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공급 우려와 이머징 통화 사이 대우증권

Page 1

Global Focus

2014.6.26

크로스에셋전략 이지연 02-768-3073 박준일 02-768-3717

sarah.lee@dwsec.com justin.park@dwsec.com

원유 공급 우려와 이머징 통화 사이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생산 차질, 수급 그 이상의 영향력 WTI와 브렌트유 가격이 6월 들어 각각 3.2%, 4.6% 상승했다. 러시아와 리비아의 공 급 불안에 이라크의 지정학적 불안이 더해지며 수급 차질에 대한 우려를 높였기 때문 이다. 일각에서는 이라크 내전이 확대될 경우 국제유가가 120달러까지 급등할 것으로 전망한다. 1990년 이후 4차례의 유가 상승 이벤트가 있었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90.8월), 2차 걸프전(02.12월), 허리케인 카트리나(05.8월), 리비아 내전(11.2월)이다. 이와 같 은 이벤트는 유가 상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대체로 위험 회피 심리를 강화시켰다. 유가 급등이 통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는 크게 세 가지이다. 1) 원유 무역에 있어 순수입/순수출국인지의 여부가 중요하며, 2) 이머징 자산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의 변화도 통화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3) 지리적인 위치에 따 라서 공급 차질 리스크에 더 크게 노출될 수 있다. 원유 순수출국인 러시아는 대표적인 수혜 국가인 반면, 원유 순수입국인 인도네시아 의 경우 통화가치 절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리학적으로 중동이랑 가까이 위치한 터키의 경우에도 유가 상승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멕시코는 원유 순수출국임에도 불구하고, 페소화가 이머징 통화에 대한 대표격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이머징 마켓 전 반에서 자금이 유출된다면 멕시코 통화 가치의 절하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지속적인 경상 수지 흑자를 기록하면서 달러 대비 원화는 1,010원대에서 거래 되고 있다. 원유 순 수입국인 한국의 경우 유가 상승은 원화 가치의 약세 요인이며, 이라크 사태에 따른 위험회피 현상도 원화 가치에 부정적일 수 있다.

과거 원유 공급 차질 당시 주요 이머징 국가의 통화 가치 등락 (%) 4

원유 공급 차질 기간의 이머징 통화 가치 등락률

3 2 1 0 -1 필리핀

인니

콜롬비아

멕시 코

터키

대만

칠레

이집 트

인도

중국

말레이

브라질

자료: Bloomberg, KDB 대우증권 리서치센터

태국

한국

러시 아

폴란 드

모로 코

남아 공

헝가리

-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