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021 중국경제분석 중국의 경기둔화와 정부의 인내력 테스트 [1]

Page 1

경제분석

2014.10.22 [경제] 최홍매 02-768-3439

hongmei.cui@dwsec.com

중국의 경기둔화와 정부의 인내력 테스트 중국의 3분기 GDP 증가율은 2분기 보다 둔화되었지만 정부가 부양카드를 꺼낼 정도 는 아니다. 1~3분기 성장률이 7.4%로 올해 성장률 목표인 “7.5% 정도” 수준과 별 차 이가 없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기 둔화는 재차 확인되었고, 4분기 GDP증가율은 7% 초반으로 예상한다. 1)디플레 우려가 다시 대두되었다. GDP 디플레이터 하락, 물가지수 하락은 수요가 부 진함을 의미한다. 기업들의 재고확충 가능성도 낮아졌다. 2) 산업생산 개선의 지속성 은 의문이다. 9월 반등은 수출 호조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3분기 산업생산 증가율 은 2009년 1분기 이래 최저 수준이다. 3) 철도 투자가 증가했지만 투자 반전에는 역 부족이다. 1~3분기 철도 투자는 4,250억 위안으로 올해 예상치의 절반 수준이다. 하 지만 전체 고정자산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투자 둔화를 반전시킬 정도는 아 니다. 4) 소비가 둔화되고 있다. 5) 부동산 규제 완화에도 둔화는 지속되고 있다. 4분기 이후 중국 경기 위험 요인은 크게 3가지다. 1)부동산 경기 하락 싸이클 지속되 고 있고, 2)소비 증가 가능성이 하락했으며, 3) 수출이 향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경기를 부양시킬 의지가 2분기보다 약하다. 리커창 총리도 “중국 경기가 합리적인 구간에 있다”고 언급하였다. 최근 다양한 방식의 유동성 공급에도 불 구하고, 전체 사회융자 증가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이는 정부는 그림자 금융을 억제하는 대신 그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선별적으로 유동성을 공급 한 것이다. 이는 정부가 성장둔화를 좀 더 용인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4분기 7% 초반의 성장 률이라면 올해 7.4%의 성장률 달성에 무리가 없다. 결론적으로 향후 가장 큰 불확실 성은 성장률 둔화 자체보다 정부가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용인수준이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20141021 중국경제분석 중국의 경기둔화와 정부의 인내력 테스트 [1] by FNGENII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