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차이나 마켓 네비게이션
2014.10.31
경제 최홍매 02-768-3439
hongmei.cui@dwsec.com
복잡해 지는 중국 통화정책: PSL, SLF, MLF 금주 인민은행은 3,000억 위안의 MLF대출을 시중은행에 제공하기로 결정하였다. SLF와 달리 만기와 금리조절이 가능하다. PSL, SLF, MLF는 유동성 제공 측면에서 같은 정책이다. MLF가 의미를 갖는 것은 시중 금리 인하에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MLF는 질적인 측면에서 금리 인하 효과가 가능하다. 이는 기존의 “은행창구 지도”라 는 단순한 양적 완화에서 탈피한 수준이다. 또한 만기, 금리 등 측면에서 중앙은행의 재량이 발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 적으로 “금리 인하”효과가 있다. MLF는 양적인 측면에서의 작용은 해외 자금 유출과 그림자 금융 축소에 따른 부작용 해소이다. 최근 외국환 평형기금의 감소, 핫머니 유출, 그림자 금융 축소 등으로 발생 할 수 있는 기업들, 특히 중소기업의 자금 압박을 완화 시켜줄 필요가 있다. 연말까지는 중국 경기 급락 가능성은 낮을 것이다. “안정적인 통화정책” 기조는 유지 하는 반면, 다양한 정책수단을 통한 경기 방어 정책은 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홍콩 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연속 2주간의 하락세에서 반등, 3% 넘게 상승하면서 하락 폭을 대부 분 회복하였다. 홍콩 증시도 본토증시와 해외증시의 영향으로 2% 넘게 상승하였다. 상하이 종합지수는 강세요인은 다음과 같다. ① 인민은행이 상업은행에 3,000억 위안 규 모의 유동성을 공급하였다. ② 9월 기업 순이익은 8월의 (-) 증가율에서 반등하였다. ③ 시진핑, 상하이 FTZ 모델을 중국 기타 지역에 적용할 것을 시사하였고, 톈진이 다음 타 자로 확정되었다. ④ 지난주의 9개 기업 IPO를 마감하면서 금주 유동성 압력이 상대적 으로 경감되었다.
전망과 전략 다음주 중국 증시는 소폭의 조정을 예상한다. 특별한 호재가 부재가 상황에서 금주의 급 등세가 조정을 받을 것이다. 개혁정책의 발표로 섹터별 차별화가 진행될 것이다. 표 1. 중화권 증시 동향 (10월 10월 29일 기준) 기준) 지수 (pt)
등락률 (%)
거래량 (백만 주)
거래대금 (백만 달러)
상승종목 수 (개)
하락종목 수 (개)
시가총액 (백만 달러)
PE (x)
SHCOMP Index
2,373.03
3.07
26,630
36,937
836
86
2,902,591
11.4
상해 A
SHASHR Index
2,484.54
3.07
26,576
36,894
796
78
46
11.4
상해 B
SHBSHR Index
260.70
1.75
55
43
40
8
12,842
16.2
심천종합지수
SZCOMP Index
1,349.98
4.16
10,002
14,523
1,139
211
742,226
32.5
심천 A
SZASHR Index
1,410.38
4.18
9,943
14,480
1,105
201
728,903
18.8
심천 B
SZBSHR Index
974.57
1.99
59
43
34
10
13,322
11.4
홍콩항셍
HSI Index
23,819.87
2.09
2,018
10,266
46
3
3,238,939
10.3
홍콩 H
HSCEI Index
10,724.15
2.73
2,258
2,286
37
3
555,121
7.5
대만가권
TWSE Index
8,878.77
1.69
6,070
3,101
237
502
833,284
15.3
지수
티커
상해종합지수
주1: PE는 Trailing EPS 기준, 주2: 홍콩항셍, 홍콩H주의 상승 및 하락 종목 수는 지수편입 종목기준,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