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약세, 유가·금리 상승으로 역풍 변질[1]

Page 1

경제분석 달러화 약세, 유가·금리 상승으로 역풍 변질?

2015.5.13

[경제]

최근 글로벌 금리 상승, 상승, 자금대순환(Great 자금대순환(Great Rotation) 과정으로 보기 어려워

서대일 02-768-30693069 daeil.suh@dwsec.com

미국 경기 부진에 따른 달러화 약세가 역설적으로 상품가격 상승과 글로벌 금리 상승 촉발 경기 여건 보다 금융 여건을 반영한 유가 상승, 상승, 금리 상승은 실물 경기에 부정적 특히 주요 국가들의 금융완화 여력 축소 압력, 압력, 2011년 2011년 섣부른 긴축의 트라우마 한국 역시 경기부양 효과 반감. 반감. 단기적으로 환율 상승 등 리스크 관리 필요 2분기 중 유가 및 금리 상승세 다시 조정될 것. ECB 등의 정책 신뢰 재확인 과정 예상

달러화 약세의 명암(明暗) 4월 중순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달러화 약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과거 경험처 럼 유동성 확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달러화 약세 + 미국( 미국(글로벌) 글로벌) 금리 상 승’의 어색한 조합으로 달러캐리 투자가 활성화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리 상승은 상승은 달러화 약세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작년 하

반기를 돌이켜보면 그 동안의 금리 하락은 1) 글로벌 경기 둔화, 2)유가 급락에 따 른 기대인플레이션 하향 조정, 3) ECB를 포함한 주요국의 금융완화 정책 등에 기 인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은 달러화 약세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으며 이번에도 예외는 아 니었다. 달러화 약세가 원유, 원자재 시장으로 자금 이동을 촉발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유가 상승은 상승한 만큼 기대인플레이션과 금리를 끌어 올렸다. 유럽 금융시장에 팽배했던 채권시장의 버블 논란도 채권 투매를 자극하는데 일조 한 것으로 보인다.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통화정책 여력을 축소시켜 정책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릴 수 밖에 없다. 긴축을 고민하는 미국 금리 보다 유 럽 금리가 급하게 올라간 이유일 것이다. 그림 1. 달러화 약세로 원유 가격이 민감한 반응

그림 2. 글로벌 금리 상승, 상승, 특히 유럽 금리 급등

($) 120

두바이유 가격 (L)

75

달러 인덱스 (R)

110 80

100

(%) 3.5

한국 10년

미국10년

독일10년

일본10년

14.12

15.2

15.4

15.6

3.0

2.5

90

85

80

2.0

70

90 1.5

60 95

50

1.0

40

100

0.5

30 20

105 14.1

14.4

14.7

14.10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5.1

15.4

0.0 14.10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화 약세, 유가·금리 상승으로 역풍 변질[1] by FNGENII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