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X분석 신흥국 통화 반등, 강세 랠리는 어렵다
2016.3.16
[경제]
달러 약세로 신흥국 통화 급락세 진정. 그러나 일시적 현상으로 판단
서대일 02-768-3069 daeil.suh@dwsec.com
미국의 통화 긴축 사이클이 바뀌기 어렵기 때문에 신흥국 통화에 부정적 환경 바뀌지 않아
원/달러 환율은 단기적으로 1, 200원 수준에서 등락, 추가 하락시 달러 비중 확대해야
1)정책당국의 개입 경계, 2) 한국 금리 인하 기대 소멸이 환율 상승 억제, 3) 위안화 등 신 흥국 통화 가치 하락과 4) 미국 금리 인상 기대는 환율 상승을 지지하는 요인
신흥국 통화 강세, 연준 입김에 달려 신흥국 통화가 달러화 대비 5개월 만에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 연준의 OITP 달러인덱스1를 기준으로 보면 3월 신흥국 통화는 약 2% 반등했다.(표3) 그러나 신흥국 통화 강세는 일시적으로 보인다. 지난 주 ECB의 추가 양적완화가 단행
된 이후 신흥국 통화 랠리에 대한 기대가 더해지고 있지만 캐리 투자가 충분히 확 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2008년 이후 Fed 6건, ECB 8건, BOJ 3건 등 17번의 금융완화 조치를 살펴보면, 다른 선진국 정책들 보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 상 기대 약화가 신흥국 통화 안정에 핵심으로 보이는데 미국의 통화 긴축이 무한 히 지연될 가능성은 낮다.
1) 2013년말 연준의 테이퍼링 실시 이후, 신흥국 통화 약세 지속 신흥국 통화 가치는 선진국 금융완화가 단행된 이후 평균 3개월 이후 하락세가 진 정된 것으로 나타났다.(표1,2) 그러나 이 같은 반응은 2013년말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Tapering) 실시 이전과 이후가 달랐다. 2013년말 연준의 자산 매입 축소 이 전에는 신흥국 통화가치가 금융완화 3개월 이후 강세를 나타냈지만 2014년 이후 에는 ECB와 BOJ의 금융완화 이후 신흥국 통화가 오히려 약세를 나타냈다. 그림 1. 달러 약세 전환, 지속 가능성은?
그림 2. 원/달러 환율 상승세도 주춤
(2008.1=100) 135 Fed 달러인덱스 Fed 달러인덱스 (Major 통화대비) 130 Fed 달러인덱스 (OITP신흥국 대비)
(2008.1=100)
(원) Fed 달러인덱스 (OITP신흥국 대비)
130
1600
원/달러 (R) 125
1500
120 115
신흥국 1400 통화 강세 1300
110
1200
105
105
1100
100
100
1000
95
95
900
125 120 115 110
90 08
09
10
11
12
13
자료: Thomson Reuter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4
15
16
17
90
800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자료: Thomson Reuters,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1 미국 연준은 달러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Broad(Major+OITP), Major(유로, 캐나다, 일본, 영국, 스위스, 호주, 스웨덴), OITP(other important trading partners, 기타 19 개국)의 세가지 달러인덱스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