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금속 (중립/Maintain)
최근 시황 변화의 Implication Issue Comment 2016.3.14
당초 우려 보다 수요 상황은 나쁘지 않아
문제는 최근 시황 반등으로 구조조정 속도는 둔화될 전망
철강 시황의 추세적 개선 가능성은 여전히 기대난
[철강/비철금속]
당초 우려 보다 수요 상황은 나쁘지 않아
전승훈 02-768-2713 sh.jeon@dwsec.com
세계 철강 시황을 주도하는 중국의 철강 가격은 2015년 12월 저점 대비 열연 +37.8%, 냉연 +38.2%, 철근 +29.4%, 철광석 +47.5% 급등했다. 2015년의 연간 하락 폭을 2개월 반 만에 모 두 회복했다. 철강 가격 반등의 시작은 국제 유가와 같이 공급 축소 이슈였다. 지난 2015년 11월 중국 철강 업체들 중 흑자를 기록하는 기업의 비중은 4.3%까지 급감하며 소형 철강 업체들을 중심으로 공 격적인 감산이 시작되었다. 중국 철강 업체들의 가동률은 10월말 78.8%에서 2016년 1월에는 73.7%로 5.1%p나 하락했다. 문제는 연말, 연초의 철강 가격 반등으로 철강업체들의 수익성이 회복되었고 춘절 이후 가동률이 급등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철강 가격이 폭등한 것이다. 실제로 춘절 이후 중국 철강 업체 들 중 흑자를 기록하는 기업 비중이 55.8%까지 급증했고 중국 고로 업체 가동률은 1월말 73.7% 에서 현재는 77.5%로 3.8%p 상승했다. 중대형 중국 철강 업체들의 조강 생산량은 2월 중순 대비 2월말에 이미 2.3% 증가하기 시작했 다. 철강업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은 1월까지의 감산 효과와 고객사들의 주문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했다. 3월이 계절적 성수기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경기 및 수요가 부진했던 2014년과 2015년에는 3월 에도 철강 가격과 업체들의 가동률은 하락했고 철강 업체들의 수익성은 악화되었다는 점이다. 즉, 2014년과 2015년에는 3월의 시황 흐름이 당시 경기가 매우 좋지 않음을 암시하고 있었다. 반면 경기가 더 나쁠 것으로 예상되었던 2016년에는 오히려 2014년과 2015년 보다는 상황이 개선된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그림 1. 3년만에 처음으로 3월 철강 가격 상승
그림 2. 3년만에 처음으로 3월 가동률 상승 (%) 100
(%) 95
3,500
80
90
80
3,000
60
85
60
2,500
40
80
40
2,000
20
75
20
0
70 13.1
(위안/톤) 4,000
중국 열연 가격 (L) 중국 철강 업체 중 이익나는 업체 비율 (R)
1,500 13.1
13.7
14.1
자료: Mysteel,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4.7
15.1
15.7
16.1
중국 고로업체 가동률 (L) 이익 나는 철강업체 비율 (R)
(%) 100
0 13.7
14.1
14.7
자료: Mysteel,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5.1
15.7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