에서 이해 해야 한다. 즉, 인간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주체로서, 인간과 환경의 관계

를 하나의 통합된 주제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2) 전 생애 발달적 관점 전 생애에 걸친 인간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측면에서 전개되는 발달에 초점을 두고 인간행동을 이해한다.

(3) 이상행동(부적응행동)에 대한 이해 인간행동의 이해에는 인간의 부적응적 행동을 이해하는 것도 포함된다. 특정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장애 및 사회적 일탈행위를 일반화하는

것도 인간행동 이해에 도움이 된다. 다음의 행동들을 이상행동으로 본다.1)

•사회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

•이상적(理想的) 인간행동 유형에서 벗어나는 행동

•통계적으로 보통 사람의 평균적 특성에서 벗어나는 행동

•환경의 요구에 순응하거나 환경을 변화시키는 환경과의 적응 능력을 저하

시키는 행동

•개인에게 불편감, 고통 또는 심리적 갈등을 유발하는 행동

보충자료

이상행동의 모델 및 진단

1 장 인간행동,
21
발달과 사회복지
1
기출회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인간발달은 양적 질적, 상승 하강, 유전 환경, 분화 통합을 모두 포함하며, 신체적 사회 적·심리적 차원을 포괄하는 전 생애적이고 연속적인 변화임을

기억해야 한다. 또한 발달의 유 사개념(성장, 성숙, 학습 등)이 발달과 어떻게 다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4) 인간의 성격에 대한 이해

인간이 어떻게 해서 현재와 같은 모습이나 특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앞으로

의 모습이나 특성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예측하여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

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면 행

동의 이유를 알 수 있으며, 행동변화를 예측하고 바람직한 행동으로 변화시

킬 수 있는 방법까지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2. 인간발달

(1) 발달(development)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 등 전인적인 측면에서 전 생애에 걸쳐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변화 양상과 과정을 발달 혹은 발달적 변화라고 한다.

•발달은 태내에서 수정된 순간부터 혹은 출생에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체계적인 변화와 안정의 과정이다.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화를 말한다.

•시간에 따라 일어나는 신체구조, 사고, 행동 등의 변화를 말한다.

•상승적 발달과 하강적 발달,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인간의 총체적 변화를 말한다.

(2) 발달의 유사개념

① 성장(growth)

•신체의 크기가 커지거나 근육의 힘이 더 세지는 것과 같은 양적 증가와 확

성장, 성숙, 학습, 사회화 등은 발 달과 헷갈리기 쉬운 다른 개념이 면서도 발달의 요소이기도 하다.

대를 말한다. 즉, 신체적·생리적 발달의 양적 증가에 국한된다.

•사람은 태어날 때 이미 성장의 방향이나 내용이 어느 정도 정해진 설계도를

가지고 태어난다.

한마디

‘양적인 증가와 확대’라는 의미가 나오면 성장, ‘유전적 요인’이라는 의미가 나오 면 성숙!

22 사회복지사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렇게 유전인자에 설계된 대로 성장을 하다가 일정한 시기가 되면 성장을 멈추게 된다. 신체의 증가, 근력 증가, 인지의 확장 등 과 같은 환경적 영향에 따라 설계의 내용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② 성숙(maturation) •유전적 기제의 작용에 따라 체계적·규칙적으로 진행되는 변화를 말한다.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인자 정보에 따라 발달적 변화가 통제되므로 경험이 나 훈련과는 관계가 없다.  사춘기 2차 성징, 태아가 모체 내에서 발달해가는 것 21회 기출 꼭! 꼭!
중요도
합격자의
잠깐!

③ 학습(learning)

•직 간접적 경험의 산물로 나타나는 변화를 말한다.

•특수한 경험, 훈련, 연습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조건, 즉 환경에 의해 개인

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 외국어를 사용한 의사소통, 능숙한 운전

④ 사회화(socialization)

•개인이 자기가 속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연스럽게 동화되어 가는 과정을

말한다.

•가족, 지역사회 등을 포함한 사회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 안에서

통용되는 사회적 기대, 관습, 가치, 신념, 역할, 태도 등을 전 생애적으로

익혀가는 과정을 말한다.

(3) 인간발달의 영역 에릭슨은 인간의 삶은 신체적 체계( somatic system ), 자아체계( ego system), 사회적 체계(societal system)의 세 가지 주요 체계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에릭슨의 접근방법에 따라 인간발달에 대한 접근은 통상 신

체적 심리적 사회적 차원으로 나뉘며, 이 세 가지 차원의 상호작용이 인간 발달의 토대를 이룬다고 본다. 인간행동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세 요인이 통합된 전체로서의 인간으로 이해해야 한다.

① 신체적 차원

•인간의 선천적 능력과 유기체로서 기능하는 모든 요소들로 구성된다.

•감각기관, 근골격계, 호흡계, 순환계, 내분비계, 생식계, 소화계, 신경계 등을 말한다.

•유전적으로 인도되는 성숙과 더불어 영양, 일조량, 질병이나 사고, 운동량

과 같은 환경적 자원의 결과로서 발달하고 변화해나간다.

•신체적 차원의 중요성

- 인간행동과 발달에 객관적 한계를 제공한다.

- 개인의 유전형질이 심리적 발달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 질병이나 사고로

1 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23
인해 개인의 신체적 변화가 인지적·감정적, 또는 행 동상의 수행 능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이해할 수 있다. - 태아에서 성숙한 청년에 이르기까지의 신체적 성장이 개인적인 변화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② 심리적 차원

개인의 인식, 감정, 행동의 측면으로 나뉜다.

•인식

- 지식, 신뢰, 견해와 같은 지성적 측면. 감각, 기억, 상상, 판단, 언어 등으로 인간은 세상에 대해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한다.

-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정하고 개입계획을 세울 때, 사회복지사들은 자 신의 시각과 경험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감정

- 개인의 정서적인 삶, 동기, 욕구, 충동, 관심사 등

- 개인이 경험할 수 있는 위기와 위기에 대한 적응성도 포함된다.

- 복지나 불행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감각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행동

- 매너리즘, 습관, 개인 간의 대화기술 등

- 개인이 스스로를 행동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들은 서비스를 받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현 (現) 문제점’이며, 사회복지사들은 대부분 이러한 행동을 분석하고 이해 하는 데 관여한다.

③ 사회적 차원

•개인의 가족, 집단, 사회에서의 역할. 대인관계, 사회성, 사회관계, 사회 행동 등을 말한다.

•개인의 사적 고민들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사회 환경 속에는 개인의 어려움을 도울 수 있는 자원과 힘이 존재하므로 일반적 으로 사회복지사들은 개인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는다.

•개인의 일상생활은 사회체계의 다차원적 요소들과 관련되며, 각 개인은 사 회체계 속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통해 그 체계와 연결된다.

꼭!

(4) 인간발달의 특징

① 양적·질적 변화

•인간발달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으로 변화한다.

•양적 변화는 크기나 질량의 변화를, 질적 변화는 본질, 구조 또는 조직상의 변화를 의미한다.

24 사회복지사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② 상승적·하강적 변화

•인간발달은 기능과 구조가 발달해가는 상승적 변화와 기능이 위축되고 약

화되는 하강적 변화로 나눌 수 있다. 발달에는 상승적 하강적 측면이 모 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출생 후 청년기 혹은 성인초기까지는 신체 크기도 커지고 기능

도 원활해지며 심리적 기능과 구조가 더 나은 차원으로 변화하는 상승적 변 화를 겪는다.

•성인초기 또는 그 이후부터는 점차 신체적 기능이 약해지고 심리적 기능도

위축되는 하강적, 감퇴적인 변화를 겪는다.

③ 유전적 환경적 요소의 상호작용 발달은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즉, 발달은 성숙, 성장, 노화, 학습의 모든 측면을 반영한 개념이다.

④ 단계별 발달 양상의 다양성 발달은 전 생애를 통해 다양한 영역에 걸쳐 일어나지만 각 발달단계별로 특히

중요하고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는 영역이 있다. 언어발달은 노년기보다는 유

아기와 아동기 이후에, 도덕성은 아동기와 청년기에 더 중요하게 부각된다.

3. 인간발달의 전제와 원리

(1) 인간발달의 전제 2)

•인간발달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일어난다.

•인간발달은 이전 단계의 발달을 기반으로 현재의 경험이 융합되어 이루어

지므로 지속성과 변화를 보인다.

•신체적·인지적·사회적·정서적 영역들의 상호작용으로 인간발달이 이 루어지므로 전인적인 인간(whole person)으로 이해해야 한다.

•인간행동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관계의 맥락 속에서 이해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의 발달에 능동적으로 기여한다.

•인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이 밀접한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으 며, 통합적으로 기능한다.

보충자료

하강적 발달과 퇴행의 차이

발달의 특성 및 원리와 관련해서 점성원리, 적기성과 결정적 시 기, 누적성, 불가역성, 기초성 등 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해야 하 며, 각각의 원리에 해당하는 예 시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21회 시험에서는 인간발달의 개념과 원리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발달과

1 장 인간행동,
사회복지 25
•인간발달은 일정한 순서대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예
21회 기출
측이 가능하다.
중요도

발달의 연속성에 관한 논란 발달과정이 지속적으로 전개된다

는 점에서 연속적 과정이라고 보

기도 하지만, 특정 단계에서 특정

발달이 종료되고 그 다음 단계에

서는 다른 차원의 변화가 일어난

다는 점에서 불연속적이라고 보 기도 한다.

•발달영역 간의 상호작용이란 한 영역의 발달이 다른 영역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인간발달의 원리

인간발달은 개인마다 그 정도가 다르지만, 발달의 변화는 체계적이고 규칙적

이며 일관성 있는 원리에 따라 진행된다.

①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

특정한 나이가 되면 대략 몇 센티미터까지 키가 자라고 몸무게는 어느 정도

되고, 어느 정도의 사고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우리는 일반적으로 예측하고

기대하게 된다. 이것은 발달이 일정한 순서로 진행되며 방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발달은 상부에서 하부로, 중심 부위에서 말초 부위로, 전체운동에서 특수운동으로 진행된다.

② 연속적 과정 전 생애를 통해 이전 발달에 이어 연속적으로 계속 일어난다.

③ 속도의 불규칙성

발달의 순서는 일정하지만 발달의 속도는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다. 빠르게

진행되는 시기가 있고, 더디게 진행되는 시기가 있다.

④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유전적 요인과 환경의 영향은 비중이 다르지만 양쪽의 상호작용으로 진행 된다.

⑤ 개인차

발달은 보편적인 성장의 과정을 거치지만 개인차도 존재한다. 연령이 증가할

수록, 환경 등 외적인 변수들의 영향이 많을수록 개인차의 폭은 커지고 발달

을 예측하기도 어려워진다.

⑥ 분화와 통합의 과정 발달은 점진적으로 분화해가고 전체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이다. 신체, 인지, 성격 등 발달의 각 측면은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며 통합된다.

26 사회복지사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꼭!
잠깐!

⑦ 점성원리

인간발달이 유전적 요인에 의존한 일련의 단계에 의해 지배되며, 이전 단계

의 발달을 토대로 다음 단계의 발달이 이루어진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특정

단계의 발달은 이전 단계의 발달과업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⑧ 결정적 시기(적기성)

신체 및 심리발달이 가장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결정적 시기 혹은 최적의 시기

를 말한다. 이 시기를 놓치면 발달과업 획득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 정글북의 모글리(언어 습득 시기를 놓쳐 이후 언어 습득에 어려움을 겪음)

⑨ 기초성 어릴 때의 발달이 바탕이 되어 이후 모든 발달의 기초가 된다는 원리이다.

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⑩ 누적성 어떤 시기의 결손은 계속 누적되어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원리이다.

 미숙아로 태어난 경우, 이후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하여도 발달차이가 존재

⑪ 불가역성

특정 시기의 발달이 잘못되면 그 이후에 충분히 보상적 자극이나 경험을 제공

받는다고 하더라도 원래의 발달상태로 회복되기 어렵다.

 어릴 때 잘못 형성된 것은 나이들어 고치기 어렵다.

4. 인간의 발달단계 3)

•발달단계는 발달과정에서 어떤 측면이 특히 더 발달하는 단계, 혹은 특정 한 과제를 성취하는 단계로서 연령대나 기간을 말한다.

•대개 구분된 나이를 전후해서 발달적 전환이 이루어진다.

•각 단계의 특징들은 이전 단계 및 이후 단계와 구별된다.

•각 단계는 발달을 향한 특정한 방향을 가진다.

•발달단계는 연속적이다. 한 단계에서 성취한 발달은 그 이후 모든 단계에

영향을 미친다.

•각 단계마다 이전 단계에서 획득한 것은 새로운 것에 도전하기 위한 자원이

된다.

점성원리는 다음 단계에 주는 영 향! 기초성은 어릴 때 발달이 계속 기 초가 됨!

1 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27
합격자의 한마디

발달단계별 과업은 이 책의 8장에 서 13장에 걸쳐 자세히 학습한다.

5. 발달과업

(1) 발달과업의 개념

•인간발달의 각 단계마다 성취해야 할 과업이다. 특정 연령이나 발달단계에

이르면서 수행해야 할 역할이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업이다.

•신체적 성숙이나 사회적 기대, 개인적인 노력으로 얻을 수 있다.

•성장단계에서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기술,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포함하

며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하다.

•인간이 환경을 점차 지배하는 기술과 능력으로 구성되며 신체적 인지

적 사회적 정서적 기술의 획득을 포함한다.

(2) 발달과업의 특징

•발달과업은 연령에 따라 변한다. 사회는 연령에 따라 사회적 행동에 대한

기대를 갖기 때문이다.

•발달과업을 성취하기에 좋은 시기가 있다(적기성, 결정적 시기). 따라서, 그 단계에서 특정한 발달과업을 성취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에서 성취하기

가 어렵다(불가역성).

•발달과업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각 연령별 사회 정서 발달을 제시해준다.

발달단계에 따른 주요 발달과업 4)

단계 주요 발달과업

영아기 (출생~1.5/2세)

걸음마기 (1.5/2~4세)

학령전기 (4~6세)

신체적 성장, 감각 및 운동기능의 성숙, 즐거움 분노 등 감정의 분화, 사회적 애

착의 확립

자아를 의식하면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존재로 발달, 운동 능력의 정교화, 언어 발달, 자기통제 능력 습득, 상상놀이

초기적 수준의 도덕발달, 성역할개념의 습득, 집단놀이

아동기 (6/7~12세)

신체적 성숙, 성(性)적 성숙, 형식적 조작사고, 또래집단의 경험, 자아정체감 확립

왕성한 신체적 활동, 구체적 조작사고, 학습능력과 기술 습득, 사회적 규범의 학 습, 팀놀이, 도덕성 발달 청소년기 (12/13~18/19세)

청년기 (18/19~29세)

장년기 (30~64세)

노년기 (65세 이후)

친밀감 형성, 부모로부터의 독립, 직업에 대한 준비와 선택, 배우자 선택과 결혼, 출산 및 가정형성, 직업경력 시작

신체적 및 인지적 변화에 대한 대응, 부부관계의 유지, 자녀양육과 가정의 운영, 직업관리, 사회적 책임의 수행

노화로 인한 신체적 인지적 변화에 대한 적응, 조부모 미망인 등 역할변화에

대한 적응, 은퇴에 대한 대응, 죽음에 대한 두려움 극복

28 사회복지사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잠깐!

2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환경 및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

인간행동과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이해는 사회복지실천에 직접 적용된

다. 사회복지사의 개입에 기초가 되는 사정단계에서 인간의 행동을 정확히

사정하기 위해서는 각 발달단계와 과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 발달과정과 사회복지실천

인간행동과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이해는 사회복지실천에 직접 적용된

다. 사회복지실천의 사정단계에서 사회복지사는 각 발달단계와 발달과업에

비추어 발달의 정상 여부와, 적절한 개입의 때를 결정할 수 있다. 연령별 발

달단계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인간행동을 이해해야 한다.

(1) 정상적·병리적 발달단계

‘정상’은 특정 연령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기능이라는 점에서 좁은 의미이

다. 정상적인 발달단계는 생애에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생리, 심리, 정서, 인

지, 사회적 발달을 포함한다.

(2) 인간발달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는 발달단계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발달에 대한 기

대를 조절하고 지나친 염려를 줄일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잠재

적 발달장애를 조기에 사정함으로써 미래의 어려운 상황을 최소화하거나 예

방할 수 있다. 그 밖에 인간발달의 이해가 사회복지실천에 부여하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인간발달은 인간의 전반적 생활주기를 이해할 수 있는 개념적

중요도

인간발달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 복지실천과 어떤 관련성이 있으 며, 어떤 기여를 하는지에 대하 여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다. 21회 시험에는 인간발달이 론의 유용성에 관해 출제되었다.

생애 동안 경험하는 안정성과 변화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생활전이(life transition) ‘생활(삶)의 전환(변환/이행)’으로 도 번역될 수 있음. 학령전기에서 아동기로 이행하면서 초등학교에 입학한다든지, 중년기에서 노년기 로 옮겨가면서 은퇴나 상실을 겪 는다든지, 사별이나 이혼 등으로 한부모가족이 되는 경우처럼 생활 이나 삶의 국면이 이전과 달라지 는 변환과정을 의미함

1 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29 기출회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준거틀을 제 공한다. •태아기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발달과업을 제시 한다. •전
21회 기출
잠깐!

•생활전이(life transition)에 따른 안정성과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특정 발달단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발달요인을 설명해준다.

•발달을 구성하는 다양한 신체, 심리, 사회적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이전 발달단계의 결과가 다음 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고, 각 단

계의 성공과 실패를 설명할 수 있다.

•발달의 개인차를 파악할 수 있다.

(3) 인간발달의 이해가 사회복지실천에 기여하는 점

•생애주기를 순서대로 정리할 수 있게 해준다.

•각 발달단계에서 개인이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해준다.

•각 발달단계에서 그 단계의 발달에 기여하는 요소들을 제시해준다.

•각 발달단계에서 발달내용을 구성하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들과 그 요소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출생부터 사망에 이를 때까지 변화하거나 지속되는 과정을 제시해준다.

•이전 단계의 결과가 각 발달단계의 성공이나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 준다.

•특정한 발달단계에서 발달과업을 성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4)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

•전 생애를 통해 일어나는 변화와 특정 단계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변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양한 연령층의 클라이언트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인간의 사회적 기능과 적응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개인 의 적응과 부적응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는 데 유용하다.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개인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인을 이해 할 수 있다.

•개인의 적응과 부적응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틀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의 발달과업과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준거틀을 제공한다.

30 사회복지사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꼭!

2. 성격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성격이론에 기초하여 인간의 성격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실천에 중요한

지식 기반이 된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정신역동이

론, 행동주의이론, 인지이론, 인본주의이론 등은 모두 인간의 행동과 성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이론들이라고 하겠다. 각각의 이론들과 사회복지실

천의 연관성은 각 이론 파트에서 설명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성격의 정의, 특 성, 기능에 대해서만 간단히 정리하도록 하겠다.

(1) 성격의 정의 •생리적 욕구나 환경적 자극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개인의 사고, 감정, 행 동의 결정요인으로 간주되는 지속적이고 역동적인 통합적 정신기제이다.

•간단히 말해 성격은 개인의 독특한 성질을 뜻한다.

(2) 성격의 특성

•개인과 타인을 구분지어주는 개인적 속성이다. 동일한 상황에 처해도 성격

차이에 따라 사람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

•상황이 바뀌고 시간이 지나도 성격은 비교적 일관되고 안정된 특성을 보 인다.

•성격은 구성요소별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이고 통합적이며 조직적 으로 기능한다.

•성격은 인간의 내적 속성이다.

•성격은 정신·신체적 체계들의 통합과정이다.

•개인마다 고유한 성격을 가진다.

•성격은 역동적이다.

(3) 성격의 기능

•개인이 통합적이고 조직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해준다.

•인간관계를 형성·유지하거나 사회생활을 도모하고 환경적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준다.

•각 개인을 독특한 존재로 규정해 줌으로써 다른 사람과 구별지어준다.

•실제로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하는 인간 본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준다.

1 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31

빈출 키워드

장의 대표기출

keyword 인간발달

001

<기출회독> 3회독 시스템으로

합격을 완성하세요.

sub keywords 인간발달의 개념, 인간발달의 특성, 인간발달의 전제, 인간발달의 원리, 발달단계

focus

인간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변화의 양상과 과정을 말한다. 양적ㆍ질적, 상승ㆍ하강, 유전ㆍ환경, 분화ㆍ통합을 모두 포함하고, 신체적ㆍ사회적ㆍ심리적 차원을 포괄한다는 점 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발달의 개인차, 최적의 시기 존재, 예측 가능성 등의 특징도 기억해두어 야 한다.

21-01-01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영아기에서 노년기까지 시간 흐름의 과정이다.

②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이 있어 예측이 가능하다.

③ 생애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되는 환경적, 유전적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④ 각 발달단계별 인간행동의 특성이 있다.

⑤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다.

정답률 확인

답 ①

① 인간발달은 태내 수정 또는 출생에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신체적ㆍ인지적ㆍ정서적ㆍ사회적 측면 등 전인적인 측

면에서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 양상과 과정을 말한다.

연관 기출

32 사회복지사1급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3% ③ 14% ④ 6% ⑤ 3% 기출번호 발문 20-01-01 인간발달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01-03 동갑 친구들 A~C의 대화에서 알 수 있는 인간발달의 원리는? 19-01-02 인간발달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01-01 인간발달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01-03 인간발달의 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64% ②

이장의 대표기출

keyword 인간발달이론

빈출 키워드 002

<기출회독> 3회독 시스템으로

합격을 완성하세요.

sub keywords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 focus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 등에 관한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즉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인간발달이론을 왜 살펴봐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면 된다. 이후 배우게 될 각 학자별 이론에 관한 문제에서도 이와 관련한 내용이 등장하기도 한다.

21-01-03

인간발달이론과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다양한 연령층의 클라이언트와 일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② 발달단계별 욕구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③ 발달단계별 발달과제는 문제해결의 목표와 방법 설정에 유용하다.

④ 발달단계별 발달 저해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⑤ 인간발달이론은 문제 사정단계에서만 유용하다.

답 ⑤

⑤ 인간발달이론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파악하고 분석함에 있어 준거틀이 되기도 하며,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

기도 하며, 개입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행동과 변화과정을 이해하는 기반이 되기도 한다.

연관 기출

1 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33
정답률
기출번호 발문 19-01-01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은 것은? 17-01-02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확인 ① 1% ② 1% ③ 1% ④ 2% ⑤ 95%
유용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96%

(제21회

78.3%

(제21회

시험 기준) 출제율
가채점 기준) 합격률 검색  강의는 아임패스로
기출 580문항 완벽분석, 26개 핵심키워드로 압축 ➊ 기출분석을 통한 이론요약 ➋ 다양한 유형의 기출문제 ➌ 정답을 찾아내는 훈련퀴즈 3단계 학습과정 제시

나눔의집과 함께 아임패스에서!

22회 사회복지사1급 합격, 혼자 공부하지 마세요.

나눔의집에서 출간하는 모든 수험서에는 강의가 함께합니다.

아임패스에서 수강권을 등록하시고 365일 동안 무료로 수강하세요.

2023년 4월 출간 강의로 쌓는 기본개념

8권의 기본개념서를 통해

합격의 초석 쌓기

2023년 8월 출간

강의로 복습하는 기출회독

‘이론요약 → 기출문제 → 훈련퀴즈’

기출 키워드별 3단계 반복훈련

2023년 10월 출간

강의로 완성하는 FINAL 모의고사

합격을 향한 마지막 점검

모의고사 3회분 수록

강의 홈페이지 [아임패스] impass.co.kr

검색

강의로 잡는 통합기출문제집

1권 I 장별 기출문제집

2권 I 회차별 기출문제집

강의로 풀이하는 합격예상문제집

아는 개념을 확인하고 응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 수록

독자만족센터

대표전화 1688-4604

홈페이지 www.impass.co.kr

카카오톡 채널 나눔의집

값 21,500원

14330

펴낸날 2023년 4월 15일 – 펴낸곳 도서출판 나눔의집 – 편저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 펴낸이 박정희

주소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9길 68, 1707호(가산동, 대륭포스트타워 5차)

등록번호 제320000015-355호 – 등록일자 1998년 7월 30일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이 책에 실린 모든 글과 사진, 일러스트를 포함한 디자인 및 편집형태, 배포에 대한

권리는 도서출판 나눔의집에 있으므로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 배포할 수 없습니다.

9 788958 104681

ISBN 978-89-5810-468-1

ISBN 978-89-5810-467-4(세트)

나눔의집 수험서는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1회~21회의 모든 기출문제 영역별 580문항, 총

실전에 더 강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4,640문항을 분석한 278개 핵심 키워드 및 내용을 바탕 으로 다양한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약점을 보강하여
강의는 아임패스로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