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풀이 101강 무료제공
예상문제
문제풀이 101강 무료제공
예상문제
96.5%
(제23회 시험 기준) 출제율
82.7% (제23회 가채점 기준) 합격률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SINCE 2002 23번째 개선
아임패스와 함께하는 4단계 합격전략
나눔의집은 ‘진심’을 다해 오직 사회복지사1급 시험만을 연구한다.
나눔의집의 온라인 강의 사이트인 아임패스를 통해 단계별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을 시작해 보자. 아임패스는 강의 제공뿐
만 아니라 문제은행, 학습자료, 보충자료, 과목별 질문 등 사회복지사1급 시험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강의로 쌓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에서 명확하게 답을 찾기 위해서는 기본개념
이 탄탄하게 잡혀있어야 한다. 기본개념 학습은 말 그대로 1급
시험에 출제되는 총 8영역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정리하는 학습
이다. 즉, 1급 시험을 위해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첫 단계로서
집을 짓기 위해 바닥을 단단하게 다지는 과정이다. 그만큼 학습 해야 할 양도 많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지만 바닥이 단단 하지 않으면 그 위에 아무리 멋진 집을 쌓아도 무너질 수 있듯이
기본개념 학습은 반드시 탄탄하게 학습해야 한다.
핵심을 바로 체크하는 개념노트
개념노트 왼쪽 페이지에는 장별로 학습한 기본개념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는 빈칸 넣기 퀴즈가 수록되어 있고, 오른쪽 페이지 에는 학습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노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장별로 표시된 학습 중요도와 기출포인트
를 통해 핵심요약집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QR코드를 통해 기출회독과도 연 계하여 학습할 수 있다.
강의로 복습하는 기출회독
기출문제는 결국 또다시 기출문제가 된다. 따라서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반복하여 풀어보는 것은 합격을 위한 가장 기 본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이다. 기출회독은 1회 시험부터 가장 최근 시험까지 모든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가장 출제가 많이 된 총 250개의 기출 키워드를 ‘1단계 이론요약 정리’, ‘2단계 기출문제 풀이’, ‘3단계 정답훈련 퀴즈 풀이’라는 3단계의 복습 시스템으로
기출문제 번호 보는 법
23 01 25 ‘기출회차-영역-문제번호’의 순으로 기출문제의 번호 표기를 제시하여 어느 책에서든 쉽게 해당 문제를 찾아 볼 수 있도록 통일하였다.
기출회차 영역 문제번호
사회복지사1급 핵심요약집
반드시 출제되는 핵심내용을 ‘데이터 기반 학습전략’으로 공부한다.
최근 5개년 기출데이터 분석을 통해 8개 영역의 각 장을 목표 점수별로 구분(130점 목표 빨간색, 160점 목표 파란색, 200점 목표 초록색)하여 효율적이고 전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QR코드를 통해 기출회독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
으며, 아임패스의 다양한 문제와 퀴즈도 풀 수 있다.
강의로 잡는
장별 기출문제집
최근 5개년 기출문제를 기본개념
서에서 제시된 장별로 구성하였 다. 기출문제를 장별 내용에 따라
구성하였기 때문에 문제를 풀다
가 모르는 개념이 나오면 기본개
념서에서 바로 해당 장의 내용을 찾아서 보다 쉽게 다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문제에 해당 기
출회독 키워드를 표
시하였기에 기출회
독과도 연계하여 학
습할 수 있다.
강의로 풀이하는
합격예상문제집
최근 시험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는 비중이 점점 높
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유형의 응용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 최신 기출문제의 내용과 유
형을 분석하여 출제한 2,000개
의 예상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어
떠한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어도 자신 있
게 해결할 수 있는
훈련을 한다.
강의로
완성하는 FINAL 모의고사
길고 길었던 학습을 마무리하면
서 자신의 실력을 최종 점검해 볼 수 있다. 모의고사는 총 3회분으
로 구성되어 있는데, 난이도를 구
분하여 1회가 가장 쉽고 3회가 가
장 어렵다. 실제 시험지 구성과 동
일하게 제작되었기 때문에 실전 처럼 시간을 정해놓고 함께 들어 있는 답안카드에 직
접 마킹을 해보면서
자신의 실력을 최종
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영역|인간행동과 사회환경◦17
1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18
2장 정신역동이론•23
3장 인지행동이론•31
4장 인본주의이론•39
5장 사회체계이론•44
6장 가족체계, 집단체계•49
7장 조직체계, 지역사회체계, 문화체계•52
8장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57
9장 아동기•65
10장 청소년기•70
11장 청년기•75
12장 장년기•79
13장 노년기•85
2영역|사회복지조사론◦91
1장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92
2장 조사의 유형과 절차•98
3장 조사문제와 가설•104
4장 조사설계와 인과관계•110
5장 조사설계의 유형•115
6장 단일사례설계•120
7장 측정•123
8장 척도•130
9장 표집(표본추출)•135
10장 자료수집방법Ⅰ: 서베이(설문조사)•143
11장 자료수집방법Ⅱ: 관찰과 내용분석법•148
12장 욕구조사와 평가조사•153
13장 질적 연구방법론•157
14장 조사계획서 및 조사보고서•163
3영역|사회복지실천론◦165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166
2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171
3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177
4장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182
5장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관점 및 이론•186
6장 사례관리•193
7장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199
8장 면접의 방법과 기술•205
9장 접수 및 자료수집 과정•211
10장 사정과정•216
11장 계획수립과정•221
12장 개입과정•226
13장 종결 및 평가•231
4영역|사회복지실천기술론◦237
1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성•238
2장 정신역동모델•242
3장 심리사회모델•246
4장 인지행동모델•251
5장 과제중심모델•257
6장 기타 실천모델•261
7장 가족에 대한 이해•267
8장 가족문제 사정•271
9장 가족 대상 실천기법•276
10장 집단 대상 실천기법•285
11장 집단발달단계•292
12장 사회복지실천 기록•298
13장 사회복지실천 평가•302
5영역|지역사회복지론◦307
1장 지역사회의 개념과 유형•308
2장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313
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319
4장 지역사회복지의 주요 이론•325
5장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이해•331
6장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337
7장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343
8장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 Ⅰ•347
9장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 Ⅱ•352
10장 지역사회보장계획•357
11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 Ⅰ•363
12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 Ⅱ•367
13장 지역사회복지운동•373
6영역|사회복지정책론◦379
1장 사회복지정책 개요•380
2장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전개•387
3장 사회복지정책 관련 이론과 사상•394
4장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402
5장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408
6장 사회보장론 일반•417
7장 공적 연금의 이해•424
8장 국민건강보장제도의 이해•430
9장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이해•435
10장 고용보험제도의 이해•439
11장 빈곤과 공공부조제도•442
7영역|사회복지행정론◦451
1장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452
2장 사회복지행정의 역사•457
3장 사회복지행정의 이론적 배경•462
4장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와 조직화•469
5장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475
6장 사회복지조직의 기획과 의사결정•480
7장 리더십과 조직문화•486
8장 인적자원관리•492
9장 재정관리 / 재무관리•498
10장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504
11장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과 평가•509
12장 홍보와 마케팅•513
13장 환경관리와 정보관리•518
8영역|사회복지법제론◦523
1장 사회복지법의 개관•524
2장 사회복지법의 발달사•530
3장 사회복지의 권리성•534
4장 국제법과 사회복지•536
5장 사회보장기본법•538
6장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545
7장 사회복지사업법•549
8장 공공부조법•558
9장 사회보험법•569
10장 사회서비스법•580
11장 판례•598
23회 필기시험의 합격률은 지난 22회 합격률 29.7%보다 10%가량 상승한 39.4%로 나타났다. 2교시 4영역 사회복지실천기술 론의 난이도가 높게 출제되었으나, 많은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1교시 2영역 사회복지조사론과 3교시 8영역 사회복지법제론이 평이하게 출제되어 전반적인 점수가 상승하였고, 이로 인해 합격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제23회 사회복지사1급 응시현황 및 결과 ※이 내용은 필기시험 결과이다.
사회복지사1급
시험방법
2교시 사회복지실천(75문항)
3교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75문항)
휴식시간 10:20 ~ 10:40(20분)
•사회복지실천론(25문항)
•사회복지실천기술론(25문항)
•지역사회복지론(25문항) 10:40 10:50 ~ 12:05 (75분)
휴식시간 12:05 ~ 12:25(20분)
•사회복지정책론(25문항)
•사회복지행정론(25문항)
•사회복지법제론(25문항)
※ 이는 일반수험자 기준이며, 장애인수험자 등 응시편의 제공 대상자는 1.5의 시간을 연장함
※ 시험관련 법령 등을 적용하여 정답을 구하여야 하는 문제는 시험 시행일 현재 시행 중인 법령을 기준으로 출제함
합격(예정)자 결정기준(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 •시험의 합격결정에 있어서는 매 과목 4할 이상, 전 과목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합격예정자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12:25 12:35 ~ 13:50 (75분)
※ 시험관련 정보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사회복지사1급 홈페이지(http://www.q-net.or.kr/site/welfare)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홈페이지(http://www.welfare.n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1영역
23회 기출 분석
대부분 예년의 출제분포와 문제유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특히, 5장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에 서 3문제나 출제되었으며, 2장 프로이트 이론의 방어기제 중 내면화에 관한 내용이 새롭게 등장한 점, 3장 콜버그의 도덕성 발 달단계 문제가 상세지문으로 구성되어 단독문제로 출제된 점, 발달단계에 관한 문제에서 학자별 발달단계 연결은 물론 신체 적ㆍ인지적ㆍ정서적 특성을 모두 포괄하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24회 합격 대책
2영역
사회복지조사론
23회 기출 분석 각 장별 출제분포에 있어서 예년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며, 난이도도 높지 않게 출제되었다. 사례제시형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 으며, 측정수준이나 가설검증에 관한 문제에서 통계적 지식을 요구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있다. 예년의 시험과 유사 하게 7장 측정, 9장 표집에 관한 문제의 출제비중이 높았으며,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에 관한 문제가 오랜만에 등장하였다. 그동안 출제비중이 높았던 13장 질적 연구방법론에서는 1문제만
3영역
23회 기출 분석
전체적으로 예년과 유사한 기출분포와 반복적으로 등장했던 내용이 무난한 수준으로 출제되었다. 2장의 인권에 관한 문제,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서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의 하위영역을 묻는 문제가 2년 연속 출제되었으며, 5장의 콤튼과 갤러 웨이 6체계를 적용한 사례분석 문제가 나왔다는 점, 12장에서 간접적 개입방법의 환경조정에 관한 예제문제가 나왔다는 점 등이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24회 합격 대책
정리해야 한다. 앞 서 언급한 것처럼 비교적 난이도가
4영역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3회 기출 분석
꾸준히 출제비중이 높았던 가족실천기법(가족치료모델), 집단실천과 집단발달,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모델에서 역시나 높은 기 출분포를 보였다. 특히, 가족치료모델이 나오는 9장 가족실천기법에서는 6문제나 출제되었다. 23회 시험은 예년의 시험에 비해 난이도가 높았는데, 이는 그동안 주로 선택지로 출제됐던 클라이언트중심모델과 동기강화모델이 단독문제로 출제된 점, 복합적 사고와 판단을 요구하는 조합형의 문제가 많이 출제된 점, 현장중심의 사례제시형 문제가 다수 출제된 점이 그 원인이라고 판단 된다.
24회 합격 대책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결코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되는 영역이다. 6개 이상의 실천모델들과 다양한 가족치료모델, 그리고 집단 의 유형분류ㆍ역동이해, 치료효과ㆍ발달단계 등 학습내용이 방대하며, 모델들 간의 비교 및 심화문제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 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단순 암기를 넘어 개념에 대한 충분한 이해력, 방대한 내용에
5영역
지역사회복지론
1
23회 기출 분석
전반적으로 기출분포와 문제유형에서 예년과 크게 다를 바 없이 주된 내용을 무난히 반영한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특이한 점은 5장에서 그동안 잘 출제되지 않았던 포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이 단독문제로 2년 연속 출제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10장의 지 역사회보장계획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문제, 12장의 지역사회복지관의 역할과 사업내용에 관한 문제도 지속적으로 출제 되고 있다.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론, 지역사회복지사의 역할과
6영역
6
23회 기출 분석
지엽적인 문제들과 새로운 유형의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었다. 특히, 마이클 센델의 정의, 최저임금제의 세부 내용, 연대의 특징, 중상주의의 흐름 등의 문제는 기존에 교재에서 자주 다뤄지던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이 문제를 접하고 당황스러 웠을 것이다. 한동안 출제되지 않았던 2장의 서구 복지국가의 전개과정에 관한 문제가 오랜만에 등장하였으며, 출제비중이 매우 높았던 11장 빈곤과 공공부조제도에서는 1문제만 출제되었다.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정책론은 출 제비중이 특정 영역에 몰아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출제비중이 높은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5장),
23회 기출 분석
예년에 비해 난이도는 높지 않았지만, 출제분포에 있어서 그동안 출제빈도가 높았던 중심부 내용들보다는 다소 주변부의 내용에 서 문제가 출제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시험에서 5문제까지도 출제되었던 3장 관리이론에서는 예년과 달리 2문제만 출제되었 으며, 전반적으로 다소 지엽적인 내용의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또한 최근 12장 마케팅 영역에서 꾸준히 2문제씩 출제되고 있는 데, 이는 현대 사회복지에서 비영리조직의 생존전략이 중요하다는
23회 기출 분석
비교적 평이한 수준으로 출제되었다. 5장 사회보장기본법에 관한 문제가 5문제나 출제되었으며, 최근 시험에서 격년을 주기로
출제되는 패턴을 보였던 11장 판례에 관한 문제(13회, 15회, 17회, 19회, 21회 출제)는 23회 시험에서 출제되지 않았다. 출제비중이
높았던 기타 사회서비스법에서는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1문제만 출제되었다.
24회 합격 대책
최근 사회복지법제론은 전반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뿐만 아니라 법률의 세부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영역(용어의 정의, 기본이념, 급여종류, 실태조사, 위원회 등)은 물론,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언급 되는 세부적인 내용도 반드시
기본문제부터 응용문제까지!
2,000개의 다양한 문제로 안정적인 합격에 도전!
<강의로 풀이하는 합격예상문제집>은 120점을 넘어 안정적으로 시험에
합격할 수 있도록 총 2,000문항을 선별해 담았습니다. 기본개념 확인 문 제부터 출제 가능성이 높은 핵심문제, 그리고 실력을 완성하는 고난이도 문제까지 한 권으로 완벽하게 대비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문제 유형을 접 하며 실전 감각을 키우고, 시험장에서 어떤 문제를 만나도
1
2
실전 대응력 극대화
변형된 응용문제가 출제되
더라도 문제 안에 담겨진
기본적인 개념지식은 흔들
리지 않도록 실전 대응력을 강화!
안정권 합격을 위한 고득점 달성
기본개념 학습, 기출문제 학습을 통해 다져온 지식에
더하여 다양한 유형의 고난
이도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안정적인 합격선에 도달!
문제해결 사고력 강화
3 한 문제를 풀더라도 단순
정답 찾기가 아닌 ‘왜 이 답
이 맞는지’를 이해하고 다
른 유형에 응용이 가능하도 록 훈련!
1장
기출 STYLE
인간발달 원리에 대해 묻는 유형이다. 인간발달의 전제와 원리에 대
해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기출 STYLE
인간발달의 특성 및 발달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성장, 성숙, 학습, 사회화 등 발달의 유사한 개념을 이해 하고, 인간발달단계에 따른 주요 발달과업과 인간발달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인간발달의 특성 또 는 원리에 관한 문제,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 발달의 유사개념들에 관한 문제가 주로 출제되었다.
해답과 오답노트 2쪽
01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생애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진다.
② 이전 단계의 발달을 기반으로 한다.
③ 다음 단계의 발달을 예측할 수 있다.
④ 유전적 요인에 한정되어 진행된다.
⑤ 발달단계마다 특징적인 변화가 있다.
기출 STYLE
인간발달 원리에 대해 묻는 유형이다. 인간발달의 전제와 원리에 대 해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성장, 성숙, 학습, 사회화 등 발달과 구분되는 개념들을 확인하는 문 제가 출제되곤 한다.
02 인간발달
로 옳은 것은?
① 신체적 발달을 의미하는 성장은 생애 전 과정 을 통해 일어난다.
② 사춘기에 일어나는 2차 성징은 유전적 요인 에 의해 진행된다.
③ 발달은 하강적 변화를 제외한 상승적 변화에 한정되어 나타난다.
④ 사회구성원으로 동화되어 가는 과정인 학습 은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⑤ 발달과 성숙은 사회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 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기출 STYLE
성장, 성숙, 학습, 사회화 등 발달과 구분되는 개념들을 확인하는 문 제가 출제되곤 한다.
03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인간발달이론에 대
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회복지실천의 개입이나 원조 방향을 제시
해줄 수 있다.
②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편견과 주관적 추론을
배제하고, 전문적 판단을 돕는다.
③ 사회복지사는 개인차를 제외하고 공통적인 발달과업만을 제시하도록 한다.
④ 인간발달을 구성하는 다양한 신체적ㆍ사회적
요인을 이해할 수 있다.
⑤ 인간의 생활주기를 이해할 수 있는 개념적 틀
을 제공한다.
기출 STYLE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과 필요성을 묻는 유형이 다.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과 함께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인간발달은 이전 단계의 발달에 현재의 경험
이 융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지속성과 변화를 보인다.
② 인간발달을 이해함으로써 생활전이(life transition)에 따른 안정성과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③ 인간발달의 양적 변화는 크기나 질량의 변화 를, 질적 변화는 본질, 구조 또는 조직상의 변 화를 의미한다.
④ 발달은 전 생애를 통해 다양한 영역에 걸쳐
일어나지만 각 발달단계별로 특히 중요한 변 화를 보이는 영역이 있다.
⑤ 인간발달은 기능과 구조가 발달해가는 상승
적 변화만을 포함하며, 하강적 변화는 포함되
지 않는다.
04 다음에서 설명하는 발달의 원리는 무엇
인가?
인간발달은 설계도안과 같은 기본적이고 총체적인
기본형이 있다. 이러한 기본형에서 부분이 발생하
고 부분이 전체를 형성한다. 각 부분은 특정한 단
계에서 지배적이고 결정적인 발달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전 단계의 발달을 토대로 다음 단계의 발
달이 이루어진다.
① 방향성
② 속도의 불규칙성
③ 점성원리
④ 개인차
⑤ 연속성
06 이상행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개인의 부적응행동을 말하는 것으로 심리적
문제는 아니다.
②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③ 사회문화적 규범은 이상행동을 진단하는 기
준이 된다.
④ 진단분류체계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DSM)이 많이 활용된다.
⑤ 최근에는 치료보다 예방을 더욱 강조하는 추 세이기도 하다.
07
인간발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양적 증가를 의미하며, 신체적 부분에 국한된
것이다.
② 신체적ㆍ심리적ㆍ사회적 측면에서 변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상승적 또는 하강적
변화가 있다.
③ 외적인 환경조성이나 연습과는 비교적 무관
하게 내적ㆍ유전적 메커니즘에 출현되는 신
체적ㆍ심리적 변화만을 의미한다.
④
경험, 훈련 또는 연습의 결과로 나타나는 변
화만을 말한다.
⑤
사춘기에 나타나는 2차 성징을 의미하며 환
경적 요인과는 무관하다.
발달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인 성장, 성숙, 학습 등의 개념적 차이를 구분한다.
08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 두 고른 것은?
ㄱ. 인간발달의 속도는 일정하지만, 순서는 일정하 지 않다.
ㄴ. 발달은 체계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예측이
가능하지만, 개인차로 인해 예측이 어려운 점
도 있다.
ㄷ. 인간발달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의미 있는 변화를 나타내는 영역은 발
달단계와 상관없이 동일하다.
ㄹ. 특정 단계의 발달은 이전 단계의 발달에 기반 하여 진행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ㄹ ④ ㄷ, ㄹ
⑤ ㄱ, ㄴ, ㄷ
09 발달과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발달 단계 및 과업은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되 고 있다.
② 과업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으며 가역적인 특
징이 있다.
③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차원이 포함 된다.
④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성취해야 하는 것이다.
⑤ 특정 연령에 대해 사회가 갖는 기대가 반영 된다.
10 다음 각 개념과 설명이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① 기초성: 먼저 발달한 부분을 기초로 다음 발 달이 이루어진다.
② 가역성: 특정 시기의 발달이 잘못되면 그 이
후에 충분히 보상적 자극이나 경험을 제공받
는다고 하더라도 원래의 발달상태로 회복되
지 않는다.
③ 연속적 과정: 발달의 속도는 일정하지 않다.
④ 속도의 불규칙성: 유전과 환경의 영향은 서로
다른 비중으로 영향을 미친다.
⑤ 결정적 시기: 신체 및 심리발달이 가장 용이 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를 말한다.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기여한
바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발달단계별로 발달의 내용을 구성하는 요소들 과 그 요소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ㄴ. 발달의 지체나 문제 상황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ㄷ. 사회복지실천의 사정과 개입에 필요한 기초지
식을 제공해준다.
ㄹ. 발달단계에서 각 단계의 발달에 기여하는 요소
들을 제시해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ㄷ, ㄹ
12 인간발달과 그 유사 개념에 관한 사례의
연결이 옳은 것은?
ㄱ. 운전을 못하는 사람이 운전학원을 다니며 면허 를 취득했다.
ㄴ. 노년기가 되자 노안이 심해지고 소리가 잘 들 리지 않는다.
ㄷ. 사춘기가 되면서 몸무게가 늘어나고 근육이 발 달한다.
① ㄱ: 학습, ㄴ: 발달, ㄷ: 성장
② ㄱ: 학습, ㄴ: 성장, ㄷ: 성숙
③ ㄱ: 학습, ㄴ: 성숙, ㄷ: 발달
④ ㄱ: 사회화, ㄴ: 발달, ㄷ: 성숙
⑤ ㄱ: 사회화, ㄴ: 성숙, ㄷ: 발달
1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발달의 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인간발달은 전 생애 동안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만 일생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가 형성될 필
요가 있으며, 특정 발달과업을 성취하기 가장 적절
한 시기에 해당 발달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기를 놓쳐 결손이 생기면 누적되어 더 심각한 결
손이 되고 다시 돌이킬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ㄱ. 기초성
ㄴ. 보편적 순서와 방향
ㄷ. 불가역성
ㄹ. 점성원리
인간발달의 원리에는 연속성, 기초성, 적기성, 누적성, 불가역성 등이 있다.
14 인간발달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회복지사는 연령별로 정상적인 기능수준과
병리적인 기능수준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② 정상적인 발달단계의 이해를 통하여 클라이
언트의 발달에 대한 기대를 조절해주고 지나
친 염려를 줄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③ 장애를 조기 사정함으로써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④ 생애주기에 따른 지속적인 서비스를 계획하 고 제공할 수 있다.
⑤ 모든 문화권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실천
지식을 제공한다.
15 인간발달의 전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은 자신의 발달에 수동적으로 기여하며,
환경에 지배당한다.
② 인간발달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일어난다.
③
신체적ㆍ인지적ㆍ사회적ㆍ정서적 영역들의
상호작용으로 인간발달이 이루어지므로 전인
적인 인간(whole person)으로 이해해야 한다.
④ 인간행동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관계의 맥락
속에서 이해되고 분석되어야 한다.
⑤
인간발달은 이전 단계의 발달을 기반으로 현
재의 경험이 융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지속성
과 변화를 보인다.
16 인간발달의 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을 신체, 심리, 사회적 요인이 통합되어
있는 전체로서의 인간으로 이해해야 한다.
② 발달은 유전적 요소나 환경적 요소의 영향에
도 불구하고 일정한 속도로 진행된다.
③
인간은 자신의 발달에 능동적으로 기여한다.
④ 발달은 상승적 변화와 하강적 변화를 모두 포
함하는 개념이다.
⑤ 발달영역 간에 서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 친다.
17 인간발달이론의 유용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 간의 상호관련
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② 특정 단계에서의 발달은 이전 단계의 발달과
업 성취와 독립적인 특성을 갖고 있음을 이해 할 수 있다.
③ 일생에 걸쳐 공존하는 안정과 변화에 기여하
는 요인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④ 클라이언트의 양적, 질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준거틀을 제공한다.
⑤ 개인의 적응과 부적응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 공한다.
발달은 보편적인 성장의 과정을 거치지만 개인차가 존재한다.
18 인간발달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환경적 요인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성장과정에 서 환경의 자극 및 학습에 의해 발달과정이 결 정된다고 주장한다.
ㄴ. 발달과정에서 안정성과 변화속성이 공존한다.
ㄷ. 점진적인 변화는 발달의 연속성을 보여주며, 특정 시기의 급격한 변화는 발달의 불연속성을 나타낸다.
ㄹ. 행동주의이론은 유전적 요인을 강조하는 입장 이며, 정신분석이론은 학습과 환경적 요인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① ㄱ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ㄹ ⑤ ㄱ, ㄴ, ㄷ
이 장에서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융의 분석심리이론 등의 특징에 대해 살펴 본다. 최근에는 각 이론에 대한 개별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이론들을 한 문제에서 종합적으로 묻는 문제나 두 가지 이론 을 비교하는 문제 유형이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역동이론에 속하는 각 이론들의 주요 개념, 인간관, 발달단계 구분,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 등 각 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서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01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 대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형학적 모형으로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② 사회화 과정에 따라 발달단계를 구분하여 심
리성적 발달단계를 제시하였다.
③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무의식
적 기제를 자기방어라고 보았다.
④ 무의식은 알 수 없기 때문에 의식을 해석하는
것에 치료의 초점을 두었다.
⑤ 인간의 행동은 무의식의 본능을 따르지만 결
정적 요인은 이성으로 보았다.
기출 STYLE
프로이트 이론의 주요 특징 및 주요 개념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문제이다. 심리성적 발달단계나 방어기제 등은 단독으로도 출제된다.
02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
계에서 획득된 심리사회적 능력과 주요 관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초기 아동기(18개월~3세): 의지 - 부모
② 학령전기(3~6세): 목적의식 - 가족
③ 학령기(6~12세): 유능성 - 학교
④ 성인초기(20~24세): 사랑 - 우정, 애정의 대상
⑤ 성인기(24~65세): 자아통합 - 가족, 직장
기출 STYLE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이 갖는 주요 특징도 출제율이 높지만 각 단계 별 심리사회적 위기는 특히 꼼꼼히 암기해두어야 한다.
96.5%
(제23회 시험 기준) 출제율
82.7% (제23회 가채점 기준) 합격률
제24회 대비 1단계: 기본개념 과정
대표전화 1688-4604 – 홈페이지 www.impas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