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제21회 대비 기본학습자료 : 회차별기출문제집

Page 1

사회복지사1급 시험은 출제 유형, 범위, 난이도 등에 변동이 많은 시험입니다. 그렇기에 최근 기출문제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회차별 기출문제집』에는 14회부터 20회까지 총 7회분의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최근 경향뿐만 아니라 더 많은 기출문제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21회 대비

“최근 기출문제만 보면 될까요?”

나눔의집 사회복지사1급

검색

회차별 기출문제집

사회복지사1급 나눔의집

2023년 21회 대비 최신판

나눔의집

SINCE 2002 20번째 개선

사회복지사1급 회차별 기출문제집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QR코드로 바로 보는

기출강의 56강

독자만족센터 대표전화 1688-4604 홈페이지 www.impass.co.kr 카카오톡 채널 나눔의집

14~20회 7개년 기출문제 수록!

펴낸날 2022년 4월 15일 – 펴낸곳 도서출판 나눔의집 – 편저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 펴낸이 박정희 주소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9길 68, 1707호(가산동, 대륭포스트타워 5차) 등록번호 제320000015-355호 – 등록일자 1998년 7월 30일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이 책에 실린 모든 글과 사진, 일러스트를 포함한 디자인 및 편집형태, 배포에 대한 권리는 도서출판 나눔의집에 있으므로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 배포할 수 없습니다.

나눔의집 수험서는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1회~20회의 모든 기출문제 영역별 555문항, 총 4,440문항을 분석한 278개 핵심 키워드 및 내용을 바탕 으로 다양한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약점을 보강하여 실전에 더 강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23대비_회차별기출문제집_비매품_표지.indd 1

기출문제는 결국 또다시 기출문제가 된다!

꼭! 시험장에 들고 가세요!

QR코드로 기출강의를 바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2022. 3. 23. 오후 1:23


사회복지사1급의 모든 것 4,440문항 모든 기출을 분석해 찾은 데이터 기반 학습법 20번의 개정으로 최적화된 이론정리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국내 최초 사회복지사1급 데이터 기반 학습법!

출제율

100%

10개년 기출문제 2,040문항을 분석하여 학습량을 최대 50% 줄여드립니다.

핵심특강 40강

1

포인트만 콕콕 핵심에 핵심을!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출제율

99.5%

• 200점 만점에서 120점만 넘기면 합격인 사회복지사1급 시험! • 무조건 오래 앉아 있는 것이 정답이 아닙니다. •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기를 위해 반드시 시험에 나오는 핵심 내용을 40강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핵 심 내용과 기출 유형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합격비책 50강

2

최근 5년 평균 145문항 출제, 72.7% 출제비중 기본학습자료

문제집 시리즈 • 최근 5개년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평균 2문항 이상 최대 6문항까지 출제된 50개의 장을 선별하여 학습

회차별 기출문제집

합격예상문제집

할 수 있습니다. • 5문항 이상, 4문항 이상, 3문항 이상, 2문항 이상의 카테고리를 구성하여 무조건 출제되는 내용을 객관 적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본이론, 합격예상문제 강의를 한 번에 수강할 수 있습니다.

별책부록

기출족보: 면과락 필수 키워드 80

합 합격노트

파이널 모의고사(3회분)

185 별책부록

84.5% 출제비중

중요키워드 185강

3

최근 10년 평균 169문항 출제, 84.5% 출제비중

사회복지법제론 빈출 법률 9 제20회 기출문제집 자가진단 모의고사(2회분)

• 최근 10개년 기출문제를 심층 분석하여 10년간 5문항에서 30문항까지 출제된 중요키워드 185개를 선 별하여 학습할 수 있습니다. • 10년간 출제된 문항 수가 많은 순서로 카테고리를 구성하여 출제빈도가 높은 중요한 키워드를 우선적 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나눔의집 수험서는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1회~20회의 모든 기출문제 영역별 555문항, 총 4,440문항을 분석한 278개 핵심 키워드 및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약점을 보강하여 실전에 더 강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23대비_회차별기출문제집_비매품_표지.indd 2

2022. 3. 23. 오후 1:23


2023년 21회 대비 최신판

나눔의집

SINCE 2002 20번째 개선

사회복지사1급 회차별 기출문제집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QR코드로 바로 보는

기출강의 56강


CONTENTS

제20회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결과 … 3 합격을 잡는 학습방법 … 12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안내문 … 14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응시자격 … 15 책 소개 … 16

기출문제

2016년 제14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17 2017년 제15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59 2018년 제16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103 2019년 제17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151 2020년 제18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197 2020년 제19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241 2021년 제20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291 해답과 오답노트

2016년 제14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338 2017년 제15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365 2018년 제16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389 2019년 제17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415 2020년 제18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441 2020년 제19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467 2021년 제20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 494


제20회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결과

20회 시험의 합격률은 36.62%로 지난 19회 시험의 합격률이 60.92%였던 것과는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낮아졌다. 하지만, 그 전의 합격률이 33~34% 선에서 유지되는 양상이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시험의 난이도가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봐도 될 것이다. 우리 사회복지사1급 시험은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시험 난이도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는데 21회 시험을 준비 하는 수험생들은 시험의 난이도에 흔들리지 않고 합격점을 획득할 수 있도록 대비하기 바란다.

접수 인원

31,018명

응시 인원

24,248명

합격자 수

8,882명

합격률

36.62%

제20회 사회복지사1급

결시 인원

6,782명

응시율

78.17%

응시현황 및 결과

1회~20회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합격률 추이

합격률

18

19

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은 예년의 시험 출제범위와 유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평이한 수준의 문제들이 주를 이루었다. 지 속적으로 높은 출제비중을 보이던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적 이론에 관한 문제는 20회 시험에서도 여전히 높은 출제비중 을 보였다. 학자별 이론과 관련해서는 한동안 출제되지 않았던 고전적 조건형성에 관한 문제가 다시 등장하였고, 생애주 기와 관련된 영역에서는 태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모든 내용이 두루 출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21회 합격 대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은 전 영역에서 고르게 출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매년 유사한 문제 유형을 보이고 있다. 따라 서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히 숙지하고 기존에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들을 분석한다면 충분히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발달이론과 관련해서는 각 학자별 이론의 주요 개념과 특징, 인간관, 한계점 등을 이론별로 구분하여 명확하 게 정리해야 한다. 생애주기 영역과 관련해서는 연령별 주기에 따른 발달단계 특징과 발달과업을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접목시켜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3

인간발달, 발달과 유사개념

2

5

프로이트 이론, 에릭슨 이론, 아들러 이론, 융 이론

3

4

피아제 이론, 파블로프 이론, 스키너 이론, 콜버그 이론

4

2

로저스 이론, 매슬로우 이론

5

4

사회체계이론, 생태학적 이론

6

0

7

1

문화체계

8

2

태아기의 발달, 유아기의 발달

9

0

10

2

청소년기의 발달

11

1

청년기의 발달

12

1

장년기의 발달

13

0


사회복지조사론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사회복지조사론은 각 장별 출제분포에 있어서 예년과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다만, 문제를 구성하는 지문의 내용을 까다 롭게 출제하거나 자주 출제되지 않던 내용이 등장하는 등 난이도를 높인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었다. 특히, 최근 시험에서 는 과학철학 및 패러다임이나 통계적 가설검증 같은 문제에서 난이도가 높게 출제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출제분 포는 예년의 시험과 유사하게 측정, 표집 등에 관한 출제비중이 높았으며, 매년 빠짐없이 출제되던 내용분석법에 관한 문 제는 출제되지 않았다. 21회 합격 대책 사회복지조사론은 매년 출제되는 영역과 내용이 크게 변하지 않는 안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다만, 최근 시험에서는 새로 운 문제 유형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단순히 설명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사례를 제시하여 이에 해당하는 내용과 특성을 고르는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개념을 꼼꼼하게 정리한 후 기출문제와 다양한 유형의 응용문제를 많이 접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사례가 접목된 문제들을 많이 접해야 하고, 서로 상반되거나 비슷한 주요 개념들은 비교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3

과학철학 및 패러다임, 사회복지조사

2

3

조사의 유형, 분석단위

3

2

가설, 변수

4

1

조사설계의 내적 타당도

5

2

조사설계의 유형

6

0

7

5

측정수준,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8

1

척도화의 유형

9

3

표집방법, 표본의 크기와 표본오차

10

2

서베이 방법의 특징, 서베이의 유형

11

0

12

1

평가조사

13

2

질적 연구의 유형

14

0


사회복지실천론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수험생들이 보통 실천론을 주요 득점 영역으로 생각하는데 이번 시험에서는 특히나 쉽게 출제되었다. 인권의 불가분성· 불가양성에 관한 문제가 처음 출제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기존의 기출영역에서 출제되었으며, 문제의 난이도도 까다롭 지 않아 점수를 획득하는 데에 무난했을 것이다.

21회 합격 대책 20회 시험에서는 출제되지 않았지만, 전문직의 속성, 사회복지실천의 이념적 배경, 가치갈등, 윤리강령의 규정 내용, 임 파워먼트모델의 특징 및 단계별 과업, 다문화실천, 4체계모델 및 6체계모델,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및 원칙, 과정 등의 내 용도 놓치지 말고 대비해두어야 한다.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0

2

3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윤리원칙 우선순위, 윤리강령의 기능, 인권의 불가분성

3

3

인보관운동의 특징, 기능주의학파의 특징, 우애방문원 활동의 실천 이념

4

1

1차 현장에 해당하는 시설

5

4

강점관점의 특징, 통합적 접근 방법의 특징, 체계의 작용 과정 순서, 펄만의 4P

6

3

비스텍의 관계 원칙, 전문적 관계의 특성, 전문적 관계형성의 요소

7

3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특징, 경청 기술의 특징, 질문 유형

8

2

접수단계의 주요 과업, 자료수집의 방법 및 영역

9

1

가계도

10

1

계획수립단계에서의 과업

11

1

직접적 개입 활동

12

1

종결단계에서의 과업

13

2

사례관리의 목적, 사례관리자의 역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인지행동모델에서 실용성에 관한 논박기법이 처음으로 출제되기는 했지만, 그 외에는 대체로 꾸준히 출제되었던 내용들 이다. 다만, 모델들에 관한 몇몇 문제에서 기존의 기출문제에서와는 다른 다소 생소한 표현들이 등장하면서 정답률이 흔 들리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21회 합격 대책 기출문제의 오답노트로 문장을 암기하면서 공부하는 방식은 한계가 있다. 기본이론을 통해 각 모델들의 주요 전제, 특징, 개념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파악해두어야 조금 다른 표현으로 출제되어도 답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실천기술론의 특성상 어떤 내용이든 사례와 연결하여 출제될 수 있으므로 단순암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다양한 문제를 통해 응용하 고 사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2

2

0

3

1

심리사회모델의 개입기법

4

3

인지행동모델의 개입방법, 실용성에 관한 논박기법, 사회기술훈련에서 사용되는 행동주의모델기법

5

1

과제의 특징

6

2

사례에 대한 위기개입, 여러 실천모델에 관한 종합 문제

7

1

가족에 관한 체계론적 관점

8

1

다양한 가족사정도구에 관한 종합 문제

9

6

자아분화의 개념(보웬의 다세대모델), 구조적 모델에 따른 개입,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전략 적 가족모델의 특징, 해결중심모델의 특징, 해결중심모델에서의 질문 기법

10

3

지지집단의 목적, 집단 응집력의 특징, 집단목표의 특징

11

3

집단 초기단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 소시오그램의 특징, 저항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대응

12

1

요약기록의 특징

13

1

사례에 나타난 단일사례설계의 유형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기반, 사례에 대한 초기 접근


지역사회복지론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지역사회에 관한 이론이나 주요 실천모델부터 실천모델, 실천과정, 실천기술, 추진체계 등 대부분의 문제가 기존의 빈출 키워드에서 출제되었다. 특별히 새롭게 출제된 내용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이해하고 정확히 암기하지 않으면 답 을 특정하기 어려운 몇몇 문제들이 응시생들을 곤란하게 했을 듯하다.

21회 합격 대책 지역사회의 개념에 관한 이론이나 실천모델뿐만 아니라, 실천 단계별 주요 사항들, 개입기술별 특징, 지역사회보장계획 및 협의체에 관한 사항들을 비롯해 사회복지협의회 및 사회복지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적 경제 주체 등 추진체계 의 성격과 사업내용들, 최근 출제율이 높은 지역사회복지운동 및 주민참여까지 꼼꼼히 살펴보면서 암기해두어야 한다.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2

워렌이 제시한 지역사회 비교척도, 길버트와 스펙트가 제시한 지역사회의 기능

2

1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

3

2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 역사의 순서 나열,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

2

이론과 주요 개념의 연결, 여러 이론에 관한 종합 문제

5

3

테일러와 로버츠의 모델, 로스만의 모델, 웨일과 갬블의 모델

6

3

문제확인 단계의 과업, 실행 단계의 과업, 지역사회 욕구사정 방법

7

0

8

1

조직화 기술

9

1

옹호 기술

10

3

시·군·구 지역사회보장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심의·자 문 사항,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주요 사업

11

2

지방자치제도의 특징, 최근 지역사회복지 동향

12

3

사회복지관의 사업내용,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특징 및 관련 규정, 사회적 경제의 특징

13

2

지역사회복지운동의 특징, 주민참여의 특징


사회복지정책론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사회복지정책론은 각 장별 출제분포와 시험의 유형에 있어서 예년의 시험과 큰 변화는 없었으나, 세부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어 까다롭게 느껴졌을 것이다. 국민연금제도, 국민건강보험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고용보험제 도,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등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관련 제도와 관련된 문제들은 제도의 주요 특 징과 내용을 꼼꼼하게 학습하지 않았다면 다소 해결하기 어려웠을 수 있다. 그동안 출제되지 않았던 의료급여제도에 관 한 문제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21회 합격 대책 사회복지정책의 이론에 관한 총론적인 영역을 학습할 때는 각각의 이론별 주요 내용과 흐름, 차이점 등을 꼼꼼하게 정리 해 둘 필요가 있으며, 제도와 관련된 영역을 학습할 때는 이론적 지식들을 실제 제도적 사례 또는 해당 법률과 연결시켜 함께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정책론은 출제비중이 특정 영역에 몰아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출제비 중이 높은 사회복지정책 관련 이론과 사상(3장),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5장), 빈곤과 공공부조제도(11장)를 중심으로 학 습하는 것도 한 가지 효율적인 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2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사회복지의 국가 개입

2

1

영국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3

4

사회복지 발달이론, 복지국가 유형화이론, 사회복지정책 이데올로기

4

1

정책결정 이론모형

5

5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사회복지정책의 급여,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사회 복지정책의 전달체계

6

3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험과 민영보험, 소득재분배

7

1

국민연금제도

8

2

건강보험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9

1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10

1

고용보험제도

11

4

빈곤과 소득불평등,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의료급여제도


사회복지행정론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올해 시험에서는 유독 이론에 관한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고, 학습조직 구축요인, 현대조직운영 기법, 태스크포스팀의 특 징, 고객관계관리 마케팅, 예산 첨부 서류 등 최근 기출에서 볼 수 없었던 문제들이 출제되면서 득점에 영향을 끼쳤을 것 으로 보인다.

21회 합격 대책 행정론은 한 두 문제 정도는 새로운 조직운영기법이 등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다 공부하겠다는 마음보다는 자주 등장 했던 내용에 집중하면서 3교시 과락을 피하기 위한 득점전략 영역으로 20점은 넘기겠다는 마음으로 준비할 것을 권한다. 강의와 함께 어려운 이론의 핵심을 정리하고, 공부한 내용이 아무리 꼬아서 출제되어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자.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2

사회복지행정가의 자질,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2

2

사회보장정보시스템(범정부),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도입 순서 나열

3

6

과학적 관리론의 전제 및 적용, 상황이론의 특징, 현대조직운영 기법, 학습조직 구축요인, SERVQUAL 구성 차원, 총체적 품질관리의 특징

4

1

태스크포스(TF)의 특징

5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종합 문제

6

1

스키드모어의 기획과정 나열

7

3

변혁적 리더십의 특징, 리더십 이론(블레이크와 머튼, 허시와 블랜차드, 퀸)에 관한 문제, 참여적 리더십의 특징

8

1

인적자원관리에 관한 종합 문제

9

2

예산통제의 원칙, 예산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

10

1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

11

2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 시설평가 최저기준

12

1

마케팅 기법(고객관계관리 마케팅)

13

1

최근 사회복지조직의 환경변화


사회복지법제론

20회 기출 분석 및 21회 합격 대책 20회 기출 분석 사회복지법제론은 새로운 유형의 문제와 자주 출제되지 않았던 법조항이 출제된 문제도 다수 출제되었다. 예를 들어, 국 민기초생활보장법에 관한 문제는 법률의 내용과 예시를 접목시킨 새로운 유형이었으며, 기초연금법에 관한 문제는 그동 안 자주 다뤄지지 않은 지급정지 사유에 관한 법조항을 묻는 문제가 단독문제로 출제되어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최근 출제비중이 높아진 기타 사회서비스법에서 2문제가 출제되었는데, 특히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에 관한 문제가 최근 시험 에서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있다. 17회 시험에서 처음 등장한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도 2문제나 출제되었다.

21회 합격 대책 최근 사회복지법제론은 전반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뿐만 아니라 법률의 세부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출제되 고 있다. 따라서 기초적이면서도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영역(용어의 정의, 기본이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급여종 류, 실태조사, 위원회 등)은 물론, 시행령과 시행규칙에서 언급되는 세부적인 내용도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 기본적인 법 률조항에 대한 학습을 탄탄하게 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지엽적이거나 출제되지 않았던 상세한 법률조항에 대한 이해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20회 출제 문항수 및 키워드 장

문항수

키워드

1

1

사회복지법의 법원

2

1

한국 사회복지법률의 역사

3

1

사회적 기본권

4

0

5

3

사회보장기본법

6

2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7

3

사회복지사업법

8

4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급여법, 긴급복지지원법, 기초연금법

9

5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고용보험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10

5

노인복지법, 아동복지법, 장애인복지법, 한부모가족지원법,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11

0


합격을 잡는 학습방법

“어차피 목표는 합격이니까!” 기출 유형은 해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해마다 새로 등장하는 내용도 있지요. 그래서 사회복지사1급 시험은 초고득점을 노리기에 는 꽤 어려운 시험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목표가 ‘만점’이 아닌 ‘한번에 합격’이라면, 바로 지금 나눔의집과 함께 단계별 학습 을 시작해보세요. ※ 이 내용은 합격수기 및 비법제시 게시판에 올라온 선배 합격자들의 학습방법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1단계

2단계

기본을 탄탄하게 다져보자!

혼자 공부하기 어려울 땐 동영상 강의를!

시험의 난이도는 항상 일정하게 출제되는 것은 아니 다. 어느 해에는 조금 어렵게 어느 해에는 조금 쉽게 출제되며, 해마다 출제자가 달라지다 보니 기출 유형 이나 내용도 조금씩 달라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합 격률도 달라진다. 1문제를 놓쳐 불합격되지 않으려 면 어떤 난이도로, 어떤 유형으로 출제되든 흔들림 없이 자신의 실력을 발휘할 수 있을 만큼 기반이 탄 탄해야 한다. 풍부한 내용과 꼼꼼한 설명으로 구성된 8권의 기본이론서를 통해 8영역의 바탕을 잘 다져야 한다.

대다수의 합격자들이 동영상 강의를 본 것 과 보지 않은 것은 다르다며 강력 추천한다. 동영상 강의에 시간을 할애하기가 힘들다 면,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나 빈출 키워드에 해당하는 부분만 골라 봐도 좋다. 조금 쉽거 나 덜 중요한 내용은 재생속도를 빠르게 조 절하면서 보는 것도 합격자들이 추천하는 하나의 요령이다. 기본이론서 각 영역마다 무료로 제공되는 동영상 강의를 잘 활용해 보자.

6단계 문제를 풀수록 잘 모르겠다면? ‘아, 다 본 내용인데 왜 자꾸 틀릴까?’ 그렇다면, 문제를 푸는 요령이 부족한 것 일 수도 있다. 다 아는 내용 같아도 막상 문제를 풀면 답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는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일 수도 있지만 암기한 내용 을 문제에 적용해보는 훈련이 부족해서일 수도 있다. <합격예상문제집>을 통 해 더 많은 문제를 풀어보면서 문제를 해석하고 답을 찾는 응용력을 키워보자. 또한 시험에서는 시간에 맞춰 문제를 푸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시간이 부족해 서 답안카드에 답을 미처 표시하지 못했다면 그보다 억울한 일은 없을 것이다. <파이널 모의고사>를 통해 문제를 푸는 시간, 답안카드를 작성하는 시간 등을 미리 파악하며 제 시간에 시험을 완료할 수 있는 연습을 꼭 해보자.

기출문제 번호 보는 법

20 01 25 기출회차

실전강화 문제집 시리즈

영역

문제번호

‘기출회차-영역-문제번호’의 순으로 기출문제의 번호 표기를 제시하여 어느 책에서든 쉽게 해당 문제를 찾 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학습자료 시리즈

3단계 요약노트 꼭 있어야 하나요? 두말 할 것 없이 요약노트는 꼭 있어야 한다. 요 약노트는 단순 요약이 아니어야 한다. 요약노트 에는 내가 자꾸 틀리는 내용, 헷갈리는 내용들 을 같이 정리하여 막판에 쉽게 해당 내용을 점 검해볼 수 있게 해야 한다. 내용이 많아 요약노 트를 만들기가 벅차다면, <SECRET 합격노트> 를 이용해보자. 주요 내용정리와 함께 필요한 내용을 필기해둘 수 있는 노트 페이지를 나란히 구성하여, 반복적으로 실수하는 내용들을 표시 하고 추가설명을 붙여두기에 더 없이 좋다.

5단계

4단계

반복학습이 중요하다는데...

기출문제는 필수!

반복학습이 중요한 건 당연하다. 그런데 정작 반복학 습은 어떻게 하라는 걸까? 한 번 본 책을 보고 또 보 면 되는 걸까? <기출회독>은 간단한 요약을 통해 복

14~20회의 기출문제를 담은 <회차별 기출문 제집>을 통해 그동안 출제된 문제를 풀어보 자. 출제유형이 아무리 바뀌어도 중요한 내용

습하고, 기출문제를 통해 복습하고, 다양한 형식의 퀴즈를 통해 복습하는 3회독 훈련 시스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단순히 내용만 다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풀이 훈련까지 한번에 진행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반복학습이 이루어진다.

은 여전히 중요한 경우가 더 많다. 어떤 내용 이 어떤 방식으로 출제되는지를 파악해두는 것은 꼭 필요하다. 기출문제를 풀면서 헷갈리 는 내용들은 그때그때 기본이론서나 요약노 트를 다시 펼쳐보며 확인해두어야 한다.

기출회독 8권 시리즈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안내문

※ 아래의 내용 중 시험기간은 코로나19 이전 시행표이다. 2021년 19회 및 2022년 20회 시험은 점심시간 없이 휴식 20분으로 진행되었다.

시험방법 시험과목수

문제수

배점

총점

문제형식

3과목(8영역)

200

1점 / 1문제

200점

객관식 5지 선택형

시험과목 및 시험시간 구분

1교시

시험과목

사회복지기초(50문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5문항) •사회복지조사론(25문항)

입실시간

09:00

시험시간 09:30-10:20 (50분)

휴식 10:20 ~ 10:40 (20분)

•사회복지실천론(25문항) 2교시

사회복지실천(75문항)

•사회복지실천기술론(25문항)

10:40

•지역사회복지론(25문항)

10:50-12:05 (75분)

점심시간 12:05 ~ 12:50 (45분)

•사회복지정책론(25문항) 3교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75문항)

•사회복지행정론(25문항)

12:50

•사회복지법제론(25문항)

13:00-14:15 (75분)

※ 이는 일반수험자 기준이며, 장애인수험자 등 응시편의 제공 대상자는 1.5의 시간을 연장함 ※ 시험관련 법령 등을 적용하여 정답을 구하여야 하는 문제는 시험 시행일 현재 시행 중인 법령을 기준으로 출제함

합격(예정)자 결정기준(사회복지사업법에 의거)

•시험의 합격결정에 있어서는 매 과목 4할 이상, 전 과목 총점의 6할 이상을 득점한 자를 합격예정자로 결정 •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합격예정자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응시자격 서류심사를 실시하며, 응시자격서류를 정해진 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거나 심사결과 부적격자인 경우에는 최종불합격 처리함 • 최종합격자 발표 후라도 제출된 서류 등의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르거나 응시자격 부적격 사유가 발견될 때에는 합격을 취소함

※ 시험관련 정보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사회복지사1급 홈페이지(http://www.q-net.or.kr/site/welfare)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홈 페이지(http://www.welfare.n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응시자격

대학원 졸업자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까지 학위를 취득한 자 포함). 다만,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지 아니하고 동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포함한(2004. 7. 31 이후 입학생부터 해당) 필수과목 6과목 이상(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포함하되, 대학원에서 4과목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선택 과목 2과목 이상을 각각 이수하여야 한다. 대학교 졸업자

①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까지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포함) ② 법령에서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을 졸업한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 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까지 동등학력 취득자 포함) 외국대학(원) 졸업자

외국의 대학 또는 대학원(단,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한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학사학 위 이상을 취득한 자로서 대학원 졸업자와 대학교 졸업자의 자격과 동등하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자 전문대학 졸업자

① 고등교육법에 의한 전문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한 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② 법령에서 고등교육법에 따른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로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 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사회복지사 양성교육과정 수료자

①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을 졸업하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 12주 이상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교육훈련을 이수한 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사회복지사업 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② 사회복지사 3급 자격증 소지자로서 (시험 시행년도 2월 28일을 기준으로) 3년 이상 사회복지사업의 실무경험이 있는 자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사회복지사가 될 수 없음. 가.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나. 금고이상의 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끝나지 아니하였거나 그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되지 아니한 자 다. 법원의 판결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라. 마약ㆍ대마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의 중독자 마.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른 정신질환자(다만, 전문의가 사회복지사로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예외) ※ 응시자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HRD고객센터(1644-8000), 한국사회복지사협회(02-786-0845)로 문의


책 소개

기출문제는 필수! 2016년 14회 시험부터 2022년 20회 시험까지 순서대로 담았다. 시험마다 합격률이 다르므로 합격률이 더 높았던, 난이도가 다 소 낮은 회차부터 풀어보는 것도 추천하며, 순서대로 한꺼번에 풀어도 되지만 2~3회분씩 나누어 시험을 준비하는 중간 중간 모 의고사처럼 활용해도 좋다. QR코드로 동영상 보는 법 기출문제의 영역마다 배치되어 있는 QR코드를 스마트폰의 카메라 또는 네이버, 다음 앱 등을 이용해 찍으면 해당 동영상을 바 로 확인할 수 있다.

알림 • <사회복지법제론>을 비롯한 수험서에 반영된 법률은 2022년 3월 시행 중인 법률을 기준으로 하며, 2022년에 시행이 확 정된 개정 법률은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지난 시험에서 폐지되거나 개정된 법 규정과 제도들은 그에 맞게 기출문제를 변형하거나 관련 내용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더했다. • 이 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정정사항은 아임패스[www.impass.co.kr] 내 ‘정오표’ 게시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게시할 예정이다.


제14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기출문제 합격률 47.01% 14회 기출경향 분석 1교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은 기존의 시험들과 비슷한 수준에서 출제되어 기본서만 제대로 공부

했다면 너무나도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대다수였다. 사회복지조사론도 영역과 유형에 있어 큰 변화 없이 출제되었다. 다만, 지문 내에서 개념을 한 번 더 생각하게 하거나, 비슷한 개념과 비교해서 답을 찾아야 하는 문제들이 출제되어 어렵게 느껴졌을 수 있다.

2교시

사회복지실천론은 기존에 강조되었던 내용들이 반복적으로 출제되었고, 난이도 역시 개념

을 확인하는 수준의 문제가 다수 출제되어 응시생들도 역대급으로 쉬웠다고 평했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세부적인 기술이나 기법을 묻기보다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큰 모델 들의 특징을 전반적으로 물어보는 문제가 많았다. 지역사회복지론은 몇몇 새로운 내용과 유형이 등장하긴 했지만 당락에 영향을 줄만한 정도 는 아니었다. 실천적 측면의 문제들도 다수 등장했다.

3교시

사회복지정책론은 사회보험에 관한 문제는 출제되지 않은 반면, 사회적 경제 주체에 관한

문제, 지역자율형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관한 문제, 복지혼합경제에 관한 문제, 기금에 관 한 문제 등 그동안 미출제된 내용들이 등장해 어렵게 느껴졌을 수 있다. 사회복지행정론은 조금 낯설 수 있는 문제가 2~3문제 등장했지만 난이도가 낮아 점수획득 에 실패할 정도는 아니었다. 오히려 상식 선에서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등장하여 전반적으 로 쉽게 느껴졌다. 사회복지법제론은 최근 출제되지 않았던 영역에서 몇 문제가 출제되어 다소 까다롭게 느껴 졌을 수 있다. 용어의 정의, 기본이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급여종류, 권리구제, 실 태조사, 기념일, 위원회 등에 대해서는 개별 법령에 대해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16년 제14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1교시 - 사회복지기초 해답 & 오답노트 338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4-01-03 사회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인간행동은 단일체계에 의해 결정된다.

14-01-01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발달은 일정한 순서를 거친다. ② 발달과 변화는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난다. ③ 발달은 특수활동에서 전체활동으로 이루어 진다. ④ 발달을 이해하는 데 사회환경은 필수적 요인 이다.

② 인간행동을 원인과 결과라는 단선적 관점으 로 이해한다. ③ 인간행동은 체계 간에 에너지를 주고받으면 서 변화한다. ④ 체계의 한 부분의 변화는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⑤ 거시체계는 인간이 가장 밀접하게 상호작용 하는 가족, 친구, 학교 등을 포함한다.

⑤ 발달은 ‘환경 속의 인간(person in environment)’의 맥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4-01-02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기여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를 파악하는 데 도 움이 된다. ② 클라이언트의 사회환경보다 생물학적 요소 가 더 중요함을 이해하게 한다. ③ 사회복지사가 파악해야 할 클라이언트에 관 한 사항을 사정할 수 있게 한다. ④ 클라이언트의 발달과업 수행에 필요한 서비 스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한다.

18

14-01-04 인간행동이 의식에 의해 조절될 수 있지만 집단무 의식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는 이론은?

①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이론 ② 매슬로우(A. Maslow)의 자아실현이론 ③ 융(C. Jung)의 분석심리이론

⑤ 사회복지사가 모든 연령층의 클라이언트를

④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이해하고 그들과 함께 일할 수 있게 한다.

⑤ 로저스(C. Rogers)의 현상학이론

사회복지사1급 회차별 기출문제


해답 & 오답노트 338-339쪽

14-01-05

14-01-08

스키너(B. F. Skinn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 은 것은?

반두라(A. Bandura)의 모방(model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행동은 내적인 동기에 의해 강화된다.

① 대리경험에 의한 학습을 말한다.

② 조작적 행동보다 반응적 행동을 중요시한다.

② 조작적 조건화에 의해 습득된다.

③ 인간행동에 대한 환경의 결정력을 강조한다.

③ 시연을 통해 행동을 습득할 수 있다.

④ ‌ 자기효율성을 성취하기 위해 행동을 규제

④ 각 단계마다 칭찬을 해주면 효과적이다.

한다. ⑤ 인간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⑤ 쉽고 간단한 것부터 습득하며 점차 어렵고 복 잡한 것으로 진전된다.

14회

가지고 있다.

15회

14-01-06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전조작기 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율적 도덕성이 나타난다.

14-01-09

② 보존개념을 획득하지 못한다.

ㄱ. 창조성

③ 꿈이 현실로 존재하는 것을 믿는다.

ㄴ. 경험에 대한 개방성

④ 상징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발달한다.

ㄷ. 실존적인 삶

⑤ 자신의 관점과 상이한 다른 사람의 관점이 존 재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16회

로저스(C. Rogers)의 현상학이론에서 ‘완전히 기 능하는 사람’의 성격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

17회

18회

ㄹ. 선택과 행동의 자유의식

① ㄱ, ㄴ, ㄷ

② ㄱ, ㄷ

③ ㄴ, ㄹ

④ㄹ

19회

⑤ ㄱ, ㄴ, ㄷ, ㄹ

14-01-07

20회

에릭슨(E. Erikson) 이론의 주요 개념과 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이 — 치료자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자신 에게 투사하는 것이다. ② 창조적 자기 — 개인이 인생의 목표를 직시하 고 결정하는 능력이다. ③ 페르소나 — 자아의 가면으로 개인이 외부세 계에 내보이는 이미지이다. ④ 집단무의식 — 모든 개인의 정신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하부구조를 일컫는다.

14-01-10 성격이론과 학자 및 주요 개념의 연결이 옳은 것 은?

① 분석심리이론 — 융(C. Jung) — 도식 ② 인본주의이론 — 매슬로우(A. Maslow) — 결 핍동기 ③ 개인심리이론 — 아들러(A. Adler) — 페르소나

⑤ 점성원칙 — 인간발달은 최적의 시기가 있고,

④ 정신분석이론 — 프로이트(S. Freud) — 아니마

모든 단계는 예정된 계획대로 전개된다.

⑤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J. Piaget) — 열등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9


해답 & 오답노트 339-340쪽

14-01-11

14-01-14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이 사회복 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은 것은?

에릭슨(E. Erikson)과 프로이트(S. Freud)의 발달 단계의 연결로 옳은 것은?

① 클라이언트의 문제행동 수정에 유용하다.

① 근면성 대 열등감 — 구강기(oral stage)

②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정하는 데 유용하다.

② 친밀감 대 고립감 — 잠복기(latency stage)

③ 중년기 이후에 발생하는 노화현상을 이해하

③ 주도성 대 죄의식 — 생식기(genital stage)

는 데 유용하다. ④ 클라이언트에게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을

④ 자율성 대 수치와 의심 — 항문기(anal stage) ⑤ 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 남근기(Phallic stage)

갖는 데 유용하다. ⑤ 클라이언트의 생애발달단계를 사정하고 개 입의 유형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

14-01-15 아동기(7~12세)의 발달 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4-01-12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 으로 옳은 것은?

① 도식(scheme) ② 음영(shadow)

ㄴ. 유치가 영구치로 바뀌고 보존개념을 획득할 수 있다. ㄷ. 가설연역적 추리 및 조합적 사고를 할 수 있다. ㄹ. 한 가지 속성에 따라 대상을 배열하는 서열화 가 가능하다.

③ 평형(equilibrium)

① ㄱ, ㄴ, ㄷ

② ㄱ, ㄷ

④ 행동조성(shaping)

③ ㄴ, ㄹ

④ㄹ

⑤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⑤ ㄱ, ㄴ, ㄷ, ㄹ

14-01-13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 은 것은?

① 전 생애의 발달을 다루고 있다. ② 발달과정에서 자기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 였다. ③ 성인 대상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④ 문화적ㆍ사회경제적ㆍ인종적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⑤ 아동은 성인의 직접적인 가르침 없이도 인지 구조가 발달된다. 20

ㄱ.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는 결정적인 시기이다.

사회복지사1급 회차별 기출문제

14-01-16 중년기(40~64세)의 발달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성격이 성숙해지고 성정체성이 확립된다. ② 삶의 경험으로 인해 문제해결능력이 높아질 수 있다. ③ ‌ 노화가 점차 진행되며 신체적 능력과 건강이 약해진다. ④ 에릭슨(E. Erikson)의 발달단계에서 생산성 대 침체성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⑤ 호르몬의 변화로 성적 능력이 저하되며 빈둥 지증후군(empty nests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해답 & 오답노트 340-341쪽

14-01-17

14-01-20

태아기의 유전적 요인에 의한 발달장애의 설명으 로 옳지 않은 것은?

유아기(3~6세)의 발달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혈우병은 X염색체의 열성유전자에 기인한다.

② 피아제(J. Piaget)의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

② 터너증후군은 X염색체를 하나만 가진 여성 에게 나타난다. ③ 클라인펠터증후군은 X염색체를 더 많이 가 진 남성에게 나타난다. ④ 다운증후군은 23번 염색체가 하나 더 있어서 염색체 수가 47개이다. ⑤ 페닐케톤요증은 아미노산을 분해시키는 효

① 주요 발달과업 중의 하나는 배변훈련이다. 한다. ③ 콜버그(L. Kohlberg)의 인습적 수준의 도덕 성 발달단계이다. ④ 에릭슨(E. Erikson)의 발달단계에서 신뢰감 대 불신감에 해당한다.

14회

⑤ 물활론적 사고에서 완전히 벗어나 생명이 있 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한다.

소가 결핍된 열성유전자에 기인한다.

15회

14-01-21 14-01-18 큐블러-로스(Kübler-Ross)가 주장한 인간이 죽음 에 이르는 심리적 변화과정은?

① 부정 → 분노 → 우울 → 타협 → 수용 ② 부정 → 분노 → 타협 → 우울 → 수용 ③ 부정 → 분노 → 타협 → 수용 → 상실 ④ 분노 → 부정 → 상실 → 타협 → 수용 ⑤ 분노 → 부정 → 우울 → 타협 → 수용

인생주기별 발달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회

① 영아기(0~2세)에는 거식증이 나타난다. ② 유아기(3~6세)는 주도성 대 죄의식의 심리사

17회

회적 위기를 경험한다. ③ 아동기(7~12세)에는 자기중심성이 완화되고 역할 수용이 가능하다.

18회

④ 청소년기(13~19세)에는 상상의 청중 및 개 인적 우화가 나타난다.

19회

⑤ 노년기(65세 이상)는 자아통합의 시기이며 사 회관계망의 축소로 사회적 역할이 감소한다.

20회

14-01-19

14-01-22

청년기(20~34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청소년기(13~19세)의 발달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 은?

① 신체적 기능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이다.

① 극단적인 정서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② 주요 발달과업은 진로 및 직업선택, 혼인준

② 성적 성숙과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는 시기

비 등이다. ③ 발달과업에서 신체적 요소보다는 사회문화 적 요소를 중요시한다. ④ 아동기 이후 인생의 과도기로서 신체적ㆍ성 적 성숙이 빠르게 진행된다. ⑤ 에릭슨(E. Erikson)의 발달단계에서 친밀감 대 고립감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이다. ③ 피아제(J. Piaget)의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 한다. ④ 힘과 기술이 향상되지만 신체적 성장 속도는 둔화된다. ⑤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괴리로 인해 갈 등과 고민이 많은 시기이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1



해답과 오답노트


2016년 제14회 사회복지사1급 시험 1교시 - 사회복지기초

• 이전 단계의 결과가 각 발달단계의 성공이나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특정한 발달단계에서 발달과업을 성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4-01-01 ③ 14-01-02 ② 14-01-03 ③ 14-01-04 ③ 14-01-05 ③ 14-01-06 ① 14-01-07 ⑤ 14-01-08 ② 14-01-09 ⑤ 14-01-10 ② 14-01-11 ② 14-01-12 ⑤

답③

14-01-13 ⑤ 14-01-14 ④ 14-01-15 ③ 14-01-16 ① 14-01-17 ④ 14-01-18 ② 14-01-19 ④ 14-01-20 ①

① 인간행동은 다양한 체계수준의 영향을 받는다.

14-01-21 ① 14-01-22 ④ 14-01-23 ① 14-01-24 ④

② 인간행동을 단선적 관점이 아닌, 상호적인 관점으 로 이해한다.

14-01-25 ⑤

④ 체계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성장하기 때문에 체계 의 한 부분의 변화는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답③

⑤ 거시체계는 개인이 속한 사회의 이념이나 제도의 일 반적인 형태 혹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 소로서 정치, 법, 문화, 관습 등이 속한다.

인간발달

•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연속적 으로 일어나는 변화 양상과 과정 •점진적으로 분화해가고 전체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 • 상부에서 하부로, 중심 부위에서 말초 부위로, 전체 운동에서 특수운동으로 진행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답③ 인간행동이 의식에 의해 조절될 수 있지만 집단무의식 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 것은 융(C. Jung)의 분석심리이 론이다. 융은 정신을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분하고, 무 의식은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이라는 두 개의 층으 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속도의 불규칙성 답③ 답②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기여한 점

•생애주기를 순서대로 정리할 수 있게 해준다. • 각 발달단계에서 개인이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 해준다. • 각 발달단계에서 그 단계의 발달에 기여하는 요소들 을 제시해준다. • 각 발달단계에서 발달내용을 구성하는 신체적, 심리 적, 사회적 요소들과 그 요소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 출생부터 사망에 이를 때까지 변화하거나 지속되는 과정을 제시해준다.

338

사회복지사1급 회차별 기출문제

① 행동주의이론은 다른 성격이론들과 달리 내적인 동 기와 욕구, 지각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 초점을 둔다. ②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에 해당한다. ④ 자기효율성을 성취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규제할 수 있다고 본 것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이다. ⑤ 인간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힘이 없고, 인간행동 이 객관적으로 구체화되고 조작될 수 있는 환경에 의해 다양하게 통제된다고 주장하였다.


사회복지사1급의 모든 것 4,440문항 모든 기출을 분석해 찾은 데이터 기반 학습법 20번의 개정으로 최적화된 이론정리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국내 최초 사회복지사1급 데이터 기반 학습법!

출제율

100%

10개년 기출문제 2,040문항을 분석하여 학습량을 최대 50% 줄여드립니다.

핵심특강 40강

1

포인트만 콕콕 핵심에 핵심을!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출제율

99.5%

• 200점 만점에서 120점만 넘기면 합격인 사회복지사1급 시험! • 무조건 오래 앉아 있는 것이 정답이 아닙니다. •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기를 위해 반드시 시험에 나오는 핵심 내용을 40강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핵 심 내용과 기출 유형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합격비책 50강

2

최근 5년 평균 145문항 출제, 72.7% 출제비중 기본학습자료

문제집 시리즈 • 최근 5개년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평균 2문항 이상 최대 6문항까지 출제된 50개의 장을 선별하여 학습

회차별 기출문제집

합격예상문제집

할 수 있습니다. • 5문항 이상, 4문항 이상, 3문항 이상, 2문항 이상의 카테고리를 구성하여 무조건 출제되는 내용을 객관 적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본이론, 합격예상문제 강의를 한 번에 수강할 수 있습니다.

별책부록

기출족보: 면과락 필수 키워드 80

합 합격노트

파이널 모의고사(3회분)

185 별책부록

84.5% 출제비중

중요키워드 185강

3

최근 10년 평균 169문항 출제, 84.5% 출제비중

사회복지법제론 빈출 법률 9 제20회 기출문제집 자가진단 모의고사(2회분)

• 최근 10개년 기출문제를 심층 분석하여 10년간 5문항에서 30문항까지 출제된 중요키워드 185개를 선 별하여 학습할 수 있습니다. • 10년간 출제된 문항 수가 많은 순서로 카테고리를 구성하여 출제빈도가 높은 중요한 키워드를 우선적 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나눔의집 수험서는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1회~20회의 모든 기출문제 영역별 555문항, 총 4,440문항을 분석한 278개 핵심 키워드 및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약점을 보강하여 실전에 더 강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23대비_회차별기출문제집_비매품_표지.indd 2

2022. 3. 23. 오후 1:23


사회복지사1급 시험은 출제 유형, 범위, 난이도 등에 변동이 많은 시험입니다. 그렇기에 최근 기출문제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회차별 기출문제집』에는 14회부터 20회까지 총 7회분의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최근 경향뿐만 아니라 더 많은 기출문제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21회 대비

“최근 기출문제만 보면 될까요?”

나눔의집 사회복지사1급

검색

회차별 기출문제집

사회복지사1급 나눔의집

2023년 21회 대비 최신판

나눔의집

SINCE 2002 20번째 개선

사회복지사1급 회차별 기출문제집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편저

QR코드로 바로 보는

기출강의 56강

독자만족센터 대표전화 1688-4604 홈페이지 www.impass.co.kr 카카오톡 채널 나눔의집

14~20회 7개년 기출문제 수록!

펴낸날 2022년 4월 15일 – 펴낸곳 도서출판 나눔의집 – 편저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 펴낸이 박정희 주소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9길 68, 1707호(가산동, 대륭포스트타워 5차) 등록번호 제320000015-355호 – 등록일자 1998년 7월 30일 파본은 교환해 드립니다. 이 책에 실린 모든 글과 사진, 일러스트를 포함한 디자인 및 편집형태, 배포에 대한 권리는 도서출판 나눔의집에 있으므로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 배포할 수 없습니다.

나눔의집 수험서는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1회~20회의 모든 기출문제 영역별 555문항, 총 4,440문항을 분석한 278개 핵심 키워드 및 내용을 바탕 으로 다양한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약점을 보강하여 실전에 더 강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23대비_회차별기출문제집_비매품_표지.indd 1

기출문제는 결국 또다시 기출문제가 된다!

꼭! 시험장에 들고 가세요!

QR코드로 기출강의를 바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2022. 3. 23. 오후 1:23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