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미한국학교협의회(회장 권예순)
에서 달라스-포트워스 지역 한국 (한글)학교들이 속해있는 남서부
협의회(회장 서양지)가 지난 28일 (토) 캐롤튼 베다니교회(담임목사
장햇살)에서 교사연수회 및 장기
근속 교사 표창식을 가졌다.
이번 교사 연수회에는 달라스-포
트워스의 모든 한글학교 교사들과
오클라호마, 칼리지 스테이션의 교
사 등 100명의 교사들이 오전 수업
을 마친 후 참석해 함께 강의를 듣
고 장기근속 교사들을 축하하며 화합과 교제를 나누는 시간을 가
졌다.
이번 연수회에 모인 교사들은 한
글과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교사
로사의 자긍심을 일깨우고 다양한
주제의 강의들과 함께 실제 교실에
서 필요한 교육 내용과 방법들에
대해서 배우고 경험을 나누는 시
간을 가졌다. 또한, 다함께 교제하
며 친목을 다지고 계속적인 화합과
협력을 다짐했다.
이날 전체강의는 ‘나의 스승님과
제자들’ 이라는 주제로 현재 UTD
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방
화자 박사가 맡았다. 방화자 박사
는 이화여대,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에서 석사, UNT에서 박사 과정을
마쳤고, 은혜기독학원 교장 13년,
달라스 한국학교 교사 25년, 고등
학교 영어교사 16년의 경력을 갖고
있는 베테랑 교육자이다.
이후 이어진 분반강의는 제니 서
머스 영락한글학교 교사의 ‘수업
을 살리는 실전 자료 제작과 운영
팁 101’, 김유정 중앙한글학교 교사
의 ‘쉽고 다양한 공예를 통한 한글
교육’, 임승진 달라스 맥키니 한국
학교 교사의 ‘지식 문명의 시작, 우
리의 자랑’, 이자림 맥키니 한국학
교 교사의 ‘통일과 평화로 세계를
이끄는 글로벌 리더 교육자료 및
활용 방안’ 등 4개로 나뉘어 진행 됐다.

장햇살 베다니교회 담임목사
의 기도로 시작된 이번 교사 수련
회에서는 주요 프로그램인 강의 가 시작되기 앞서 서양지 남서부 협의회 회장의 인사말과 권예순
NAKS 회장의 축사, 그리고 장기
근속교사 표창과 강의가 이어졌다.
서양지 남서부협의회 회장은 “매 년 교사 연수회를 통해 선생님들 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올해는 특히 어려 운 여건 속에서도 여러 회원 학교
들의 협력 덕분에 더욱 풍성하고
알찬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 인사말을 통해 감사의 말을 전 했다. 또한, 수련회에 모인 모든 교
장과 교사들이 한마음으로 아이
들을 사랑하고 더 나아가 대한민
국을 알리는데 힘쓰게 될 것을 당
부했다.
권예순 재미한국학교협의회 회
장은 “대한민국과 한인 차세대를
사랑하는 마음과 봉사의 정신을
갖고 헌신해 주심에 감사드린다”
고 말문을 열며, “내년 제 43회 재
미한국학교협의회 학술대회를 달
라스에서 열게 되어 기쁘고 감사 하다. 내년 7월17일부터 19일까지
열리는 학술대회를 위해 적극적
으로 협력하고 참석해주기를 바란
다”고 말했다.
모든 강의가 끝난 후에는 함께 저
녁 만찬을 즐기며 각 학교에서 모
인 교사들이 교제하는 시간을 가 졌다. 캐서린 조 기자


포트워스 지역에서 간호학을 공
부하고 간호사가 되고자 하는 학 생들을 위한 새로운 옵션이 생겼 다. 북텍사스 대학교(이하 UNT) 산하 건강과학센터는(University of North Texas Health Science Center) 지난 9월26일 (목) 아침에 램프 점등식과 관계 자들의 축하 속에 포트워스에 간호학과(UNT Health Science Center College of Nursing)를 오픈하는 개관식을 가졌다. UNT 건강과학센터는 전국적 인 간호사 부족과 교육 병목 현 상을 해결하기 위해 간호대학을 개설한다고 작년 2월에 발표한 바 있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텍 사스는 미국에서 1인당 간호사 가 두 번째로 적은 주이고, 지역 의 간호학교는 지난 2년 동안 3 만 명의 합격자를 거부했다. 현 재 텍사스 북부에서만 약 7,000 명의 간호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트워스의 UNT 건강과학센 터는 골수치료 의사, 의사 보조 원 및 미래의 공중 보건 전문가 를 교육해 왔는데, 최근에 이사 회 회의에서 이 의료 교육 목록
에 두 가지 간호 프로그램을 추 가할 것을 발의하고 투표했다.
UNT의 이 새로운 간호대학은 간호학 전공의 새로운 이과대학 학사 학위와 간호 실무 혁신 프 로그램 석사 학위의 두 가지 학 위로 시작한다. 학위 프로그램은 2024년 가을에 온라인 프로그램 으로 개설되면서 시작되었다.
UNT 건강 과학 센터 간호대
학의 창립 학장인 신디 웨스턴 (Cindy Weston)은 간호가 이미 클리닉, 병원 및 학교에서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가족 진료는 우리 생 활 전반에 걸쳐서 전 생애적인 치료이다. 건강 증진,
포트워스에 개교한 새 간호대학 이 간호 업계의 심각한 부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 고 있다고 전했다. UNT 건강과학센터는 10,500 제곱피트 규모의 간호동과 미래 의 간호사들이 임상실습을 완료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센터를 완비했다.
신디 웨스턴은 "우리는 혁신적 인 환경과 프로그램으로 미래 의 간호사와 건강 치료사를 준 비시키고 배출해낼 것이다. 또 한, 자연 채광이 있는 힐링 공 간과 함께 간호사 직업 모토의 영감을 받아 차세대 간호사 제 공자와 치료사를 지속적으로 교육시킬 것이다" 고 말했다. 캐서린 조 기자

18위

공중도덕을 잘 지키지 않는 가장
무례한 미국 도시 조사에서 휴스
턴, 오스틴, 달라스 등 텍사스 주내
3개 도시가 중상위권에 이름을 올
렸다. 언어 학습 웹사이트인 ‘프리
플라이닷컴’(Preply.com)이 미국
내 46개 대도시에 거주한지 1년 이
상된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선정한 ‘2024
년 가장 무례한 도시’(Rudest U.S. Cities in 2024) 순위에 따르면, 텍
사스 주내 도시중에는 휴스턴이
평점 8.04점(만점은 10점/점수가
높을수록 무례함)을 얻어 46개 대
도시 가운데 13위에 올라 전국 순
위가 가장 높았다. 이어 오스틴이 전국 16위(7.97점), 달라스가 18위 (7.83점)으로 중상위권에 들었다.
이밖에 샌 안토니오는 전국 22위 (7.67점), 포트 워스는 29위(7.44점)
를 기록했다.
2022년의 같은 조사에서는 휴스
턴이 전국 10위, 달라스는 16위, 샌
안토니오는 17위, 포트 워스는 28 위, 오스틴은 30위를 기록했다. 특
히 다른 4개 도시들은 2년전보다
무례함 순위가 하락한데 빈해 오
스틴은 14계단이나 상승해 대조를
보였다.
의 인식 부족, 공동 장소에서의 시
끄러움, 서비스 직원에 대한 무례
함, 공동 공간에서 스피커폰으로
통화하거나 음악을 듣거나 비디오
를 보는 행위, 낯선 사람이나 주변
사람을 무시하는 행위, 개인공간
이나 위생에 대한 존중 부족, 부주
의한 운전행동 등 타인에 대한 배
려가 없고 공중도덕을 지키지 않
는 주민들을 목격한 경험이 있냐
는 질문에 대한 응답률을 근거로
평점을 매겨 가장 무례한 도시 순
위를 정했다. 그러나 프리플라이
닷컴은 이번 설문조사의 실시 시
기나 총 참가자수에 대한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내 가장 무례한 도시 1위의
불명예는 9.88점을 얻은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가 차지했다. 2위는 펜
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9.12점), 3
위 플로리다주 탬파(8.88점), 4위
캔터키주 루이빌(8.72점), 5위는 캘
리포니아주 오클랜드(8.67점)였 다. 6~10위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8.35점), 테네시주 멤피스(8.28점), 네바다주 라스베가스(8.21점), 캘 리포니아주 롱비치(8.18점), 노스 캐롤라니아주 샐롯(8.11점)의 순이 었다.
프리플라이닷컴은 대중 앞에서
반면, 가장 무례한 도시 최하위
(46위) 즉, 가장 친절한(friendly) 도시 1위는 네브라스카주 오마하 (6.24점)이었고 그 다음은 미네소 타주 미니애폴리스(6.35점), 캘리 포니아주 샌디에고(6.68점), 오하
이오주 콜럼버스(6.70점), 미조리주 캔자스 시티(6.78점)의 순이었다.
이밖에 무례한 도시들의 전국 순
위는 뉴욕 21위(7.69점), 애틀란타 23위(7.65점), 시카고 24위(7.62점), 로스앤젤레스 25위(7.61점), 시애 틀 27위(7.53점), 디트로이트 30위 (7.44점), 워싱턴DC 33위(7.30점)
등이다.
한편, 프리플라이닷컴의 분석가
들은 이번 설문조사 참가자들 사
이에서 몇가지 공통적인 주제를 발
견했는데, 응답자들이 언급한 가
장 일반적인 무례한 행동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 부족’, ‘공동 공
간에서 시끄러움’, ‘자기 인식 부
족’(lack of self awareness)이었다.
또한 참가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해당 도시에서 태어난 사람들보다
해당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이 더
무례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응답
자들의 절반 가량은 선거를 앞두
고 해당 도시 주민들이 좀더 무례
해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손혜성 기자 휴스턴

레이크가 빠르게 성장하는
50만달러 미만의 주택을 찾을
수 있는 빠르게 성장하는 서버
브 타운 톱 50에 텍사스 주내 도
시 8곳이 포함됐다.
미국내 주택 가격이 계속 상
승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50 만달러 미만의 주택을 찾을 수
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서버
브 타운들이 많이 있다. 개인 금융정보 웹사이트 ‘고뱅킹레
이츠’(GOBankingRates)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인구
가 9% 이상 증가하고 주택 가격
이 올해 7월 기준 50만달러 미 만인 서버브 타운 50곳(top 50 fastest-growing suburbs with home values under $500K)을 선정, 발표했다. 고뱅킹레이츠에 따르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서버브 타운
톱 50는 텍사스를 비롯해 애리
조나,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메
릴랜드, 미시간주에 주로 포진 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에서도 텍사스주의 경우 톱 50
서버브 타운에 무려 8곳이 포함
돼 눈길을 끌었다.
이번 조사에서 샌 안토니오 서
버브 타운인 캐년 레이크는 텍 사스 도시 가운데 가장 순위가 높은 전국 5위를 차지했는데, 일 반적인 주택 가격은 46만1,779달 러였다. 이어 달라스-포트워스 서버브 타운들인 루이스빌, 미 들로디언, 왁사하치가 각각 전국 11위(41만904달러), 20위(36만 3,709달러),
27위(45만4,929달러)에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도 달라스 서버브 타운 인 와일리가 34위(44만1,105달 러), 휴스턴 서버브 타운인 베이 타운이 36위(24만5,910달러), 오
스틴-라운드 락 서버브 타운인 후토가 42위(36만1,031달러), 샌 안토니오 서버브 타운인 브론펠 스가 44위(36만1,132달러)를 기 록했다. 주택 가격 50만달러 미만 급성 장 서버브 타운 톱 50 전국 1위 는 노스 캐롤라이나주 샬럿 서 버브 타운인 무어스빌이 차지했 으며 주택 가격은 48만430달러 였다. 2위는 미시간주 디트로이 트 서버브 타운인 햄트랙(16만 7,930달러)이었고 3위는 애리조 나주 피닉스 서버브 타운인 벅 아이(40만7,118달러), 4위는 조 지아주 애틀란타 서버브 타운인 유니언시티(25만9,054달러), 5위 는 텍사스주 캐년 레이크, 6위는 테네시주 멤피스 서버브 타운인 미시시피주 올리브 브랜치(32 만9,937달러), 7위는 애리조나주 피닉스 서버브 타운인 마리코파 (36만4,112달러), 8위는 플로리 다주 올랜도 서버브 타운인 클 레어몬트(44만5,666달러), 9위는 플로리다주 올랜드 서버브 타운 인 리스버그(29만9,317달러), 10 위는 애리조나주 피닉스 서버브 타운인 굿이어(48만3,061달러) 였다. 손혜성 기자 집값 50만달러 미만 급성장 타운 캐년

더 인기, 무제한 고깃집

지난 해 미국 내 이민자가 160만명 증가해 20년 만의 최대 폭을 기록했다.
지난해 미국으로 유입된 이민 인구
가 20년 만에 최대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팬데믹 이후 이
민 인구가 늘어난 데다, 남부 국경
을 넘은 망명신청자도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파악된다. 다만 한인
이민인구는 갈수록 감소, 전체 한
인 인구 중 이민자 비율이 50%대
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지난달 27일 여론조사기관 퓨리
서치센터가 센서스국 데이터를 분
석·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
년 기준 미국에 거주하는 이민자
는 약 4780만명으로 2022년(4620 만명) 대비 160만명 늘었다. 이민자
중 77%가 합법적 거주자(시민권
자·영주권자·합법적 임시 거주자)
로 집계됐다.
전체 미국 인구(3억3491만5000
명) 중 이민자 비율은 지난해 기준
14.3%였다. 1970년 당시 이민자 비 율(4.7%)과 비교하면 3배 수준이 다. 다만 이민자 비율은 역대 최고 치(1890년, 14.8%)에는 소폭 모자 랐다.
현재 미국 이민자 중엔 멕시코 출
신이 1090만명(23%)으로 가장 많 았다. 이어 인도(290만명, 6%), 중 국(240만명, 5%), 필리핀(210만명, 4%) 등이 뒤를 이었다. 아시아 국
가 출신 이민자는 전체 이민자의 28%를 차지했다. 아시안 이민자 비 율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로, 신 규 이민자 중 아시안 비율은 2022 년 기준 29%까지 떨어졌다. 반면 멕시코·베네수엘라·쿠바·브라질 등 중남미 출신 신규 이민자 비율 은 39%로 높았다. 한인 이민자 인구 역시 갈수록 줄 어드는 추세다. 2010년 기준 한인
제20회 매스터코랄 정기 연주회
10월5일, 달라스 베다니 장로교회
제20회 달라스 매스터코랄 합창단 정기 연주회가 10월5일(토) 오후 7시 캐롤튼에 소재한 달라스 베다니 장로교회(담임목 사 장햇살)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번 정 기 연주회는 ‘가장 아름다운 노래’를 주 제로 열린다. 연주회가 열리는 달라스 베 다니 장로교회 주소는 4020 Marchant Blvd., Carrollton, TX 75010이다.
이민자 인구는 총 110만1509명으 로, 전체 한인 인구(혼혈포함, 173 만239명)의 63.7%를 차지할 정도
로 높은 비율이었다. 이후 2015년 한인 이민자 인구는 106만7551명 으로, 전체 한인 인구(182만2213 명)의 58.6%로 줄었다. 2022년 한
인 이민자 인구는 106만6967명 (52.0%), 지난해 한인 이민자 인구 는 103만7029명(51.25%) 등으로
갈수록 줄고 있다. 지난해 한인 이
민자 중 귀화한 한인 인구는 71만
4750명이었으며, 미국 시민권자가
아닌 한인 이민자는 32만2279명이 었다. 미국 내 한인 이민자 중에는 여성 비율이 58.3%로, 남성(42.7%)
을 크게 앞질렀다. 한국 출신 불법
체류 이민자는 약 11만명으로 파악
달라스 한인회 디카시 공모전
응모기간 9월1일부터 10월20일까지
달라스 한인회(회장 김성한)가 한글날
기념 제1회 디카시 공모전을 실시한다.
참가 대상은 북텍사스 지역 주민으로, 주 제는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응모 기간
은 9월1일(일)부터 10월20일(월) 오후 6시
까지며, 이메일(meein64@gmail.com)
접수만 가능하다. 문의는 214.886.5387로 하면 된다.
바비큐
가성비를 중요시하는 고객이 늘
면서 무제한 고깃집들이 속속 다
시 등장하고 있다. 최근 LA한인
타운에 무제한 BBQ 식당이 연
달아 오픈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일반 BBQ
식당 고기 1인분 가격이 무제한
메뉴 가격에 육박하면서 가성비
좋은 무제한 BBQ 식당의 인기가
상승 중”이라며 “특히 K푸드 인
기로 비한인 고객도 빠르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본지 조사와 옐
프에 따르면 LA한인타운과 인근
지역 무제한 BBQ 식당은 30여곳
이 넘는다. 무제한 식당의 1세대
격은 1985년 문을 연 청운 부페
부터 해장촌, 백궁, 우국, 추풍령
등이 있다.
강창훈 청운 부페 대표는 “32년
운영하면서 3세대를 거쳐 찾아
오는 고객이 많다”며 “최근 비한
인 고객들은 무제한 고기뿐만 아
니라 분식과 튀김, 죽 등 전통 한
식 메뉴도 좋아한다”고 설명했
다. 젊은층 사이 무제한 메뉴가 가성비 높은 메뉴로 인식되면서
쭈꾸쭈꾸, 강남스테이션, TGI 바
비큐, 피그야에는 MZ고객들로 가득 차 있다. 무제한 식당 성업 에는 코리안 바비큐를 무제한 먹 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크게 늘 어난 비한인 고객 증가도 한 몫 한다. 대표 식당은 해장촌, J바비 큐, 추풍령, 올유캔이트 스시 앤 바비큐, 무대포 등이다. J바비큐 와 추풍령은 고객의 99%가 타인 종이다. 크리스 한 올유캔이트 스시 앤 바비큐 대표는 “고객의 99%가 비한인”이라며 “고기 메 뉴에 롤도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어서 라티노 고객이 많다”고 말했다. 대부분 무제한 식당들은 제공하는 소·돼지·닭고기·해산 물을 기본으로 세 가지 구성으로 가격을 차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텍사스 이북도민회 월례회 10월9일, 로얄레인 이대감 KBBQ서 개최
북텍사스 이북도민회(회장 박인애)의 10 월 정기 월례회가 오는 10월9일(수) 오 전 11시30분 로얄레인 선상에 위치한 한 식당 이대감 KBBQ에서 열린다. 북텍 사스 이북도민회의 월례회 참석 및 회 원 가입에 관한 기타 자세한 내용은 북 텍사스 이북도민회 이승윤 사무총장 (469.855.3407)에게 문의하면 된다.
가격 상승 영향, 타인종 많아 4인조 그룹 라포엠 달라스 공연 10월9일 오후 7시 코펠 아트 센터 한국에서 ‘성악의 어벤저스’로 불리는 4 인조 보컬 그룹 라포엠(LA POEM)이 오 는 10월9일(수) 코펠 아트 센터(Coppell Arts Center)에서 공연을 갖는다. 입장 권은 코펠 아트 센터 웹사이트 www. coppellartscenter.org 또는 이번 공연 주관사인 라온 웹사이트 www.laonent. com 에서 예매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