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n intervening of dyslexia high risk group middle and high

Page 1

아동 양육 시설의 난독증 고위험군 중·고등학생에 대한 중재 효과: 청각정보처리 개선 중재프로그램 적용 김은희*, 송선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인재개발학과 박사과정*, 호서대학교 인재개발학과 교수**

The effects on intervening of dyslexia high-risk group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ildcare Facilities : Apply the intervention program improves auditory processing Eun-Hee Kim*, Sun-Hee Song** Dep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phD* Dep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oseo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요 약 본 연구에서는 난독증 고위험군으로 판별된 중 고등학생들에 대하여 난독증의 신경학적 요인 중 청각 정보 처리 개선 중재 후에 읽기 능력과 청지각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난독증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중재 프로 그램을 수립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취약 계층의 학생들이 밀집되어 있는 아동 양육 시설의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선별 검사를 통해 난독증 고위험군으로 판별된 총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능 력 및 청지각 능력에 대한 심화 검사를 통해 최종 명을 선정하였고 언어 정보를 실어 나르는 청각 시스템을 강화 시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 의한 청지각 자극 훈련과 읽기 유창성 훈련을 회기를 실 시하고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능력과 해독 능력 그리고 청각 정보 처리 능력에서 사전 사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중재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난독증의 진단과 중재 방법의 모색에 있어 신경과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 난독증

읽기능력 청각정보처리 신경학적 요인 난독증 중재

Abstract The study researches regarding changing in reading and auditory perception ability after intervening dyslexia high-risk group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improvement on auditory processing of neurological factors, and then aims to make a systematic intervention program for dyslexia students in verifying efficacy. The target of study is dyslexia high-risk group of 16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fter a preliminary screening test in Childcare Facilities which are vulnerable social group in Gyeonggi province. They are tested deeply by reading and auditory perception ability, and then 24 students are selected. They are tested 20 times by auditory perception simulation and fluent reading train in TOMATIS Method for improving auditory system which transmits language information, and then are taken by post tests. In conclusion intervention efficacy is sure because reading, understanding, and auditory processing ability are in significant change of statistical analysis after preliminary and post tests. It is an important achievement to show necessity of neurological science acces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method of dyslexia through the research. Key Words : dyslexia, reading ability, auditory processing, neurological factor, dyslexia interv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