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Designer
제19기 서울출판예비학교 출판디자이너 과정 소개
콘텐츠 편집과 제책의 원리를 이해하고 출판 디자인 방법론을 익혀 출판 현장에서 스스로 편집디자인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국 산업인력공단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입각하여, 편집디자인 계획 수립, 편집디자인 자료 조사·분석, 편집디자인 작업 실행, 편집 디자인 소프트웨어 활용, 편집디자인 교정 작업으로 전공 교육 과정을 구성하였으며, 1년 경력자 수준의 출판 디자이너 양성을 목표로 한다.
편집디자인 계획 수립 출판물의 기획 의도에 맞는 편집디자인 콘셉트를 결정하고 이를 최적화하기 위해 판형, 서체, 레이아웃, 색도와 같은 출판물의 구성 요소를 결정하며, 기획 의도에 맞는 통합적인 개념과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최적의 편집 형식을 계획할 수 있다.
편집디자인 자료 조사 분석 출판물의 편집디자인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유사한 출판물의 편집디자인 유형과 출판의 추세를 파악하고 서체, 사진, 삽 화, 그래픽과 같은 편집디자인 수행에 필요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종합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편집디자인 작업 실행 출판물의 편집디자인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툴을 활용해서 콘텐츠의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색상, 각종 그래픽 자료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편집디자인 소프트웨어 활용 편집디자인 수행을 위한 종이책 편집디자인 툴과 전자책 제작에 필요한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다.
완성 편집디자인 교정 작업
완성된 편집디자인을 전반적으로 점검해서 문제를 교정하고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말하며 레이아웃, 사진, 삽화, 그래픽, 원고, 인쇄 문제를 사전에 수정하고 보완, 교정할 수 있다.
출판디자인 전공 NCS 강의 구성
편집디자인 작업 실행
level 5
편집디자인 계획 수립
편집디자인 고객 요구 분석
편집디자인 인쇄감리
level 4
level 3
드로잉 이미지 편집 디자인
사진 이미지 편집디자인
편집디자인 소프트웨어 활용
편집디자인 시안제작
편집디자인 자료 관리
출판물 구성요소 결정
편집 콘셉트 결정
출판 원고 분석
편집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편집 레이아웃 작업
편집
쪽을 따라 흘러가기
출판 디자이너는 텍스트를 읽으며 책의 크기와 모양, 본문과 표지의 만듦새를 상상한다. 그 상상에는 텍스트에 속한 단어, 단어의
연결이 만들어 내는 의미 구조에 대한 디자이너의 시지각적, 감정적 기억이 영향을 미친다. 이는 텍스트의 자극으로 무의식 속 기억
흔적에 있던 것들이 의식 위로 올라와 시지각적 기억의 형태로 표면화되는 것이다.
텍스트가 본문으로 시각화되면, ‘쪽’을 이루는 면들이 앞과 뒤의 관계 속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선형 혹은 비선형으로 흐른다. 면들
이 모인 본문 덩어리는 표지에 의해 감싸이며 표지는 텍스트를 상징하는 시각적 복합체로서 시각과 촉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운 물 성으로 독자와 만난다.
서울출판예비학교 출판 디자인 교육은 텍스트를 책이라는 시각 상징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구현하기 위한 기술, 지식, 경험, 발상 교육을 포함하며, 경험과 지식을 지닌 전문가 집단의 긴 호흡을 갖는 커리큘럼으로 구성된다.
출판에서 디자인을 시작하는 원재료인 책의 내용을 다루는 편집자와 만들어진 책을 소비자와 만날 수 있게 하는 마케터가 있듯이 디자인 분야만으로는 온전한 출판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기에 출판 편집자 과정과 출판 마케터 과정과의 책 협업 프로
젝트, 다양한 관련 분야 특강의 참여를 통해 관계성 및 출판 교양을 학습한다. 더불어, 디자인 작업 과정에 발현될 수 있는 정서적
영향에도 주목하며 구성원들 간의 교감에 관심을 두고 상담과 소통을 통해 내적 정서와 영감들을 풀어내는 노력을 한다.
출판 디자이너 과정은 6개월간의 교육 후 출판사에 취업하여 실무 디자이너로 첫발을 내딛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술, 지식, 경험, 발상 교육과 타 분야와의 소통 경험, 다양한 특강을 통해 출판 현장에서의 감각을 익히고 교육 과정 수료 후 현장에서 출판 디
자인 분야의 전문인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지향한다. 각 개인은 교육 과정 중 최선의 디자인 작업물을 만들어 포트폴리오로 구현하
고 이를 교육발표회를 통해 선보여 출판사 관계자들과 면대면 소통의 시간을 갖는다.
역사적으로 출판은 물성을 가진 것에서 다양한 매체로 진화해왔다. 다변화되는 환경에서 출판 매체가 어떻게 확장되든, 글자 디자 인을 보는 감각, 텍스트를 시각화하는 감각, 무엇이 좋은 디자인인지 보는 눈의 감각같이 디자인에 이르게 하는 고유한 본질은 변 하지 않고 각 디자이너 안에 내재해 있다.
디자인의 시작 지점인 근본적인 발상 훈련부터 숙련된 기술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본질을 놓지 않는 교육을 지향하며 동시에 시
대가 요구하는 기술적 태도를 갖게 한다. 이것이 서울출판예비학교 출판 디자인 교육의 정체성을 이룬다.
19기 출판디자이너 과정 구성원과 역할
1 구성원 강연지, 강우정, 강혜조, 김보경, 노유진, 박서우, 박예은, 박예진, 오승예, 오연서, 윤철호, 이예은, 조예진, 조효빈
2 임원진 반장: 김보경 | 부반장: 오승예
3. 제작부 제작부장: 박예은 | 제작부원: 강연지, 박예진, 윤철호
4. 교육발표회 TF팀 팀장: 조예진 | 팀원: 강우정, 강혜조, 노유진, 박서우, 오연서, 이예은, 조효빈
5. 소셜 미디어 오승예 관리, 김보경 도움
6. 자료집 ‣ 표지 디자인+차례 이미지: 조효빈 ‣ 본문 디자인 기획〮진행〮조판: 강연지, 박예은, 박예진, 윤철호
7. 교육발표회 ‣ 현수막 및 엑스배너 디자인: 출판디자이너 과정
‣ 자소서 책자 작업: 이예은
8. 전시 ‣ 기획: 조예진
‣ 총무: 강우정, 강혜조
‣ 홍보: 김보경, 노유진, 오승예
‣ 인덱스: 오연서, 조효빈
‣ 캡션+리플렛: 박서우
9. 협업 프로젝트 ‣ 계발새발 (자기계발/ 카시오페아 제공): 강우정, 강혜조, 박서우, 오승예, 오연서, 윤철호
‣ 마뉴 (인문/ 포레스트북스 제공): 강연지, 노유진, 박예진, 윤철호, 조예진, 조효빈
‣ 사다리 (청소년 문학/ 우리학교 제공): 강연지, 김보경, 노유진, 오승예, 이예은, 조예진
‣ 얼킴 (에세이/ 다산북스 제공): 강우정, 강혜조, 김보경, 박예은, 박예진, 조효빈
152*223mm
145*212mm
115*188mm
타임 코스모스: 타임머신으로 배우는 물리학
강우정/ 우물 140*215mm
내 이름은 빨강 1, 2 오르한 파묵/ 민음사 132*225mm
인어가 잠든 집 히가시노 게이고/ 재인 140*195mm 매일 읽겠습니다 황보름/ 어떤책 114*188mm
BOOK DESIGNER
나는 너랑 노는 게 제일 좋아 하태완/ 북로망스 130*190mm
사랑은 거짓말이 아니고 탁경은/ 사다리 128*188mm
우리 화성으로 갈 수 있을까? 김수지/ 둘리나라 128*188mm
캐리 스티븐 킹/ 황금가지 155*218mm
헛간을 태우다 1, 2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동네 133*195mm
크루얼티 프리 린다 뉴베리/ 사계절 128*188mm
오전의 살림탐구 정이숙/ 라이프앤페이지 122*190mm
비하인드 도어 B. A. 패리스/ 모모
@babyswpopong
아주 가느다란 명주실로 짜낸 헨리 제임스/ 온다프레스 128*188mm
에드워드 홀 문화인류학 시리즈 에드워드 홀/ 한길사 148*210mm
일상의 껍질을 벗겨라 천하이셴/ 계발새발 143*220mm
132*220mm
목욕의 역사 캐서린 애쉔버그/ 씨네스트 151*210mm
157*232mm
이야기의 뼈들 오키타 미즈호·이정미/ 마뉴 130*190mm
보통의 동네, 쌍문동 최상지/ 하랑 130*190mm
소방관들을 위한 특별한 한 끼 강제규/ 책나물 123*188mm
편집된 죽음 장 자크 피슈테르·최경란/ 문학동네 153*225mm
빌런의 공식&히어로의 공식 사샤 블랙·정지현/ 윌북 135*210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