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기후변화 생태모니터링

Page 1

백두대간 기후변화 생태모니터링 중간보고서 2010.10.22 연구수행기관 한국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강원대학교



PART 1 서 론 ·················································································· 5 제1장 연구개요 ········································································································· 7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7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8

제2장

백두대간의 개념 및 조사지 정보 ························································ 10

1. 백두대간 개념 ··························································································································· 10 2. 조사지 선정 ······························································································································· 13

PART 2 기후 연구 부문 ······························································ 17 제1장 기후변화 개념 정립 ·················································································· 19 1. 기후변화의 정의 및 현상 ······································································································· 19 2. 기후변화의 원인 ······················································································································· 21 3. 우리나라 기후변화 현황 ········································································································· 22 4.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 23 5. 강원도 기후변화 현황 ············································································································· 24 6. 강원도 기후변화 전망 ············································································································· 27

제2장 백두대간 기후 특성 연구 ········································································ 28 1. 조사지점의 현황 및 개요 ····································································································· 28 1) 진부령 권역 ··························································································································· 28 2) 오대산 권역 ··························································································································· 30 3) 태백산 권역 ··························································································································· 31 2. 기후변화 모니터링 분석 ······································································································· 32

PART 3 생태 연구 부문 ······························································ 45 제1장 식 물 ············································································································ 47 1. 과업수행 범위 ··························································································································· 47 2. 식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 48 3. 과업수행 결과 ··························································································································· 49

제2장 무척추동물(곤충) ······················································································· 71 1. 과업수행 범위 ··························································································································· 71 2. 무척추동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 73 3. 과업수행 결과 ··························································································································· 74

제3장 척추동물 ···································································································· 107 1. 과업수행 범위 ························································································································· 107


2. 척추동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 108 3. 과업수행 결과 ························································································································· 109

록 ···························································································· 138 1. 식물 ··········································································································································· 139 2. 무척추동물 ······························································································································· 145 3. 척추동물 ··································································································································· 152


PART 1 서 론



PART 1 서론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과 피해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후 변화는 21세기 대표적인 환경, 경제, 사회 전반적인 분야의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자연생태계가 교란되고 생물 다양성의 감소가 예상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국 내 자연생태계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므로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생태계의 장기적인 변화를 예측하 고 이에 적합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국가적으로 경제 환경적으로 가치가 높은 생물 자원을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하여는 장기간 동 안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야 한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서 생물 종의 이동 및 변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지구의 평균기온이 1.5~2.5℃ 상승하게 되면 전체 동식물 의 20~30%가 멸종 위기에 처한다고 평가 하고 있으며 최근의 기후변화는 과거의 자연적 기후변 화에 비하여 100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온난화가 계속되면서 따뜻 한 기후조건을 선호하는 난대성 식생대가 확장되는 반면 추운기후에 적응한 한대성 식생대가 쇠 퇴하고, 식물의 개화시기가 빨라지며 동물의 서식지가 교란되는 등 다양한 생태적 부작용이 나타 난다. 특히, 고산대, 아고산대 등에서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한대성 동물이나 식물이 피난처를 찾 지 못하고 위기를 맞게 된다. 우리나라의 백두대간은 난대에서 한대에 걸쳐 다양한 식생이 존재 하고 특히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국소 지형적 입지환경에 따라 다양한 동식물이 생존 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다양한 생물종들의 변화로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하는 다양한 생물종들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기후변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는 생물종들의 모니터링은 국가 및 지역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 임이 틀림이 없다. 특히, 강원도의 백두대간은 국토의 상징이며, 풍부하고 다양한 생물 서식지로서 생태적 보전가 치가 매우 뛰어나다. 본 백두대간 기후변화 생태 모니터링 연구는 도내 백두대간의 주요 생태계 의 구조를 파악하고 장기간에 걸쳐 연구 모니터링 하여 향후 백두대간 생태계 관리 정책에 필요 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한반도 자연생태계 중심축인 백두대간 일대의 기후변화로 인한 생물종 변화추이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생태 영향조사 및 D/B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 7 -


PART 1 서론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m 시간적 범위 : 2010.04 ~ 2010.02 (10개월) m 공간적 범위 : 강원도 일원 백두대간 m 내용적 범위 - 백두대간 기후자료 분석 및 기후자료 모니터링 - 백두대간 기후변화 취약종 파악 - 기후변화에 의한 생물종 모니터링

<표 1-1> 년차별 과업추진 범위 년차

연구범위

연구내용

1년차

백두대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생태모니터링 기반 구축

백두대간 기후변화 현황 및 권역별 기후변화 분석 백두대간 생태모니터링 사례 분석 및 조사구 선정, 동물 및 식물 생태계 조사, 취약종 혹은 기후변화 지표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2년차

백두대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생태모니터링 조사

백두대간내 권역별 기후변화 분석 및 모니터링 기후변화 관련 생태 모니터링, 조사지역 생물상조사, 기후변화 모니터링 실시, 백두대간에 기후변화 취약 종 파악 및 조사, 백두대간 생물 모니터링 이동조사구 선정 및 조사

3년차

백두대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생태모니터링 조사

백두대간내 권역별 기후변화 분석 및 모니터링 기후변화관련 생태 모니터링, 조사지역 생물상조사, 기후변화 모니터링 실시, 백두대간에 기후변화 취약 종 파악 및 조사,

4년차

백두대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생태모니터링 조사

백두대간내 권역별 기후변화 분석 및 모니터링 기후변화관련 생태 모니터링, 조사지역 생물상조사, 기후변화 모니터링 실시, 백두대간에 기후변화 취약 종 파악 및 조사, 백두대간 생물 모니터링 이동 조사구 선정 및 조사

5년차

백두대간 기후변화 모니터링 생태모니터링 조사, GIS 기반 DB 구축

백두대간 기후변화 전망 분석 및 권역별 기후변화 모니터링 기후변화관련 생태 모니터링, 조사지역 생물상조사, 기후변화 모니터링 실시, 기후변화 DB 구축

- 8 -

비고


PART 1 서론

2) 연구방법 본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기후변화센터와 강원대학교 가 함께 연구기관별 업무분담에 의 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그림 1-1> 연구추진체계

<그림 1-2> 분야별 세부 연구수행 내용

- 9 -


PART 1 서론

연구기관별 공동 연구에 의한 본 과업을 수행하며,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백두대간 기후 변화 모니터링 분석 및 기후변화에 의한 생물 다양성 및 영향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를 위한 조사 및 분석을 담당하는 파트와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2장 백두대간의 개념 및 조사지 정보 1. 백두대간 개념 1)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른다.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친 영향을 고려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인식 체계이다.

<그림 1-3> 백두대간 개념도 출처 : 산림청

2) 백두대간의 구성(체계도)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표시된 15개의 산줄기들은 10개의 큰강에 물을 대는 젖줄이자 그것 을 구획하는 울타리 이다. ¦ 1대간 백두대간(백두산~두류산~금강산~설악산~오대산~태백산~속리산~덕유산~지리산) ¦ 1정간

- 10 -


PART 1 서론

장백정간(원산~서수리곶산) ¦ 13정맥 청북정맥(낭림산~미곶산), 청남정맥(낭림산~광량진), 해서정맥(개연산~장산곶), 임진북예성남정 맥(개연산~풍덕치), 한북정맥(분수령~장명산), 한남정맥(칠현산~문수산), 한남금북정맥(속리산~칠 현산), 금북정맥(칠현산~안흥진), 금남정맥(마이산~조룡산), 금남호남정맥(장안치~마이산), 호남정 맥(마이산~백운산), 낙동정맥(태백산~몰운대), 낙남정맥(지리산~분산) - 산이름으로 된 것(2개) : 백두대간, 장백정간 - 지방이름으로 된 것(2개) : 호남정맥, 해서정맥 - 강이름으로 된 것 (11개) ¦ 10대강 두만강,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예성강, 임진강, 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강

3) 백두대간의 식물상 동물상 전체 식생과 식물상에 대한 규명은 아직 미흡하나 지난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 동안 한 NGO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리산 천왕봉(1,915m)에서 향로봉(1,296m)까지 남한의 백두대간 능선부 상에만 총 120과 1,326종의 식물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에는 다수의 희귀 식물들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한반도 전체식물 4,071종의 33%가 분포하는 것으로 백두대간이 우리나라 생물종 다양성의 보고로 손색이 없음을 말해 준다. 백두대간에서 확인된 야생 동물의 종은 포유류 17종, 조류 4종, 양서류 2종, 파충류 4종 등 27 종이다. <산림청, 2006 백두대간 백서>

4)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현황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로서 국토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연 생태계의 핵심 축으로서 보전의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백두대간 중 생태계·자연 경관 또는 산림 등에 대하여 특별히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으로 구분된다. 핵심구역은 백두대간의 능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구역을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을 말하고, 완충구역은 핵심구역의 연접지역으로서 핵심구역의 보호상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한반도 백두대간 중 남한 지역(강원도 고성군 향로봉 에서부터 시작하여 경남 산청군 지리산 천왕봉까지)의 산계(山系)의 연속성을 가진 백두대간 마루금 및 주변 지역(총길이 약 1,400㎞, 남한지역 684㎞)으로 6개 도, 32개 시·군(12개 시, 20개 군), 108개 읍·면·동의 범위에 이르고, 면적은 263,427ha(7,306필지)

- 11 -


PART 1 서론

이다. 여기서 핵심구역 169,950ha(65%), 완충구역은 93,477ha(35%) 이다. <표 1-2> 백두대간 보호지역 면적 구분

보호지역 지정(안) 면적(ha) 계

핵심구역

%

완충구역

%

263,472

169,950

65

93,477

35

강원도

133,908

94,143

70

39,765

30

충청북도

35,616

12,001

34

23,615

66

전라북도

17,887

14,329

80

3,558

20

전라남도

5,223

3,420

65

1,803

35

경상북도 47,841 31,961 경상남도 22,952 14,096 전 국토의 2.6%, 산림면적의 4.0%를 차지

67 61

15,880 8,856

33 39

<그림 1-4> 백두대간 보호지역 지정도면 (왼) 전체구간, (오) 강원지역

5) 백두대간의 가치 인문지리적 측면으로 백두대간·정간·정맥 모두 산계(山系)의 연속으로 인식하여 우리 국토에 대 해 지리적으로 일체감을 갖게 하고, 유역을 가르는 분수계(分水界, watershed)로서 국토 공간구 조의 골격이자 생활 영역과 문화양식의 기반이 되는 민족의 인문적 바탕이다. 자연생태적 측면에서는 생물종이 다양하고 풍부한 한반도의 생태축으로 대륙의 야생 동ㆍ식물 이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이동통로이자 서식지이다. 주요 산들이 자리 잡은 한반도의 지붕이며, 한 강ㆍ금강ㆍ낙동강 등 5대 강의 발원지로서 생명력이 시작되고 이어지는 중심지이다. 산업적 측면

- 12 -


PART 1 서론

에서의 가치를 보면 산림자원의 비축기지로서 천연림이 많이 분포하는 대표적인 산림지대이며, 입지와 자원의 특성에 기인한 농림업, 광업 및 휴양관광 등의 산업적 이용 기회 제공 한다. 문화 적 측면에서 백두대간은 민족정기의 상징이며 귀중한 문화유산의 터전이며, 국립공원 등이 입지 하여 여가와 휴양ㆍ생태관광 및 교육장소로서 역할을 한다.

2. 조사지 선정 m 조사지 선정 강원도내 백두대간 권역 기후변화 모니터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3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 하였다. 제 1권역은 진부령권역이고, 제 2권역은 오대산 권역, 제 3권역은 태백산권역으로 구분하여 강원도내 백두대간권역내 기후변화 현상을 모 니터링 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권역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되는 해발고를 중심으로 동쪽사면과 서쪽사면의 유사한 해발고를 고려하여 조사지를 선정하였으 며, 각 권역의 정상 부위에도 조사지를 선정하여 해발고와 기후와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강원도내 백두대간을 남북으로 구분하여 고위도와 저위도의 기후변화 차이를 분석 하기 위하여 조사지를 선정 하였다. 각각의 기후변화모니터링 조사지는 생태모니터링 조사지와 동일하게 구성되었으며, 기후변화 모니터링과 함께 생태모니터링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백두대간을 동서, 남북 방향으로 구분하여 기후인자를 조사 한 연구보고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연구이다. 다만, 몇몇의 연구가 생물종의 생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특정 조사지역에 기후인자를 분석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을 뿐이다. 1) 제 1권역 - 진부령 일원(조사지 3개소 선정) : 고도별, 권역별 고려 선정 - 백두대간 능선부위(칠절봉근처, 해발고 1,020m) 1개소 - 영서권역 1개소(해발고 702m) - 영동권역 1개소(해발고 316m) 2) 제 2권역 - 오대산 국립공원내(진고개 일원) : 고도별, 권역별 고려 선정 - 백두대간 능선부위(진고개 정상, 해발고 1,062m) 1개소 - 영서권역 1개소(해발고 741m) - 영동권역 1개소(해발고 668m) 3) 제 3권역 - 태백산 권역 : 고도별, 권역별 고려 선정

- 13 -


PART 1 서론

- 백두대간 능선부위(만항재 일원, 해발고 1,149m) 1개소 - 영동권역 1개소(태백산도립공원 일원. 해발고 831m) - 영동권역 1개소(태백산도립공원 일원. 해발고 947m) - 영서권역 1개소(해발고 685m)

<그림 1-5> 백두대간 조사지 권역

<그림 1-6> 제 1권역 (진부령 권역)

- 14 -


PART 1 서론

<그림 1-7> 제 2권역 (오대산 권역)

<그림 1-8> 제 3권역 (태백산 권역)

m 조사 방법 선정된 10개 조사지역의 고도별, 권역(영동, 영서), 남북(진부령,태백산권역)의 강원도내 백두대 간 권역 기후변화 현상을 조사하였다. - 소형 기후기록장치(HOBO 측정장비)에 의한 기상인자 분석 - 조사내용 : 온도, 습도, 조도측정 * 매 1시간 간격으로 온도, 습도, 조도 측정 후 * 기록된 기상인자를 매달 간격으로 downloading 한 후 분석 * 하절기 기간은 매달간격으로 downloading * 동절기 기간은 3달 간격으로 downloading

- 15 -


PART 1 서론

<그림 1-9> 조사지 전경 및 기상측정 장비 설치

- 16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PART 2 기후 연구 부문

제1장 기후변화 개념 정립 1. 기후변화의 정의 및 현상 IPCC에서 말하는 기후변화는 기후 특성의 평균이나 변동성의 변화를 통해 확인 가능하고 (예: 통계 분석을 통해) 수십 년 혹은 그 이상 오래 지속되는 기후상태 변화를 뜻한다. 자연적 변동성 때문이든 인간 활동에 따른 결과이든 시간 경과에 따른 모든 기후변화를 일컫는다. 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서 말하는 기후변화는 지구 대 기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인간 활동에 직․간접 원인이 있고 그에 더해 상당한 기간 동안 자연적 기후변동이 관측된 것을 말한다. (IPCC 종합보고서, 2007) 기후변화란 실제 혹은 예측되는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최대화하는 기후변 화 대응방안이라고 하였다. (환경부, 2009)

<그림 2-1> 인위적 기후변화 동인과 영향, 대응 체계도 자료: 2007 종합보고서 IPCC

IPCC 종합보고서에 의하면 2005년과 1998년은 지구 지표온도 기록에서 1850년 이래 가장 더 웠고, 지구 평균 지표온도는 1950년 이후로 계속 증가했다. 기온상승은 전 지구적으로 널리 일어 나고 있고, 북반구 고위도일수록 더 크게 나타난다. 북극평균 기온은 지난 100년 동안 지구 평균 의 거의 두 배 속도로 상승했다. 또한 육지 지역이 해양보다 빠르게 온난화 되었다. 지구온난화에 의해 대류권의 수증기는 증가하고 있으며, 구름 변화는 ENSO1)에 의해 좌우된다. 1) 엘리뇨-남방진동(ENSO) : 대기와 적도 태평양의 결합 변동으로, 주로 2년 ~약 7년 동안 일어난다. 타히티(Tahiti)와 다윈(Darwin)의 해면기압 변화의 차이와 적도태평양 중부와 동부의 SST를 토해 측정된다. ENSO는 전지구젖 원격상관(teleconnection)이 있다.

- 19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해수면 상승은 온난화와 일치하는데, 지구평균 해수면은 1961~2003년에는 1.8[1.3~2.3]mm/yr 속도로 상승했고, 1993~2003년에는 3.1[2.4~3.8] mm/yr 속도로 상승했다. 관측된 눈과 얼음 범위의 감소 역시 온난화와 일치한다. 1990년부터 2005년까지 강수량의 장기적 경향이 여러 지역에서 관측되었고, 집중호우 빈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전보다 더 강하고 장기적 가뭄이 1970년 이후 여러 20세기에 빙하와 만년설은 대대적인 질량손실을 겪었고, 그러면서 해수면 상승에 기여했고, 해양 온난화는 지구 해양의 상층 부 700m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해수면 상승속도가 가속되었다. 극단적 기상현상은 지난 50년 동안 그 빈도와 세기가 변했는데, 대부분의 육지 지역에서 추운 낮, 추운 밤, 서리의 빈도는 감소하였고 더운 낮과 더운 밤의 빈도는 증가했다. 모든 대륙과 대부 분의 해양에서 나온 관측치 증거를 보면, 많은 자연계가 지역적 기후변화, 특히 기온상승의 영향 을 받고 있다. 눈, 얼음, 동토 (영구동토 포함)에 관련된 자연계가 영향 받고 있고 빙하나 눈이 유 입되는 강에서 유출량(runoff)이 증가하고 봄철 최고 배출 시기가 빨라졌으며, 여러 지역에서 호 수와 강이 온난화 되어 열적 구조와 수질이 영향 받고 있다.

<그림 2-2> 기온, 해수면 및 북반구 적설(Snow cover)의 변화 (a) 지구 평균 지표온도 변화, (b) 지구 평균 해수면 변화 (파란색: 검조계 데이터, 붉은 색: 위 성 데이터), (c) 북반구 3~4월 적설(Snow cover) 변화. 모두 1961~1990년 기간의 해당 평균에 비한 변화이다. 평활화된 곡선은 10년 평균, 동그라미는 연평균을 나타낸다. 음영 부분은 알려진 불확실성(a와 b)과 시계열(c)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추정된 불확실성 구간이다.

나뭇잎 개엽, 철새도래, 산란과 같은 봄철 현상의 발생시기가 더 빨라졌고, 동식물 종의 범위가 극지 쪽으로 상향 되면서 온난화가 육지 생물계에 강하게 영향 주고 있다. 또한, 해양 및 담수 생 물계에서 조류, 플랑크톤, 어류의 서식범위 이동과 종류의 변화는 해수온도 상승뿐 아니라 그에 관련된 얼음 커버, 염도, 산소 농도, 순환과도 연관 있다.

- 20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2. 기후변화의 원인 IPCC에서는 대기 중 온실가스(GHGs)와 에어러솔, 토지피복도(land cover) 그리고 태양복사량 의 변화는 지구기후시스템의 에너지 균형의 변화를 초래하며, 대기와 지표에서 복사의 흡수, 산 란, 방출에 영향을 끼치는 기후변화의 원인이라고 하였다. 인류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한 지구 온 실가스(GHGs) 배출량은 산업화 이전시대부터 증가하여 왔으며, 1970년부터 2004년 사이에는 70%나 증가하였다. 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의 지구 평균 대기 중 농도는 1750년 이후 인간 활동의 결 과 현저하게 증가하여 왔으며 수천 년 동안 존재하여 온 빙핵(ice core)을 통해 알아낸 산업화 이전의 값들을 크게 상회한다.

<그림 2-3> 지구 전체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 (a) 1970년부터 2004년까지 지구 전체의 인위적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 (b) CO2와 비교한 2004 년도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 (c) 2004년도 인위적 온실가스 CO2의 각 부문별 발생비율(삼림은 벌채를 포함)

2005년에 CO2와 CH4의 대기 농도는 지난 650,000년 동안의 자연적 범위를 훨씬 초과했다. CO2농도의 전 지구적 증가는 주로 화석연료 사용 때문이고, 화석연료보다 기여도는 낮지만 토지 사용 변화도 중요하게 기여한다. CH4 농도에서 관측된 증가는 지배적으로 농사와 화석연료 사용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N2O 농도의 증가는 주로 농사 때문이다. CO2, CH4, N2O, 기타 중요한 요소 및 메커니즘의 1750년 대비 2005년의 지구평균 복사강제 력(RF), 강제력의 일반적 지리적범위(공간적 범위), 과학적 이해 수준 평가치(LOSU). 화산폭발로 방출된 에어러솔은 폭발 후 몇 년 동안에도 추가 일시적 냉각에 기여한다. 선형 비행운의 범위에 비행이 운량에 끼치는 다른 효과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21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그림 2-4> 기후변화 원인과 결과 자료:Hadley Center, UK. 내부자료에서 인용

3. 우리나라 기후변화 현황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1912~2008) 동안 1.7℃ 기온 상승과 강수량의 증가, 극한 저온 일수 감소 및 고온 일수 증가, 호우 일수 증가 및 강수일수 감소, 계절길이의 변화 등 기후변화에 의한 다양한 징후가 나타났다. IPCC(2007)에 의하면 전세계 평균 기온은 지난 100년간 약 0.74℃ 상승하였다. 1912~2008년까지 100년간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 상승률은 1.7℃로 전지구 평균기온 상승률 에 비해 높다. 1950년대 이후에 기온 상승률은 20세기 전체 기간에 비해 약 1.5배 이상 증가했 고, 특히 겨울에 가장 크게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최근 10년 동안 20세기 초반 10년에 비해 약 19%(220mm) 강수량이 증가하였다. 1910년 이래로 평균 강수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1950년 후반 이후 연 강수량은 증가하고 있으 나, 강수일수는 줄어들고 있어, 강수강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여름철에 강우량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겨울철은 기온상승으로 인해 강설이 강우의 형태로 바뀌고 있다. 지난 20세기 동안 온난야, 여름일수 등 고온과 관련된 기후 지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한랭아, 한파일, 서리일 등 저온 관련 극한 기후 현상의 발생빈도는 감소하고 있다. 1920년대 이래로 서 리일은 22-51일/100년, 참겨울일은 4-21일/100년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열대야는 4-10일/100 년의 비율로 증가하였다. 1954년 이래로 온난야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는데, 1990년대 후반 이 래로 극한강수의 발생이 많아졌다. 1950년대와 비교해 약 53%가 증가하였고, 특히 여름철 집중 호우에 의한 피해가 많아졌다.

- 22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그림 2-5> 1912-2008년6개 관측지점 (서울,인천, 강릉, 대구, 목포, 부산)의 평균기온(℃)과 강수량(mm) 자료 : 기후변화이해하기2, 기상연구소

온난화는 우리나라 사계절의 개시일과 지속기간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지난 80년간 겨울철 개시일이 늦어지고 종료일은 빨라져 겨울철 지속기간이 22-29일 짧아졌고, 봄철 지속기간은 6-16일, 여름철 지속기간은 13-17일 증가하였다.

<그림 2-6> 우리나라 6개 지점(인천, 서울, 강릉, 전주, 대구, 부산)에서 1920년 1990년 사이의 사계절 길이 변화 자료 : 기후변화 이해하기2, 기상연구소

4. 우리나라 기후변화 전망 A1B시나리오를 통해 1971-2000년 대비 2071-2100년의 기온은 4℃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겨울에 기온상승이 뚜렷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 최저기온의 상승으로 기온 연교차는 감소할 것이 다. A1B시나리오를 통해 1971-2000년 대비 2071-2100년에는 17% 강수량 증가가 예측된다. 특히, 기온상승이 심한 지역의 강수가 심하고, 호우의 발생 빈도가 증가 할 것을 예측하였다.

- 23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그림 2-7> 한반도 지역의 20세기말(1971-2000년) 대비 기온(℃) 및 강수량(%) 변화)

우리나라는 저온일 감소와 고온일 증가와 함께 지구온난화에 의한 극단적인 기후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21세기 말에는 강수량이 증가해도, 기온상승에 의해 가뭄이 심화될 것이고, 서 리일수와 결빙일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A1B시나리오에 의하면 미래 우리나라는 아열대화의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2021-2050년에는 남해안과 동해안지역이 아열대 기후구에 속하고, 2071-2100년에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등의 산지를 제외한 내륙지역까지 아열대 기후구가 확장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온난화로 인해 봄과 여름의 시작이 빨라지고, 가을과 겨울의 시작이 늦어지면서 여름철 기간이 길어질 것을 예측했다.

5. 강원도 기후변화 현황 1970년부터 2008년까지의 강원도내 11개 기상대 및 관측소 기후인자 data를 이용한 강원도 기후변화 현황은 다음과 같다.(2010, 강원도) 강원도의 10년 평균치를 비교하여 보면 대체적으로 과거에 비하여 온도가 상승 하였다. 또한 영서지방과 영동지방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평균 온도는 영동지방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우리 나라 과거 30년(1970 ~2000년) 평균 온도는 12.2℃이고, 강원도의 과거 30년 동안의 평균온도 는 10.5℃로서 우리나라 평균온도보다 약 1.7℃정도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 24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표 2-1> 강원도 영동․영서지방 평균온도 변화의 비교 구분

영동

지역

년도(℃) 1970

1980

1990

2000

속초

12.1

11.8

12.4

12.4

강릉

12.7

12.6

13.4

13.5

13.0

12.6

12.2

12.9

12.8

10.5

10.1

10.2

동해 평균

12.4

철원

영서

춘천

10.8

10.7

11.2

11.4

원주

10.6

10.3

11.4

11.9

10.7

10.8

9.7

10.0

10.5

9.9

10.3

10.7

10.2

10.6

10.9

영월 인제

10.0

홍천

10.2

평균 10.4 자료 : 강원도 기후변화 적응 기본계획

비고 0.4℃ 증가 (1970년대 대비 2000년대), 3.2%증가

0.5℃ 증가, (1070년대 대비 2000년대), 4.8%증가

<그림 2-8> 강원도 영동·영서지방 평균온도 변화

강수량의 10년 평균치는 2000년대가 1970년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 히 여름기간 동안 주로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고, 12월이 가장 적은 강수를 보인다. 영서지방과 영동지방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평균 강수량은 1990년대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영동지방이 더 많은 강수를 보이고 있었다.

우리나라 과거 30년(1971~2000년)

평균 강수량은

1302.1mm/year, 강원도의 과거 30년 동안의 평균 강수량은 1278.1mm/year로서 우리나라 평균 강수량보다 약 24mm/year정도 낮은 경향을 보인다.

- 25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표 2-2> 강원도 영동․영서지방 강수량 변화의 비교 년도(mm/year) 구분

영동

지역

비고 1970

1980

1990

2000

속초

1308.9

1283.9

1436.1

1464.9

강릉

1365.2

1390.8

1477.5

1587.0

1102.8

1446.0

1337.3

1338.8

1499.3

1123.4

1399.2

1365.9

동해 평균

1337.0

철원

영서

춘천

1260.1

1210.1

1381.0

1390.9

원주

1015.0

1268.3

1382.0

1374.2

1204.2

1244.1

영월 인제

830.8

1078.1

1213.9

1280.2

홍천

925.7

1229.7

1456.6

1511.7

평균

1007.9

1181.9

1339.5

1361.1

162.3mm/year 증가(1970년대 대비 2000년대) 12.1% 증가

353.2mm/year 증가(1970년대 대비 2000년대) 35%증가

자료 : 강원도 기후변화 적응 기본계획

<그림 2-9> 강원도 영동·영서지방 강수량 변화

강원도의 평균 최고기온은 10년 평균치를 비교하여 보면 대체적으로 과거에 비하여 온도가 상 승하였으며, 영서지방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최저기온의 경우 1970대와 비교하여 2000년대는 상 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영동지방이 영서지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인다. 고온일과 저온일을 분석한 결과 강원도 지방의 30℃이상의 고온일수는 1970년대와 비교 하여 2000년대에는 증가했고, 특히 원주와 춘천지역이 고온일수가 가장 많았다. 강원도의 -10℃ 이하의 저온일을 비교하여 보면 1970년대와 비교하여 1980년대를 제외하고는 점차적으로 낮아 지고 있다.

- 26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그림 2-10> 왼) 강원도 10년별 30℃이상 고온일 변화 오) 강원도 10년별 -10℃이하 저온일 변화

강원도는 봄철의 경우 1970년대와 비교하여 2000년대는 약 8일정도 빠르게 시작하고, 여름철 의 경우 10일정도 빠르게 시작하고 있으며, 가을 및 겨울철의 경우도 전체적으로 1970년대와 비 교하여 늦게 계절이 시작되고 있다. 계절의 길이는 강원도 전반에 걸쳐서 겨울철이 약 19일정도 짧아지고, 여름철의 경우는 약 19일 정도 증가하고 있다.

6. 강원도 기후변화 전망 2010, 강원도에서 강원도 기후변화 전망은 연평균 값의 경우 현재 약 8.84℃에서 100년 후 CSIRO모델의 경우 2.331℃ 상승, NIES모델의 경우 3.007℃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여름 철 기온 값은 현재 약 20.481℃에서 100년 후 CSIRO모델의 경우 2.355℃ 상승하였고, NIES모 델의 경우 3.283℃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NIES 및 CSIRO모델의 A1B시나리오에 근거한 이러한 온도 변화 추세로 미루어 볼 때, 강원도 의 기온상승 양상은 매우 명확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여름철의 온도 상승률보다는 겨울철 온도 상승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의 과거 30년 평년 강수량 값 중 연평균 값은 현재 약 3.720mm/day에서 100년 후 CSIRO모델의 경우 0.103mm/day 상승, NIES모델의 경우 0.625mm/day 상승하는 것으로 전망되 었다. 계절별로 30년 단위의 변화추세를 조사한 결과, 불규칙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27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제2장 백두대간 기후 특성 연구 1. 조사지점의 현황 및 개요 <표 2-3> 조사지점 정보 권역

진부령

오대산

태백산

조사 지점

좌표

해발고

1

N38°15' 53.01" E128°20' 1.94"

1020m

2

N38°16' 0.31" E128°23' 7.14"

702m

3

N38°17' 3.36" E128°21' 40.76"

316m

4

N37°44' 31.86" E128°37' 11.08"

741m

5

N37°45' 58.29" E128°36' 20.22"

1062m

6

N37°47' 10.76" E128°37' 9.83"

668m

7

N37° 7' 22.90" E128°57' 32.88"

831m

8

N37° 7' 4.18" E128°54' 37.02"

947m

9

N37° 9' 38.22" E128°53' 10.35"

1149m

10

N37° 6' 36.02" E128°51' 30.24"

685m

비고

인제 국유림 관리사업소 양양 국유림 관리사업소

오대산 국립공원관리공단

태백산 도립공원 영월 국유림 관리사업소

1) 진부령 권역 진부령 일원 백두대간 능선부위(칠절봉근처, 해발고 1,020m)와 영서권역 1개소(해발고 702m), 영동권역 1개소(해발고 316m)의 3지점을 선정하였고, 현재 인제, 양양 국유림 관리소에서 관리하 고 있다.

- 28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그림 2-1> 백두대간 진부령 권역 지점

- 29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2) 오대산 권역 오대산 국립공원내(진고개 일원)의 백두대간 능선부위(진고개 정상, 해발고 1,062m)와 영서권 역 1개소(해발고 741m), 영동권역 1개소(해발고 668m)를 선정하였으며, 현재 오대산 국립공권관 리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림 2-2> 백두대간 오대산 권역

- 30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3) 태백산 권역 태백산 권역으로 백두대간 능선부위(만항재 일원, 해발고 1,149m)와 영동권역 1개소(태백산도 립공원 일원해발고 831m), 영동권역 1개소(태백산도립공원 일원, 해발고 947m), 영서권역 1개소 (해발고 685m)를 선정하였으며, 현재 태백산 도립공원과 영월 국유림 관리사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 31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그림 2-6> 백두대간 태백산 권역 지점

2. 기후변화 모니터링 분석 1) 기후변화 모니터링 (1) 평균온도 분석

<표 2-4> 각 조사지역의 월별 평균온도 변화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17.3

18.5

19.9

18.6

진부_2 (702m)

19.2

20.4

21.6

20.4

진부_3 (316m)

20.0

22.1

23.0

21.7

18.8

20.3

21.5

20.2

오대_4 (741m)

17.6

19.5

20.9

19.3

오대_5 (1062m)

17.4

19.0

20.5

19.0

오대_6 (668m)

19.1

20.9

22.0

20.7

소평균

18.1

19.8

21.1

19.7

태백_7 (831m)

소평균

19.0

20.5

22.0

20.5

태백_8 (947m)

17.8

19.4

21.0

19.4

태백_9 (1149m)

17.3

18.5

20.2

18.7

태백_10 (685m)

18.5

20.1

21.5

20.0

소평균

18.2

19.6

21.2

19.7

평균

18.3

19.9

21.3

19.8

평균기온의 경우 6월부터 8월까지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별 평균기온의 경우 3개 권역에서 모두 8월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고도별 평균기온의 차이는 모든 권역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이 높은 지역에 비하여 평균온도가 높게 분석되고 있었다. 특히, 진부 권역의 경우는 해발고

- 32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가 낮은 지역(약 300m)에 비하여 높은 지역(1,020m)은 평균온도가 3.3℃정도차이가 나게 되어 해발고 100m간 온도의 변화는 0.47℃정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다른 권역에서도 이 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권역별 차이는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원권역의 백두대간 남과 북 지점의 차이는 해발고를 기준으로 볼 때 남쪽지역에 위치한 태백권역의 경우가 진부권역이나 오대권역과 거의 유사한 평균온도의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진 부권역의 경우 해발고 1,020m의 평균온도는 18.6℃이였고, 오대산권역의 해발고 1,062m의 경우 평균온도는 19.0℃이였고, 태백권역의 해발고 1,149m의 경우 평균온도가 18.7℃로서 크게 차이 가 나지 않지만 해발고를 고려할 경우 남쪽지역이 북쪽지역보다 평균온도가 보다 높을 것으로 분 석되나,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되므로 차후의 연구에서는 같은 해발고를 조사지점으로 하여 다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표 2-5> 권역별 해발고에 따른 온도의 변화 관계 분석 권역별(℃) 진부

오대

태백

300

21.9

21.7

21.0

400

21.5

21.3

20.6

500

21.1

20.9

20.2

600

20.7

20.5

19.8

700

20.3

20.1

19.4

800

19.9

19.7

19.0

900

19.5

19.3

18.6

1000

19.1

18.9

18.2

1100

18.7

18.5

17.8

온도(℃)

해발고 (m)

25.0 24.0 23.0 22.0 21.0 20.0 19.0 18.0 17.0 16.0 15.0

진부

300

500

오대

700 해발고(m)

- 33 -

태백

900

1100


PART 2 기후 연구 부문

권역별 평균온도에 따른 온도변화관계 분석 <표 2-6> 월별, 권역별 해발고에 따른 온도의 변화 관계 분석 6월(℃)

7월(℃)

8월(℃)

해발고 (m)

진부

오대

태백

진부

오대

태백

진부

오대

태백

300

20.2

20.8

21.4

22.3

22.6

23.6

23.3

23.3

24.9

400

19.8

20.4

20.9

21.8

22.1

23.0

22.9

22.9

24.4

500

19.4

20.0

20.4

21.3

21.6

22.4

22.5

22.5

23.9

600

19.0

19.6

19.9

20.8

21.1

21.8

22.1

22.1

23.4

700

18.6

19.2

19.4

20.3

20.6

21.2

21.7

21.7

22.9

800

18.2

18.8

18.9

19.8

20.1

20.6

21.3

21.3

22.4

900

17.8

18.4

18.4

19.3

19.6

20.0

20.9

20.9

21.9

1000 1100 1200

17.4 17.0 16.6

18.0 17.6 17.2

17.9 17.4 16.9

18.8 18.3 17.8

19.1 18.6 18.1

19.4 18.8 18.2

20.5 20.1 19.7

20.5 20.1 19.7

21.4 20.9 20.4

<그림 2-8> 월별, 권역별 온도변화관계 분석

월별로 권역을 묶어서 온도변화관계를 분석한 결과 6,7,8월 모두 고도와 온도의 반비례 관계 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는데 일반적인 고도와 온도와의 관계와 일치한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월마다 그 정도의 차이는 있었는데 6월달과 8월의 그래프의 기울기 정도는 비슷하나 7월달의 그

- 34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래프 기울기의 가파르게 나타난다. 이는 같은 고도를 기준으로 할 때 7월달은 고온이 시작되므로 온도의 변화폭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권별별로 구분해본 결과 진부령과 오대산 권역의 기울기는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태백산 권역 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나타난다. 이는 태백산 조사시점의 해발고도가 다른 권역보다 약간 높게 정해진 결과로 보여진다. (2) 최고온도 분석

<표 2-7> 각 조사지역의 월별 최고온도 변화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23.6

24.4

26.3

24.8

진부_2 (702m)

26.3

27.9

28.3

27.5

진부_3 (316m)

28.7

31.5

31.5

30.6

26.2

27.9

28.7

27.6

오대_4 (741m)

소평균

25.6

25.6

27.5

26.2

오대_5 (1062m)

26.3

34.0

36.6

32.3

오대_6 (668m)

25.6

27.9

29.1

27.5

25.8

29.2

31.1

28.7

태백_7 (831m)

소평균

27.5

27.9

32.3

29.3

태백_8 (947m)

25.2

25.6

27.5

26.1

태백_9 (1149m)

25.6

25.2

26.7

25.8

태백_10 (685m)

27.9

25.6

29.5

27.7

소평균

26.5

26.1

29.0

27.2

평균

26.2

27.7

29.6

27.8

최고기온의 경우 6월부터 8월까지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월별 최고기온의 경우 3개 권역에서 모두 8월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고도별 평균기온의 차이는 모든 권역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이 높은 지역에 비하여 최고온도가 높게 분석되고 있었다. 특히, 진부 권역의 경우는 해발고 가 낮은 지역(약 300m)에 비하여 높은 지역(1,020m)은 평균온도가 5.2℃정도차이가 났다. 그리 고 다른 권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권역별 차 이는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원권역의 백두대간 남과 북 지점의 차이는 해발고를 기준으로 볼 때 남쪽지역에 위치한 태백권역의 경우가 진부권역이나 오대권역과 거의 유사한 평균온도의 변화 를 보이고 있었다.

- 35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3) 최저온도 분석

<표 2-8> 각 조사지역의 월별 최저온도 변화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14.7

12.6

14.1

13.8

진부_2 (702m)

11.8

13.7

15.6

13.7

진부_3 (316m)

11.8

15.6

17.5

15.0

12.8

14.0

15.7

14.2

오대_4 (741m)

9.0

13.3

15.2

12.5

오대_5 (1062m)

11.0

12.9

14.9

12.9

오대_6 (668m)

12.2

14.1

16.4

14.2

10.7

13.4

15.5

13.2

태백_7 (831m)

12.2

12.9

17.1

14.1

태백_8 (947m)

11.0

13.3

16.4

13.6

태백_9 (1149m)

11.8

13.7

15.2

13.6

태백_10 (685m)

소평균

소평균

10.2

14.5

17.1

13.9

소평균

11.3

13.6

16.5

13.8

평균

11.6

13.7

15.9

13.7

최저기온의 경우는 6월부터 8월까지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저기온이 가장 낮은 달은 6월로 분석되었고, 고도별 최저기온의 차이는 모든 권역에서 해발고가 높은 지역이 낮은 지역에 비하여 최저온도가 낮게 분석되고 있었다. 권역별 차이는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원권역의 백두대간 남과 북 지점의 차이는 해발고를 기준으로 볼 때 남쪽지역에 위치한 태백권역의 경우가 진부권역 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고 있다.

- 36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4) 상대습도 분석 <표 2-9> 각 조사지역의 월별 상대습도 변화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78.7

92.1

91.4

87.4

진부_2 (702m)

79.5

91.1

91.8

87.5

진부_3 (316m)

81.9

87.6

90.9

86.8

80.0

90.3

91.4

87.2

오대_4 (741m)

소평균

85.8

94.8

96.2

92.3

오대_5 (1062m)

82.3

91.9

93.0

89.1

오대_6 (668m)

79.0

87.0

89.7

85.2

82.4

91.2

93.0

88.9

태백_7 (831m)

79.9

87.8

89.2

85.7

태백_8 (947m)

83.2

91.0

91.9

88.7

태백_9 (1149m)

83.0

93.7

93.7

90.1

태백_10 (685m)

85.3

92.8

94.9

91.0

소평균

82.8

91.3

92.4

88.9

평균

81.7

90.9

92.3

88.3

소평균

상대습도의 경우는 모든 권역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월별차이는 강우가 많았던 8월 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상대습도는 해발고별로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있었다. 상 대습도는 식생의 타임 및 식생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만, 본연구의 식 생모니터링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 37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5) 최소습도 분석 <표 2-10> 각 조사지역의 월별 최소습도 변화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43.0

56.8

67.8

55.9

진부_2 (702m)

36.5

62.1

64.5

54.4

진부_3 (316m)

39.5

50.7

57.4

49.2

39.7

56.5

63.2

53.1

오대_4 (741m)

소평균

32.0

50.0

66.2

49.4

오대_5 (1062m)

34.0

44.5

34.8

37.8

오대_6 (668m)

38.5

54.8

55

49.4

34.8

49.8

52.0

45.5

태백_7 (831m)

36.4

45.5

43.9

41.9

태백_8 (947m)

35.7

48.2

53.6

45.8

태백_9 (1149m)

38.7

52.9

52.5

48.0

태백_10 (685m)

32.7

61.8

47.4

47.3

소평균

35.9

52.1

49.4

45.8

평균

36.8

52.8

54.9

48.2

소평균

최소습도의 경우도 상대습도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평균적으로 권역별 차이는 뚜 렷하지 않지만 진부권역이 타 권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고 있다. 해발고별로 살펴보 면 최소습도가 가장 높았던 8월을 기준으로 진부의 경우는 해발고가 높으면 최소습도 또한 높게 분석되고 있지만 다른 권역의 경우는 그 경향이 뚜fut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아마도 지형적 원 인과 식생 형태가 원인으로 판단되지만 보다 많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38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6) 조도 분석

<표 2-11> 각 조사지역의 월별조도 온도 변화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22.3

15.4

6.8

14.9

진부_2 (702m)

10.7

5.7

2.2

6.2

진부_3 (316m)

17.1

10.9

11.1

13.1

16.7

10.7

6.7

11.4

소평균 오대_4 (741m)

7.8

4.6

3.0

5.2

오대_5 (1062m)

20.0

17.0

19.0

18.6

오대_6 (668m)

3.2

2.2

1.6

2.3

10.3

7.9

7.9

8.7

태백_7 (831m)

30.4

19.5

12.2

20.7

태백_8 (947m)

8.2

4.1

2.4

4.9

태백_9 (1149m)

13.1

7.4

5.3

8.6

태백_10 (685m)

소평균

14.4

5.4

2.7

7.5

소평균

16.5

9.1

5.6

10.4

평균

14.5

9.2

6.7

10.2

조도의 경우 6월과 7월이 8월에 비하여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금년에는 8월에 많은 강수로 인 한 결과로 판단된다. 결과보고서에 월별 강수량을 함께 비교하여 분석 할 예정이다. 권역별 조도 는 오대산 권역이 가장 적게 분석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형적 요인에 따른 결과일 것으로 분석 되지만 생태모니터링 기초조사를 파악하여 그 원인을 밝힐 필요가 있다. 해발고별로는 7월의 경 우를 분석해 보면, 진부의 경우 고위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타권역의 경향은 별다른 연 관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지형적 또는 식생구조에 따라 차이가 날것으로 보여 진다.

- 39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8) 토양온도 분석 <표 2-12> 각 조사지역의 월별토양온도 변화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14.2

16.6

18.7

16.5

진부_2 (702m)

16.0

18.0

20.1

18.0

진부_3 (316m)

18.2

20.6

22.0

20.3

16.1

18.4

20.2

18.3

오대_4 (741m)

소평균

15.1

17.5

19.6

17.4

오대_5 (1062m)

14.1

16.3

18.5

16.3

오대_6 (668m)

7.2

5.6

20.6

11.2

12.1

13.1

19.6

14.9

태백_7 (831m)

14.0

16.6

19.3

16.6

태백_8 (947m)

15.0

17.3

19.5

17.3

태백_9 (1149m)

13.3

15.4

17.8

15.5

태백_10 (685m)

16.1

18.6

20.7

18.5

소평균

14.6

17.0

19.3

17.0

평균

14.3

16.2

19.7

16.7

소평균

토양온도는 8월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해발고별로는 평균온도와 마찬 가지로 고위도 보다는 저위도에서 높게 분석되고 있었다. 또한 권역별로 살펴보면 오대권역을 제 외하고 북쪽인 진부권역보다는 남쪽인 태백권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토양온도는 식생의 구조, 낙엽 및 부식층의 차이, 지형적 차이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차후의 연구에서 이를 고려하여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2) 기상청 자료 조사지점과 가장 근접한 기상청의 기후 데이터를 정리하고 기후변화 조사지의 기후데이터와 비 교해 보았다. (1) 평균기온 <표 2-13> 기상청 평균기온 지역

6월

7월

8월

해발고(m)

속초

20.1

25

25.7

22.9

강릉

22

25.8

26.5

26.1

태백

19.1

22.4

23.9

714.2

(2) 상대습도

- 40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표 2-14> 기상청 상대습도 지역

6월

7월

8월

해발고(m)

속초

74.9

76.7

81.3

22.9

강릉

67.2

73.4

78.6

26.1

태백

65.6

74.4

76

714.2

각 기상청의 기후인자와 본 연구 조시지역의 기후인자를 비교하여 보면 우선 진부권역과 가장 가까운 속초기상대의 기상 자료 중 평균온도는 7월의 경우 속초지역의 평균온도는 25℃이고 본 연구에서의 진부령권역의 평균 온도는 20.3℃로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해발고가 가장 높 은(1020m, 18.5℃) 지역과 비교하여 보면 상당히 많은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평균 상대습도의 경우는 속초기상대가 74.9%정도수준을 유지하는 반면 조시지역의 경우 약 90.3%의 습도를 유지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산림의 식생에 따른 구조라 여겨지고 있다. 다른 권역과 비교하여도 이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띠고 있다. 특히 태백권역의 경우 태백기상대와 비 슷한 해발고를 가진 조시지역과 비교하여 보면 태백조사구의 685m의 해발고 지역의 평균온도는 20.5℃(7월)에 비하여 태백기상대의 자료는 22.4℃로서 조사지역에 역 2℃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상대습도 또한 태백기상대의 7월의 경우 77.4%에 비하여 91,3%로서 상당히 높은 경 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것은 아마도 산림과 지형에 따른 차이로 여겨지고 있으며, 산림내에 미기 후가 작용하는 영향으로 보여지며, 이러한 미기후에 따라 다양한 생물종들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최고온도 기상청 최고온도 변화 비교 <표 2-15> 기상청 최고기온 지역

6월

7월

8월

해발고(m)

속초

29.1

35.1

35.1

22.9

강릉

29.8

36.0

37.1

26.1

태백

29.4

30.3

33.7

714.2

- 41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표 2-16> 각 조사지역의 월별 최고온도 변화 (고도별 정리) 조사지

월별

평균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23.6

24.4

26.3

24.8

진부_2 (702m)

26.3

27.9

28.3

27.5

진부_3 (316m) 소평균 속초 (22.9) 오대_5 (1062m) 오대_4 (741m) 오대_6 (668m) 소평균 강릉 (26.1) 태백_9 (1149m) 태백_8 (947m) 태백_7 (831m) 태백_10 (685m) 소평균 태백 (714.2) 평균

28.7 26.2 29.1 26.3 25.6 25.6 25.8 29.8 25.6 25.2 27.5 27.9 26.5 29.4 26.2

31.5 27.9 35.1 34.0 25.6 27.9 29.2 36.0 25.2 25.6 27.9 25.6 26.1 30.3 27.7

31.5 28.7 35.1 36.6 27.5 29.1 31.1 37.1 26.7 27.5 32.3 29.5 29.0 33.7 29.6

30.6 27.6 32.3 26.2 27.5 28.7 25.8 26.1 29.3 27.7 27.2 27.8

조사지역과 기상청과의 최고온도를 비교한 결과 조사지역에서의 온도가 더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조사지역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 평지역보다도 낮은 온도를 보일 수 밖에 없고, 또한 속초 기상대의 고도가 조사지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므로 고도에 따른 차이의 영 향이 나타났음을 예측할 수 있다. 진부령 지역의 경우 6,7,8월 모두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이 낮게 측정되었다. 고도가 높을수록 온도는 낮아져야 하지만 오대산 지역의 경우는 가장 높은 고도의 오대_5(1062m) 지점에서 오히려 높은 온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고도 차이에 따른 온도보다 동 서의 차이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동일 위도상의 동서 차이에 따른 구분이 필요하다. 태백산 지역의 경우에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가 잘 나타나지 않았다.

<표 2-17> 각 조사지역의 월별 최고온도 변화 (위도별 온도변화 정리) 조사지 진부_1 (1020m) 오대_5 (1062m) 태백_9 (1149m)

월별 6월

7월

8월

23.6 26.3 25.6

24.4 34.0 25.2

26.3 36.6 26.7

평균 24.8 32.3 25.8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낮아진다. 위도에 따른 온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각 권역별로 비슷한 고도를 기준으로 온도변화를 확인하였다. 조사지 중에서 가장 고위도에 위치한 진부령 권역의 순으로 오대산, 태백산 권역의 온도차를 기대했으나,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조사지 를 선정하였기에 백두대간이 치우침을 감안할 때 세 권역의 경도의 차를 줄이지 못했기에 위도에 따른 온도차의 규칙성을 찾기는 힘들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경도를 고려하여 위도에 따른 온도차

- 42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고온일수 일최고기온이 30℃이상인 고온일수를 비교한 결과 조사지점과 기상청 데이터를 구분하였는데 조사지점 중에서 진부령_3(316m), 오대산_5(1062m), 태백산_7(831m) 지점이 고온일수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다른 지점들은 고온일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2-18> 각 조사지역의 일최고기온이 30℃이상인 고온일수 조사지

월별 6월

7월

8월

진부_1 (1020m)

0

0

0

진부_2 (702m)

0

0

0

진부_3 (316m)

0

2

6

오대_4 오대_5 오대_6 태백_7

0 0 0 0

0 1 0 0

0 5 0 1

태백_8 (947m)

0

0

0

태백_9 (1149m)

0

0

0

태백_10 (685m)

0

0

0

(741m) (1062m) (668m) (831m)

기상청의 데이터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조사지점이 숲으로 이루어져 있어 한낮의 온 도가 평지보다 덜 높게 올라가고, 숲을 이루는 다양한 식생들로 인한 습도와 토양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 2-19> 기상청 일최고기온이 30℃이상인 고온일수(일) 지역

6월

7월

8월

속초

0

14

13

강릉

0

14

15

태백

0

3

11

- 43 -


PART 2 기후 연구 부문

¦ 열대야일수 <표 2-20> 기상청 열대야 일수(일) 지역

6월

7월

8월

해발고(m)

속초

0

5

2

22.9

강릉

0

10

7

26.1

태백

0

0

0

714.2

최저기온으로 정의되는 열대야는 일최저기온이 25℃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같은 시기의 조사지 점과 가장 근접한 기상청 데이터를 분석하여 열대야 일수를 확인한 결과 7월과 8월 속초와 강릉 지역에서 열대야가 발생했다. 조사지의 경우 10개 전 지점에서 열대야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조사지점이 주로 산지여서 고도가 높으며, 식생이 자라는 지역으로 평지보다 기온이 낮게 나타나 기 때문이다.

<표 2-21> 기상청 데이터와 조사지점의 일최저기온의 평균 비교 지역

6월

7월

8월

조사지점

6월

7월

8월

속초

16.3

22.3

23.2

진부령 권역

16.5

18.2

19.7

강릉

17.4

22.8

23.6

오대산 권역

14.9

17.8

19.2

태백

12.8

19.2

20.5

태백산 권역

14.6

17.5

19.1

- 44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1장 식 물 1. 과업수행 범위 1) 백두대간 내 조사 구역 설정 2) 기존 자료 수집 및 분석 m 기후변화관련 식물다양성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m 백두대간 식물자원 현황 및 생태모니터링 기존 사례 분석 m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기후변화 취약 식물 종 파악(사례 조사) - 기후변화 취약한 식물 종의 정의 및 구분 - 강원도내 백두대간의 기후변화 취약 식물 종의 현황파악 - 향후 년차별 과제에서 중점 조사할 기후변화 취약 식물 종 정리

3) 식물다양성 조사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m 고정조사구에서 식물 다양성 및 서식지특성 조사 -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식물다양성 조사 - 조사구 입지환경 조사(해발고, 사면, 경사도 등) m 식물 장기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마련 -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기후변화를 대표하는 고정조사구 2~4곳) -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기후지표 식물 1~2종) 선정 - 기후변화 대응 식물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발 m 기후변화 취약 식물 종 분포 파악

4) 식물 지리정보시템기반 구축 m 조사지역의 지리정보 시스템과 식물 분포지와 연계 m 기후변화에 의한 식물 다양성 및 생태 정보망 구축 m 백두대간 식물 생태환경 관련 DB 구축 방향제시

- 47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2. 식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표 3-1> 식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2010년

2011년

일정(월) 내

용 4

5

6

7

8

9

10

11

12

1

2

기본구상 수립 - 국내외자료 발굴 및 벤치마킹 · 문헌에 기초한 도내 백두대간 생물자원 현황 파악 · 기후변화 지표종 현황파악 · 기후변화 취약종(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등) 현황파악 조사구 선정

생물다양성 조사

기후지표종 현장분포 현황 파악

기후지표종 모니터링 위한 서식지 현황파악

기후변화 취약종의 조사구내 분포 현황 파악

지리정보시스템기반 구축

추가 보완 작업

중간보고

최종보고

- 48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 과업수행 결과 1) 백두대간 내 조사 구역 설정 m 조사구역 지도 - 등산지도 및 지도상 접근경로 표지

<그림 3-1> 태백산 조사구역

<그림 3-2> 진부령 조사구역

- 4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그림 3-3> 오대산 조사구역

m 생물다양성 조사구 - 생물다양성 조사구 선정의 이론적 배경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식물들의 입지에 따른 식생분포와 식물상이 다를 것으로 판단되어 표 1 과 같이 백두대간의 영동, 영서지방으로 나누어 조사구를 선정 하였으며, 위도에 따라 식물다양 성에 변화가 생기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부령권역, 오대산권역, 태백산권역으로 조사구를 나누 어 설치하였다. - 생물다양성 조사구 위치정보 <표 3-2> 생물다양성 조사구들의 위치정보 조사 구역 명 진부령

오대산

태백산

조사 구번 호 1 2 3 4 5 6 7 8 9 10

조사구지명 향로봉 스키장 휴게소 진부방향 휴게소 주문진방향 민박촌 유일사 만항재방향 상동방향

좌표 N38°15' N38°16' N38°17' N37°44' N37°45' N37°47' N37° 7' N37° 7' N37° 9' N37° 6'

53.01" 0.31" 3.36" 31.86" 58.29" 10.76" 22.90" 4.18" 38.22" 36.02"

E128°20' E128°23' E128°21' E128°37' E128°36' E128°37' E128°57' E128°54' E128°53' E128°51'

해발고 1.94" 7.14" 40.76" 11.08" 20.22" 9.83" 32.88" 37.02" 10.35" 30.24"

비 고

1020m 702m 316m 741m 1062m 668m 831m 947m 1149m 685m

m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선정의 이론적 배경 · 강원도의 백두대간에 위치한 진부령권역, 오대산권역, 태백산 권역으로 구분하여 위도별, 고도별 차이에 따른 미기후가 식물생활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함. · 고도별 온도 차이에 따른 식물의 연년생장량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관찰하기 위함. · 국내에서 기존에 수행된 기후인자에 대한 조사는 특정 조사지역에서 이루어 졌으며 이와 같이 수평적 수직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는 처음 시도됨.

- 5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위치정보 <표 3-3>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위치정보 조사 구역명 진부령 진부령 진부령 오대산 오대산 오대산 태백산 태백산 태백산 태백산

조사구 번호 1 2 3 4 5 6 7 8 9 10

조사구지명

좌표

향로봉 스키장 휴게소 진부방향 휴게소 주문진방향 민박촌 유일사 만항재방향 상동방향

N38°15' N38°16' N38°17' N37°44' N37°45' N37°47' N37° 7' N37° 7' N37° 9' N37° 6'

53.01" 0.31" 3.36" 31.86" 58.29" 10.76" 22.90" 4.18" 38.22" 36.02"

E128°20' E128°23' E128°21' E128°37' E128°36' E128°37' E128°57' E128°54' E128°53' E128°51'

해발고 1.94" 7.14" 40.76" 11.08" 20.22" 9.83" 32.88" 37.02" 10.35" 30.24"

비고

1020m 702m 316m 741m 1062m 668m 831m 947m 1149m 685m

2) 기존 자료의 수집 및 분석 m 기후변화관련 식물다양성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국내·외 사례 -국외 사례 <표 3-4> 문헌조사 번 호

년 도

1

2004

2

1948

3

제 목

대표저자

Climate changes and trends in phenology of fruit trees and field crops in Germany Some preliminary observation of phenological data as a tool in the study of photoperiodic and thermal uirements of various plant material Further development of forest monitoring in Europe

Chmielewski et al. Nuttonson Lorenz,M.

<표 3-5> 기관 혹은 연구소 번 호

국가

홈페이지

과제명

1

미국

http://www.lternet.edu/sites/

The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2 3

영국 스페인

http://www.tyndall.ac.uk/ http://www.creaf.uab.es/cat/index.htm

m 대표적인 사례의 요약 <표 3-6> 국내 사례 Ÿ Ÿ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 Table 3.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the average air temperature from February to April (T24) and the timing of phenophases (P) in Germany, 1961–2000 2~4월의 평균기온이 식물계절의 연변화를 나타내는 주요한 지표임을 보고하였다.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2~4월 평균기온 1℃ 증가는 수목의 개화시기를 약 5일 빠르게 하였다.

- 5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Ÿ

Sensitivity of phenophases to the air temperature changes (ΔT24),

significance level: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Ÿ Ÿ

***

P<0.01. 1

문헌번호

ILTER은 1993년에 창립되었다. 2006년까지 32개의 국가에서 LTER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모두 ILTER에 네크워크에 연계되어있다. 주요 권역별 네트워크 영역은 East Asia-Pacific Region, Central/Eastern European Region, Western European Region, African Region, North American Region, Central/South American Region 등이며 네트워크의 주목적은 범지구 생태계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현재와 미래의 환경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http://www.ilternet.edu/ http://www.lternet.edu/site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2 문헌번호

영국의 기후변화 조사기관으로 수질, 대기, 농업, 산업 등의 사회 경제 전반에 대한 조사와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방안에 대한 정보제공. http://www.tyndall.ac.uk/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3 문헌번호 Ÿ

스페인의 인근 지중해 생태계의 연구를 하는 기관으로 생태계 탄소순환 및 숲의 영양소 순환에 관 한 연구 등 지구생태계, 생물다양성, 경관생태학 등의 세부 과제로 나누어 생태계연구를 수행중. http://www.creaf.uab.es/cat/index.htm Ÿ

- 5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7> 문헌조사 번 호

년 도

저널/저서명/ 발행기관

1

1985

2

1986

3

2003

4

2008

미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계절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5

2003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시기의 변화 경향

환경영향평가학회지

제목 관악산의 고도에 따른 진달래와 철쭉꽃의 개화와 개엽시기. 한국산 식물의 개화에 미치는 온도기후의 영향. 산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한반도 자연식생의 기후변화 적응성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한국양봉학회지 환경영향평가학회지

대표저 자 김준호 et. al

비 고

임양재 정휘철 et. al 조현길 et. al 이승호 et. al

<표 3-8> 기관 혹은 연구소 번 호

년 도

연구소기관명

홈페이지

과제명

비 고

1

2000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2

2009

충남발전연구원

http://www.cdi.re.kr/index.js p

m 대표적인 사례의 요약 <표 3-9> 대표적인 사례의 요약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4

식물계절은 대기후뿐만 아니라 미기후에도 영향을 받아 동일종이나 동일 지역이라도 고도, 사면, 울폐도, 가지위치 등에 따라 그 시기가 상이하다고 하였으며, 점봉산 지역과 춘천의 봉의산 지역에 미기후측정장치를 설치한 후 조사한 결과 개화 및 개엽시기에 Nuttonson 온량지수(Tn)와 일적산온 량지수(YDI)는 동일수종에서 지역간 유사한 값을 나타났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문헌번호

1

문헌번호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정책 및 적응도구 개발과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를 연구하며 협력지원하고, 국내외 전문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대국민 홍보교육을 통한 지식과 정보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 2009년 7월 한국 환경정책평가원에 국가 기후변화 적응센터가 설립되었다.

http://www.kei.re.kr/

- 5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백두대간 식물자원 현황 및 생태모니터링 기존 사례 분석 <표 3-10> 백두대간 식물자원 문헌조사 년 도

제목

저널/저서명/ 발행기관

1983

설악산 대청봉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996

오대산국립공원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02 2001

백두대간 태백산, 함백산, 금대봉 및 매봉산지역의 관속식물상 민통선 접경지역 ( 매봉산, 칠절봉, 향로봉 ) 일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산림바이오 에너지 협회

대표저 자 백순달 et. al 김용식 et. al 김용식 et. al 박광서 et. al

비 고

<표 3-11> 백두대간 식물자원 관련 연구 수행 기관 혹은 연구소 년 도

연구소기관명

홈페이지

과제명

2004

산림청

http://baekdu.forest.go.kr/

기후변화 취약/민감 생물종 군집변화

비고

m 강원도내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식물자원 현황 강원도 지역의 식생은 전형적인 온대지역으로서 식물구계구분에 의하면 일화식물구계 (Sino-Japanese region)의 한국구에 속하며, 전반적으로 해발 500m 이하는 소나무가 우점하고 500-1,000m에는 신갈나무가 우세하며 1,000m 이상의 지역에는 한대성인 전나무와 분비나무가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식물의 종류조성은 130과 587속 1,553종 3아종 121변종 45 품종으로 총 1,722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나라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4,191종류(Nakai, 1952)의 약 38.9%(재배종 제외)에 상당한다. 이 중 한국특산속 식물은 금강인가목속(Pentactina), 개느삼속(Echinosophora), 금강초롱꽃 속(Hanabusaya), 모데미풀속(Megaleranthis) 등 4속이 분포하여 한국에 분포하는 총 7개 특산 속 중 절반 이상이 강원도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특산식물은 104종류가 분포하여 한반도 전체 에 분포하는 570분류군(백, 1994)의 18.2%에 해당하는 많은 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m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기후변화 취약 식물 종 파악 - 기후변화 취약한 식물 종의 정의 및 구분 · 산꼭대기와 같은 높은 고도와 고위도 또는 대륙의 가장자리에 분포하는 종. · 희귀 및 특산식물과 같은 제한된 범위에 서식하는 종. · 좁은 범위에 분산되어 있거나 개체수가 작은 종 또는 파종에서 개화 결실까지의 시간이 긴 식물 종. ·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한환경에 취약한 종. · 기후변수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적응 융통성이 부족한 종 · 서식지의 규모가 작거나 자연적인 유전자교환이 어려울 정도로 고립된 종. · 개체군이 작아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종.

- 54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12> 강원도의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희귀 멸종위기 식물 종 (●환경부지정 ◯산림청지정)

종 명

설 악 산

대 암 산

태 백 산

함 백 산

금 대 봉

오 대 산

가 리 왕 산

가 리 산

대 덕 산

가 리 봉

일 산

비고

꼬리고사리과

골고사리

0

주목과

설악눈주목

0

소나무과

눈잣나무

0

측백나무과

눈측백

0

0

0

0

눈향나무

0

흑삼릉과

흑삼릉

0

천남성과

두루미천남성

0

0

0

백합과

두메부추

0

산마늘

0

솔나리

0

0

0

0

● ◯

말나리

0

0

0

0

0

0

0

나도개감채

0

0

층층둥굴레

자주솜대

0

● ◯

금강애기나리

0

0

0

0

0

0

0

연령초

0

0

0

0

큰연령초

0

0

● ◯

붓꽃과

꽃창포

0

0

노랑무늬붓꽃

0

0

0

● ◯

난장이붓꽃

0

난초과

털개불알꽃

0

● ◯

개불알꽃

0

0

천마

0

겨우살이과

꼬리겨우살이

0

- 5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

0

0

0

등칡

0

0

0

0

0

0

0

0

0

미나리아재비과

누른종덩굴

0

0

0

홀아비바람꽃

0

0

0

0

0

바람꽃

0

지리바꽃

0

노랑돌쩌귀

0

0

0

0

0

0

● ◯

너도바람꽃

0

0

0

백작약

0

산작약

0

0

0

0

● ◯

매자나무과

한계령풀

0

0

0

● ◯

끈끈이귀개과

끈끈이주걱

0

범의귀과

도깨비부채

0

0

0

0

0

0

0

0

0

0

0

개병풍

0

● ◯

톱바위취

0

0

0

장미과

가침박달

0

붉은인가목

0

0

0

0

0

0

이노리나무

0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

0

콩과

개느삼

0

● ◯

제비꽃과

태백제비꽃

0

0

0

0

0

0

0

0

0

0

금강제비꽃

0

0

0

0

0

0

0

0

0

두릅나무과

땃두릅나무

0

0

0

0

지리산오갈피

0

0

0

가시오갈피

0

0

0

0

● ◯

산형과

등대시호

0

0

독미나리

0

● ◯

노루발과

- 5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수정난풀

0

진달래과

노랑만병초

0

● ◯

만병초

0

0

0

0

0

0

0

참꽃나무겨우살 이

0

앵초과

기생꽃

0

0

● ◯

참좁쌀풀

0

0

0

0

금강봄맞이

0

물푸레나무과

만리화

0

정향나무

0

0

0

꽃개회나무

0

0

0

0

0

용담과

닻꽃

0

비로용담

0

꿀풀과

백리향

0

가지과

미치광이풀

0

0

0

0

현삼과

토현삼

0

0

0

0

애기송이풀

0

만주송이풀

0

0

통발과

통발

0

인동과

줄댕강나무

0

마타리과

금마타리

0

0

0

0

0

0

초롱꽃과

도라지모시대

0

0

0

0

금강초롱꽃

0

0

0

0

0

0

국화과

솜다리

0

● ◯

어리병풍

0

국화방망이

0

자료 : 산림청·국립수목원

- 57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13> 강원도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 식물종 취약종명 과명

종 명

국명

석송과

Lycopodium complanatum L.

비늘석송

꼬리고사리 과

Asplenium scolopendrium L.

골고사리

소나무과

Abies koreana Wilson

구상나무

소나무과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분비나무

소나무과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일본잎갈나 무

소나무과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ere

가문비나무

소나무과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소나무과

Pinus pumila (Pall.) Regel

눈잣나무

측백나무과

Thuja koraiensis Nakai

눈측백

주목과

Taxus caespitosa Nakai

설악눈주목

주목과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버드나무과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자작나무과

Alnus maximowiczii Callier

두메오리나 무

자작나무과

Betula costata Trautv.

거제수나무

자작나무과

Betula ermanii Cham.

사스래나무

자작나무과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서어나무

자작나무과

Carpinus tschonoskii Maxim.

개서어나무

참나무과

Quercus acutissima Carruth.

상수리나무

참나무과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참나무과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졸참나무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Aconitum koreanum R.Raymund

백부자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복수초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 꽃

Anemone narcissiflora L.

바람꽃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양귀비과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조록나무과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Yamaz.

히어리

범의귀과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개병풍

범의귀과

Mitella nuda L.

나도범의귀

미나리아재 비과 미나리아재 비과 미나리아재 비과 미나리아재 비과 미나리아재 비과 미나리아재 비과

- 58 -

취약종의 생태, 분포 서식지 특징

기 타


PART 3. 생태 연구 부문

범의귀과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장미과

Prunus choreiana Nakai ex Handb.

복사앵도나 무

장미과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장미과

Rosa koreana Kom.

흰인가목

콩과

Caragana koreana Nakai

참골담초

콩과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개느삼

콩과

Trifolium lupinaster L.

달구지풀

옻나무과

Rhus javanica L.

붉나무

단풍나무과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고로쇠나무

단풍나무과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갈매나무과

Rhamnus taquetii (H.Lev.) H.Lev.

좀갈매나무

두릅나무과

Eleutherococcus enticosus (Rupr. & Maxim.) Maxim.

가시오갈피

두릅나무과

Oplopanax elatus (Nakai) Nakai

땃두릅나무

산형과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진달래과

Arctous ruber (Rehder & E.H.Wilson) Nakai

홍월귤

진달래과

Rhododendron aureum Georgi

노랑만병초

진달래과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만병초

진달래과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진달래과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진달래과

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H.Lev.) Sugim.

산철쭉

진달래과

Vaccinium vitis-idaea L.

월귤

앵초과

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설앵초

Forsythia ovata Nakai

만리화

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산개나리

Forsythia velutina Nakai

장수만리화

Fraxinus chiisanensis Nakai

물들메나무

용담과

Swertia wilfordii J.Kern.

큰잎쓴풀

현삼과

Pedicularis mandshurica Maxim.

만주송이풀

국화과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국화과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산국

국화과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감국

국화과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구절초

국화과

Leontopodium coreanum Nakai

솜다리

물푸레나무 과 물푸레나무 과 물푸레나무 과 물푸레나무 과

- 5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국화과

Parasenecio firmus (Kom.) Y.L.Chen

병풍쌈

국화과

Senecio nemorensis L.

금방망이

국화과

Taraxacum ohwianum Kitam.

산민들레

백합과

Lilium cernuum Kom.

솔나리

백합과

Lilium dauricum KerGawl.

날개하늘나 리

백합과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백합과

Smilacina bicolor Nakai

자주솜대

백합과

Trillium kamtschaticum Pall. ex Pursh

연영초

난초과

Cypriped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광릉요강꽃

- 6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 식물다양성 조사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m 고정조사구에서 식생 및 서식지특성 조사 <표 3-14> 조사구 입지환경 조사 조사 구번 호

고도 (m)

사 면

경사도 (%)

조사지 식생유형 조사지

조사지주변

1

1020

20

산지낙엽수림

산지낙엽수림

신갈나무군락

2

702

북 서

10

산지낙엽수림

산지낙엽수림

신갈나무군락

3

316

10

산지낙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소나무 ․ 신갈나무군락

4

741

25

산지낙엽수림

산지낙엽수림

신갈나무군락

5

1062

남 서

32

산지낙엽수림

산지낙엽수림

신갈나무군락

6

668

20

산지낙엽수림

산지낙엽수림

신갈나무 ․ 소나무군락

7

831

남 서

35

산지침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소나무군락

8

947

36

산지침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소나무군락

9

1149

28

산지낙엽수림

산지낙엽수림

신갈나무군락

10

685

32

산지침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소나무군락

조사지역 생태환경특징

<표 3-15>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3개 권역에서 식물 다양성 조사 진부령 권역

양치식물문

1

1

1

아종 0

변종 0

품종 0

계 1

나자식물문

1

1

1

0

0

0

1

피자식물문

40

60

57

1

11

3

72

쌍자엽식물강

34

50

49

1

8

3

61

단자엽식물강

6

10

8

0

3

0

11

42

62

59

1

11

3

74

아종

변종

품종

합 계

오대산 권역

양치식물문

4

5

3

0

1

1

5

나자식물문

1

2

2

0

0

0

2

피자식물문

37

64

53

3

22

4

82

쌍자엽식물강

30

49

41

3

18

3

65

단자엽식물강

7

15

12

0

4

1

17

합계

42

71

58

3

23

5

89

아종

변종

품종

양치식물문

2

2

2

0

0

0

2

나자식물문

1

2

3

0

0

0

3

피자식물문

37

57

49

2

15

5

71

태백산 권역

- 6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쌍자엽식물강

34

50

43

2

13

4

62

단자엽식물강

3

7

6

0

2

1

9

합 계

40

61

54

2

15

5

76

m 식물 장기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마련 <표 3-16>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기후변화를 대표하는 고정조사구 2~4곳) 조사구번호

토지피복현황

선정이유

1(진부령)

신갈나무 상대우점 66%

해발고 1000m가 넘는 신갈나무군락지이며, 주변에 금강제비꽃, 금강초롱꽃등의 희귀특산식물들이 분포.

3(진부령)

소나무 상대우점 17.5%

해발고 300m 가 넘는 지역이며, 미기후 측정장비와 가까운 곳에 설치. 위 조사구에 서식하는 생물종 다수 포함되는 지역.

<표 3-17>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 선정 과명 소나무과 자작나무과 참나무과 참나무과 녹나무과 범의귀과 장미과

종명 학명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Lindera obtusiloba Blume Rodgersia podophylla A.Gray Prunus sargentii Rehder

국명 소나무 서어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생강나무 도깨비부채 산벚나무

m 식물다양성 및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발 - 조사 방법 · 식물다양성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메뉴얼(2008)에 의한 식물상 조사 - 장기모니터링 방법 · 기후변화에 취약한 지표식물의 개화․ 개엽 및 결실시기 모니터링 · 기상분석: 미기후 측정장치를 이용한 온도, 습도, 광 등 · 지표종 정밀 식생조사( 식생조사, 매목조사) · 지표종 계절성 모니터링(개화, 개엽, 결실, 단풍, 낙엽시기등) · 모니터링 주기 2월~3월: 2주일에 한번 조사 4월~5월: 1주일에 한번 조사 6월~9월: 2주일에 한번 조사

- 62 -

선정이유 ″ ″ ″ ″ ″ ″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연구진행 모식도 생태모니터링 기존문헌조사 (국외, 국내, 백두대간)

식물다양성 조사

생태모니터링 조사

고정조사구와 연계하여 주변 식물상 조사

고정조사구 설치 및 입지환경 조사 (사면, 해발고, 경사도, 토양)

기존문헌에 조사된 기후변화 취약식물종 분포 파악

장기생태 모니터링 대상종 선정

기후변화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발

식물지리정보시스템기반구축

m 10개 조사구에서 수행한 백두대간 식생조사 결과 - 전체 조사구 식생조사 결과 ·백두대간에 설치한 10개 조사구를 조사한 결과는 아래 <표 2-18>과 같다. 상층의 식생을 우점도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29.25)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으며, 소 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물박달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 하였고, 총 25종류가 나타났다. 중층의 식생구조는 신갈나무(18.1)가 가장 우점하고 있으며,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쪽동백나 무, 느릅나무 등의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하층의 식생구조는 당단풍나무(7.02)과 미역줄 나무(7.02)가 가장 우점하고 있으며, 국수나무, 물푸레나무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초 본은 개고사리(5.45)가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였고 대사초, 가는잎그늘사초, 애기나리 등의 순으 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 6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18> 전체 조사구의 주요 상층 ․ 중층 우점도 상 층 종 명

상대 밀도

신갈나무

42.86

소나무

15.51

물푸레나무

13.06

피나무

5.71

물박달나무

3.67

다릅나무

2.45

쪽동백나무

4.08

박달나무

2.04

고로쇠나무

1.22

느릅나무

0.82

중 층

상대 피도

상대 빈도

31.1 2 45.6 6 5.80

13.7 9 10.3 4 10.3 4

3.06

8.62

3.66

8.62

1.40

6.90

1.32

3.45

1.55

3.45

0.60

3.45

0.78

3.45

상대 우점 도

종명

상대 밀도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도

29.26

신갈나무

19.63

21.48

13.2 1

18.11

23.84

당단풍

17.79

14.65

9.74

물푸레나무

10.43

11.63

5.80

피나무

12.27

10.18

5.32

쪽동백나무

9.20

8.51

3.58

느릅나무

4.91

5.38

2.95

고로쇠나무

4.29

4.38

2.34

돌배나무

2.45

1.94

1.76

졸참나무

1.23

4.83

1.68

산뽕나무

2.45

1.72

하 층

9.43 9.43 1.89 3.77 9.43 3.77 5.66 3.77 3.77

13.96 10.50 8.11 7.16 6.58 4.15 3.35 3.28 2.65

초 본

종 명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도

종 명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도

당단풍나무

8.29

5.74

7.02

개고사리

5.43

5.48

5.45

미역줄나무

8.29

5.74

7.02

대사초

4.98

4.11

4.54

국수나무

5.85

4.92

5.39

가는잎그늘사초

4.53

3.42

3.98

물푸레나무

5.85

4.92

5.39

애기나리

3.62

4.11

3.86

신갈나무

4.88

5.74

5.31

개별꽃

3.17

3.42

3.30

노린재나무

4.39

4.92

4.65

우산나물

3.17

3.42

3.30

생강나무

3.90

4.10

4.00

병조희풀

3.62

2.74

3.18

산딸기

3.90

3.28

3.59

큰까치수염

3.17

2.74

2.95

조록싸리

3.90

3.28

3.59

기름새

3.17

2.05

2.61

개암나무

3.41

3.28

3.35

단풍취

2.26

2.05

2.16

m 진부령 지역의 식생조사결과 - 진부령 일대의 3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는 표 3과 같다. 상층의 식생을 우점도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41.43)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으며, 피나무, 쪽동백나무, 소나무, 물박달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 하였고, 총 17종류가 나타났다. 중층은 신갈나무(26.31)가 가장 우점하고 있으며 쪽동백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느릅나무 등의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나타냈 으며 총 9종류가 출현하였다. 하층의 식생구조는 미역줄나무(11.85)와 당단풍나무(11.85)가 가 장 우점하고 있으며, 국수나무, 노린재나무, 생강나무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초본은 개고사리(6.11)가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였고 우산나물, 병조희풀, 개별꽃, 단풍취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 64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19> 진부령 일대 주요 상층, 중층, 하층, 초본 우점도 상

중 층

종 명

상대 밀도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도

종 명

상대 밀도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 도

신갈나무

52.87

58.91

12.50

41.43

신갈나무

27.91

30.48

21.43

26.61

피나무

13.79

9.88

12.50

12.06

쪽동백나무

20.93

21.43

7.14

16.50

쪽동백나무

9.20

3.17

4.17

5.51

피나무

16.28

10.75

21.43

16.15

소나무

1.15

9.79

4.17

5.03

당단풍나무

18.60

12.56

7.14

12.77

물박달나무

2.30

4.13

8.33

4.92

느릅나무

4.65

6.44

14.29

8.46

하 종 명

상대 피도

미역줄나무

15.00

당단풍나무

초 상대 빈도

상대 피도

상대 우점도

종 명

상대 빈도

상대 우점도

8.70

11.85

개고사리

6.77

5.45

6.11

15.00

8.70

11.85

우산나물

5.41

5.45

5.43

국수나무

10.00

8.70

9.35

병조희풀

5.42

3.64

4.53

노린재나무

7.50

8.70

8.10

개별꽃

4.06

3.64

3.85

생강나무

7.50

8.70

8.10

단풍취

4.06

3.64

3.85

m 오대산 지역의 식생조사결과 - 오대산 지역의 3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는 표 4와 같다. 상층의 식생을 우점도에 의 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24.10)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으며, 물푸레나무, 소나무, 박달나무, 서어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 하였고, 총 16종류가 나타났다. 중층은 당단풍나무(18.39)가 가장 우점하고 있으며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느릅나무 등의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나타냈 으며 총 17종류가 출현하였다. 하층의 식생구조는 당단풍나무(8.83)가 가장 우점하고 있으며 미 역줄나무, 국수나무,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초본은 기름새 (5.70)와 십자고사리(5.07)가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였고 산거울, 대사초, 승마 순으로 높은 우 점도를 보였다.

- 6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20> 오대산지역의 주요 상층 ․ 중층 ․ 하층 ․ 초본 우점도 상

중 층

종 명

상대 밀도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 도

종 명

상대 밀도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 도

신갈나무

34.72

27.05

10.53

24.10

당단풍나무

22.54

18.99

13.64

18.39

물푸레나무

33.33

20.50

10.53

21.45

물푸레나무

16.90

17.95

9.09

14.65

소나무

5.56

31.11

10.53

15.73

고로쇠나무

9.86

11.71

9.09

10.22

박달나무

5.56

3.81

5.26

4.88

피나무

8.45

7.87

9.09

8.47

서어나무

2.78

3.04

5.26

3.69

느릅나무

7.04

8.40

9.09

8.18

하 층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도

종 명

당단풍나무

9.09

8.57

8.83

미역줄나무

9.10

5.71

국수나무

7.58

5.71

물푸레나무

6.06

고로쇠나무

6.06

종 명

초 본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도

기름새

6.76

4.65

5.70

7.40

십자고사리

6.76

4.65

5.70

6.65

산거울

5.41

4.65

5.03

5.71

5.89

대사초

5.41

4.65

5.03

5.71

5.89

승마

5.41

4.65

5.03

m 태백산 지역의 식생조사결과 - 태백산 지역의 4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는 표 5와 같다. 상층의 식생을 우점도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소나무(45.19)가 가장 우점하고 있었으며 신갈나무, 물박달나무, 물푸레나 무, 일본잎갈나무 등의 순으로 우점 하였고, 총 8종류가 나타났다. 중층은 신갈나무(23.97)가 가 장 우점하고 있으며 물푸레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다릅나무 등의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나타 냈으며 총 15종류가 출현하였다. 하층의 식생구조는 개암나무(7.92)가 가장 우점하고 있으며 물 푸레나무, 쇠물푸레나무, 산딸기, 신갈나무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으며, 초본은 큰까치수염 (6.95)이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였고 개고사리, 애기나리, 대사초, 산거울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 6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21>태백산 지역의 주요 상층 ․ 중층 ․ 하층 ․ 초본 우점도 상

중 층

종 명

상대 밀도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 도

종 명

상대 밀도

상대 피도

상대 빈도

상대 우점 도

소나무

39.29

73.21

23.08

45.19

신갈나무

30.00

24.28

17.65

23.97

신갈나무

40.48

17.01

15.38

24.29

물푸레나무

10.00

14.94

17.65

14.20

물박달나무

7.14

4.75

15.38

9.09

피나무

14.00

10.41

11.76

12.06

물푸레나무

4.76

1.51

15.38

7.22

당단풍나무

10.00

11.61

5.88

9.17

일본잎갈나무

2.38

1.40

7.69

3.83

다릅나무

8.00

7.37

5.88

7.09

하 층 상대 피도 8.70

상대 빈도 7.14

상대 우점도 7.92

큰까치수염

물푸레나무

8.70

4.76

6.73

쇠물푸레나무

4.35

7.14

산딸기

5.80

신갈나무

5.80

종 명 개암나무

초 본 상대 피도 7.90

상대 빈도 6.00

상대 우점도 6.95

개고사리

5.26

8.00

6.63

5.75

애기나리

3.95

6.00

4.97

4.76

5.28

대사초

5.26

4.00

4.63

4.76

5.28

산거울

5.26

4.00

4.63

종 명

<표 3-22> 10개 조사구의 식물상 조사결과

과국명 (FamilyKoreaNa me)

학명전체 (FullName)

추천명 (KoreanName)

고비과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Copel.

꿩고비

잔고사리과

Dennstaedtia wilfordii (T.Moore) H.Christ

황고사리

면마과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관중

면마과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십자고사리

우드풀과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개고사리

고란초과

Lepisorus ussuriensis (Regel & Maack) Ching

산일엽초

소나무과

Abies holophylla Maxim.

전나무

소나무과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일본잎갈나무

소나무과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소나무과

잣나무

자작나무과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Juglans mandshurica Maxim. var.mandshurica for. mandshurica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자작나무과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자작나무과

Carpinus cordata Blume

까치박달

자작나무과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서어나무

자작나무과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개암나무

참나무과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참나무과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졸참나무

느릅나무과

Ulmus davidiana var. japonica(Rehder)Nakai

느릅나무

뽕나무과

Morus bombycis Koidz. var. bombycis

산뽕나무

가래나무과

- 67 -

가래나무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석죽과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개별꽃

석죽과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큰개별꽃

목련과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오미자과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오미자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미나리아재비과

Actaea asiatica H.Hara

노루삼

미나리아재비과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var. heracleifolia

승마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heracleifolia DC.

병조희풀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Rupr.)Ohwi

으아리

미나리아재비과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

미나리아재비과

Thalictrum filamentosum var. tenerum(Huth)Ohwi

산꿩의다리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쥐방울덩굴과

Asarum sieboldii Miq.

족도리풀

다래나무과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다래

다래나무과

Actinidia polygama (Siebold & Zucc.) Planch. ex Maxim.

개다래

범의귀과

Astilbe koreana (Kom.) Nakai

숙은노루오줌

범의귀과

Astilbe rubra Hook.f. & Thomson

노루오줌

범의귀과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범의귀과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iebold&Zucc.) Wilson

산수국

범의귀과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장미과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im.

양지꽃

장미과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장미과

Prunus verecunda (Koidz.) Koehne

개벚나무

장미과

Pyrus pyrifolia (Burm.f.) Nakai

돌배나무

장미과

Pyrus ussuriensis Maxim.

산돌배

장미과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장미과

Rubus oldhamii Miq.

줄딸기

장미과

Rubus phoenicolasius Maxim.

곰딸기

장미과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Maxim.

쉬땅나무

장미과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팥배나무

장미과

Sorbus commixta Hedl.

마가목

장미과

Spiraea blumei G.Don

산조팝나무

장미과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var. incisa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Benth.) H.Ohashi Lespedeza bicolor Turcz.

국수나무

콩과 콩과

새콩 싸리

콩과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콩과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

조록싸리

콩과

Lespedeza thunbergii subsp. formosa (Vogel) H.Ohashi

풀싸리

콩과

Maackia amurensis Rupr. & Maxim.

다릅나무

쥐손이풀과

Geranium wilfordii Maxim.

세잎쥐손이

운향과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옻나무과

Rhus javanica L.

붉나무

옻나무과

Rhus tricocarpa Miq.

개옻나무

- 68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단풍나무과

Acer barbinerve Maxim.

청시닥나무

단풍나무과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단풍나무과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고로쇠나무

단풍나무과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단풍나무과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신나무

봉선화과

Impatiens textori var. koreana Nakai

흰물봉선

봉선화과

Impatiens textori var. textori NAkai

물봉선

노박덩굴과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화살나무

노박덩굴과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Franch.&Sav.) Hiyama

회잎나무

노박덩굴과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고추나무과

Staphylea bumalda DC.

고추나무

갈매나무과

Rhamnus yoshinoi Makino

짝자래나무

포도과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담쟁이덩굴

포도과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머루

피나무과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제비꽃과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제비꽃과

Viola albida for. takahashii (Makino) W.T.Lee

단풍제비꽃

제비꽃과

Viola albida Palib.

태백제비꽃

제비꽃과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ara

남산제비꽃

제비꽃과

Viola keiskei Miq.

잔털제비꽃

제비꽃과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var. variegata

알록제비꽃

층층나무과

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층층나무

층층나무과

Cornus walteri F.T.Wangerin

말채나무

두릅나무과

Aralia elata (Miq.) Seem.

두릅나무

두릅나무과

Kalopanax septemlobus (Thunb. ex Murray) Koidz.

음나무

산형과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참나물

진달래과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진달래과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앵초과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염

앵초과

Primula jesoana Miq.

큰앵초

때죽나무과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or.pilosa(Nakai)Ohwi

노린재나무

물푸레나무과

Fraxinus mandshurica Rupr.

들메나무

물푸레나무과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과

Fraxinus sieboldiana Blume

쇠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과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Maxim.)H.Hara

개회나무

꼭두서니과

Asperula odorata L.

선갈퀴

꼭두서니과

Rubia akane Nakai

꼭두서니

꼭두서니과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큰꼭두서니

지치과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마편초과

Callicarpa japonica Thunb.

작살나무

꿀풀과

Isodon excisus (Maxim.) Kudo

오리방풀

꿀풀과

방아풀 광대수염

꿀풀과

Isodon japonicus (Burm.) Hara Lamium album var. barbatum (Siebold & Zucc.) Franch. & Sav.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현삼과

Melampyrum roseum Maxim.

꽃며느리밥풀

꿀풀과

- 69 -

벌깨덩굴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인동과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올괴불나무

인동과

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 Nakai

딱총나무

인동과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ara

백당나무

인동과

Weigela subsessilis L.H.Bailey

병꽃나무

마타리과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초롱꽃과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모시대

초롱꽃과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더덕

국화과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국화과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국화과

Artemisia keiskeana Miq.

맑은대쑥

국화과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넓은잎외잎쑥

국화과

Aster scaber Thunb.

참취

국화과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삽주

국화과

산씀바귀 게박쥐나물

국화과

Lactuca raddeana Maxim. 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Koyama Saussurea seoulensis Nakai

국화과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우산나물

국화과

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수리취

백합과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백합과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처녀치마

백합과

Paris verticillata M.Bieb.

삿갓나물

백합과

Smilacina japonica A.Gray

풀솜대

백합과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마과

Dioscorea septemloba Thunb.

국화마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벼과

Festuca ovina L.

김의털

벼과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주름조개풀

벼과

Sasa borealis (Hack.) Makino

조릿대

벼과

Spodiopogon cotulifer (Thunb.) Hack.

기름새

벼과

Spodio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천남성과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Nakai)Kitag.

사초과

Carex humilis var. nana (H.Lev. & Vaniot) Ohwi

국화과

분취

사초과

Carex siderosticta Hance

천남성 가는잎그늘사 초 대사초

난초과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은대난초

난초과

Liparis kumokiri F.Maek.

옥잠난초

- 7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2장 무척추동물(곤충) 1. 과업수행 범위 1) 백두대간 내 조사 구역 설정 m Pitfall trap의 경우 - Hobo설치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 구역 관찰 - 1개 구역마다 Pitfall trap 약 300개 내외를 설치 할 수 있고, 활엽수림의 Litter층이 발달되 어 있는 비교적 완만한 지역을 선정 - 인적이 적은 사면을 선정하고, 불가피하게 등산로가 주변에 있는 경우, 5m이상 이격하여 조 사구역 설정 m 야간 채집의 경우 - 최대한 주변이 단순림인 곳을 피하고, 인위적 파괴가 적은 지역을 선정 - 인가 지역이나 도로의 가로등 지역을 배재하며, 설치한 스크린 불빛이 유일 할 수 있는 지역 을 선정 - 인근 가시거리에 계곡 등이 있어, 야간에 채집할 수 있는 종의 다양성 및 개체수를 기대 할 수 있는 지역을 선정 m 주간 채집의 경우 - 임도 이동 중 채집 할 수 있는 개체가 많은 지역 발견 시, 해당 지역을 선정

2) 기존 자료 수집 및 분석 m 기후변화관련 무척추동물다양성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m 백두대간 무척추동물 자원 현황 및 생태모니터링 기존 사례 분석 m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기후변화 취약 무척추동물 종 파악(사례 조사) - 기후변화 취약한 무척추동물 종의 정의 및 구분 - 강원도 내 백두대간의 기후변화 취약 무척추동물 종의 현황파악 - 향후 년차별 과제에서 중점 조사할 기후변화 취약 무척추동물 종 정리

3) 무척추동물 조사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m 고정조사구에서 무척추동물 다양성 조사 -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무척추동물 다양성 조사 - 조사구 입지환경 조사(해발고, 사면, 경사도 등) m 무척추동물 장기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마련 -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기후변화를 대표하는 고정조사구 2~4곳)

- 7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기후지표 곤충) 선정 - 기후변화 대응 무척추동물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발 m 기후변화 취약 무척추동물 종 분포 파악

4) 무척추동물(곤충) 지리정보 시스템 기반 구축 m 조사지역의 지리정보 시스템과 기후지표 곤충 분포지와 연계 m 기후변화에 의한 기후지표 곤충 다양성 및 생태 정보망 구축 m 백두대간 기후지표 곤충 생태환경 관련 DB 구축 방향제시

- 7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2. 무척추동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표 3-23> 무척추동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2010년

2011년

일정(월) 내

용 4

5

6

7

8

9

10

11

12

1

2

기본구상 수립 -국내외자료 발굴 및 벤치마킹 ·문헌에 기초한 도내 백두대간 ·생물자원 현황 파악 ·기후변화 지표종 현황파악 ·기후변화 취약종(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등) 현황파악 조사구 선정

생물다양성 조사

기후지표종 현장분포 현황 파악

기후지표종 모니터링 위한 서식지 현황파악

기후변화 취약종의 조사구내 분포 현황 파악

지리정보시스템기반 구축

추가 보완 작업

중간보고

최종보고

- 7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 과업수행 결과 1. 백두대간 내 조사 구역 설정 m 생물다양성 조사구 - 생물다양성 조사구 선정의 이론적 배경 · (재)기후변화 연구센터에서 사전 조사한 기후조사 data를 기준으로 하여 HOBO주변을 기점으로 무척추동물 모니터링 수행 <표 3-24> 생물다양성 조사구들의 위치정보 조사 구역명

조사 구번 호

조사구지명

좌표

해발고

진부령

1

향로봉

N38°15'53.01" E128°20'1.94"

1020m

진부령

2

스키장

N38°16'0.31" E128°23'7.14"

702m

진부령

3

휴게소

N38°17'3.36" E128°21'40.76"

316m

오대산

4

진부방향

N37°44'31.86" E128°37'11.08"

741m

오대산

5

휴게소

N37°45'58.29" E128°36'20.22"

1062m

오대산

6

주문진방향

N37°47'10.76" E128°37'9.83"

668m

태백산

7

민박촌

N37° 7'22.90" E128°57'32.88"

831m

태백산

8

유일사

N37° 7'4.18" E128°54'37.02"

947m

태백산

9

만항재방향

N37° 9'38.22" E128°53'10.35"

1149m

태백산

10

상동방향

N37° 6'36.02" E128°51'30.24"

685m

- 74 -

비고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선정의 이론적 배경 · 여러 나라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계속 진행중에 있다. 그들은 위도, 고도 별 기후 변화에 따른 무척추동물들의 발생 및 월동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계속하여 연구를 해 나아가고 있다. ·장기생태연구 (LTER)는, 단기간에 그 변화가 너무 미미하여 측정할 수 있는 환경 변화를 예측하 고 분석하기 위해 설정된 개념으로서,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교란을 측정하는데 매우 효과 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

·기후변화 척도로서의 곤충군변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곤충만이 갖고 있는 특징 몇 가지를 알아야 한다. 첫번째로 곤충은 체적이 상당히 작다. 이는 에너지 섭취 및 환경변화에 보다 민감하 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곤충은 변온동물이다. 이는 정온동물보다 그 생태가 주변온도에 의해 영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곤충은 15℃이하에서는 활동이 현저히 느려지고 5℃이하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25~40℃ 구간에서는 매우 활발하게 활동을 한다. 세번째 로 곤충은 종다양성에서 지구상에서 최고 (현존하는 모든 생물종의 약 70%)이다. 이는 곤충이 거의 모든 생태환경에 적응하여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며, 또한 각 생태환경에 구체적으로 적응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각 생태환경에 완벽하게 적응된 만큼 미세한 환경변화에도 그들 의 생태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변화의 척도로 이용하기 쉬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 <표 3-25> 생물다양성 조사구들의 위치정보 조사 구역명

조사구 번호

조사구지명

좌표

해발고

오대산

1

진부방향

N37°44'31.86" E128°37'11.08"

741m

오대산

2

휴게소

N37°45'58.29" E128°36'20.22"

1062m

오대산

3

주문진방향

N37°47'10.76" E128°37'9.83"

668m

- 75 -

비고


PART 3. 생태 연구 부문

2. 기존 자료의 수집 및 분석 m 기후변화관련 무척추동물다양성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국내·외 사례 - 국외 사례 <표 3-26> 국외 문헌조사 제 목

저널/저서명/ 발행기관

대표저자

2004

Extinction risk from climate change

Nature

Thomas et al.

2002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nsect herbivores: Auchen orrhyncha (Homoptera)

Blackwell Science Ltd, Oxford

번호 년 도 1

2

3

2000

Climate change and impacts of boreal forest insects

4

2001

Climate change impacts on insec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 temperate regions: can they be predicted?

5

2003

Agroecosystem responses to combinations of elevated CO2, ozone, and global climate change

6

1999

Climate and the northern distribution limits of Dendroctonus frontalis Zimmermann (Coleoptera: Scolytidae)

7

2001

8

2003

9

1995

10

2002

11

2007

12

2006

13

1997

14

2007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Agricultural and Forest Entomology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Journal of Biogeography

Masters

W. Jan A. Volney

Richard Harrington

Jürg Fuhrer

Matthew J. Ungerer

AMERICAN Jesse A. ENTOMOLOGI Logan ST Biodiversity JOHANNA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as bioindicators and RAINIO Conservation Herbivorous insects and global change: potential Journal of David W.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defoliator Biogeograghy Willoams outbreaks Blackwell Science Ltd, J E F F E R Herbivory in global climate change research: Global Y S . B A L directeffects of rising temperature on insect herbivores Change E Biology Nederlandse Rosa How are insects responding to global warming? Entomologisc menēndez he Vereniging The Society How to analyze long-term insect population dynamics of Population Kohji under climate change: 50-year data of three insect Ecology and Yamamura pests in paddy fields Springer-Verla g Tokyo INFLUENCES OF CLIMATIC CHANGE ON SOME Environmental ECOLOGICAL PROCESSES OF AN INSECT OUTBREAK Monitoring RICHARD A. SYSTEM IN CANADA’ BOREAL FORESTS AND THE and FLEMING IMPLICATIONS FOR BIODIVERSITY Assessment Insect evidence for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s Palaeogeogra Philippe Ghost Forests, Global Warming, and the Mountain Pine Beetle (Coleoptera: Scolytidae)

- 7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from Younger Dryas to Sub-Boreal in a river floodplain at St-Momelin (St-Omer basin, northern France), Coleoptera and Trichoptera

phy, Palaeoclimato logy, Palaeoecolog y

Ponel

15

1999

Molecular genetic evidence for the post-Pleistocene divergence of populations of the arctic-alpine ground beetle Amara alpina (Paykull) (Coleoptera: Carabidae)

Journal of Biogeography,

Rebecca A. Reiss

16

2001

Perspectives on Beetles and Climate Change

Ashworth et al.

Allan C. Ashworth

17

2003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carabid assemblages from the United Kingdom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Biological Conservation

W.A. Scott

18

2000

THE BIODIVERSITY CRISIS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 CASE STUDY FROM AUSTRALIA'S FOREST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JANN E. WILLIAMS

19

1996

The response of arctic Carabidae (Coleoptera)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e fossil record of the Quaternary Period

ANN. ZOOL. FENNICI

Allan C. Ashworth.

<표 3-27> 기관 혹은 연구소 번호

년 도

국가

1

미국

2

미국

3

일본

4

미국

연구소 기관명

산림총합 연구소 미국 농무부

홈페이지

과제명

http://www.lternet.edu/sit es/ http://www.globalchange. gov http://www.ffpri.affrc.go.j p

The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http://usda.gov

<표 3-28> 대표적인 사례의 요약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

Extinction risk from climate change

Ÿ

Projected percentage extinction values are given, based on species–-area (for z ¼ 0.25) and Red Data Book (bold) approaches. The three species–-area estimates are ordered in each cellwith method 1 given first, followed by method 2, then method 3. Values for ‘'All species’' are based on both these raw values and estimates interpolated for the empty (–-) cells (see Methods). In each instance, n is the number of species assessed directly.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 77 -

2


PART 3. 생태 연구 부문

Ÿ

Ÿ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nsect herbivores: Auchenorrhyncha (Homoptera) Novel manipulations of local climate wew employed to investigate how warmer winters with either wetter or drier summers would affect the Auchenorrhyncha, a major component of the insect fauna of grasslands. D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limate manipulation wew found. Key words : Auchenorrhynha, climate change, insect herbivores, insect-plant interaction.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3 Climate change and impacts of boreal forest insects

Ÿ

The circum-polar boreal fores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wealth of northern nations since the 15th century. Its natural resources spurred strategic geopolitical developments beginning in the 16th century but intense development of the boreal forest is largely limited to the 20th century. Insects cause considerable loss of wood that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balance of carbon sequestered by forests.

Ÿ

Keywords : Climate change; Boreal forest; Stand-replacing outbreaks; Spruce budworm; Jack pine budworm; Forest tent caterpillar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4

Climate change impacts on insec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 temperate regions: can they be predicted? Ÿ

Global environmental change is amongst the greatest long-term threats to humans. We need sufficient food, clean air and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which to live and our current way of life threatens all of these. We have thrived as a result of the major changes that we have imposed on the planet,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clearing space for modern agriculture and the development and use of related technologie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5

Agroecosystem responses to combinations of elevated CO2, ozone, and global climate change Ÿ

Global climate change, caused by increased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is likely to affect agroecosystems in many ways, but the outcome, for instance, as a shift in productivity, depends on the combined effects of climate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other global change components.

Ÿ

Keywords : Agroecosystems; Agricultural crops; Climatic change; Elevated CO2 Tropospheric ozone; Resource-use efficiency; Weeds; Insect pests; Plant disease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Ÿ

문헌번호 6 Climate and the northern distribution limits of Dendroctonus frontalis Zimmermann (Coleoptera: Scolytidae) The southern pine beetle, Dendroctonus frontalis, is among the most important agents of ecological disturbance and economic loss in forest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We combined physiological measurements of insect temperature responses with climatic analyses to test the role of temperature in determining the northern distribution limits of D. frontalis. Keywords : Dendroctonus frontalis, lower lethal temperature, distribution, southern 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lobal change, climatic variance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 78 -

7


PART 3. 생태 연구 부문

Ghost Forests, Global Warming, and the Mountain Pine Beetle (Coleoptera: Scolytidae) Ÿ

The mountain pine beetle, Dendroctonus ponderosae Hopkins, is a significant ecological force at the landscape level. The majority of the life cycle is spent as larvae feeding in the phloem tissue (inner bark) of host pine trees. This feeding activity eventually girdles and kills successfully attacked trees (Amman and Cole 1983, Furniss 1997).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8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as bioindicators Ÿ

One of the primary goals of research on bioindicators is to identify species or other taxonomic units that would reliably indicate disturbances in the environment, and reflect the responses of other species or the overall biodiversity. However, there is no perfect bioindicator and selecting the most suitable one depends to a great extent on the goal of the survey.

Ÿ

Key words : Bioindicators, Carabids, Fragmentation, Ground beetle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9

Herbivorous insects and global change: potential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defoliator outbreaks Ÿ

The geographical ranges and the spatial extent of outbreaks of herbivorous species are likely to shift with climatic change. we investigated potential changes in spatial distribution of outbreaks of the western spruce budworm.

Ÿ

Key word : Choristoneura occidentails, Lymantria dispar, climatic change, insect outbreak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iscriminant analysi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0

Herbivory in global climate change research: direct effects of rising temperature on insect herbivores Ÿ

This review examines the direct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nsect herbivores. Temperature is identi®ed as the dominant abiotic factor directly affecting herbivorous insects. There is little evidence of any direct effects of CO2 or UVB. Direct impacts of precipitation have been largely neglected in current research on climate change. Temperature directly affects development, survival, range and abundance.

Ÿ

Keywords: global warming, insect±plant interactions, multitrophic interactions, phenology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1

How are insects responding to global warming? Ÿ

Global average surface temperature has increased by around 0.6 ºC during the past century and will continue to rise in the future. Understanding how these changes in climate have affected biological systems has attracted a vast research effor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2

- 7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How to analyze long-term insect population dynamics under climate change: 50-year data of three insect pests in paddy fields. Ÿ

We can precisely predict the future dynamics of populations only if we know the underlying mechanism of population dynamics. Long-term data are important for the elucidation of such mechanisms.

Ÿ

Key words : Chilo suppressalis, Laodelphax striatellus, Long-term dynamics, Nephotettix cincticeps, Paddy field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3

INFLUENCES OF CLIMATIC CHANGE ON SOME ECOLOGICAL PROCESSES OF AN INSECT OUTBREAK SYSTEM IN CANADA’ BOREAL FORESTS AND THE IMPLICATIONS FOR BIODIVERSITY Ÿ

Insect outbreaks are a major disturbance factor in Canadian forests. If global warming occurs, the disturbance patterns caused by insects may change substantially, especially for those insects whose distributions depend largely on climate.

Ÿ

Key words : biodiversity, boreal forest, Choristoneura fumiferana, climate change, disturbance, insect outbreaks, spruce budworm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4

Insect evidence for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s from Younger Dryas to Sub-Boreal in a river floodplain at St-Momelin (St-Omer basin, northern France), Coleoptera and Trichoptera Ÿ

The St-Omer area is a rapidly subsiding basin in which long sequences ofWeichselian and Holocene sediments are preserved. A core 21 m long, extracted from near St-Momelin about ten km north of St-Omer, has been analysed for insect fossils. Four Faunal Units (SMi-1 to SMi-4) are described based on changes in both coleopteran and trichopteran assemblages.

Ÿ

Keywords: Lateglacial; Holocene; Coleoptera; Trichoptera; Palaeoenvironment; Palaeoclimate; MCR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5 Molecular genetic evidence for the post-Pleistocene divergence of populations of the arctic-alpine ground beetle Amara alpina (Paykull) (Coleoptera: Carabidae)

Ÿ

This stud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the biogeographic history of a species is reflected in the distribution of molecular genetic diversity and the phylogenies of extant populations.

Ÿ

Keywords : Mitochondrial DNA (mtDN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RFLPs), Pleistocene, Carabidae, Coleoptera.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6 Perspectives on Beetles and Climate Change

Ÿ

The response of beetles to climate change during the Quaternary Period is review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ir future response to global warming. Beetles responded to Quaternary climatic changes mostly by dispersal, which ultimately led to large scale changes in geographic distribution.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 80 -

17


PART 3. 생태 연구 부문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carabid assemblages from the United Kingdom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Ÿ

This paper presents analyses of the data from the first 7 years of the UK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ECN) carabid monitoring programme. The 10 ECN terrestrial sites for which results are available represent a wide range of habitats, from lowland arable farmland to upland moorland, and correspondence analysis reveals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habitat and species composition.

Ÿ

Keywords : Environmental Change Network; Long-term monitoring; Invertebrate monitoring; Carabid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8 THE BIODIVERSITY CRISIS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 CASE STUTY FROM AUSTRALIA'S FORESTS

Ÿ

If current trends continue, human activities will drastically alter most of the planet's remaining natural ecosystems and their composite biota within a few decades. Compounding the impacts on biodiversity from deleterious management practices is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Key word : biodiversity, climate variability, climate change, adaptation, institutional reform.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9 The response of arctic Carabidae (Coleoptera)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e fossil record of the Quaternary Period

Ÿ

Ÿ

The response of Carabidae, based on C-dated fossil assemblages, was to track climate change through dispersal and differential survival Isolation of populations of arctic Carabidae caused by Quaternary climatic oscillations did not lead to enhanced rates of extinction and speciation, as it did in the mammal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1

문헌번호

The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Ÿ

Ÿ Ÿ

ILTER은 1993년에 창립되었다. 2006년까지 32개의 국가에서 LTER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모두 ILTER에 네크워크에 연계되어있다. 주요 권역별 네트워크 영역은 East Asia-Pacific Region, Central/Eastern European Region, Western European Region, African Region, North American Region, Central/South American Region 등이며 네트워크의 주목적은 범지구 생태계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현재와 미래의 환경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http://www.ilternet.edu/ http://www.lternet.edu/sites/

- 8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국내 사례 <표 3-29> 국내 문헌조사 번호

년도

제 목

1

2004

기후 변화와 이에 따른 곤충군의 영향

2

2003

3

1995

4

2009

기후변화가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가 한반도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부문 영향과 관리방향

5

2006

6

2008

저널/저서명/ 발행기관 농업과학기술연 구원 국립산림과학원 임업연구원 산림생태과

대표 저자

비 고

권오석 임종환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임종환

한국 나비의 증가와 감소

국립산립과학원

권태성

광릉 숲 나비류의 생활주기 변화분석 및 문제점

Korea J. Appl. Entimol

권태성

<표 3-30> 기관 혹은 연구소 번 호

년 도

국가

1

20 07

대한민국

2

대한민국

3

대한민국

4

대한민국

5

대한민국

연구소기 관명 국가기후 변화적응 연구센터 기후변화 센터 환경부 국립산림 과학원 한국곤충 학회

비 고

홈페이지

과제명

http://kaccc.kei.r e.kr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http://climatechan gecenter.kr http://www.me.go .kr http://www.kfri.go .kr http://www.korent soc.org

<표 3-31> 대표적인 사례의 요약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문헌번호 기후 변화와 이에 따른 곤충군의 영향

1

Since early 1980s, many scientists warned about the climatic changes in Earth ecosystem. Acceleration of industrialization, expansion of urban areas and rapid exploitation of fossil fuels resulted in Global warming.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2 기후변화가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8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3 문헌번호 기후변화가 한반도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황과 대응방안 수목병해충상의 변화 및 수목의 생리적 적응성 해충으로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대벌레류가 1983년 삼척에서 처음 발생된 이래 대벌레는 경상남북도, 우리대벌레는 강원도와 충청북도 등 내륙산간지역으로 까지 확산하고 있다.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분포가 현재는 남부지역에 국한되어 있으나 북상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온난화가 지속되면 참나무류 역병과 시들음병 등이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한국 나비의 증가와 감소

- 83 -

문헌번호

4

문헌번호

6


PART 3. 생태 연구 부문

Ÿ

농업혁명으로 촉발된 인구증가의 속도는 가속되고 있으며 늘어난 인간들은 지구의 모습을 급격히 변화시켜 이제 원래 자연 상태를 지구상에서는 거의 찾아보기가 어려워 졌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Ÿ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7

1

문헌번호

2009년 7월에는 기후변화 적응 정책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도약시키기 위하여 환경부와 한국 환경정책. 평가연구원이 함께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를 설립하였습니다.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에서는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적응 도구를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외 적응 관련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적응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문헌번호

광릉 숲 나비류의 생활주기 변화분석 및 문제점 지구온난화로 인한 나비 생활주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광릉 숲에서 1958년과 2004년에 주별로 조사한 나비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58년에 비해 2004년에 나비류의 최초 출현시기와 평균시기가 빨라졌는지, 출현기간이 길어 졌는지를 검토하였다. 검색어 :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곤충, 절족동물, 생활사

2

문헌번호

우리 인류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환경과 에너지 문제 등과 관련된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고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성취해야 하는, 매우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제 인류는 발전에 대한 패러다임을 새로이 구축하고 지구 생태계를 건강하게 지켜 나아가는 데 사회영역이나 국가의 경계를 넘어 다함께 협력해야 합니다.

- 84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백두대간 무척추동물 자원 관련 연구 수행 기관 혹은 연구소 - 백두대간 무척추동물 자원 현황 및 생태모니터링 기존 사례 분석 <표 3-32> 백두대간 무척추동물 자원 문헌조사 번호

년 도

제목

저널/저서명/ 발행기관

대표저 자

1

200 7

20세기말 남한의 대표적 곤충상

한국자연보존 연구지

김진일

2

200 1

방태산 자연휴양림 일대의 나비목 곤충상

한국생물상연 구지

변봉규

3

200 2

강릉, 석병산 일대의 육상곤충

환경부

안기정

4

199 9

봉화․태백, 태백산 일대의 육상곤충

환경부

배양섭

5

199 8

고성․인제, 향로봉 일대의 육상곤충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과

한호연

비 고

<표 3-33> 기관 혹은 연구소 번호

년도

국가

연구소 기관명

홈페이지

1

1963

대한민 국

한국자연환경 보전협회

www.kacn.org

대한민 국

환경부

http://www.me. fo.kr

전국자연환경조사

대한민 국

한국기후변화 대응연구센터

http://www.crik. re.kr/home/pag e/index.jsp

강원도기후변화적응 기본계획

2

3

2008

과제명

비 고

<표 3-34> 대표적인 백두대간 무척추동물자원 및 생태모니터링의 요약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 20세기말 남한의 대표적 곤충상 Ÿ Total insects listed in 166 survey reports of Korean insect fauna for 30 years, from 1971 to 2000, are 4,393 species belonging to 301 families of 17 order. based on them, I examined the data of Korean fauna and present the list of Representative Insects in South Korea.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2 방태산 자연휴양림 일대의 나비목 곤충상 Ÿ A total of 171 species belonging to 26 families of the Lepidoptera was collected and identified from the Recreation Forest area of Mt. Banftea, Gangwon-do.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3 석병산 일대의 육상곤충 Ÿ 환경부 2002년강릉, 도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과 정선군 임계면에

- 8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위치하는 석병산의 곤충상을 알아보았다. 또한, 환경평가종들의 출현을 조사하고 GIS를 구축하여 자연환경보전정책의 기초자료를 축적하였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4 봉화․태백, 태백산 일대의 육상곤충 Ÿ 본 조사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1997-2001년)의 일환으로 내륙북부권에 속한 태백산의 곤충상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조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보존상 시급성, 자연성, 생태적 가치, 지역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라고 판단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각 분류군의 전문가들에 의해 1999년 4월 1일부터 동년 10월 31일까지 장마 전․후로 연 2~3회 실시되었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5

Ÿ

고성․인제, 향로봉 일대의 육상곤충 본 보고서는 강원도 고성군과 인제군에 걸쳐있는 향로봉과 인근지역의 곤충상을 조사한 결과이다. 총 일곱 팀이 분류군 별로 1998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 까지 계절적으로 장마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각각 2회씩 조사를 실시한 결과 문헌기록을 포함하여 4목 31과 184속 240종이 조사되었기에 보고한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1

문헌번호

1948년에는 국제자연보전련맹(IUCN)이 발족되었고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자연과 자연자원을 보호관리하기 위하여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강력한 법의 보호를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고대로 금수강산이라 하여 동양에서도 가장 수려한 곳으로 전하여 왔다. 그러나, 근자에 이르러 산야는 볼품없이 변모하였고 명승지로 유명한 산천들도 황폐화될 직전에 놓여 있다.

Ÿ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2

문헌번호

환경부는 정부조직법 제40조(환경부)에 의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즉, '정부조직법 제40조 (환경부) 환경부장관은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의 보전과 환경오염방지에 관한 사무를 장리(掌理)한다.'에 규정된 바와 같이 각종 환경오염으로부터 우리 국토를 보전하여 국민들이 보다 쾌적한 자연, 맑은 물, 깨끗한 공기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나아가 지구환경보전에 기여하여 하나뿐인 지구를 보전하는 것을 그 임무로 하고 있습니다.

- 8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백두대간 무척추동물 자원에 대한 기존 문헌 종합정리 및 분석 <표 3-35> 오대산 지구 과 명

학 명

국명

쐐기노린재과 장님노린재과 장님노린재과 장님노린재과 장님노린재과 장님노린재과 긴노린재과 긴노린재과 긴노린재과 긴노린재과 긴노린재과 허리노린재과 잡초노린재과 잡초노린재과 뿔노린재과 노린재과 노린재과 노린재과 노린재과 송장벌레과

Nabis reuteri Jakovlev Adelphocoris triannulatus (Stål) Calocoris pulcherrimus Lindberg Deraeocoris ater Jakovlev Lygus saundersi Reuter Stenodema rubrinerve Horváth Cymus aurescens Distant Macropes obnubilus (Distant) Neolenthaeus dallasi (Scott) Pachygrontha antennata (Uhler) Panaorus albomaculatus (Scott) Molipteryx fuliginosa (Uhler) Rhopalus sapporensis (Matsumura) Stictopleurus crassicornis (Linnaeus) Elasmostethus humeralis Jacovlev Carbula putoni (Jakovlev) Menida violacea Motschulsky Palomena angulosa (Motschulsky) Rubiconia peltata Jakovlev Nicrophorus quadripunctatus Kraatz Aleochara (Aleochara) curtula (Goeze) Scaphidium amurense Solsky Ontholostes gracilis (Sharp) Sepedophilus varicornis (Sharp) Nipponodorcus rubrofemoratus (Snellen van Vollenhoven) Prismognathus dauricus (Motschulsky) Auletobius (Aletinus) uniformis (Roelofs) Cycnotrachelus coloratus (Faust) Euops (Synaptops) splendidia Voss Tomapoderus rufocollia (Fabricius) Polydrusus obesulus Faust Calomycterus setarius Roelofs Cyrtepistomus castaneus (Roelofs) Pseudocneorhinus adamsi Roelofs Pseudocneorhinus setosus Roelofs Anthinobaris dispilota (Solsky) Ypsolopha strigosus (Butler) Yponomeuta polystictus (Butler) Yponomeuta solitariellus Moriuti Cryptolechia torophanes Meyrick Promalactis enopisema (Butler) Tyrolimnas anthraconesa Meyrick Luehdorfia puziloi (Erschoff) Parnassius stubbendorfii Ménétriès Sericinus montela Gray

로이터쐐기노린재 설상무늬장님노린재 참산장님노린재 밀감무늬검정장님노린재 얼룩장님노린재 보리장님노린재 맵시폭긴노린재 울도반날개긴노린재 달라스긴노린재 더듬이긴노린재 흰무늬긴노린재 큰허리노린재 삿포로잡초노린재 흑다리잡초노린재 얼룩뿔노린재 가시노린재 깜보라노린재 북방풀노린재 극동애기노린재 넉점박이송장벌레

반날개과 반날개과 반날개과 반날개과 사슴벌레과 사슴벌레과 거위벌레과 거위벌레과 거위벌레과 거위벌레과 바구미과 바구미과 바구미과 바구미과 바구미과 바구미과 집나방과 집나방과 집나방과 원뿔나방과 원뿔나방과 원뿔나방과 호랑나비과 호랑나비과 호랑나비과

- 87 -

홍딱지바수염반날개 밑빠진버섯벌레 녹슬은반날개 붉은어깨알뾰족반날개 홍다리사슴벌레 다우리아사슴벌레 검정장미거위벌레 노랑배거위벌레 남색거위벌레 등빨간거위벌레 노고단바구미 털줄바구미 밤색주둥이바구미 얼룩무늬가시털바구미 가시털바구미 흰점박이꽃바구미 흰줄좀나방 화살나무집나방 참회나무집나방 노랑띠원뿔나방 매끈이원뿔나방 애기원뿔나방 애호랑나비 모시나비 꼬리명주나비

비고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호랑나비과 호랑나비과 호랑나비과 호랑나비과 호랑나비과 흰나비과 흰나비과 흰나비과 흰나비과 부전나비과 부전나비과 부전나비과 부전나비과 부전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네발나비과 팔랑나비과 팔랑나비과 팔랑나비과 팔랑나비과

Atrophaneura alcinous (Klug) Papilio machaon Linnaeus Papilio macilentus Janson Papilio bianor (Cramer) Papilio maackii Ménétriès Colias erate (Esper) Pieris canidia (Sparrmann) Pieris melete (Ménétriès) Pieris napi (Linnaeus) Favonius taxila (Bremer) Callophrys ferrea (Butler) Everes argiades (Pallas) Tongeia fischeri (Eversmann) Celastrina argiolus (Linnaeus) Libythea celtis (Laicharting) Argyronome laodice (Pallas) Argyronome rusrana (Motschulsky) Argynnis paphia (Linnaeus) Neptis sappho (Pallas) Neptis pryeri Butler Polygonia c-aureum (Linnaeus) Polygonia c-album (Linnaeus) Minois dryas (Scopoli) Melanargia epimede (Staudinger) Daimio tethys (Ménétriès) Erynnis montanus (Bremer) Carterocephalus diekmanni (Graeser) Thymelicus sylvaticus (Bremer)

- 88 -

사향제비나비 산호랑나비 긴꼬리제비나비 제비나비 산제비나비 노랑나비 대만흰나비 큰줄흰나비 줄흰나비 산녹색부전나비 쇳빛부전나비 암먹부전나비 먹부전나비 푸른부전나비 뿔나비 흰줄표범나비 큰흰줄표범나비 은줄표범나비 애기세줄나비 별박이세줄나비 네발나비 산네발나비 굴뚝나비 조흰뱀눈나비 왕자팔랑나비 멧팔랑나비 참알락팔랑나비 수풀꼬마팔랑나비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36> 태백산 지구 과 명

학 명

국명

장님노린재과

Cyrtopeltis tenuis Reuter

담배장님노린재

장님노린재과

Adelphocoris suturalis (Jakovlev)

변색장님노린재

장님노린재과

Adelphocoris triannulatus (Stal)

설상무늬장님노린재

장님노린재과

Lygocoris (A.) nigritulus (Linnavuori)

검은빛장님노린재

장님노린재과

Lygocoris (A.) nigrovirens Kerzhner

검정코장님노린재

장님노린재과

Lygus saundersi Reuter

얼룩장님노린재

쐐기노린재과

Nabis (Nabis) stenoferus Hsiao

긴날개쐐기노린재

침노린재과

Coranus dilatatus (Matsumura)

민날개침노린재

침노린재과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Stal)

다리무늬침노린재

침노린재과

Peirates (Cleptocoris) turpis Walker

검정무늬침노린재

긴노린재과

Pachygrontha antennata (Uhler)

더듬이긴노린재

긴노린재과

Pachybrachius luridus (Hahn)

짧은알락긴노린재

긴노린재과

Paradieuches dissimilis (Distant)

갈색무늬긴노린재

잡초노린재과

Liorhyssus hyalinus (Fabricius)

투명잡초노린재

잡초노린재

Rhopalus (Aeschyntelus) maculatus (Fieber)

붉은잡초노린재

잡초노린재

Stictopleurus crassicornis (Linné)

혹다리잡초노린재

참나무노린재 과

Urochela (U.) luteovaria Distant

배나무노린재

참나무노린재 과

Urochela (U.) quadrinotata (Reuter)

두쌍무늬노린재

참나무노린재 과

Urostylis annulicornis Scott

작은주걱참나무노린재

알노린재과

Coptosoma bifarium Montandon

알노린재

알노린재과

Coptosoma parvipictum Montandon

희미무늬알노린재

뿔노린재과

Acanthosoma denticaudum Jakovlev

등빨간뿔노린재

뿔노린재과

Acanthosoma forficula Jakovlev

녹색가위뿔노린재

뿔노린재과

Elasmostethus humeralis Jakovlev

얼룩뿔노린재

뿔노린재과

Elasmucha dorsalis (Jakovlev)

꼬마뿔노린재

뿔노린재과

Elasmucha putoni Scott

푸토니뿔노린재

노린재과

Carbula humerigera (Uhler)

참가시노린재

노린재과

Carbula putoni (Jakovlev)

가시노린재

노린재과

Eysarcoris ventralis (Westwood)

배둥글노린재

노린재과

Homalogonia obtusa (Walker)

네점박이노린재

노린재과

Menida violacea Motschulsky

깜보라노린재

노린재과

Nezara antennata Scott

풀색노린재

노린재과

Palomena angulosa (Motschulsky)

북방풀노린재

- 89 -

비고


PART 3. 생태 연구 부문

노린재과

Plautia splendens Distant

꼬마갈색노린재

노린재과

Rubiconia intermedia (Wolff)

애기노린재

노린재과

Graphosoma rubrolineatum (Westwood)

홍줄노린재

딱정벌레과

Carabus (P.) sternbergi cartereti Deuve

강원우리딱정벌레

딱정벌레과

Carabus (P.) sternbergi sternbergi Roeschke

우리딱정벌레

딱정벌레과

Damaster (C.) jankowskii jankowskii (Oberthür)

멋쟁이딱정벌레

딱정벌레과

Damaster (C.) jankowskii kangwonensis Kwon et Lee

강원멋쟁이딱정벌레

딱정벌레과

Damaster (C.) smaragdinus fulminifer (Roeschke)

산홍단딱정벌레

딱정벌레과

Damaster (K.) constricticollis constricticollis Kraatz

조롱박딱정벌레

딱정벌레과

Damaster (K.)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 Ishikawa et Deuve

멋조롱박딱정벌레

딱정벌레과

Leptocarabus (A.) seishinensis seishinensis Lapouge

청진민줄딱정벌레

딱정벌레과

Leptocarabus (W.) koreanus koreanus (Reitter)

고려줄딱정벌레

딱정벌레과

Tomocarabus fraterculus assimilis Kwon et Lee

남두꺼비딱정벌레

딱정벌레과

Tomocarabus fraterculus fraterculus (Reitter)

두꺼비딱정벌레

조롱박먼지벌 레과

Dyschirius (D.) ovicollis Putzeys

알가슴먼지벌레

먼지벌레과

Dolichus halensis (Schaller)

등빨간먼지벌레

먼지벌레과

Anisodactylus punctatipennis Morawitz

점박이먼지벌레

먼지벌레과

Pentagonica daimiella Bates

육모먼지벌레

먼지벌레과

Lachnolebia cribricollis (Morawitz)

노랑가슴먼지벌레

송장벌레과

Necrodes asiaticus Portevin 큰수중다리송장벌레

큰수중다리송장벌레

송장벌레과

Oiceoptoma thoracicum (Linné)

우단송장벌레

송장벌레과

Silpha perforata Gebler

넓적송장벌레

사슴벌레과

Prismognathus dauricus(Motschulsky)

다우리아사슴벌레

사슴벌레과

Nipponodorcus rubrofemoratus (S.v.Vollenhoven)

홍다리사슴벌레

사슴벌레과

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 Parry

사슴벌레

사슴벌레과

Prosopocoilus inclinatus (Motschulsky)

톱사슴벌레

비단벌레과

Anthaxia proteus E.Saunders

넓적비단벌레

비단벌레과

Trachys minuta (Linné)

버드나무좀비단벌레

- 9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홍날개과

Pseudopyrochroa laticollis (Lewis)

가뢰과

Lytta caraganae Pallas

거저리과

Misolampidius tentyrioides Solsky

호리병거저리

거저리과

Heterotarsus carinula Marseul

강변거저리

거저리과

Strongylium marseuli Lewis

덕적별거저리

거위벌레과

Byctiscus (B.) rugosus (Gebler)

황철거위벌레

거위벌레과

Involvulus (I.) pilosus (Roelofs)

찔레털거위벌레

거위벌레과

Involvulus (I.) plumbeus (Roelofs)

댕댕이덩굴털거위벌레

거위벌레과

Apoderus (A.) coryli (Linné)

개암거위벌레

거위벌레과

Apoderus (A.) jekelii (Roelofs)

거위벌레

거위벌레과

Apoderus (C.) erythropterus (Zschach)

북방거위벌레

거위벌레과

Apoderus (L.) balteatus Roelofs

갈색무늬거위벌레

거위벌레과

Cycnotrachelus coloratus (Faust)

노랑배거위벌레

거위벌레과

Paracycnotrachelus longiceps (Motschulsky)

왕거위벌레

거위벌레과

Tomapoderus (T.) ruficollis (Fabricius)

등빨간거위벌레

거위벌레과

Euops (S.) lespedezae koreanus Voss

싸리남색거위벌레

황머리털홍날개 청가뢰

거위벌레과

Euops (S.) splendidus Voss

남색거위벌레

거위벌레과

Henicolabus giganteus (Faust)

장다리거위벌레

소바구미과

Anthribus kuwanai (Yuasa)

짤막소바구미

소바구미과

Apion (P.) collare Schilsky

목창주둥이바구미

바구미과

Phyllobius (D.) incomptus Sharp

갈녹색가루바구미

바구미과

Macrocorynus elegantulus (Roelofs)

새왕주둥이바구미

바구미과

Myllocerus griseus Roelofs

섭주둥이바구미

바구미과

Myllocerus nipponensis Zumpt

갈참주둥이바구미

바구미과

Enaptorrhinus granulatus Pascoe

털보바구미

바구미과

Lixus depressipennis Roelofs

제주배바구미

바구미과

Lixus imperessiventris Roelofs

길쭉바구미

바구미과

Balanobius (B.) pictus (Roelofs)

옛애밤바구미

바구미과

Baris dispilota (Solsky)

흰점박이꽃바구미

바구미과

Rhamphus hisamatsui Chûjô et Morimoto

고채목애벼룩바구미

나무좀과

Hylurgops glabratus (Zetterstedt)

갈색소나무좀

나무좀과

Tomicus piniperda (Linné)

소나무좀

곡나방과

Nematopogon distincta Yasuda

그물무늬긴수염나방

곡나방과

Nemophora amurensis (Alphèraky)

아무르긴수염나방

곡나방과

Nemophora staududingerella (Christoph)

큰자루긴수염나방

- 9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가는잎말이나 방과

Eupoecilia ambiguella (Hübner)

버찌가는잎말이나방

가는잎말이나 방과

Eupoecilia inouei Kawabe

끝검은가는잎말이나방

집나방과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배추좀나방

집나방과

Swammerdamia casiella (Hübner)

흰머리집나방

집나방과

Yponomeuta polystictus (Butler)

화살나무집나방

원뿔나방과

Agonopterix costamaculella (Christoph)

검은무늬원뿔나방

애기비단나방 과

Scythris sinensis (Felder et Rogenhofer)

두점애기비단나방

뿔나방과

Dactylethrella tegulifera (Meyrick)

상수리뿔나방

뿔나방과

Pseudotelphusa acrobrunella Park

오렌지비늘뿔나방

뿔나방과

Dichomeris ustalella (Fabricius)

큰털보뿔나방

창나방과

Rhodoneura erecta (Leech)

꼬마상수리창나방

털날개나방과

Stenoptilia emarginata (Snellen)

칠성털날개나방

알락나방과

Chalcosia remota (Walker, 1854)

뒤흰띠알락나방

쐐기나방과

Latoia sinica (Moore)

뒷검은푸른쐐기나방

쐐기나방과

Narosoideus flavidorsalis (Staudinger)

배나무쐐기나방

쐐기나방과

Phlossa conjuncta (Walker)

남방쐐기나방

쐐기나방과

Phrixolepia sericea Butler

흑색무늬쐐기나방

뾰족날개나방 과

Tethea albicostata (Bremer)

앞흰뾰족날개나방

솔나방과

Gastropacha populifolia (Esper)

버들나방

솔나방과

Paralebeda plagiata (Ménétriès)

대만나방

산누에나방과

Actias gnoma (Butler)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박각시과

Callambulyx tatarinovii (Bremer et Grey)

녹색박각시

박각시과

Clanis undulosa Moore

무늬콩박각시

박각시과

Dolbina exacta Staudinger

애물결박각시

박각시과

Dolbina tancrei Staudinger

물결박각시

박각시과

Laothoe amurensis (Staudinger)

톱날개박각시

박각시과

Marumba gaschkewitschii (Bremer et Grey)

분홍등줄박각시

박각시과

Marumba jankowskii (Oberthür)

작은등줄박각시

박각시

Marumba maackii (Bremer)

산등줄박각시

박각시

Meganoton scribae (Austaut)

쥐박각시

박각시

Smerinthus caecus Ménétrès

버들박각시

박각시

Smerinthus planus Walker

뱀눈박각시

재주나방과

Dudusa sphigiformis Moore

꽃술재주나방

재주나방과

Fentonia ocypete (Bremer)

밤나무재주나방

재주나방과

Fusapteryx ladislai (Oberthür)

푸른무늬재주나방

- 9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재주나방과

Gangarides dharma Moore

갈고리재주나방

재주나방과

Nerice davidi Oberthür

멋쟁이재주나방

재주나방과

Peridea gigantea Butler

곧은줄재주나방

재주나방과

Phalera sangana Moore

배얼룩재주나방

재주나방과

Rabtala cristata (Butler)

곱추재주나방

재주나방과

Shaka atrovittatus (Bremer)

긴띠재주나방

재주나방과

Spatalia dives Oberthür

세은무늬재주나방

독나방과

Calliteara lunulata (Butler)

붉은수염독나방

독나방과

Euproctis similis (Fuessly)

흰독나방

불나방과

Agylla collitoides (Butler)

앞노랑검은불나방

불나방과

Agylla gigantea (Oberthür)

앞선두리불나방

불나방과

Cyana hamata Walker

붉은줄불나방

불나방과

Eilema japonica (Leech)

각시불나방

불나방과

Miltochrista miniata (Forester)

주홍테불나방

불나방과

Miltochrista striata (Bremer et Grey)

홍줄불나방

불나방과

Paraona staudingeri Alphéraky

목도리불나방

불나방과

Chionarctia nivea (Ménétriès)

흰제비불나방

불나방과

Rhyparioides amurensis (Bremer)

별박이안주홍불나방

불나방과

Pericallia matronula (Linné)

뒷노랑왕불나방

불나방과

Spilarctia seriatopunctata Motschulsky

줄점불나방

불나방과

Spilosoma punctaria (Stoll)

점무늬불나방

밤나방과

Panthea coenobita (Esper)

솔버짐나방

밤나방과

Acronicta catocaloida (Graeser)

노랑뒷날개저녁나방

밤나방과

Acronicta major (Bremer)

왕뿔무늬저녁나방

밤나방과

Cymatophoropsis trimaculata (Bremer)

세무늬저녁나방

밤나방과

Mythimna divergens Butler

긴쌍띠밤나방

밤나방과

Mythimna grandis Butler

큰쌍띠밤나방

밤나방과

Orthogonia sera Felder et Felder

모진밤나방

밤나방과

Catocala dissimilis Bremer

끝흰무늬박이뒷날개나방

밤나방과

Catocala eminens Staudinger

북방노랑뒷날개나방

밤나방과

Catocala fulminea (Scopoli)

광대노랑뒷날개나방

밤나방과

Catocala koreana Staudinger

작은광대노랑뒷날개나방

밤나방과

Catocala nupta (Linné)

분홍뒷날개나방

밤나방과

Ercheia niveostrigata Warren

청백무늬밤나방

밤나방과

Chrysorithrum amatum (Bremer et Grey)

사랑밤나방

호랑나비과

Parnassius stubbendorfii Ménétriès

모시나비

호랑나비과

Atrophaneura alcinous (Klug)

사향제비나비

호랑나비과

Papilio machaon Linnaeus

산호랑나비

호랑나비과

Papilio xuthus (Linnaeus)

호랑나비

호랑나비과

Papilio macilentus Janson

긴꼬리제비나비

- 9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호랑나비과

Papilio bianor (Cramer)

제비나비

호랑나비과

Papilio maackii Ménétriès

산제비나비

흰나비과

Leptidea morsei (Fenton)

북방기생나비

흰나비과

Gonepteryx rhamni (Linnaeus)

멧노랑나비

흰나비과

Colias erate (Esper)

노랑나비

흰나비과

Pieris rapae (Linnaeus)

배추흰나비

흰나비과

Pieris canidia (Sparrman)

대만흰나비

흰나비과

Pieris melete (Ménétriès)

큰줄흰나비

부전나비과

Artopoetes pryeri (Murray)

선녀부전나비

부전나비과

Coreana raphaelis (Oberthür)

붉은띠귤빛부전나비

부전나비과

Ussuriana michaelis (Oberthür)

금강산귤빛부전나비

부전나비과

Thecla betulae (Linnaeus)

암고운부전나비

부전나비과

Shirozua jonasi (Janson)

민무늬귤빛부전나비

부전나비과

Japonica lutea (Hewitson)

귤빛부전나비

부전나비과

Araragi enthea (Janson)

긴꼬리부전나비

부전나비과

Antigius butleri (Fenton)

담색긴꼬리부전나비

부전나비과

Antigius attilia (Bremer)

물빛긴꼬리부전나비

부전나비과

Protantigius superans (Oberthür)

깊은산부전나비

부전나비과

Favonius orientalis (Staudinger)

큰녹색부전나비

부전나비과

Favonius ultramarinus (Fixsen)

금강산녹색부전나비

부전나비과

Favonius taxila (Bremer)

산녹색부전나비

부전나비과

Rapala caerulea (Bremer et Grey)

범부전나비

부전나비과

Fixsenia pruni (Linnaeus)

벚나무까마귀부전나비

부전나비과

Lycaena phlaeas (Linnaeus)

작은주홍부전나비

부전나비과

Everes argiades (Pallas)

암먹부전나비

부전나비과

Celastrina argiolus (Linnaeus)

푸른부전나비

부전나비과

Celastrina sugitanii Matsumura

산푸른나비

부전나비과

Scolitantides orion (Pallas)

작은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부전나비과

Lycaeides subsolanus (Eversmann)

산부전나비

부전나비과

Maculinea arionides (Staudinger)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

네발나비과

Libythea celtis (Laicharting)

뿔나비

네발나비과

Parantica sita (Kollar)

왕나비

네발나비과

Mellicta ambigua (Ménétriès)

여름어리표범나비

네발나비과

Mellicta regama (Fruhstorfer)

담색어리표범나비

네발나비과

Melitaea scotosia Butler

암어리표범나비

네발나비과

Eurodryas aurinia (Rottemburg)

네발나비과

Clossiana thore (Hübner)

산꼬마표범나비

네발나비과

Brenthis daphne (Denis et Schiffermüller)

큰표범나비

네발나비과

Brenthis ino (Rottemburg)

작은표범나비

네발나비과

Argyronome laodice (Pallas)

흰줄표범나비

네발나비과

Argyronome rusrana (Motschulsky)

큰흰줄표범나비

- 94 -

금빛어

리표범나비


PART 3. 생태 연구 부문

네발나비과

Nephargynnis anadyomene (C. et R. Felder)

구름표범나비

네발나비과

Argyreus hyperbius (Linnaeus)

암끝검은표범나비

네발나비과

Argynnis paphia (Linnaeus)

은줄표범나비

네발나비과

Childrena zenobia (Leech)

산은줄표범나비

네발나비과

Fabriciana vorax (Butler)

긴은점표범나비

네발나비과

Fabriciana adippe (Linnaeus)

은점표범나비

네발나비과

Fabriciana nerippe (C. et R. Felder)

왕은점표범나비

네발나비과

Speyeri aglaja (Linnaeus)

풀표범나비

네발나비과

Limenitis camilla (Linnaeus)

줄나비

네발나비과

Limenitis doerriesi Staudinger

제이줄나비

네발나비과

Limenitis helmanni Lederer

제일줄나비

네발나비과

Limenitis amphyssa Ménétriès

참줄나비사촌

네발나비과

Limenitis moltrechti Kardakoff

참줄나비

네발나비과

Limenitis populi (Linnaeus)

왕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alwina (Bremer et Grey)

왕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philyra Ménétriès

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sappho (Pallas)

애기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pryeri Butler

별박이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speyeri Staudinger

높은산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thisbe Ménétriès

황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themis Leech

산황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rivularis (Scopoli)

두줄나비

네발나비과

Aldania raddei (Bremer)

어리세줄나비

네발나비과

Araschnia levana (Linnaeus)

북방거꾸로여덟팔나비

네발나비과

Polygonia c-aureum (Linnaeus)

네발나비

네발나비과

Polygonia c-album (Linnaeus)

산네발나비

네발나비과

Inachis io (Linnaeus)

공작나비

네발나비과

Nymphalis xanthomelas (Denis et Schifferüller)

들신선나비

네발나비과

Kaniska canace (Linnaeus)

청띠신선나비

네발나비과

Vanessa indica (Herbst)

큰멋쟁이나비

네발나비과

Cynthia cardui (Linnaeus)

작은멋쟁이나비

네발나비과

Apatura ilia (Denis et Schiffermüller)

오색나비

네발나비과

Apatura metis Freyer

황오색나비

네발나비과

Apatura iris (Linnaeus)

번개오색나비

네발나비과

Mimathima nycteis (Ménétriès)

밤오색나비

네발나비과

Ypthima argus Butler

애물결나비

네발나비과

Erebia cyclopius (Eversmann)

외눈이지옥나비

네발나비과

Erebia wanga Bremer

외눈이지옥사촌나비

네발나비과

Oeneis nanna Fixsen

참산뱀눈나비

네발나비과

Coenonympha hero (Linnaeus)

도시처녀나비

네발나비과

Minois dryas (Scopoli)

굴뚝나비

- 9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네발나비과

Ninguta schrenckii (Ménétriès)

왕그늘나비

네발나비과

Kirinia epimenides (Ménétriès)

알락그늘나비

네발나비과

Lasiommata deidamia (Eversmann)

뱀눈그늘나비

네발나비과

Lopinga achine (Scopoli)

눈많은그늘나비

네발나비과

Lethe diana (Butler)

먹그늘나비

네발나비과

Melanargia epimede (Staudinger)

조흰뱀눈나비

네발나비과

Mycalesis francisca (Cramer)

부처사촌나비

팔랑나비과

Lobocla bifasciata (Bremer et Grey)

왕팔랑나비

팔랑나비과

Satarupa nymphalis (Speyer)

대왕팔랑나비

팔랑나비과

Daimio tethys (Ménétriès)

왕자팔랑나비

팔랑나비과

Pyrgus maculata (Bremer et Grey)

흰점팔랑나비

팔랑나비과

Carterocephalus silvicola (Meigen)

수풀알락팔랑나비

팔랑나비과

Carterocephalus dieckmanni (Graeser)

참알락팔랑나비

팔랑나비과

Heteropterus morpheus (Pallas)

돈무늬팔랑나비

팔랑나비과

Thymelicus leoninus (Butler)

줄꼬마팔랑나비

팔랑나비과

Thymelicus sylvaticus (Bremer)

수풀꼬마팔랑나비

팔랑나비과

Hesperia florinda Butler

꽃팔랑나비

팔랑나비과

Ochlodes venatus (Bremer et Grey)

수풀떠들썩팔랑나비

팔랑나비과

Ochlodes subhyalina (Bremer et Grey)

유리창떠들썩팔랑나비

팔랑나비과

Ochlodes ochraceus (Bremer)

검은테떠들썩팔랑나비

- 9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37> 진부령 지구 과 명

학 명

국명

네발나비과

Nephargynnis anadyomene (C.et R. Felder)

구름표범나비

네발나비과

Argynnis paphia (Linnaeus)

은줄표범나비

네발나비과

Fabriciana adippe coredippe (Leech)

은점표범나비

네발나비과

Limenitis doerriesi Staudinger

제이줄나비

네발나비과

Limenitis helmanni Lederer

제일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sappho (Pallas)

애기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alwina (Bremer et Grey)

왕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speyeri Staudinger

높은산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pryeri Butler

별박이세줄나비

네발나비과

Neptis rivularis (Scopoli)

두줄나비

네발나비과

Araschnia burejana Bremer

거꾸로여덟팔나비

네발나비과

Polygonia c-aureum (Linnaeus)

네발나비

네발나비과

Kaniska canace (Linnaeus)

청띠신선나비

네발나비과

Cyntia cardui (Linnaeus)

작은멋쟁이나비

네발나비과

Vanessa indica (Herbst)

큰멋쟁이나비

네발나비과

Apatura metis Freyer

황오색나비

네발나비과

Apatura iris (Linnaeus)

번개오색나비

네발나비과

Erebia cyclopius (Eversmann)

외눈이지옥나비

네발나비과

Erebia wanga Bremer

외눈이지옥사촌나비

네발나비과

Coenonympha hero (Linnaeus)

도시처녀나비

네발나비과

Minois dryas (Scopoli)

굴뚝나비

네발나비과

Lasiommata deidamia (Eversmann)

뱀눈그늘나비

네발나비과

Lethe diana (Buter)

먹그늘나비

네발나비과

Melanargia epimede (Staudinger)

조흰뱀눈나비

네발나비과

Mycalesis gotama Moore

부처나비

팔랑나비과

Lobocla bifasciata (Bremer et Grey)

왕팔랑나비

팔랑나비과

Daimio tethys (Ménétriès)

왕자팔랑나비

팔랑나비과

Erynnis montanus (Bremer)

멧팔랑나비

팔랑나비과

Leptalina unicolor (Bremer et Grey)

은줄팔랑나비

팔랑나비과

Carterocephalus silvicola (Meigen)

수풀알락팔랑나비

팔랑나비과

Carterocephalus dieckmanni Graeser

참알락팔랑나비

팔랑나비과

Heteropterus morpheus (Pallas)

돈무늬팔랑나비

팔랑나비과

Aeromachus inachus (Ménétriès)

파리팔랑나비

팔랑나비과

Thymelicus leoninus (Butler)

줄꼬마팔랑나비

팔랑나비과

Ochlodes venata (Bremer et Grey)

수풀떠들썩팔랑나비

팔랑나비과

Ochlodes subhyalina (Bremer et Grey)

유리창떠들썩팔랑나비

팔랑나비과

Ochlodes ochracea (Bremer)

검은테떠들썩팔랑나비

팔랑나비과 팔랑나비과

Parnara guttata (Bremer et Grey) Polytremis pellucida (Murray)

줄점팔랑나비 산팔랑나비

- 97 -

비고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가는잎말이나 방과

Cochylidia subroseana (Haworth)

횡줄가는잎말이나방

가는잎말이나 방과

Eupoecilia ambiguella (Hübner)

버찌가는잎말이나방

가는잎말이나 방과

Eupoecilia angustana (Hübner)

미역취가는잎말이나방

곡식좀나방과

Opogona thiadelta Meyrick

노랑머리좀나방

곡식좀나방과

Morophaga bucephala (Snellen)

큰점무늬좀나방

집나방과

Ypsolopha yasudai Moriuti

작은갈고리좀나방

집나방과

Swammerdamia casiella (Hübner)

흰머리집나방

집나방과

Yponomeuta vigintipunctatus (Retzius)

꿩비름집나방

원뿔나방과

Cryptolechia malacobyrsa Meyrick

갈색띠원뿔나방

원뿔나방과

Promalactis odaiensis Park

솔피원뿔나방

원뿔나방과

Deuterogonia pudorina (Wocke)

북방원뿔나방

·

- 98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 무척추동물다양성 조사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m 고정조사구에서 무척추동물 다양성 및 서식지특성 조사 -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10개 조사구에서 무척추동물 다양성 조사 <표 3-38> 오대산지구 3개 조사구에서 채집된 곤충의 목별 과와 종수의 상대적 우점도 목명

과수

종수

우점도(R.D)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目

1

1

1.02

Order Odonata 잠자리目

2

3

3.06

Order Mantodea 사마귀目

1

2

2.04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目

1

1

1.02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目

1

2

2.04

Order Orthoptera 메뚜기目

4

7

7.14

Order Hemiptera 노린재目

4

6

6.12

Order Homoptera 매미目

3

4

4.08

Order Neuroptera 풀잠자리目

2

2

2.04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目

15

45

45.92

Order Hymenoptera 벌目

4

4

4.08

Order Mecoptera 밑들이目

1

1

1.02

Order Diptera 파리目

3

5

5.10

Order Trichoptera 날도래目

1

1

1.02

Order Lepidoptera 나비目

7

14

14.29

50

98

100

계(15目)

- 9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17>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10개 조사구에서 무척추동물 다양성 조사 (오대산지구)

분류계급 및 동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目 Family Heptageniidae 꼬리하루살이科

Ecdyonurus yoshidae Takahashi 꼬리하루살이 Order Odonata 잠자리目 Family Coenagrionidae 실잠자리科

Coenagrion hylas Trybon 큰실잠자리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科

Orthetrum albistylum speciosum (Uhler) 밀잠자리 Pantala flavescens (Fabricius) 된장잠자리 Order Mantodea 사마귀目 Family Mantidae 사마귀科 Statilia maculata (Thunberg) 좀사마귀

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사마귀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目 Family Perlidae 강도래科

Oyamia coreana Okamoto 진강도래 Order Dermaptera 집게벌레目 Family Anisolabididae 민집게벌레科 Anechura japonica (Bormans) 좀집게벌레

Timomenus komarovi (Semenov) 고마로브집게벌레 Order Orthoptera 메뚜기目 Family Tetrigidae 모메뚜기科

Tetrix japonica (Bolivar) 모메뚜기 Criotettix japonicus (de Haan) 가시모메뚜기 Family Tettigoniidae 여치科

Ducetia japonica (Thunberg) 줄베짱이 Paratlanticus ussuriensis (Uvarov) 갈색여치 Family Gryllidae 귀뚜라미科

Teleogryllus emma (Ohmachi et Mat.) 왕귀뚜라미

- 100 -

관심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Family Acrididae 메뚜기科

Acrida cinerea cinerea (Thunberg) 방아깨비 Locusta migratoria (Linné) 풀무치 Order Hemiptera 노린재目 Family Miridae 장님노린재科

Adelphocoris triannulatus (Stal) 설상무늬장님노린재 Lygocoris (A.) limbatus (Falln) 무늬고리장님노린재 Family Lygaeidae 긴노린재科 Nysius (Nysius) plebejus Distant 애긴노린재 Family Pentatomidae 노린재科 Carbula putoni (Jakovlev) 가시노린재

Eurydema gebleri Kolenati 북쪽비단노린재 Family Reduviidae 침노린재科

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Stal) 다리무늬침노린재 Order Homoptera 매미目 Family Aphrophoridae 거품벌레科 Philaronia nigrifrons Matsumura 어리광대거품벌레 Family Derbidae 긴날개멸구科

Bothrogonia japonica Ishihara 끝검은말매미충 Family Cicadidae 매미科 Meimuna opalifera (Walker) 애매미 Meimuna mongolica (Distant) 쓰름매미 Order Neuroptera 풀잠자리目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科

Protohermes grandis (Thunberg) 뱀잠자리 Family Ascalaphidae 뿔잠자리科

Ascalaphus sibiricus Eversmann 노랑뿔잠자리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目 Family Coccinellidae 무당벌레科 Aiolocaria hexaspilota (Hope) 남생이무당벌레

Chilocorus kuwanae Silvestri 애홍점박이무당벌레 Coccinella septempunctata Linné 칠성무당벌레 Family Chrysomelidae 잎벌레科

- 10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Cassida lineola Creutzer 줄남생이잎벌레 Lema decempunctata Gebler 열점박이잎벌레 Lema fortunei Baly 주홍배큰벼잎벌레 Family Tenebrionidae

Plesiophthalmus davidis Fairmaire 산맴돌이거저리 Family Attelabidae 거위벌레科 Apoderus erythrogaster Vollenhoven 검정날개거위벌레 Family Carabidae 딱정벌레科 Carabus (P.) sternbergi Roeschke 우리딱정벌레 Damaster(C.) jankowskii (Oberthϋr) 멋쟁이딱정벌레 Leptocarabus(A.) semiopacus(Reitter) 민줄딱정벌레

Family Lucanidae 사슴벌레科

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 Parry 사슴벌레 Prismognathus dauricus (Mo.) 다우리아사슴벌레 Family Melonthidea 검정풍뎅이科 Aolotrichia diomphalia (Bates) 참검정풍뎅이

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큰검정풍뎅이 Melolontha incana (Motschulsky) 왕풍뎅이 Family Elateridea 방아벌레科 Ectinus sericeus (Candéze) 누런방아벌레

Pectocera fortunei Candéze 왕빗살방아벌레 ● Family Lampyridae 반딧불이科 Luciola lateralis Motshulsky 애반딧불이 Family Rutelidea 풍뎅이科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 주둥무늬차색풍뎅이 Mimela holosericea (Fabricius) 금줄풍뎅이 Spilota plagicollis Fairmaire 등노랑풍뎅이 Family Cetoniidae 꽃무지科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 흰점박이꽃무지 Trichius succinctus (Pallas) 호랑꽃무지 Family Meloidae 가뢰科

Epicauta chinensis taishoensis (Lewis) 먹가뢰 Family Cerambycidea 하늘소科 Anastrangalia sequensi (Reitter) 옆검은산꽃하늘소 Lamiomimus gottschei Kolbe 우리목하늘소

- 10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esosa myops (Dalman) 깨다시하늘소 Moechotypa diphysis (Pascoe) 털두꺼비하늘소 Pidonia (Pidonia) amurensis (Pic) 산각시하늘소 Leptura duodecimguttata Fabricius 열두점박이꽃하늘소 Thyestilla gebleri (Faldermann) 삼하늘소 Family Harpalinae 먼지벌레科 Pterostichus sp.

Colpodes sp. Harpalus(Harpalus) chalcentus Bates 가는청동머리먼지벌레 Synuchus nitidus 윤납작먼지벌레 Synuchus cycloderus 꼬마칠납작먼지벌레 Synuchus spp. Harpalus (Harpalus) corporosus 검은머리먼지벌레 Harpalus (Pseudoophonus) tridens 꼬마머리먼지벌레 Trichotichnus congruus 애기윤머리먼지벌레 Chlaenius naeviger 쌍무늬번지벌레 Family Curculionidae 바구미科 Enaptorrhinus granulatus Pascoe 털보바구미 Lixus maculatus Roelofs 점박이길쭉바구미

Pseudocneohinus obesus Roelofs 두줄무늬가시털바구미 Order Hymenoptera 벌目 Family Siricidae 송곳벌科

Tremex apicalis Matsumura 호도송곳벌 Family Formicidae 개미科 Polyrhachis (Polyrhachis) lamellidens Smith 가시개미 Family Vespidae 말벌科

vespa analis parallela André 좀말벌 Family Apidae 꿀벌科 Bombus ignitus Smith 호박벌 Order Mecoptera 밑들이目 Family Panorpidae 밑들이科

Panorpodes paradoxus MacLachlan 모시밑들이 Order Diptera 파리目 Family Tipulidae 각다귀科

Ctenophora (D.) pictipennis fasciata Coq. 대모각다귀

- 10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Tipula (Acutipula) bubo Alexander 좀잠자리각다귀 Family Syrphdae 꽃등에科 Eristalis (Eristalis) tenax (Linné) 꽃등에

Metasyrphus frequens Matsumura 물결넓적꽃등에 Family Tabanidae 등에科

Ptecticus tenebrifer (Walker) 동애등에 Order Trichoptera 날도래目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科 Hydatophylax nigrovittatus (Mac.) 띠무늬우묵날도래 Order Lepidoptera 나비目 Family Bombycidae 누에나방科

Bombyx mandarina 멧누에나방 Oberthϋeria caeca (Oberthϋr) 물결멧누에나방 Family Sphingidae 박각시科

Ampelophaga rubignosa 머루박각시 Rhagastis mongoliana 우단박각시 Family Arctiidae 불나방科

Aglaeomorpha histrio 흰무늬왕불나방 Spilarctia subcarnea Walker 배붉은흰불나방 Family Lasiocampidae 솔나방科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솔나방 Family Papilionidae 호랑나비科

Papilio bianor Cramer 제비나비 Papilio machaon Linnaeus 산호랑나비 Papilio macilentus Janson 긴꼬리제비나비 Family Pieridae 흰나비科

Artogeia canidia (Linnaeus) 대만흰나비 Artogenia rapae (Linnaeus) 배추흰나비 Family Lycaenidae 부전나비科 Everes argiades (Pallas) 암먹부전나비

Fixsenia herzi (Fixsen) 민꼬리까마귀부전나비

- 104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무척추동물 장기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마련 -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기후변화를 대표하는 고정조사구 2~4곳) <표 3-39>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 조사구번호

토지피복현황

4

혼효림

선정이유 세 지점간의 이동이 용이하며 사전조사한 기온과 고도의 차이가 크다

5

혼효림

세 지점간의 이동이 용이하며 사전조사한 기온과 고도의 차이가 크다

6

혼효림

세 지점간의 이동이 용이하며 사전조사한 기온과 고도의 차이가 크다

-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기후지표 무척추동물 1~2종) 선정 <표 3-40>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 종명 학명

과명 딱정벌레과

선정이유

국명

Carabus

우리딱정벌레

-sternbergi

고지대와 저지대의 가장 넓게 분포하여 있으며 번식률이 높고, 채집이 용이함

m 무척추동물다양성 및 척추동물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발 - 조사 방법 사전 조사한 HOBO 에 따라 미리 선정한 세 지역의 지표배회성곤충류의 형태 및 번식 cycle 조사. · 1차 조사 한 site 당 300개의 함정트랩을 설치 후 다음 날 오전 수거. 포획 된 개체들의 암수 분포율 과 외부 형태계측 조사지역별 군집 분석 및 종다양도 분석 조사된 딱정벌레목의 지역별, 지점별 출현 종수와 개체수를 파악한 후 다음의 공식을 이 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다. ① 우점도(Dominance Index: DI) 우점도 지수는 특정종이 우세한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별 출현 개체수를 총 출현 개체수 로 나누어 백분율로 선출하였다. (McNaughton,1967) DI =

ni / N ×100

(ni : 제 번째 종의 개체수 , N : 총 개체수)

- 10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② 종다양도(Biodiversity Index : D') 다양도 지수는 군집의 종 풍부 정도와 개체수의 상대적 균형성을 의미하며 군집의 복잡성 을

나타내는

것으로

Margalef(1968)의

정보이론에

의해

유도된

Shannon-Weaver

function(Pielou, 1966)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D' = -Pi (In Pi) (Pi : i번째 속하는 개체수의 비율 (ni/N), In : 자연대수, ni :각 종의 개체수, S : 전체종수) ③균등도(Evenness Index : E) 균등도는

군집 내 종 구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Pielou(1975)의 식을 사용하

여 산출하였다. E = D'/ ln (S) (D' : 다양도, ln : 자연대수, S : 전체종수) ④ 종 풍부도(Richness Index ) 종 풍부도 지수는 Margalef(1958)의 지수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RI=(S-1)/In (N) (S : 전체종수,

In: 자연대수 , N: 총 개체수)

⑤ 종 유사도 종 유사도는

Sorensen's 유사도 지수를 사용하여 산출 하였다. 2C/(S1+S2)

(S1 : 군집 1에서 출현한 종 수, S2 : 군집 2에서 출현한 종 수, C : 두 군집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 수)

- 10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3장 척추동물 1. 과업수행 범위 1) 백두대간 내 조사 구역 설정 m 일반 조사의 경우 - 기후변화연구소에서 설치한 HOBO주변의 야생동물의 흔적(굴, 식흔, 배설물, 털 등) 을 따라 서 약 2km 이내로 구역 설정. m 특정 조사의 경우 - 현저하게 온도차이가 나며 접근에 유익한 두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지역 설정.

2) 기존 자료 수집 및 분석 m 기후변화관련 척추동물다양성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m 백두대간 척추동물 자원 현황 및 생태모니터링 기존 사례 분석 m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 파악(사례 조사) - 기후변화 취약한 척추동물 종의 정의 및 구분 - 강원도 내 백두대간의 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의 현황파악 - 향후 년차별 과제에서 중점 조사할 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 정리

3) 척추동물다양성 조사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m고정조사구에서 척추동물 다양성 및 서식지특성 조사 -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10개 내외에서 척추동물 다양성 조사 - 조사구 입지환경 조사(해발고, 사면, 경사도 등) m척추동물 장기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마련 -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기후변화를 대표하는 고정조사구 2~4곳) -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기후지표 포유동물 1~2종) 선정 - 기후변화 대응 척추동물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발 m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 분포 파악

4) 포유동물 지리정보시템기반 구축 m조사지역의 지리정보 시스템과 포유동물 분포지와 연계 m기후변화에 의한 포유동물 다양성 및 생태 정보망 구축 m백두대간 포유동물 생태환경 관련 DB 구축 방향제시

- 107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2. 척추동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표 3-41> 척추동물분야 과업 추진 일정 2010년

2011년

일정(월) 내

용 4

5

6

7

8

9

10

11

12

1

2

기본구상 수립 -국내외자료 발굴 및 벤치마킹 ·문헌에 기초한 도내 백두대간 생물자원 현황 파악 ·기후변화 지표종 현황파악 ·기후변화 취약종(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등) 현황파악 조사구 선정

생물다양성 조사

기후지표종 현장분포 현황 파악

기후지표종 모니터링 위한 서식지 현황파악

기후변화 취약종의 조사구내 분포 현황 파악

지리정보시스템기반 구축

추가 보완 작업

중간보고

최종보고

- 108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 과업수행 결과 1) 백두대간 내 조사 구역 설정 m 생물다양성 조사구 - 생물다양성 조사구 선정의 이론적 배경 · (재)기후변화 연구센터에서 사전 조사한 기후조사 data를 기준으로 하여 HOBO주변을 기점 으로 하여 야생동물 흔적조사 수행. · 야생동물 흔적조사의 경우 굴, 식흔, 배설물, 털, 보금자리, 휴식처, 포획 등의 방법을 이용 하여 조사를 실시. · 산림 내에서 야생동물이 지나간 길을 따라서 흔적조사. - 생물다양성 조사구 위치정보 <표 3-42> 생물다양성 조사구들의 위치정보 조사 구역명 진부령 진부령 진부령 오대산 오대산 오대산 태백산 태백산 태백산 태백산

조사구 번호 1 2 3 4 5 6 7 8 9 10

조사구지명

좌표

해발고

향로봉 스키장 휴게소 진부방향 휴게소 주문진방향 민박촌 유일사 만항재방향 상동방향

N38°15'53.01" E128°20'1.94" N38°16'0.31" E128°23'7.14" N38°17'3.36" E128°21'40.76" N37°44'31.86" E128°37'11.08" N37°45'58.29" E128°36'20.22" N37°47'10.76" E128°37'9.83" N37° 7'22.90" E128°57'32.88" N37° 7'4.18" E128°54'37.02" N37° 9'38.22" E128°53'10.35" N37° 6'36.02" E128°51'30.24"

1020m 702m 316m 741m 1062m 668m 831m 947m 1149m 685m

비 고

m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선정의 이론적 배경 · 여러 나라에서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계속 진행중에 있다. 그들은 위도, 고도 별 기후 변화에 따른 동물들의 형태나, 동면, 번식등의 초점을 맞추어 계속하 여 연구를 해 나아가고 있다. · 포유류는 정온 동물로써 주변온도보다 체온을 높게 유지하여 생활하며, 온도나 주변 먹이 고갈 등의 이유로 생존이 어려울 경우에는 동면을 하는 등 나름대로의 생존방법을 찾아서 대응 하는 민감한 종이다. · 현생종은 4,00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형태·습성·분포 등이 매우 다양하므로 모든 종에 대

- 10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므로 우리는 현존하고 있는 국내의 포유 류 중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번식이 강한 설치류를 선정. - 장기생태모니터링 조사구 위치정보 <표 3-43> 생물다양성 조사구들의 위치정보 조사 구역명 진부령 진부령

조사구 번호 1 3

조사구지명

좌표

해발고

향로봉 휴게소

N38°15'53.01" E128°20'1.94" N38°17'3.36" E128°21'40.76"

1020m 316m

비고

2) 기존 자료의 수집 및 분석 m기후변화관련 척추동물다양성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국내·외 사례 - 국외 사례 <표 3-44> 기관 혹은 연구소 번 호

국가

연구소기관명

홈페이지

1

영국

UK Climate Impacts Programme

http://www.ukcip.org.uk

2

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http://www.unep.org

3

미국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http://www.nwf.org/Global -Warming/Effects-on-Wild life-and-Habitat.aspx

4

미국

Defenders of Wildlife

http://www.defenders.org/ programs_and_policy/clima te_change/index.php

5

미국

USGS: National Climate Change and Wildlife Science Center

http://nccwsc.usgs.gov/

6

미국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National Headquarters

http://www.ucsusa.org/glo bal_warming/

<표 3-45> 대표적인 사례의 요약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8

Spatial Response of Mammals to Late Quaternary Environmental Fluctuations Ÿ

Analyses of fossil mammal faunas from 2945 localities in the United States demonstrate that the geographic ranges of individual species shifted at different tim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t different rates in response to late Quaternary environmental fluctuations. The geographic pattern of faunal provinces was similar for the late Pleistocene and late Holocene, but differing environmental gradients resulted in dissimilar species composition for these biogeographic regions. Modern community patterns emerged only in the last few thousand years, and many late Pleistocene communities do not have modern analogs.

- 11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Faunal heterogeneity was greater in the late Pleistocene.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4

문헌번호

14

Climatic change and body size in two species of Japanese rodents Ÿ

Using museum specimens, we studied temporal changes in skull size in two species of Japanese rodents, the large Japanese field mouse (Apodemus speciosus) and Pratt’'s vole (Eothenomys smithii = E. kageus) during the 20th century. We used the greatest length of the skull (GTL), zygomatic breadth (ZB), narrowest width of the skull across the interorbital region (IC) and the length of the upper cheek teeth row (M) as indicators to such changes. We found that GTL and ZB (but not IC and M) in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mice, and that IC and M (but not GTL and ZB) increased marginally in voles. We attribute these changes to elevated ambient minimal temperatures, which increased food availability and energy savings for the mice, and required diet change in the voles.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 11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3

문헌번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4

문헌번호

- 112 -

10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5

문헌번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6

문헌번호

- 11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 국내 사례 <표 3-46> 국내사례 문헌 조사 번 호

년 도

1

2009

2

2008

3

1999

4

5

제목 기후변화에따른 수종이동과 생물다양성 변화 오대산 국립공원 모니터링 4차 모니터림

저널/저서명/ 발행기관

대표저자

산림지

임종환

비 고

환경부

정선․태백 지역의 포유류

설악산양보존회. 백두대간보전회

박 그 림․ 김 원 기

1999

봉화․태백 지역의 포유류

환경부

조 성 원 ․한 석 붕

2002

인제․속초1 지역의 지형경관

환경부

장 은 미 ․이 해 미

<표 3-47> 대표적인 사례의 요약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2

서 론 Ÿ

오대산국립공원은 1975년 2월 1일 우리나라 20개의 국립공원중 11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으로써 전체면적은 303.9㎢이며, 행정구역상 강원도 평창군(진부면, 대관령면, 용평면)과 강릉시(연곡면) 그리고 홍천군(내면) 등 총 3개시․군 5개면에 걸쳐있는 지역이다. 경위도상 북위 37° 42′ ~ 37° 49′과 동경 128° 42′ ~ 128° 44′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는 오대산은 주봉인 비로봉(해발1,563m)을 중심으로 남서쪽으로는 소대산(해발1,270m)․호령봉(해발1,560m)․소계방산(해발1,490m)으로 뻗어내리고, 동쪽으로는 상왕봉(해발1,493m)․두로봉(해발1,422m)․동대산(해발1,434m)․노인봉(해발1,338m)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수려한 자연풍경과 더불어 약 3,788여종의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2008, 국립공원통계자료). 이 지역에 대한 과거의 조사자료를 살펴보면, 1971년 시작된 오대산 자연자원에 대한 조사에서부터, 2005년 자연자원조사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사들이 펼쳐져 왔다. 특히 2001-2002년에는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에 대한 중점조사가 이뤄져 그 서식실태에 대한 구체적 기록물을 축적하게 되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더욱 체계적인 자연자원조사 및 모니터링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결과에 따르면 총 3,788종의 동․식물 중 포유류는 28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수달, 산양, 하늘다람쥐, 담비, 삵, 사향노루 등 6종의 멸종위기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본 조사는 오대산국립공원의 생물자원, 특히 포유동물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국립공원의 합리적인 보전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3

- 114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Ÿ

정선, 태백(1-29) 소권역의 5개 평가단위인 고양산(1150m), 기우산(869m), 지억산(1116m), 삼봉산(1234m), 함백산(1572m)의 조사 결과를 보면 포유류의 서식 분포는 전부 5목 13과 26종으로 확정한다. 이 중 반달가슴곰, 수달, 산양의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이고 하늘다람쥐가 희귀종이다. 계통분류학적으로 볼 때 쥐류가 6종으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족제비과가 4종, 다람쥐과 3종이었다. 이외 첨서과 2종, 개과 2종, 고양이과 2종, 사슴과 2종이고, 마지막으로 고슴도치과, 두더지과, 관박쥐과, 곰과, 멧돼지과, 소과, 토끼과가 각각 1종이었다. 이번 조사결과 5개 평가단위에 나타난 서식 분포종은 크게 차이점이 없었다. 단순히 종류 수자로만 결론 지을 것은 아니지만 집단 수자도 중요하듯이 멧돼지, 고라니, 토끼, 너구리, 족제비, 청설모, 다람쥐 등의 서식밀도가 높았다. 또한 조밀한 조사후에는 작은 포유류의 종류수가 증가될 것이나 조사지역의 임도와 고랭지 재배지역의 확산, 송전탑 건설로 인한 포유류 수자와 종류가 급속히 감소되고 있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요

Ÿ Ÿ Ÿ Ÿ

Ÿ Ÿ Ÿ

1) 제2차 전국 자연환경 기초조사로서 ‘99년 봉화, 태백지역 포유류의 서식분포를 조사 하였다. 2) 조사방법은 현지조사, 포획조사, 청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 5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봉화, 태백지역에는 총 5목 11과 24 종의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었다. 4) 총 24종 중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대륙족제비, 담비, 오소리, 삵, 고양이, 멧돼지, 노루,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하늘다람쥐, 등줄쥐,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 밭쥐 등 18종이 전 조사지역에 공통으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고슴도치, 담비, 삵, 산 양, 여우, 수달, 사향노루, 하늘다람쥐 등 8종의 취약종, 위기종, 희귀종이 포함되어 있다. 5) 야생화된 고양이의 서식수가 급증하여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6)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멧토끼 등에 의해 산림과 인접한 농경에서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청설모에 의해 호두나무 열매, 잣 종자의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7) 감소 추세중인 오소리, 수달, 삵, 담비 등 희귀 야생동물은 불법포획, 먹이 식물의 착취, 환경오염이 주된 원인으로 철저한 단속 및 지속적인 계몽과 홍보가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 지

Ÿ

4

5

태백산맥의 동사면 해안으로 배후에는 태백산맥의 분수계가 북서-남동방향으로 달리고 있으며 분수계에는 해발 1,000~1,700m의 장년산지가 주능선을 이루고 있다. 이들 산지는 북으로부터 향로봉(1,293m)․마산(1,051m), 신선봉 (1,204m), 설악산(1,708m)등이 주봉을 이루며, 사면은 급경사로 조사지역의 해안에 몰입하고 있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1

- 11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2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3

- 11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백두대간 척추동물 자원 현황 및 생태모니터링 기존 사례 분석 <표 3-48> 백두대간 척추동물 자원 관련 연구 수행 기관 혹은 연구소 번 호

연구소기관명

홈페이지

과제명

1

환경부

http://www.me.fo.kr

전국자연환경조사

2

강원발전연구원

http://www.gdri.re.kr

백두대간종합관리계획

3

수달연구센터

http://www.ottercenter.org/

전국단위로 수달 서식 조사

4

국립공원관리공단

http://main.knps.or.kr/main /main.do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5

멸종위기종복원센 터

http://www.bear.or.kr/

국립공원 내 멸종위기 종 복원

비고

<표 3-49> 대표적인 백두대간 척추동물 자원 및 생태모니터링의 요약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Ÿ

Ÿ

문헌번호 1 1. 서 론 오대산국립공원은 1975년 2월 1일 우리나라 20개의 국립공원중 11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으로써 전체면적은 303.9㎢이며, 행정구역상 강원도 평창군(진부면, 대관령면, 용평면)과 강릉시(연곡면) 그리고 홍천군(내면) 등 총 3개시․군 5개면에 걸쳐있는 지역이다. 경위도상 북위 37° 42′ ~ 37° 49′과 동경 128° 42′ ~ 128° 44′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는 오대산은 주봉인 비로봉(해발1,563m)을 중심으로 남서쪽으로는 소대산(해발1,270m)․호령봉(해발1,560m)․소계방산(해발1,490m)으로 뻗어내리고, 동쪽으로는 상왕봉(해발1,493m)․두로봉(해발1,422m)․동대산(해발1,434m)․노인봉(해발1,338m)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수려한 자연풍경과 더불어 약 3,788여종의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다(2008, 국립공원통계자료). 이 지역에 대한 과거의 조사자료를 살펴보면, 1971년 시작된 오대산 자연자원에 대한 조사에서부터, 2005년 자연자원조사 모니터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사들이 펼쳐져 왔다. 특히 2001-2002년에는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에 대한 중점조사가 이뤄져 그 서식실태에 대한 구체적 기록물을 축적하게 되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더욱 체계적인 자연자원조사 및 모니터링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결과에 따르면 총 3,788종의 동․식물 중 포유류는 28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수달, 산양, 하늘다람쥐, 담비, 삵, 사향노루 등 6종의 멸종위기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본 조사는 오대산국립공원의 생물자원, 특히 포유동물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국립공원의 합리적인 보전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Ÿ

Ÿ

문헌번호 2 요 약 정선, 태백(1-29) 소권역의 5개 평가단위인 고양산(1150m), 기우산(869m), 지억산(1116m), 삼봉산(1234m), 함백산(1572m)의 조사 결과를 보면 포유류의 서식 분포는 전부 5목 13과 26종으로 확정한다. 이 중 반달가슴곰, 수달, 산양의 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이고 하늘다람쥐가 희귀종이다. 계통분류학적으로 볼 때 쥐류가 6종으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족제비과가 4종, 다람쥐과 3종이었다. 이외 첨서과 2종, 개과 2종, 고양이과 2종, 사슴과 2종이고, 마지막으로 고슴도치과, 두더지과, 관박쥐과, 곰과, 멧돼지과, 소과, 토끼과가 각각 1종이었다. 이번 조사결과 5개 평가단위에 나타난 서식 분포종은 크게 차이점이 없었다. 단순히 종류 수자로만 결론 지을 것은 아니지만 집단 수자도 중요하듯이 멧돼지, 고라니, 토끼, 너구리, 족제비, 청설모, 다람쥐 등의 서식밀도가 높았다. 또한 조밀한 조사후에는 작은 포유류의 종류수가 증가될 것이나 조사지역의 임도와 고랭지 재배지역의 확산, 송전탑 건설로 인한 포유류 수자와 종류가 급속히 감소되고 있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 117 -

3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요 Ÿ Ÿ Ÿ Ÿ

Ÿ Ÿ Ÿ

1) 제2차 전국 자연환경 기초조사로서 ‘99년 봉화, 태백지역 포유류의 서식분포를 조사 하였다. 2) 조사방법은 현지조사, 포획조사, 청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 5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봉화, 태백지역에는 총 5목 11과 24 종의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었다. 4) 총 24종 중 고슴도치, 두더지, 너구리, 대륙족제비, 담비, 오소리, 삵, 고양이, 멧돼지, 노루, 고라니,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하늘다람쥐, 등줄쥐,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 밭쥐 등 18종이 전 조사지역에 공통으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고슴도치, 담비, 삵, 산 양, 여우, 수달, 사향노루, 하늘다람쥐 등 8종의 취약종, 위기종, 희귀종이 포함되어 있다. 5) 야생화된 고양이의 서식수가 급증하여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6)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멧토끼 등에 의해 산림과 인접한 농경에서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청설모에 의해 호두나무 열매, 잣 종자의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7) 감소 추세중인 오소리, 수달, 삵, 담비 등 희귀 야생동물은 불법포획, 먹이 식물의 착취, 환경오염이 주된 원인으로 철저한 단속 및 지속적인 계몽과 홍보가 절실히 필 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문헌번호 1. 지

Ÿ

4

태백산맥의 동사면 해안으로 배후에는 태백산맥의 분수계가 북서-남동방향으로 달리고 있으며 분수계에는 해발 1,000~1,700m의 장년산지가 주능선을 이루고 있다. 이들 산지는 북으로부터 향로봉(1,293m)․마산(1,051m), 신선봉 (1,204m), 설악산(1,708m)등이 주봉을 이루며, 사면은 급경사로 조사지역의 해안에 몰입하고 있다.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1

문헌번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2

문헌번호

- 118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3

문헌번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4

문헌번호

기관 혹은 연구소번호

5

문헌번호

- 11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 12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 사례에 기초한 백두대간 척추동물 자원의 종합정리 및 분석 <표 3-50> 진부지역 정리 및 분석 번 호

1

종 코 드

01

종 학

명 명

INSECTIVORA Erinaceidae

식충목 고슴도치과

Erinaceus amurensis

고슴도치

Talpidae

두더지과

2

02

Mogera wogura

두더지

Soricidae

첨서과

3

05

Sorex caecutiens

뒤쥐

CHIROPTERA Vespertilionidae

박쥐목 애기박쥐과

Pipistrelus jacanicus

집박쥐

CARNIVORA Canidae

식육목 개과

4

24

5

37

Nyctereutes procyonoides

너구리

6

39

Canis familialis

Mustelidae

족제비과

7

43

Mustela sibirica

대륙족제비

8

47

Martes flavigula

담비

9

49

Meles meles

오소리

10

50

Lutra lutra

수달

Felidae

고양이과

11 12

51 55

13

56

14 15

58 61

16

66

17 18

67 68

19 20 21

71 73 74

Prionailurus bengalensis Felis catus ARTIODACTYLA Suidae Sus scrofa Cervidae Caproelus pygargus Hydropotes inermis LAGOMORPHA Leporidae Lepus coreanus RODENTIA Sciuridae Sciurus vulgaris Tamias sibiricus Muridae Rattus norvegicus Mus musculus Apodemus agrarius

22

75

Apodemus pennisulae

23

77

Micromys minutus

삵 고양이 우제목 멧돼지과 멧돼지 사슴과 노루 고라니 토끼목 토끼과 멧토끼 쥐목 다람쥐과 청설모 다람쥐 쥐과 집쥐 생쥐 등줄쥐 흰넓적다리 붉은쥐 멧밭쥐

- 121 -

A 무 선 산

B 봉 대 산

C 와 룡 산

D 향 로 봉

2

4

2

4

9

8

4

2

2

4

4

4

10

6

9

11

12

4

3

12

E 무 량 산

비 고

RES1

6

1 3

3

4 2

2

RES1

2 2

2

1 3

2 4

2 2

2

6

4

8

7

6

4

2 4

2 7

2 5

7

5

5

6

6

8

6

5

14 6

12 4

7

9 4 2

12 4 2

14

12

9

5

2

4

3

4

6

2

2

5

2

6

6

8

RES2 RES1


PART 3. 생태 연구 부문

24

83

Clethrionomys regulus

비단털들쥐

6목 12과 24종

3 16 종

18 종

4 21 종

17 종

14 종

※ 한국자연보존협회(1989)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물(Rare and Endangered Species : RES) RES1 : 취약종, RES2 : 위기종,

RES3 : 희귀종,

RES4 : 절종종

<표 3-51> 오대산 지역 정리 및 분석 구 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학 명 Class Mammalia Order Insectivora Family Talpidae Mogera wogura Order Carnivora Family Canidae Nyctereutes procyonoides Canis familiaris Family Mustelidae Mustela sibirica Martes flavigula Meles meles Lutra lutra Family Felidae Prionailurus bengalensis Felis catus Order Artiodactyla Family Suidae Sus scrofa Family Cervidae Caproelus pygargus Hydropotes inermis Order Lagomorpha Family Leporidae Lepus coreanus Order Rodentia Family Sciuridae Sciurus vulgaris Tamias sibiricus Family Muridae Apodemus agrarius Rattus norvegicus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B, C

B, C

너구리

C

B, C

개 족제비과 대륙족제비 담비 오소리 수달 고양이과 삵 고양이 우제목 멧돼지과 멧돼지 사슴과 노루 고라니 토끼목 토끼과 멧토끼 설치목 청설모과 청설모 다람쥐 쥐과 등줄쥐 집쥐

B, C

C

C C C C

C C C B, C

● ● ●

○ ⊗ ⊗ ●

C B, C

C C

C

B, C

C B, C

C B, C

C

C

●, ○

C A, C

A, C C

◎ ◎

◎ ◎

국 명 포유강 식충목 두더지과 두더지 식육목 개과

비 고

⊗ ⊗

수렵종

16 B, C A ◆ 17 B, C C 총 9과 9과 9과 9과 5목 9과 17종 계 17종 17종 10종 14종 Ÿ ․2005년~2006년 : A; 목격, B; 흔적, C; 청문 Ÿ ․2007년~2008년 : ◎; 목격, ●; 배설물, ○; 발자국, ◇; 이동로(굴), ■; 식흔, □; 잠자리/영역표시, ◆;포획, ⊗; 청문

- 12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52> 태백 지역 정리 및 분석 코 드

짐 승 이 름

등 급

01

고슴도치 (Erinaceus amurensis)

3

고양산 기우산 1,150m 869m 청 현 청 현 문 지 문 지 ● ○ ● ○

02

두더지 (Mogera wogura)

1

10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

2

A

11

땃쥐 (Crocidura lasiura)

1

13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큰발윗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 너구리 (Nyctereutes procyonoides)

2

1

39

개 (Canis familialis)

0

41

곰 (Ursus thibetanus)

5

43

족제비 (Mustela sibirica)

1

47

담비 (Martes flavigula)

4

49

오소리 (Meles meles)

2

50

수달 (Lutra lutra)

5

51

삵 (Prionailurus pengalensis)

3

53

범 (Panthera tigris)

5

54

표범 (Panthera pardus)

5

55

고양이 (Felis catus)

0

56

멧돼지 (Sus scrofa)

1

58

노루 (Capreolus capreolus)

2

61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2

62

산양 (Naemorhedus caudatus)

5

63

염소 (Capra hircus)

0

66

멧토끼 (Lapus coreanus)

2

67

청설모 (Sciurus vulgaris)

1

68

다람쥐 (Tamias sibiricus)

69

하늘다람쥐 (Pteromys volans)

71

1

3

집쥐 (Rattus norvegicus)

1

73

생쥐 (Mus musculus)

1

A

74

등줄쥐 (Apodemus agrarius)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nisulae) 멧밭쥐 (Micromys minutus)

1

A

1

1

대륙밭쥐 (Clethrionomys rufocanus)

1

A

15 37

75 77 81 합 계

Ÿ

지억산 삼봉산 함백산 1,116m 1,230m 1,572m 청 현 청 현 청 현 문 지 문 지 문 지 ● ○ ● ○ ● ○

4

?

26

●․○ : 확인종 / A : 직접 목격 / ◎ : 목격치 못했으나 분포가능종 / ? : 확인 필요종

- 12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 사례 파악 - 기후변화 취약한 척추동물 종의 정의 및 구분 <표 3-53> 강원도내 백두대간의 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 취약종명 과명 Erinaceid ae Soricidae

종명 Erinaceus amurensi s Crocidura lasiura

Vespertili onidae

Crocidura suaveole ns Clethrion omys regulus Apodemu s pennisula e Pteromys volans Lutra lutra Mustela sibirica Meles meles Martes flavigula Naemorh edus caudatus Prionailur us pengalen sis Rhinolop hus ferrumeq uinum Myotis macroda ctylus Pipistrelu s jacanicus

Leporida e

Lapus coreanus

Soricidae

Muridae

Muridae

Sciuridae Mustelida e Mustelida e Mustelida e Mustelida e Bovidae

Felidae

Rhinolop hidae Vespertili onidae

인접조사구

취약종의 생태, 분포 서식지 특징

고슴도치

1,2,3, 7,8,9,10

포획이 어려 울 뿐 아니라, 쉽게 찾기 힘든 종

땃쥐

7,8,9,10

곤충을 먹이원으로 한다는 점에서 해충을 없애 주기도 하는 이로운 동물 중 하나

작은땃쥐

7,8,9,10

땃쥐보다 몸집이 작음. 형태는 땃쥐와 매우 비슷.

비단털들 쥐

1,2,3

이전에 대륙밭쥐와 혼동 되기도 했었으나, 현재는 비단털 들쥐로 통용되어 불리워 지고 있음

흰넓적다 리붉은쥐

1,2,3,7, 8,9,10

산림지역에서 많이 서식하고 있는 설치류

하늘다람 쥐

7,8,9,10

국명

수달 족제비 오소리 담비

1,2,3,4,5,6, 7,8,9,10 1,2,3,4,5,6, 7,8,9,10 1,2,3,4,5,6, 7,8,9,10 1,2,3,4,5,6, 7,8,9,10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어 특히 보호가 필요한 종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수계에서 생활 무분별한 설치류 개체수 급증에 도움을 주는 종 오소리 똥굴이라하여 굴 앞에 똥을 싸 놓는다 산림깊은 곳에 서식하며 돌 위나 나무위에 배설하는 경우가 많음

산양

1,2,3

사전 조사에는 없었으나, 올해 진부령 조사시 뿔질 식흔 발견

1,2,3,4,5,6, 7,8,9,10

고양이와 많이 혼돈되나 무늬와 성격이 많이 다름

관박쥐

7,8,9,10

폐광으로 인하여 동굴을 부시고 막는 등의 행위들로 인하여 서식지 위협

큰발윗수 염박쥐

7,8,9,10

집박쥐

1,2,3

멧토끼

1,2,3,4,5,6, 7,8,9,10

- 124 -

폐광으로 인하여 동굴을 부시고 막는 등의 행위들로 인하여 서식지 위협 폐광으로 인하여 동굴을 부시고 막는 등의 행위들로 인하여 서식지 위협 연구자 뿐 아니라 동물주민들에 의해 올무로 많은 개체가 잡혀 죽어서 위협을 받고 있는 종

기타


PART 3. 생태 연구 부문

<표 3-54> 향후 년차별 과제에서 중점조사 할 기후변화 취약종 조사대상 취약종명 과명 Muridae

Muridae

Sciuridae Bovidae

Felidae

Leporida e

종명 Clethrion omys regulus Apodemu s pennisula e Pteromys volans Naemorh edus caudatus Prionailur us pengalen sis Lapus coreanus

조사구명

중점조사 대상종 선정이유

비단털들 쥐

1,2,3

이전에 대륙밭쥐와 혼동 되기도 했었으나, 현재는 비단털 들쥐로 통용되어 불리워 지고 있음

흰넓적다 리붉은쥐

1,2,3,7, 8,9,10

산림지역에서 많이 서식하고 있는 설치류

하늘다람 쥐

7,8,9,10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어 특히 보호가 필요한 종

산양

1,2,3

사전 조사에는 없었으나, 올해 진부령 조사시 뿔질 식흔 발견

1,2,3,4,5,6, 7,8,9,10

고양이와 많이 혼돈되나 무늬와 성격이 많이 다름

멧토끼

1,2,3,4,5,6, 7,8,9,10

연구자 뿐 아니라 동물주민들에 의해 올무로 많은 개체가 잡혀 죽어서 위협을 받고 있는 종

국명

- 125 -

기타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 척추동물다양성 조사 및 장기생태모니터링 m 고정조사구에서 척추동물 다양성 및 서식지특성 조사 -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10개 조사구에서 척추동물 다양성 조사 <표 3-55> 기후인자 분석 조사구와 연계하여 10개 조사구에서 척추동물 다양성 조사 제4조사구 사번 4-1

4-4 ,6

4-5

4-7

4-2

종명 학명

국명

GPS

식별방법

위도

경도

발견지역특 징

Muridae

N3744.541

E128 37.183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족적

N3744.544

E128 37.204

혼효림

Muridae

N3744.539

E128 37.214

혼효림

Lapus coreanus

멧토끼

배설물

N3744.543

E128 37.213

혼효림

Muridae

N3744.541

E128 37.217

혼효림

Muridae

N3744.543

E128 37.220

혼효림

Muridae

N3744.539

E128 37.222

혼효림

Nyctereutes procyonoides

너구리

굴, 판흔적

N3744.536

E128 37.217

혼효림

Muridae

굴(더덕 많음)

N3744.540

E128 37.218

혼효림

Muridae

N3744.522

E128 37.222

혼효림

Muridae

배설물

N3744.519

E128 37.226

혼효림

Muridae

N3744.501

E128 37.239

혼효림

Muridae

N3744.499

E128 37.241

혼효림

Muridae

N3744.496

E128 37.249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497

E128 37.248

혼효림

Muridae

N3744.498

E128 37.256

혼효림

Muridae

N3744.503

E128 37.263

혼효림

Muridae

식흔

N3744.498

E128 37.264

혼효림

Muridae

N3744.484

E128 37.269

혼효림

Capreolus capreolus

노루

뿔질

N3744.491

E128 37.256

혼효림

Muridae

N3744.481

E128 37.260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4.492

E128 37.281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488

E128 37.297

혼효림

Meles meles

오소리

배설물

N3744.493

E128 37.302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배설물, 털

N3744.494

E128 37.295

혼효림

Lapus

멧토끼

배설물

N3744.493

E128 37.308

혼효림

- 126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coreanus Muridae

N3744.503

E128 37.327

혼효림

Lapus coreanus

멧토끼

배설물

N3744.497

E128 37.314

혼효림

4-3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493

E128 37.307

혼효림

4-8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이 갈은흔적

N3744.488

E128 37.315

혼효림

Lapus coreanus

멧토끼

배설물

N3744.504

E128 37.316

혼효림

Muridae

식흔

N3744.506

E128 37.321

혼효림

Muridae

N3744.512

E128 37.314

혼효림

4-1 0

Muridae

식흔

N3744.516

E128 37.313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족적

N3744.521

E128 37.311

혼효림

Muridae

N3744.526

E128 37.321

혼효림

Meles meles

오소리

파헤친흔 적

N3744.534

E128 37.323

혼효림

Muridae

N3744.533

E128 37.316

혼효림

Muridae

식흔

N3744.530

E128 37.317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나무타고 올라간 흔적

N3744.533

E128 37.315

혼효림

Tamias sibiricus

다람쥐

나무굴

N3744.540

E128 37.314

혼효림

Muridae

N3744.545

E128 37.313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배설물

N3744.548

E128 37.307

혼효림

Muridae

N3744.555

E128 37.297

혼효림

Muridae

N3744.559

E128 37.294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563

E128 37.288

혼효림

Muridae

식흔

N3744.566

E128 37.281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563

E128 37.276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족적

N3744.573

E128 37.275

혼효림

Muridae

N3744.576

E128 37.274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576

E128 37.272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배설물

N3744.575

E128 37.274

혼효림

Muridae

N3744.574

E128 37.275

혼효림

Muridae

N3744.576

E128 37.265

혼효림

Muridae

N3744.560

E128 37.224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족적

N3744.560

E128 37.220

혼효림

- 127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uridae

N3744.555

E128 37.214

혼효림

Muridae

굴,식흔

N3744.555

E128 37.210

혼효림

Meles meles

오소리

파헤친흔 적

N3744.556

E128 37.212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552

E128 37.211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4.550

E128 37.213

혼효림

Nyctereutes procyonoides

너구리

판흔적

N3744.548

E128 37.203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549

E128 37.199

혼효림

Muridae

N3744.549

E128 37.199

혼효림

Muridae

N3744.541

E128 37.181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배설물

N3744.546

E128 37.176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4.539

E128 37.162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57

E128 37.226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23

E128 37.181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53

E128 37.233

혼효림

Eothenomys regulus

비단털들쥐

포획

N37 44.524

E128 37.183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65

E128 37.236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62

E128 37.238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56

E128 37.238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28

E128 37.187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29

E128 37.190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57

E128 37.236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5.936

E128 36.668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4.558

E128 37.232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4.527

E128 37.184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4.522

E128 37.171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59

E128 37.233

혼효림

- 128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35

E128 37.191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4.521

E128 37.181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리 붉은쥐

포획

N37 45.936

E128 36.668

혼효림

Eothenomys regulus

비단털들쥐

포획

N37 44.521

E128 37.183

혼효림

제5조사구 종명

GPS 위도

경도

발견지 역특징

식흔

N37 45.953

E128 36.638

배추밭

고라니

휴식지

N37 45.974

E128 36.592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휴식지

N37 45.971

E128 36.592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 45.972

E128 36.582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 45.970

E128 36.584

혼효림

Sus scrofa

멧돼지

판흔적

N3745.967

E128 36.541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5.961

E128 36.523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5.962

E128 36.520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5.961

E128 36.511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5.950

E128 36.504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족적, 털

N37 45.952

E128 36.497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배설물

N37 45.946

E128 36.508

혼효림

Sus scrofa

멧돼지

나무뿌리 부러뜨린 흔적

N37 45.935

E128 36.498

혼효림

5-3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 45.920

E128 36.488

혼효림

5-2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족적

N37 45.961

E128 36.633

군사시 설

Mogera wogura

두더지

N3745.957

E128 36.638

배추밭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족적

N3745.955

E128 36.636

배추밭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족적

N3745.953

E128 36.623

배추밭

Muridae

N3745.953

E128 36.622

배추밭

사번

5-5

5-4

5-1

5-6

학명

국명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식별방법

- 12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5-7

5-8

5-9

5-1 0

Muridae

N3745.957

E128 36.627

배추밭

Muridae

N3745.960

E128 36.629

배추밭

Mogera wogura

두더지

N3745.974

E128 36.603

혼효림

Muridae

N3745.976

E128 36.601

혼효림

Muridae

N3745.987

E128 36.519

혼효림

Muridae

N3745.996

E128 36.509

혼효림

Muridae

N3746.004

E128 36.511

혼효림

Muridae

N3746.003

E128 36.513

혼효림

Muridae

N3746.011

E128 36.513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6.016

E128 36.515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6.019

E128 36.519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쉰흔적

N3746.019

E128 36.520

혼효림

Muridae

N3746.022

E128 36.524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N3746.015

E128 36.525

혼효림

Muridae

N3746.015

E128 36.531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6.015

E128 36.534

혼효림

Muridae

N3746.013

E128 36.537

혼효림

Mogera wogura

두더지

N3746.011

E128 36.539

혼효림

Muridae

N3746.007

E128 36.540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쉰흔적, 털

N3746.004

E128 36.541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6.003

E128 36.529

혼효림

Muridae

식흔

N3746.002

E128 36.536

혼효림

Muridae

N3746.002

E128 36.540

혼효림

Mogera wogura

두더지

N3745.993

E128 36.547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파헤진흔적

N3745.993

E128 36.546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5.988

E128 36.554

혼효림

Muridae

N3745.989

E128 36.551

혼효림

Muridae

N3745.992

E128 36.562

혼효림

Muridae

N3745.989

E128 36.563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파헤친흔적

N3745.982

E128 36.568

혼효림

Eothenomys regulus

비단털들 쥐

포획

N37 45.971

E128 36.570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5.986

E128 36.572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5.975

E128 36.599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5.976

E128 36.598

혼효림

- 13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5.961

E128 36.627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5.957

E128 36.620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5.963

E128 36.620

혼효림

Apodemus agrarius

등줄쥐

포획

N37 45.963

E128 36.621

혼효림

제6조사구 사번

6-1

종명

GPS 위도

경도

발견지 역특징

배설물

N37 47.172

E128 37.153

혼효림

멧돼지

족적

N3747.160

E128 37.177

혼효림

Muridae

N37 47.156

E128 37.189

혼효림

Crocidura lasiura

학명

국명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Sus scrofa

식별방법

땃쥐

N37 47.146

E128 37.213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파헤친 흔적, 식흔

N37 47.135

E128 37.197

혼효림

Sus scrofa

멧돼지

파헤친 흔적, 식흔

N3747.141

E128 37.197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파헤친 흔적, 식흔

N3747.145

E128 37.193

혼효림

6-2

Muridae

식흔

N3747.154

E128 37.171

혼효림

6-3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50

E128 37.166

혼효림

Muridae

식흔

N3747.157

E128 37.170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63

E128 37.169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7.230

E128 37.134

차도옆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족적

N3747.148

E128 37.239

혼효림( 조릿대)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식흔

N3747.150

E128 37.241

혼효림( 조릿대)

Lapus coreanus

멧토끼

식흔

N3747.149

E128 37.247

혼효림( 조릿대)

Muridae

식흔

N3747.150

E128 37.239

혼효림( 조릿대)

Lapus coreanus

멧토끼

다닌흔적( 길)

N3747.166

E128 37.287

혼효림( 조릿대)

Meles meles

오소리

배설물

N3747.167

E128 37.278

혼효림( 조릿대)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66

E128 37.285

혼효림( 조릿대)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족적

N3747.178

E128 37.304

혼효림( 조릿대)

Muridae

식흔

N3747.178

E128 37.306

혼효림( 조릿대)

Nyctereut s

너구리

판흔적

N3747.186

E128 37.291

혼효림(

6-4

6-5 ,7

- 13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procyonoides 6-8

조릿대)

Muridae

N3747.178

E128 37.268

혼효림( 조릿대)

Meles meles

오소리

배설물

N3747.239

E128 37.145

혼효림( 조릿대)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98

E128 37.120

혼효림

Muridae

굴. 식흔

N3747.180

E128 37.149

혼효림

Muridae

굴. 식흔

N3747.179

E128 37.147

혼효림

6-9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67

E128 37.148

혼효림

6-1 0

Muridae

식흔

N3747.163

E128 37.149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62

E128 37.148

혼효림

Muridae

N3747.160

E128 37.150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59

E128 37.151

혼효림

6-6

Meles meles

오소리

파헤친흔적

N3747.148

E128 37.160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157

E128 37.166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파헤친흔적

N3747.164

E128 37.182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배설물

N3747.169

E128 37.183

혼효림

Muridae

N3747.168

E128 37.183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배설물

N3747.173

E128 37.181

혼효림

Muridae

N3747.186

E128 37.177

혼효림

Sciurus vulgaris

청설모

식흔

N3747.207

E128 37.177

혼효림

Hydropotes inermis

고라니

휴식지

N3747.212

E128 37.168

혼효림

Nyctereut s procyonoides

너구리

판흔적

N3747.221

E128 37.167

혼효림

Muridae

N3747.237

E128 37.168

혼효림

Muridae

N3747.243

E128 37.177

혼효림

Mogera wogura

두더지

N3747.253

E128 37.145

혼효림

Apodemus pennisulae

흰넓적다 리붉은쥐

포획

N3747.207

E128 37.177

혼효림

- 13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 척추동물 장기생태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마련 -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기후변화를 대표하는 고정조사구 2~4곳) <표 3-56> 장기모니터링 고정 조사구 조사구번호

토지피복현황

1

혼효림

선정이유 두 지점간의 이동이 용이하며 사전조사한 기온과 고도의 차이가 크다

3

혼효림

두 지점간의 이동이 용이하며 사전조사한 기온과 고도의 차이가 크다

-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기후지표 포유동물 1~2종) 선정 <표 3-57> 장기 생태모니터링 대상종 종명 학명

과명

Eothenomys regulus

쥐과

선정이유

국명

고지대와 저지대의 가장 넓게 분포하여 있으며 1년에 최대 4회까지 번식할 정도로 번식률이 높으며 개체의 크기가 작아 연구의 용이

비단털 들쥐

m 척추동물다양성 및 척추동물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연구방법론 개발 - 조사 방법 사전 조사한 HOBO 에 따라 미리 선정한 두 지역의 설치류(등줄쥐 중점으로) 형태 및 번식 cycle 조사. · 1차 조사 한 site 당 설치류 굴 50 개를 찾아서 그 앞에 live trap인 sherman trap을 설치 한 후 다 음 날 오전 수거. 포획 된 개체들의 암수 분포율과 외부 형태(몸무게, 두동장, 귀, 앞발, 뒷발, 꼬 리) 계측 후 두개골 계측하여 두 개의 site의 형태 비교 분석. · 2차 조사 두 지역 조사지의 개체 포획 후 생체 인식 칩(RFID chip)주입 후 방사. 2주 간격으로 포획-재포획 방법을 통하여 번식 주기 및 1년에 몇 회의 번식을 하는지에 대 하여 Check. · 3차 조사 1월~4월까지 4달에 걸쳐 2주 간격으로 2site의 개체들을 포획하여 전체 당 임신 이나 고환이 부푼 번식기의 개체수 파악. (보통 설치류 번식기는 2월 ~ 11월)

- 133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 134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m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 분포 파악

<표 3-58> 기후변화 취약 척추동물 종 분포 파악 제4조사구 취약 종명

식별 방법

청설모 등줄쥐 멧토끼 비단털 들쥐

식별방법

GPS 좌표 주변지역특 발견지역특성 성 산림 혼효림

위도

경도

식흔

N3744.497

E128 37.248

포획

N37 44.558

E128 37.232

산림

혼효림

배설물

N3744.497

E128 37.314

산림

혼효림

포획

N37 44.521

E128 37.183

산림

혼효림

인공위성지도

제5조사구 취약 종명 비단털들 쥐 멧돼지 두더지 청설모

GPS 좌표

토지피복현황

식별방 법

위도

경도

발견지역특성

주변지역특성

포획

N37 45.971

E128 36.570

산림

혼효림

판흔적 굴(터 널) 식흔

N37 45.970

E128 36.584

산림

혼효림

N37 45.957

E128 36.638

산림

배추밭

N37 46.016

E128 36.515

산림

혼효림

N37 45.953

E128 36.623

산림

족적

너구리 족적 인공위성지도

- 13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6조사구 식별방법

GPS 좌표

취약 종명

식별 방법

위도

경도

발견지역특성

주변지역특성

오소리

배설물

N37 47.148

E128 37.160

산림

혼효림

멧돼지

족적

N37 47.160

E128 37.177

산림

혼효림

땃쥐

N37 47.146

E128 37.213

산림

멧토끼

배설물

N37 47.149

E128 37.247

산림

두더지 흰넓적 다리붉 은쥐

굴(터널)

N37 47.253

E128 37.145

산림

혼효림 혼효림(조릿 대) 혼효림

포획

N3747.207

E128 37.177

산림

혼효림

인공위성지도

- 136 -


부 록



PART 3. 생태 연구 부문

1. 식물 제1조사구 사번

사 진

사진설명

사번

3-1

향로봉 1번조사구 전경

3-2

3-3

단풍취

3-5

큰개별꽃

3-6

흰물봉선

3-7

송이풀

3-8

금강초롱꽃

3-9

큰앵초

3-10

삿갓나물

3-4

- 139 -

사 진

사진설명

노루귀

족도리풀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2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사진

사진설명

3-11

알프스스키장 조사구 전경

3-12

생강나무

3-13

우산나물

3-14

미역줄나무

3-15

오리방풀

3-16

국수나무

3-17

대사초

3-18

닭의장풀

3-19

우산나물

3-20

풀솜대

제3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3-21

진부령휴게소 조사구 전경

3-22

풀솜대

3-23

고추나무

3-24

까치박달

3-25

국수나무

- 140 -

사진

사진설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4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사진

사진설명

3-26

오대산 주문진방향 조사구

3-27

등칡

3-28

병조희풀

3-29

물푸레나무

3-30

우산나물

제5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3-31

진고개 휴게소 조사구 전경

3-32

조릿대

3-33

신갈나무

3-34

당단풍나무

3-35

조록싸리

- 141 -

사진

사진설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6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사진

사진설명

3-36

오대산 진부방향 조사구

3-37

관중

3-38

도깨비부채

3-39

졸방제비꽃

3-40

회나무

3-41

쉬땅나무

제7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3-42

태백산민박촌 조사구 전경

3-43

도라지모시대

3-44

등칡

3-45

조록싸리

3-46

말채나무

3-47

줄딸기

3-48

풀솜대

3-49

우산나물

- 142 -

사진

사진설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8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사진

사진설명

3-50

유일사 조사구 전경

3-51

유일사 조사구 하층 1

3-52

유일사 조사구 하층 2

3-53

도라지모시대

3-54

큰처녀고사리

3-55

미역줄나무

제9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3-56

태백산 상동방향 조사구 전경

3-57

큰처녀고사리

3-58

참개암나무

3-59

생강나무

3-60

신갈나무

3-61

개옻나무

- 143 -

사진

사진설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제10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3-62

만항재 조사구 전경1

3-63

만항재 조사구 전경2

3-64

만항재 조사구 하층

3-65

오리방풀

3-66

가는잎그늘사초

3-67

조릿대

3-68

파드득나물

- 144 -

사진

사진설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2. 무척추동물 Order Lepidoptera 사번

사진

종명

사번

3-69

긴꼬리제비나비

3-70

꼬리명주나비

3-71

노랑나비

3-72

대만흰나비

3-73

배붉은흰불나방

3-74

배추흰나비

3-75

외눈이지옥나비

3-76

줄나비

3-77

큰줄흰나비

3-78

큰쥐박각시

3-79

호랑나비

3-80

흰무늬왕불나방

3-81

흰점표범나비

3-82

녹색박각시

3-83

우단박각시

3-84

머루박각시

- 145 -

사진

종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85

흰줄푸른자나방

3-86

옥색긴꼬리산누에 나방

3-87

푸른부전나비

3-88

솔나방

3-89

뿔나비

3-90

산제비나비

Order Hemiptera 사번

사진

종명

사번

3-91

광대노린재

3-92

다리무늬침노린 재

3-93

등빨간뿔노린재

3-94

북쪽비단노린재

3-95

알노린재

3-96

알락수염노린재

3-97

작은주걱참나무노 린재

3-98

큰허리노린재

3-99

톱다리개미허리노 린재

3-100

홍줄노린재

- 146 -

사진

종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Order Coleoptera 사번

사진

종명

사번

3-101

꼬마남생이무당 벌레

3-102

꽃벼룩

3-103

꽃하늘소

3-104

남색초원하늘소

3-105

남생이무당벌레

3-106

남풀색하늘소

3-107

밤바구미

3-108

버들꼬마잎벌레

3-109

버들잎벌레

3-110

보라금풍뎅이

3-111

붉은산꽃하늘소

3-112

뿔거위벌레

3-113

풀색꽃무지

3-114

호랑꽃무지

3-115

홀쭉꽃무지

3-116

홍단딱정벌레

- 147 -

사진

종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117

회황색병대벌레

3-118

횐점박이꽃무지

3-119

투구반날개

3-120

팔점박이잎벌레

3-121

털두꺼비하늘소

3-122

털보바구미

3-123

큰알통다리하늘 소붙이

3-124

큰이십팔점박이무 당벌레

3-125

큰넓적송장벌레

3-126

큰쌀도적

3-127

칠성무당벌레

3-128

큰남색잎벌레붙이

3-129

참검정풍뎅이

3-130

참넓적꽃무지

3-131

주홍배큰벼잎벌 레

3-132

줄남생이잎벌레

3-133

좀남색잎벌레

3-134

주둥무늬차색풍뎅 이

- 148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135

우리목하늘소

3-136

조롱박딱정벌레

3-137

왕풍뎅이

3-138

우리딱정벌레

3-139

왕바구미

3-140

왕빗살방아벌레

3-141

오리나무잎벌레

3-142

왕거위벌레

3-143

열점박이잎벌레

3-144

옆검은산꽃하늘소

3-145

애홍점박이무당 벌레

3-146

열두점박이꽃하늘 소

3-147

애사슴벌레(수)

3-148

애사슴벌레(암)

3-149

알통다리하늘소

3-150

애긴다리풍뎅이

3-151

아이누길앞잡이

3-152

알락하늘소

- 149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153

소나무비단벌레

3-154

십구점무당벌레

3-155

삼하늘소

3-156

상아잎벌레

3-157

산맴돌이거저리

3-158

산흰줄범하늘소

3-159

사슴벌레(수)

3-160

사슴벌레(암)

3-161

길쭉바구미

3-162

뿔거위벌레

3-163

멋쟁이딱정벌레

3-164

무당벌레

3-165

멋쟁이딱정벌레

3-166

목하늘소

3-167

등노랑풍뎅이

3-168

등빨간거위벌레

3-169

다우리아사슴벌 레

3-170

두릅나무잎벌레

- 150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171

노랑가슴녹색잎 벌레

3-172

노랑썩덩벌레

3-173

넉점박이송장벌 레

3-174

네눈박이송장벌레

3-175

깨다시하늘소

3-176

긴줄무늬먼지벌레

3-177

길앞잡이

3-178

국화하늘소

3-179

금줄풍뎅이

3-180

검정풍뎅이

3-181

고오람버섯벌레

3-182

검정꽃무지

3-183

검정날개거위벌 레

3-184

가는청동머리먼지 벌레

3-185

개미붙이

- 151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 척추동물 진부령 1조사구 사번

사 진

사진설명

사번

사 진

사진설명

3-186

쥐 파고 간 터널 흔적

3-187

소나무 수간에 멧돼지 비빈 흔적. 멧돼지 털 (끝이 두갈래로 갈라짐)

3-188

소나무 수간에 멧돼지 비빈 흔적. 멧돼지 털 (끝이 두갈래로 갈라짐)

3-189

산양 뿔질 흔적

3-190

너구리 족적

3-191

고라니 족적

3-192

너구리 족적

3-193

멧돼지 족적

3-194

고라니 식흔

3-195

멧토끼 쉼터

- 152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진부령 2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사진

사진설명

3-196

다람쥐 목견

3-197

쥐 굴

3-198

오소리 긁은 흔적

3-199

멧돼지 휴식지

3-200

멧돼지 긁으면서 물어 뜯은 흔적

3-201

멧돼지 털

3-202

산양 뿔질

진부령 3조사구 사번

사 진

사진설명

사번

3-203

청설모 식흔

3-204

청설모 식흔

3-205

오소리 판 흔적

3-206

산양 지나다닌 흔적

- 153 -

사 진

사진설명


PART 3. 생태 연구 부문

오대산 4조사구 사번

사진

사진설명

사번

사진

사진설명

3-207

설치류 포획 트랩 (sherman trap)

3-208

멧토끼 배설물

3-209

청설모 식흔

3-210

노루 뿔질

3-211

고라니 식흔

3-212

노루 뿔질

3-213

오소리 배설물

3-214

고라니 이빨 흔적

3-215

토끼 올무

3-216

청설모 나무 탄 흔적

오대산 5조사구 사번

사 진

사진설명

사번

3-217

고라니 배설물

3-218

3-219

고라니 식흔

3-220

- 154 -

사 진

사진설명

비 온 후 군사 땅이 굳기 전 군사 시설 내의 고라니 족적

고라니 식흔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221

고라니 쉬다 간 흔적. 잠자리라고 할 경우엔 주변에 배설물이 흩어져있으 나, 발견되지 않았음.

3-222

족적이 발가락이 4개로 정확한 너구리의 흔적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족적에 너구리로 추정되는 털 발견.

3-223

고라니 식흔. 선이 깔끔하게 떨어지지 않았으며, 주변의 흔적이 드문드문 있는 것으로 보아 사람의 흔적은 아님.

3-224

고라니 식흔. 오래된 흔적. 겨울철 활엽수 잎이 진 후 먹이 부족으로 인하여 침엽수 섭식량 증가.

3-225

고라니 식흔.

3-226

비단털들쥐 포획 후 계측.

오대산 6조사구 사번

3-227

사진

사진설명

사번

사진

사진설명

땃쥐 굴.

3-228

설치류식흔

3-229

청설모 식흔.

3-230

고라니 식흔. 차도 옆 길가에 넓게 퍼진 식물에 고라니 식흔 대거 발견.

3-231

고라니 식흔.

3-232

고라니 배설물.

- 155 -


PART 3. 생태 연구 부문

3-233

3-235

고라니 식흔.

청설모 식흔.

3-234

쥐 굴.

3-236

쥐 식흔.

- 156 -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