씬짜오베트남 04월 20일 데일리뉴스

Page 1

DAILY NEWS 씬짜오 베트남은 전자판으로 매일발행됩니다.

기사제공 및 광고문의

1분기 베트남 '주택-토지 가격 상승' 건설부 8개지역 조사, '당분간 오름세' 전망

1분기 베트남 아파트, 토지 등 부동산가격이 전반적으로 상 승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 났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9 일 보도했다. 베트남 건설부 는 최근 하노이시, 호찌민시, 다낭시(Da Nang), 하이퐁시 (Hai Phong), 빈즈엉성(Binh Duong), 동나이성(Dong Nai), 칸화성(Khanh Hoa), 바리아 붕따우성(Ba Ria-Vung Tau) 등 8개지역의 부동산가격을 조사, 발표했다. 건설부의 1분 기 부동산가격 보고서에 따르 면, 하노이시 부동산가격은 유 형별로 아파트가 전분기대비 1.53%, 일반주택 2.24%, 주 택건설용지가 2.85% 상승했 다. 호찌민시는 아파트 2.48%, 일반주택 2%, 주택건설용지 3.6% 등의 상승률을 보였다. 부 동산 임대료는 하노이시와 호 찌민시는 전분기대비 소폭 상 승했으며, 다낭시의 경우 아파 트 임대료가 큰 폭으로 상승했 다. 이에앞서 부동산컨설팅업 체 CBRE와 쿠시먼&웨이크필 드베트남(Cushman & Wakefield Vietnam), 부동산포털 밧 동산닷컴 등도 코로나19 이후 하노이, 호찌민시를 중심으로 한 대도시 집값이 지속적인 오 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보고서 를 내놓았다. CBRE에 따르면 1분기 하노이 신규아파트 평 균분양가는 ㎡당 1655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3%, 매매가는 1278달러로 9% 상승하며 최 근 5년간 최대 상승폭을 기록 했다. 쿠시먼&웨이크필드베트 남은 지난해 호찌민시의 중저

오늘의 날씨

주식

가아파트 가격이 ㎡당 약 6000 만동(2620달러)으로 전년대비 30% 올랐다는 내용의 보고서 를 발표한 바 있다. 부동산컨 설팅업체들은 이 같은 부동산 가격의 지속적인 오름세에 대 해 ▲신규공급 부족 ▲건설자 재비 상승 ▲중복-상충된 법 률로 인한 개발지연 등을 주된 요인으로 꼽고 있다. 건설부도 일부 건설자재의 가격상승세 가 이어지고 있어 당분간 부동 산가격 오름세가 계속될 것으 로 전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1분기 시멘트 평균가격은 톤당 3만~5만동(1.3~2.2달러)으로 전분기대비 1~3%, 전년동기 대비로는 11~15% 상승했다. 모래는 ㎥당 33만7000동(14.7 달러), 건축용 석재는 ㎥당 22 만4000동(9.8달러)으로 연초 대비 큰 변동이 없었다. 건설자 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분은 주로 남북고속 도로 2단계사업 및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 이후 전국 곳곳 에서 건설사업이 재개되면서 공급차질이 빚어진데 따른 것 이다. 건설부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유가 및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건설자재의 가격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했다. 특히 3월 건설용 철강가 격은 kg당 1만8600~2만600 동(0.8~1.3달러)으로 전월 대 비 3.5%, 1월대비 7.5% 상승했 으며, 현재까지 뚜렷한 가격하 락의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인사이드비나 2022.04.19)

호찌민: 흐림,소나기최대34도,최저26도 하노이: 흐림 최대 26도, 최저 19도 다낭: 흐림,비 최대 23, 최저28도

VN INDEX:

1,406.45 (전일대비 -1.83%하락)

T. 079 283 2000

|

2022.04.20 (Electronic Edition No 198)

E.info@chaovietnam.co.kr

베트남 보건부 차관 코로나-19에 걸려도 출근 OK 일부 지자체에서만 허용되던 확진자 출근, 전국 적용

호찌민, 롱안등 개별 지자체에서만 허용하던 코 로나-19확진자의 직장 출퇴근을 베트남 보건부 가 19일 코로나에 확진이 되어도 출근이 가능하다 고 공식적으로 확인 함에 따라 전국적으로 적용이 된다고 20일 Vnexpress지가 보도했다. 19일 정부 회의에 참가한 Nguyen Truong Son 보건부 차관 은 “코로나 확진자 본인이 출근하여 일을 하고 싶으면, 출근을 해도 된다”고 언급했다, Son 차

관은 “그러나 고용주는 확진자와 같이 일을 하는 직원들이 교차감염에 걸리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 상황에서만 가능하다”고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발언은 보건부에서 아직도 코로 나-19를 가장 위험한 질병 그룹 A로 분류하여 법 적으로는 모든 예방조치 및 감염방지조치를 취해 야 하는데도, 출근가능을 언급하여 차후에 코로 나-19의 등급 조정이 있을 것 이라는 추측이 나오 고 있다. 보건부는 일요일(18일) 부로 코로나19 확 진자에 대한 의무자가격리 해제했으며, 위 조치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을 지나 진정세에 왔다 는 판단 하에서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 라 코로나19 확진자 및 1차 접촉자는 더 이상 자가 격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대규모 모임 등 의 참여는 여전히 허용되지 않는 등 기본적 방역 수칙은 지켜야 했지만, 어제의 발언으로 기본 방 역수칙 중 재택근무가 제외되면서, 출근까지 허용 된 것이다. (Vnexpress 2020.04.20)

1급에서 2급되는 코로나19, 한국정부 '포스트 오미크론' 체계 가동 대한민국 정부가 사회적거리두기를 2년 2개월 만에 철폐한데 이어서 '포스트 오미크론' 체계 를 가동한다고 아세안익스프레스지가 20일 보도 했다. 현재 법정감염병 1급으로 지정된 '코로나 19(COVID-19)'는 최고 수준의 격리 의무가 부여 되어있다. 하지만 4월 15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 책본부는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통해 높은 백 신 접종률과 먹는 치료제 보급 등 코로나19 발생 초기와 비교해 강화된 대응 수단과 오미크론 변이 이후 완화된 방역조치를 반영한다고 밝혔다. 이에 4월 25일을 기점으로 감염병 등급을 1급에서 2급 으로 조정하고 4주간 이행기를 거친다. 2급 감염 병으로 격하되면 치료비도 본인이 부담하게 되고

진단-검사-치료(3T) 등 전 분야에서 일반 의료체 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확진자 신고 또 한 즉시 신고에서 24시간 내 신고로 전환되며, 1 급일 때 적용되던 확진 시 7일간의 격리의무와 의 료기관의 환자 즉시 신고 의무도 없어진다. 격리 의무가 사라지기 때문에 생활비-유급휴가비-치 료비 정부 지원도 종료된다. 지금까지는 외래진료 와 입원 치료 시 발생하는 병원비가 무료였지만, 앞으로는 건강보험과 환자 본인이 함께 부담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코로나19 검사-진단은 민간 의 료기관에서 이뤄지고, 보건소는 60세 이상과 요양 병원-시설의 종사자 등 고위험군의 PCR(유전자 증폭)만 맡게 된다. (아세안 익스프레스 2022.04.20)

2면

한류에 편승한 사업의 기회 시대의 흐름이 빠르다는 것은 언 제나 느끼는 일이지만, 요즘처럼 속도보다는 변화의 폭이 큰 경우 는 드문 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인 해 기존에 살아가던 삶의 방식이 완전히 바뀐 듯합니다. 거기에 4차 산업을 이끌어갈 첨단 요소들이 함께 등장하면서 이대로 몇 년만 보내면, 과연 우리가 알던 세상이 남아 있기나 할 것인지 의심이 들 정도로 세상이 변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를 살아남기 위하여 시 대에 맞게 기존의 사업을 변화시 키던가, 새로운 사업을 구상해야 하는데, 새롭게 펼쳐지는 신세계 에 대하여 아는 것이 없으니 요즘 사는 형편은 마치 장님 코끼리 만 지기를 하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방향을 좀 바꿔 생각하기 로 했습니다. 메타박스, 블록체인 화폐, NFT 등이 판치는 분야는 우 리처럼 예전 시대의 개념으로 머 리를 채운 사람들에게는 접근이 힘든 분야인 듯하여 넘보지 않기 로 하고, 아예 세상이 돌아가는 한 변화되지 않은 의식주 기본 분야 에서 세상의 변화에 호응하는 사

업을 구상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 을 했습니다. 그렇게 생각을 바꿔보니 조금 눈 앞에 안개가 걷히는 듯합니다. 그 뿐만이 아닙니다, 오히려 요즘이 우리 한국인에게는 상당한 사업 의 기회가 있는 시대라는 것을 발 견합니다. 그 이유는 한류입니다. 요즘 세계는 한류에 몰입되어 한 국과 한국인이라는 대상에 온통 관심이 쏠려 있다는 점이 이유입 니다. 제가 늘 드리는 말씀인데 “사업은 사람의 관심을 모으는 일이다”라 는 정의를 기억하시나요? 사업의 시작도 관심이고 사업의 승패도 관심에 의해 좌우됩니다. 그런데 지금 세상 사람들은 온통 한국에 관심을 쏟고 있습니다. 그 렇다면 그것은 한국인에게는 엄청 난 기회가 아닌가요? 그런 한류에 대한 관심으로 대박을 친 사업을 한 가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지금 외국에서는<김치시즈닝 믹스>라는 가루로 된 소 스가 날개 돋친 듯 팔립니

한주필 칼럼 다. 필리핀에 살던 젊은 여성 교민 이 세운 서울 시스터즈 라는 회사 에서 만든 소스인데, 김치를 라면 스프처럼 가루로 만든 것입니다. 현재 아마존에서 매운 소스 부분 에 베트남, 태국의 핫소스나 미국 의 타바스코를 제치고 1위를 기록 중이라 하네요. 한국에서도 100g 짜리 한 병에 8500원 정도에 판매 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사실 새롭긴 하지만, 이 미 다른 제품들이 선점한 매운 소 스 시장에 그들을 물리치고 대박 을 치리란 기대를 하기는 좀 어렵 지 않나요? 그런데 왜 인기몰이를 할까요? 한류로 인한 관심이 그 바탕에 깔 린 것이라는 데 공감하시나요? 맞습니다, 예전 같으면 성공할 것 이라 기대하기 힘든 제품이 한류 를 타고 시장을 석권한 것입니다. 한류가 없으면 김치가루를 누가 관심을 두겠습니까? 서울 시스 터즈에서는 그것 외에 고추 장 소스라는 이름의 양념 도 만들어 팝니다. 아마도 우리가 만들어 먹는 양념

고추장 같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튼 그 회사는 한류를 이용하여 대박 상품을 만들어냈습니다. 우리에게는 너무 평범하고 당연하 여 눈길이 가지 않은 일상의 것들 이 세계인에게는 새로운 관심의 대 상이 되는 시대를 우리가 살고 있 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인에게는 절 호의 찬스가 다가온 것 아닌가요? 이제 필요한 것은 창의력입니다. 기존의 한국의 것을 세계인의 취 향에 어울리게 각색하여 상품으 로 만들면 됩니다. 우리만 아는 것 이 세계인의 관심을 끈다는 점에 서, 한국의 전통에 시야를 돌리는 것도 추천 할 만합니다. 혹시 이 얘기를 듣고도 설마, 하시 는 분들, 아마도 몇 년만 지나면 한 류의 흐름을 타고 만들어진 엄청 많은 상품을 발견하고 허탈한 웃 음을 지을 것입니다.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시는 분들, 한류도 사업의 기회가 되는 시대 에 살고 있다는 것을 감안하시는 것이 시대를 읽는 일입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