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12 추가 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지속[1]

Page 1

주간경제 Preview 2015.4.13

추가 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지속

[경제]

미국 3월 고용지표 부진 이후 달러는 오히려 강세, 그 이유는 주요국 통화정책 기대

김태헌 02-768-4119 taeheon.kim@dwsec.com

BOK, BOJ 정책변화 없었지만 추가 정책기대

금주 중국 1분기 성장률 7% 하회 가능성, 2분기내 금리·지준율 인하 기대

미국 3월 소매판매, 날씨에 따른 부정적 영향 여부 판단 가능성

표 1. 지난 주 주요 경제지표 및 이벤트 일자 국가 4 월 6 일 (월) 미국 4 월 7 일 (화) 유로존 미국 미국 4 월 8 일 (수) 일본 일본 한국 유로존 4 월 9 일 (목) 한국 미국 미국 4 월 10 일 (금) 중국 중국

기간 3월 2월 2월 2월 2월 2월 2월 2월 2월 3월 3월

경제지표 단위 ISM 비제조업지수 Index 생산자물가지수 전년비 % JOLTS 신규고용 천건 소비자신용 십억달러 BOJ 금융정책결정회의 경상수지 십억엔 M2 통화공급 전월비 % 소매판매 전년비 % BOK 금융통화위원회 도매재고 전월비 % 도매판매 전월비 %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비 % 생산자물가지수 전년비 %

발표치

예상치

이전치

56.5 -2.8 5133 15.516

56.5 -2.9 5007 12.500

56.9 -3.5 4965 10.796

603.5 1.0 3.0

605 2.8

1058.1 0.2 3.2

0.3 -0.2 1.4 -4.6

0.2 0.3 1.3 -4.8

0.4 -3.6 1.4 -4.8

자료: Bloomberg,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

지난 주 경제 Review 지난주는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을 크게 하회했지만 미국 달러가 의외로(?) 반등했 다. 아직 미국 경기 둔화가 일시적이고, 다른 국가들에 비해 통화정책 정상화가 빠 를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듯하다. 한국의 추가 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지속되었다. 한국은행 금통위는 4월 기준 금리를 1.75%로 동결하였다. 하지만 분기마다 발표되는 성장률 전망치가 3.1%, 0.9%로 하향조정 되었다(1월 전망치 경제성장률 3.4%). 물가 조정폭은 훨씬 컸다. 물가상승률을 국제유가 하락, 공공요금 인하 등의 요인을 이유로 0.9%로 지난 1월보 다 1.0%p 하향조정 했다. 한국은행 중기 물가목표 수준이 2.5~3.5%임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은 열려 있다. 일본은행도 마찬가지다. 4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했다. 그러나 추가 완 화정책 여지는 남아있다. 일본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전월의 경기

판단을 유지했다. 하지만 모든 지표들이 개선되고 있지는 않다. 대·내외 소비가 개 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산업활동에서의 개선이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우려 된다. 광공업생산은 2월 전년동월대비 -2.6% 감소하며 8개월 연속 악화되고 있다. 2월 자본재출하도 전년동월대비 -5.1%로 3개월 연속 감소해 뚜렷한 투자의 개선도 나 타나지 못하고 있다. 단칸지수에서 나타나는 기업심리도 개선의 정도가 미미하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