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전망
2014.12.29 투자전략팀
02-768-4153 aram.noh@dwsec.com
[2014년 증시 회고] 사상 유례없는 좁은 박스권 지속 사상 유례없는 좁은 박스권에서 움직인 KOSPI, 글로벌 주요국 대비 부진한 성과 소형주와 대형주의 주가 양극화, 전통적 경기민감주들의 몰락과 중국 소비성장주의 부각
KOSPI, 사상 최저의 변동성 2014년에도 KOSPI는 좁은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KOSPI의 연중 고점과 저 점의 차이는 211p에 불과했다. 2014년 KOSPI의 연간 등락폭(연중 고점–연중 저점)은 이례적으로 좁았는데, 연평균 KOSPI 대비 진폭은 압도적인 사상 최저치였다. 더딘 펀더멘털 회복과 우호적인 글로벌 유동성 여건, 미국 경기 호조와 중국 경기 부진 이라는 대립 구도 속에서 KOSPI는 오르지도 못하고, 쉽게 떨어지지도 않는 엉거주춤한 행보를 이어갔다. 2014년 7~8월 정부 신임 경제팀 취임 이후 배당 및 투자 확대, 부동 산 경기 부양책 등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KOSPI가 2,100p대에 근접하기도 했지만, 박스권을 넘어설만한 동력이 되지는 못했다.
글로벌 주요국 대비 부진한 성과 2014년 KOSPI의 성과는 글로벌 주요국 중 하위권에 머물렀다. 미국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후강통 시행과 아베노믹스 지속으로 일본과 중국 증시도 호조세를 기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 증시의 부진은 더욱 두드러졌다. 한국 증시의 상대적 부진은 엔화 약세 가속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 중국 경기 둔화에 따 른 대중국 수출 부진, 상장사 실적 부진,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 리스크에 기인했다. 결 과적으로 KOSPI는 2013년에 이어 2년 연속 글로벌 평균을 크게 하회하는 부진한 성과 를 기록해 한국 증시 투자자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커질 수밖에 없었다. 그림 1. 연평균 KOSPI와 KOSPI와 연간 진폭 – KOSPI 변동성 사상 최저
그림 2. 주요국 증시 2014년 2014년 연간 등락률 – KOSPI 부진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