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당사자연구보고서 06 서울시 50 세대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Page 1


50+당사자연구 17-06

서울시 50+세대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대복 조연숙 홍승혜

006.indd 1

2018-02-10 오후 11:45:06


요약

서울시 50+세대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2

이 연구는 변화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동안의 선행연구와 이미 개발된 ‘노년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교육’에는 은퇴기의 여성과 남성이 놓인 환경이 그대로 축적되어 왔다. 여성과 남성의 특성은 간과되고 여 성과 남성 관계의 변화는 고려되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가 정이나 사회에서 변화된 역할과 관점에 대해 새로운 교육훈련 프로그램 을 구성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사실 오랜 사회화 과정과 직업활동을 통해 형성된 고정된 성역할 태도 는 은퇴 이후 적잖은 어려움에 직면케 한다. 역할 변화를 수용하지 못함 으로써 갈등을 증폭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직시하고, 노년기에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새로운 정체감을 교육받는 시기에 여성과 남성 상호간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 인지적 관점을 반영한 은퇴준비교 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은퇴교육에서 반영하지 못한 ‘성 인지적 관점의 은퇴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006.indd 2

2018-02-10 오후 11:45:06


이를 위해서 기존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와 서 울시 은퇴 및 노후준비를 앞둔 인구특성을 보여주는 행정통계와 각종 승인통계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대상인 40·50대 이상 서울시민 200여 명을 상대로 성역할 및 노후준비교육 수요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족한 사항은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내용을 보완 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50+세대에는 다른 연령층과 구분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것은 50+세대는 이전 삶의 연속선상에 있으면서도 후반기 인생을 위한 전환기 과정에서 향후 삶에 대한 준비와 함께 변화를 모색 하는 단계라는 것이다. 또한 사회발전과정에서 주요 경제활동 주체로 살아온 사람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서도 재정립이 필요한 시기이다. 지 속가능한 삶을 위해 가정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필요한 인식이나 태도

3

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기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할 때는 가정이나 사회적 관계 형성에서 그동안 무의식적으로 가져왔던 성별 인 식과 태도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50세 이상 일반시민에 대한 설문조사와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문 가 및 교육운영자에 대한 심층면접조사(FGI)를 토대로 젠더 관점의 은 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가정과 사회 속에서 어떠한 파트너십을 가지고 살아야 할지에 대 한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즉 생활현장에서 수용되고 존중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삶의 태도가 어떠한지를 제시하는 한편 실천방법도 밝혔다. 이러한 방향성을 토대로 자연스럽게 교육 내용의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자신’의 존재감,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음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에 대한 교육이다. 가정 내에서 자신의 역할과 위치의 변화에서 오는 관계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사회

006.indd 3

2018-02-10 오후 11:45:07


에서 타자, 특히 ‘성’이 다른 사람을 대하는 인식 변화와 훈련이 필요하 며, 그에 따른 실천방안을 참여와 논의를 통해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에 있어서 젠더 관점 교육 프로그램의 비전과 교육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궁극적으로 인간 존엄성의 공유와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인생 후반기 의 새로운 삶을 위한 생각과 관점의 변화를 통해 행복한 삶을 산다는 의 미로, ‘생각(관점)을 바꾸면 인생이 즐겁다’를 비전으로 설정하였다. 교 육목표는 ‘여성과 남성 상호이해 증진으로 지속가능한 동반자 관계 형 성’으로 하였다. 4

사실 그동안 성 역할에 대한 고정된 관념은 상호이해보다는 깊은 장벽 을 형성하여 부서지거나 해체되는 극단적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성 역할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인식은 우리 일상생활의 삶을 보 다 풍부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관계 형성을 위해 서 스스로가 갖는 성(별) 인식이나 성별 고정관념을 허물면서 상호간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본 교육프로그램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 다.

006.indd 4

2018-02-10 오후 11:45:07


006.indd 5

2018-02-10 오후 11:45:07


목차

연구요약

002

I. 서 론

0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연구 내용과 방법 가. 연구범위와 내용 나. 연구의 방법 3. 연구추진 절차

II. 젠더관점과 은퇴 및 노년준비교육 관련 이론적 배경 1. 여성정책의 발전과정과 젠더관점 도입 필요성 가. 여성정책의 발전과정 나. 젠더의 개념, 은퇴 및 노년준비교육에 젠더관점 도입의 필요성 2. 서울시 노년기 인구현황 및 특성 분석 가. 서울시 노년기 인구현황 및 특성 분석 나. 서울시 성별 노년층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특성 다. 서울시 성별 노년층의 가족생활 및 노후준비 특성 3. 성별 은퇴 및 노년기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가. 은퇴 및 노년준비의 개념 나. 남성 은퇴 및 노년기의 위기화 경향에 관한 연구 다. 여성은퇴 및 은퇴 적응에 관한 연구 4. 시사점

III.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현황 1. 중앙정부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 가. 나. 다. 라.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중앙노후준비지원센터) 행정자치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2. 지방자치단체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가. 서울특별시

006.indd 6

012 012 015 016 016 017 018

020 020 020 022 023 023 032 036 041 041 043 045 048

050 050 050 051 054 056 057 057

2018-02-10 오후 11:45:07


나. 다. 라. 마. 바.

부천시 인천광역시 남구청 수원시 시흥시 동해시

3. 시사점

IV. 50+세대 은퇴교육 수요조사 및 관계자 심층조사 결과분석 1. 조사개요 가. 조사 설계 나. 응답자 특성 2. 조사결과 분석 가. 나. 다. 라.

과거 은퇴교육 경험 및 효과성 평가 자기 정체성에 대한 평가 가족생활에서 성별 역할 태도 인식 은퇴교육에 대한 수요

3. 관계자 심층면접조사 가. 조사개요 나. 50세 이상 교육대상자 심층면접 결과 다. 은퇴교육 프로그램 운영자 및 개발자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4. 연구의 시사점

V.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년준비 교육프로그램

059 061 063 064 065 066

068 068 068 069 070 070 072 074 078 083 083 084 090 095

098

1.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098

가. 교육방향 및 목표 나. 교육대상과 방법

098 100

2.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구성 가. 교육프로그램 개요 나. 과정별 교육내용

101 101 101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103

참고문헌

106

[부록 1] 서울시50+세대 노후준비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설문지

108

[부록 2] 서울시50+세대 노후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상자 심층면접조사 112 [부록 3] 서울시50+세대 노후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심층면접조사 117

006.indd 7

2018-02-10 오후 11:45:07


표 목차

006.indd 8

[표 1] 서울시 총인구추계

025

[표 2] 서울시 노인부양비와 노령화지수

027

[표 3] 50세 이상 연령대별 혼인상태 [표 4] 가구주의 연령대별 가구규모 분포

029 031

[표 5] 연령대별 / 성별 학력 구성

033

[표 6] 성별 소득현황

035

[표 7] 학력별 소득현황

035

[표 8] 혼인상태별 소득현황

035

[표 9] 성별/ 연령별 가족생활가치관 [표 10] 성별/연령대별 월 희망소득

036 038

[표 11] 성별/연령대별 노후준비방법에 대한 견해

039

[표 12] 성별/연령대별 노후의 희망활동 분야

040

[표 13] 성별/연령대별 은퇴 후 선호하는 동거형태에 대한 견해

041

[표 14] 여성과 남성의 은퇴기 특성 및 가족생활 관련 선행연구 요약

047

[표 15] 노후준비 정기 강좌 상설 교육 (2017년 7월) [표 16] 공무원연금공단 미래설계교육

051 052

[표 17] 공무원연금공단 전직설계 과정

053

[표 18] 고용센터 성실프로그램

054

[표 19] 한국고용정보원 장년나침반 프로그램

056

[표 20] 중고령 여성 노후설계 역량강화 사업

057

[표 21] 중부와 서부 캠퍼스의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표 22] 인생이모작 지원센터 인생설계아카데미

058 060

[표 23]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노년을 위한 생애설계사

061

[표 24] 영통도서관 100세 시대 행복한 노후준비 프로그램

063

[표 25] 평생교육원 인생 100세 은퇴설계 프로그램

064

[표 26] 평생교육센터 새로맞이 인생학교

065

[표 27] 공공기관 은퇴 및 노후 준비 교육프로그램 요약 [표 28] 응답자의 성별 특성

066 070

[표 29] 성별 은퇴교육 경험 및 교육기관

071

[표 30] 교육의 효과성 평가

072

[표 31] 은퇴시기 성별 자기 정체성에 대한 평가

074

[표 32] 성별 역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

076

[표 33] 성별 가사활동의 참여 실태 [표 34] 성별 교육 참여 수요

077 078

[표 35] 교육 불참여 이유

079

[표 36] 교육 참여 이유

080

[표 37] 성별 교육영역에 대한 수요

081

[표 38] 심도있게 다뤄야 할 교육 분야

082

2018-02-10 오후 11:45:08


006.indd 9

[표 39] 교육시간에 대한 의견

082

[표 40]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

083

[표 41] 심층면접 대상 및 질문내용 [표 42] 잠재적 교육수요자 면접자 특성

084 085

[표 43]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자와 운영자 면접자 특성

090

[표 44] 설문조사와 심층조사 결과 및 시사점 요약

097

[표 45] 교육 프로그램 개요

101

[표 46] 젠더관계 교육과정

103

2018-02-10 오후 11:45:08


그림 목차

006.indd 10

[그림 1] 연구의 추진절차

019

[그림 2]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022

[그림 3] 서울시 총인구 추계(%) [그림 4] 서울시 인구 성별 추계(%)

025 026

[그림 5] 서울시 노인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027

[그림 6] 서울시 인구의 기대여명(년)

028

[그림 7] 서울시 인구의 성별 기대여명 추이 (여자 / 년)

028

[그림 8] 서울시 인구의 성별 기대여명 추이 (남자 / 년)

029

[그림 9] 50세 이상 연령대별 혼인현황(%) [그림 10] 가구주의 연령대별 가구 규모 현황(%)

030 032

[그림 11] 연령대별 학력 분포(%)

033

[그림 12] 성별 학력 분포(%)

034

[그림 13] 성별/ 연령대별 문화환경 만족도

037

[그림 14] 젠더관점 은퇴교육의 비전과 교육목표

099

2018-02-10 오후 11:45:08


006.indd 11

2018-02-10 오후 11:45:08


I. 서 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은퇴시기는 자녀양육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중장년기를 지나면서 가족생활의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생애주기과정에서 이 시기는 중장년기 또는 노년기로 접어들게 되면서 부부의 낮은 관계 만족도, 가족갈등에 있어 그동안 사회생활에 집중해 온 ‘남성’이 가족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고 대체로 갈등의 원인으로 규정되는 경향 으로 말미암아 ‘남성’의 관점에서 이들의 삶과 가족생활에 대한 연구 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실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년기 남성의 가족생활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기도 하였다 (박성정외, 2014). 그런데, 이러한 생애주기의 특성이 성별에 따라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여성의 경우, 결혼․임신․출산․양육으로 인한 경력단절기간이 길 어지면서, 배우자 은퇴에 따라 경제활동 환경에 직면해야 하는 등의

006.indd 12

2018-02-10 오후 11:45:08


당면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어 은퇴설계 교육에 있어서 이러한 여성의 요구와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다. 반면 에 남성의 경우 그동안 가정 내에서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가족의 생 계를 담당해왔으며 가족 내에서 구성원들과의 관계보다는 가정 밖에 서 사회와 경제적 관계에 집중해 옴으로써 은퇴시기에 상대적인 여유 시간이 많아지게 됨에 따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 갈등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성미애, 1999; 성미애․최새은, 2010 등) 은퇴기의 생애주기과정에서 그동안 가족생활과 사회화과정을 통 해서 서로 다른 경험을 축적한 여성과 남성의 서로 다른 특성이 노년 기 황혼이혼의 급증으로 연결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 한 방안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혼인 이혼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이혼은 10만 7,300건으로 2015년 1,800건 (1.7%)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를 뜻

13

하는 조이혼율은 2.1건으로 1997년 2.0건 이후 최저를 기록하고 있 음에도(이데일리 2017년 3월22일자) 이혼연령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유배우 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를 의미 하는 유배우 이혼율도 4.3건이며, 평균 이혼연령은 점차 높아지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남자 47.2세, 여자 43.6세). 이는 10년 전에 비해 남녀 모두 4.6세씩 높아진 수치인 반면, 남녀 간 이혼연령 차이 는 3.6세로, 2011년(3.9세) 이후 계속 좁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성 별에 따른 연령별 이혼율은 남자의 경우 40대 후반(18.7%), 40대 초 반(16.8%), 50대 초반(15.5%) 순이고, 여자는 40대 초반(17.9%), 40 대 후반(17.6%), 30대 후반(15.5%)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 년 이상 같이 산 부부의 이혼이 30.4%로 가장 많게 나타나고 있어 중 장년 이후의 노년기를 어떻게 보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준비가 더욱 필요한 것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사람의 생애주기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기는 노년기라 할 수 있다. 출생과 성장은 주어진 환경에 대응하면서, 가족의 지지를 받

006.indd 13

2018-02-10 오후 11:45:09


으며 생활이 가능한 반면, 점차 신체적․경제적으로 퇴화되는 시기인 노년기는 이전의 시기에 비해 보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서 나머지 인 생을 살아가야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 의 수명이 80세에서 100세로, 최근에는 120세까지 연장되는 시점에 노년기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였 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급증하면 서 이에 대한 요구도 급증하고 있으며 사람의 기대수명이 점차 길어 지면서 노후설계를 위한 각종 교육과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개발․적용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사업체나 보험회사, 은행 등과 같은 일반 기업체는 물론이고, 정부기관을 포함한 공공기관에서 은퇴 이후의 노 년을 잘 살기 위한 은퇴 준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은퇴교육 의 내용은 은퇴자들의 다양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중단된 소 14

득활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경제적․재정적 준비교육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 외에 문화․예술․건강 등과 같은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에 대한 여가활동 등으로 단순화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 이미 개발된 노년을 대비하기 위한 준비교 육에는 은퇴기의 여성과 남성이 놓인 환경에 그동안 축적되어 온 여 성과 남성의 특성을 간과하거나 여성과 남성 관계의 변화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고 가정과 사회에서 변화된 역할과 관점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할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동안 사 회화 과정 및 직업활동을 통해 형성된 고정된 성역할 태도가 은퇴이 후 직면하게 되는 역할 변화에 따른 변화를 수용하지 못함으로써 겪 게 되는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는 문제를 직시하고 노년기에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새로운 정체감을 교육받는 시기인 은퇴교육에 여성과 남성 상호간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성인지적 관점을 반영한 은퇴준비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006.indd 14

2018-02-10 오후 11:45:09


나. 연구의 목적 이 연구는 기존의 은퇴교육에서 반영하지 못한 성 인지적 관점의 은 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 은퇴교육이나 노 후준비를 위한 교육은 남성은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살아온 경험을 반 영하여 주로 여가활동이나 재무, 사회공헌, 건강 등으로, 여성은 가사 와 자녀양육을 마친 이후의 경제적 소득원 상실로 인한 경제활동의 요구 및 이와 관련한 재무, 여가활동, 사회공헌, 건강 등을 주요 내용 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여성과 남성을 불문하고 노후설계 프로그램 이 대동소이한 반면, 서로 다른 역할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극 복하고 여성과 남성의 서로 다른 경험을 반영하는 은퇴 및 노년준비 에 있어 젠더 관점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서울시 50+센터의 은퇴이후를 대비하기 위한 노년 설계 교 육프로그램에 보급․확산함으로써 보다 적실성 있는 노년기 준비교육

15

을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시에는 다양한 은퇴이후 노년준비 및 실제 노년기 삶을 풍요롭게 지원하기 위한 지원기관이 있다. 50+재단 및 센터, 권역별 50+캠퍼스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훈련 및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는 특성화된 평생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 다. 베이비부머의 제2인생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2013년 설립한 ‘서 울인생이모작지원센터’가 보다 다양한 시민의 요구와 수요를 반영하 기 위해서 ‘50+센터’로 변경되면서 직업재설계와 같은 경제적 역할에 중점을 두기보다 관계, 문화․예술․교양 등 삶의 질, 인문학적 소양 등 보다 깊이 있는 노후생활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으로 도심권부터 시작 하여 권역별 설치와 자치단체별 센터를 목표로 확대될 것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확실한 노후준비를 위한 평생교육의 전달체계를 가 지고 있음에도 젠더관점에서의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미흡한 한 계를 보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50+센터와 권역별 캠퍼스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적실성있는 은퇴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006.indd 15

2018-02-10 오후 11:45:10


2. 연구 내용과 방법

가. 연구범위와 내용 연구의 범위는 연구대상과 연구에 포함될 시․공간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은퇴를 앞두고 있는 50세 이상의 중장년층 및 노령층 인구를 포함한다. 이 연구는 은퇴이후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어떠한 내용으로 노년기 준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은퇴 및 노년준비 교육 프로그램 분석에 있어서 공공부문에 한정하고 있다. 공공부문과 비교하여 은퇴 시기가 이른 민간기업체에서 개발된 은퇴준비 교육프로그램은 사업체 의 특성에 따라, 직원에 대한 복지의 일환으로 제공되고 있는 까닭에 16

보편적이기 보다는 직원의 특성과 개성을 반영한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제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 요성과 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와 연구추진 절차를 살펴본다. 2장에서는 50+세대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서 젠더관점 반영의 이론적 배경이 된 여성정책의 발전과정과 젠더관점 반영의 의미, 서울시 50+세대의 인구학적 특성 및 노후준비에 대한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특 성 분석, 선행연구를 통한 50+세대의 성별 특성과 젠더이슈를 살펴본 다. 3장에서는 이미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및 중앙정부 기관의 은퇴 및 노후 준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기존 프로 그램의 문제점과 한계를 파악한다. 4장에서는 50+세대의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 파악과 젠더 관점 반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 발방향에 대한 설문조사와 초점집단에 대한 심층면접 조사결과를 제시 하고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제안한다. 5장에 서는 이제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젠더관점을 반영한 50+세대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과 프로그램(안)을 제안한다.

006.indd 16

2018-02-10 오후 11:45:10


나. 연구의 방법 1) 젠더관점 및 노년준비교육 관련 문헌자료의 검토․분석 50+세대 젠더 관점의 은퇴 및 노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분석한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의 검토 방향은 크게 세 개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젠더관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 되는 여성정책의 변화와 성 주류화의 패러다임을 살펴본다. 여기에는 젠더 관점의 등장배경이 된 여성정책 발전과정에 대한 논의와 젠더의 개념과 특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은퇴 및 노년준비기의 여성과 남성에 대한 특 성 및 관련 젠더 이슈를 다루고 있는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셋 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선행연 구를 살펴보고 각 프로그램별 특성이 무엇인지 비교․분석한다. 17

2) 서울시 은퇴 및 노년기 관련 행정 통계자료 분석 서울시 50+세대의 성별 학력별 소득계층별로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서울시 통계자료를 통해서 파악한다. 특히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의 만족도가 성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기존 사회조사 및 관련 통계조사를 활용하여 재분석한다.

3) 50+세대의 은퇴 및 노년준비 교육 수요조사 50세 이상 은퇴 및 노년준비교육의 잠재적 교육수요자를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한다.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경험과 효과성, 은퇴시기 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인식, 가정 내에서 성별 역할 실태, 은퇴 및 노 후준비교육의 방법과 시간 등 교육수요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다. 서울시 50+센터 이용자, 인력개발기관 및 종교시설이용자 중 은퇴 등 서울과 근교에 거주하는 여성과 남성 약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006.indd 17

2018-02-10 오후 11:45:10


4) 교육운영자 및 전문가 심층자문회의(FGI) 설문조사를 통해서 은퇴시기 해당 대상층의 정체성과 연령 특성, 노후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향 등 교육수요에 대한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반면 교육내용의 수준이나 담아야 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실제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조사를 통해서 보완하 였다. 또한 서울시 50+세대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 해 현장 경험이 있는 교육운영자와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자에 대한 초점집단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해야 할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전략, 방안 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5) 연구 멘토링 및 자체 연구진회의 18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서 격주로 연구진회의를 실시하여 연구의 추 진과정을 공유하고,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논의를 통하여 해결 하고자 하였다. 특히 서울시 50+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연구 멘토 (mentor)와의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서 연구에서 미흡한 점에 대한 보완 방향을 제시하여 줌으로써 수시로 연구가 방향을 잃지 않고 추 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3. 연구추진 절차

이 연구의 추진절차는 연구계획 수립으로부터 문헌조사, 정기적인 연 구진 회의, 멘토링, 설문조사 실시 및 결과분석, 중간평가 및 보고, 초 점집단 심층면접(FGI), 연구결과의 도출, 보고서 작성 절차를 거쳐 추 진하였다.

006.indd 18

2018-02-10 오후 11:45:11


[그림 1] 연구의 추진절차 연구계획(안) 수립: ~5.18

문헌조사: ~6. 30

연구진 회의: 정기모임(격주 수요일)

1차 멘토링(mentoring): 7. 19

설문조사 실시: 7.24~8.14

중간평가: 8. 23

초점집단심층조사 (FGI): 9.7, 9.25

2차 멘토링: 9. 25 (mentoring)

보고서 작성:~10.17

006.indd 19

▸ 연구계획 수립 및 연구진 구성

▸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분석 ▸ 여성정책의 발전과정과 젠더 관점에 대한 선행연구

▸ 연구추진 방향 및 일정 협의 ▸ 50+세대 교육수요에 대한 설문조사 문항 개발

▸ 전체 연구의 내용과 추진방향에 대한 코멘트 ▸ 조사문항에 대한 코멘트

19

▸ 50+ 중부센터 등 50+세대에 대한 교육수요 조사 실시

▸ 보고서 중간평가(50+재단)

▸ 50+ 교육대상자, 교육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자 FGI

▸ 중간평가에 대한 보고서 보완방향 ▸ 젠더관점 은퇴 및 노년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제시

▸ 연구결과의 취합 및 보고서 작성

2018-02-10 오후 11:45:11


II. 젠더관점과 은퇴 및 노년준비교육 관련 이론적 배경

20

1. 여성정책의 발전과정과 젠더관점 도입 필요성

가. 여성정책의 발전과정 여성정책의 발전과정은 크게 정책대상과 대상정책 영역의 변화를 통해 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정책대상으로 ‘여성’에 초점을 두는 것에서 국가사회 성원으로써 성별 관계, 즉 여성과 남성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는 세계적 여성정책의 흐름이 1960년대와 ‘70년대 제3세계 ‘여성발전’(WID, Womem in Development), 1980년대 '젠더와 발전(GAD, Gender and Development), 1990년 대 ‘성 주류화’(Gender Mainstreaming)로 발전되어 온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한 우리나라 여성정책은 여성발전 시기인 ’60년대와 ’70년대에는 요보호여성 혹은 취약여성 등에 대한 복지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젠더와 발전시기인 ’80~’90년대에는 복지국가의 확대에 따라 일반여성에 대한 복지지원

006.indd 20

2018-02-10 오후 11:45:12


으로 확대됨으로써 정책대상이 특정계층 여성에서 일반여성으로 확대 된 시기이다. 그러나 이 때 여성정책은 ‘성 평등’이라는 목표보다는 특 정계층 여성에 대한 지원과 복지에 초점을 둔 한정된 것이었다. 이후 1995년 제3차 세계북경여성대회에서 ‘성 주류화’ 전략이 선포되면서 우리나라는 「여성발전기본법」을 제정하여 성 평등 정책목표를 명시한 여성정책이 비로소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95년 12월 제정된 「여성발전기본법」(이하 ‘기본법’) 제1조는 “헌법의 남녀평등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남녀평등을 촉진하고 여성의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 로 한다고 명시하였다. 여성정책의 궁극적 목적은 ‘평등’이지만 본 ‘기본법’에 포함된 여성정책의 내용은 남녀평등을 촉진하고 여성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이전

21

의 여성정책 내용이었던 저소득여성의 복지와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 를 개선하기 위한 여성지위 향상과 관련한 정책 등을 포함하고 있어 대상에 있어서 ‘여성’에 초점을 둔 것이었으며 관련 정책영역도 복지, 보육, 가족 등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여성정책은 일상적이 고 구조적인 차원에서 나타나는 차별이나 억압의 원인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허라금, 2005)는 인식의 확산과 국제사회의 ‘성 주류 화’1) 전략의 강조는 여성정책이 급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기존 여성정책에 대한 강력한 비판과 문제제기는 성별 관계 혹은 젠 더 관계의 변화를 지향하는 정책 내용을 포함하게 되었으며, 이렇게 하여 다양한 정책영역에까지 확산됨으로써 ‘모든 정책’분야에서 성별 관점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1) 성 주류화에 관한 입장은 정책관점과 정책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책관점은 젠더이슈 를 동등대우 접근, 긍정적 조치, 성 주류화로 구분하여 이해하는 한편 정책전략은 성 평등 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접근으로 동등대우, 여성관점, 젠더관점으로 제시하고 이 세 가 지를 통합적으로 추진하는 것을 성 주류화로 본다(김경희, 2005: 274-277). 본 연구에서 도 성 주류화를 하나의 정책전략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006.indd 21

2018-02-10 오후 11:45:12


[그림 2]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여성정책의 è 패러다임

22

WID (Women in Development)

è

1975년 UN 세계여성의해 공표

è

국제적 정책환경

è

정책목표

è

정책대상

취약계층 è 여성(저소득, 한부모, è 성매매 여성 등)

GAD(Gender and è Development)

GM(Gender Mainstreaming)

1985년 나이로비 1995년 북경 제4차 제3차 è 세계여성대회 세계여성대회

모든 영역에서 취약계층 여성의 삶의 여성지위 및 권익 è è 성별격차 해소를 통한 질 개선 향상 성평등 달성

취약계층 및 일반여성 포함

è

모든 여성과 모든 남성

다음, 여성정책 패러다임의 또 다른 변화의 측면은 정책대상 영 역의 변화를 가져온 점이다. 초기 여성정책 대상영역은 대부분 취약 계층 ‘복지’정책으로, 이후 정책대상이 일반여성으로 확대되면서 교 육, 산업 및 경제정책, 고용․노동정책 등 다양한 정책영역을 포함하게 되었다. 또한 여성에만 초점을 두는 것에서 여성과 남성과의 관계로 성 평등을 지향하는 ‘젠더’ 이슈를 포함하는 성 주류화 전략이 시작되 면서 여성정책에 포함된 대상영역은 더욱 확대되었다.

나. 젠더의 개념, 은퇴 및 노년준비교육에 젠더관점 도입의 필요성 ‘젠더’란 생물학적 성(sex)과 구분되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성’의 개념을 의미한다. 이는 신체적․생물학적 성별을 통해서 집단으로서 여 성과 남성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이미 젠더이슈가 포함된 다는 것이다. 즉, 신체적․생물학적 차이가 사회적으로 성차별로 이어 지거나 성별 고정관념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성에 불리한 기회와 여건 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이것이 젠더이슈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젠더이슈는 사회․문화적 다양성만큼이나 다양하며 따라서 여성정책의

006.indd 22

2018-02-10 오후 11:45:13


핵심이슈는 사회구조 속 깊숙이 녹아있는 젠더이슈를 발굴하여, 이를 극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은퇴 및 노년 준비교육은 생애주기에 있어서 경제활동의 주요 주 체로서의 역할과 지위가 일선에서 이선으로 물러나는 시기이며 인생 의 후반기가 시작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재사회화의 과정의 핵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는 가정과 사회에서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맘껏 발휘하는 시기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사회적으로 가정적 으로 고착화된 성별 역할에 대한 태도변화가 요구되는 시기이기도 하 다. 그러나 이미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모든 정책영역에서 성 인지적 관점이 도입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이 체감하는 일상생활 에까지 확산되는데 제한이 있어 온 것이다. 최근 지방차지단체별로 활성화되고 있는 마을 공동체 사업을 성인지적으로 개선하려는 시도 에 일반시민에 대한 양성평등 교육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마을

23

공동체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그와 같은 교육기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정부의 예산사업에 포함된 공식적 사업이나 계획, 법령의 범주 밖에 있는 일반시민의 실생활에서 성 인지적 관점 에 대한 교육 기회는 거의 없다는 데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에 있어서 성 인지적 관점, 성 평등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2. 서울시 노년기 인구현황 및 특성 분석

가. 서울시 노년기 인구현황 및 특성 분석 1) 서울시 인구 특성 2015년 서울 50세 이상 인구는 3,375천명으로 전체 서울인구의 34.0%이다. 그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1,209천명으로 서울 전 체 인구의 12.2%를 차지하여 점차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10년 뒤 2025년에는 더욱 늘어 50세 이상 인구는 4,092천명으로, 그 중

006.indd 23

2018-02-10 오후 11:45:13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860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시는 2005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1%를 차지하여 고령화사회2)에 진입하였으며, 2020년에는 15.4%로 고령사회3)로, 2026년에는 노인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 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의 고령화 추세 속도는 저출산과 수명연장 등의 변수 에 의하여 2010년 이후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연도에 무관하게 0세부터 49세까지는 남자인구가 여자인구보다 많으 나 50세 이후부터 여자인구가 많아진다. 1990년 0세부터 14세까지 연령대의 남녀 성비 차이는 2.2%p에서 2015년 자연출생성비인 1.1%p로 감소하고 이후 계속 유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14세부 터 49세까지의 연령대는 같은 기간 0.3%p에서 2015년 2.2%p로 증 24

가한 후 계속 유지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남아선호사상과 의료기술 발달의 결합으로 인한 성별 선택 출산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65세 이후 연령대는 여자인구가 더 많아 지는 추세가 타 연령대보다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인다.

2)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이 7%이상~14%미만 3) 노인인구비율 14%이상~20%미만

006.indd 24

2018-02-10 오후 11:45:14


[표 1] 서울시 총인구추계 (단위 :명)

연도 연령별 총계

1990

2000

2010

10,473,252 10,078,434 10,088,611

2015

2020

2025

9,941,162

9,635,114

9,545,279

여자

5,200,449

5,002,738

5,094,376

5,059,698

4,934,661

4,900,489

남자

5,272,803

5,075,696

4,994,235

4,881,464

4,700,453

4,644,790

2,588,293

1,869,569

1,402,623

1,188,851

1,047,406

999,588

여자

1,228,738

882,752

675,790

576,734

509,113

486,478

남자

1,359,555

986,817

726,833

612,117

539,293

513,110

0-14세

15-49세

6,532,151

6,278,279

5,820,950

5,377,549

4,871,990

4,453,713

여자

3,235,583

3,099,825

2,893,205

2,683,783

2,443,080

2,234,453

남자

3,296,568

3,178,454

2,927,745

2,693,766

2,428,910

2,219,260

984,696

1,391,916

1,937,161

2,165,927

2,235,710

2,231,928

여자

497,548

693,513

1,003,636

1,123,315

1,157,998

1,149,291

남자

487,148

698,403

933,525

1,042,612

1,077,712

1,082,637

368,112

538,670

927,877

1,208,835

1,480,008

1,860,050

여자

238,580

326,648

521,745

675,866

824,470

1,030,267

남자

129,532

212,022

406,132

532,969

655,538

829,783

50-64세

65세이상

25

자료: 통계청. (2017)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그림 3] 서울시 총인구 추계(%)

자료: 통계청. (2017).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006.indd 25

2018-02-10 오후 11:45:14


[그림 4] 서울시 인구 성별 추계(%)

자료: 통계청.(2017).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최근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면, 2015년을 기점으로 65세 이상 26

노인세대의 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아졌고, 생산가능인구4)는 점점 줄어 2025년에는 70%로, 2040년에는 60%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에는 유소년인구(0-14세)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를 나 타내는 노령화지수5)가 101.7명으로 노인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추월 하였다. 또한 노년부양비6)는 16.0명으로 생산가능인구 6.2명이 노인 인구 1명을 부양해야 한다. 남녀 성비는 55세 이후 남자가 여자의 90% 전후에서 점차 낮아 져 80세 이후에는 50%선까지 낮아진다. 고령가구수는 인구 고령화와 1인 가구의 증가추세와 맞물려서 2015년 667,769 가구에서 2025년 1,088,097 가구로 매우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 예측되고 있다.

4) 15~64세 인구 5) 노령화지수 = (65세 이상 인구 / 0~14세 인구)×100 6) 노년부양비 = (65세 이상 인구 / 15~64세 인구)×100

006.indd 26

2018-02-10 오후 11:45:14


[표 2] 서울시 노인부양비와 노령화지수 년도 항목

1990

2000

2010

2015

2020

2025

노인부양비

4.9

7.0

12.0

16.0

20.8

27.8

노량화지수

14.2

28.8

66.2

101.7

141.3

186.1

고령자1명당 생산가능인구

20.4

14.2

8.4

6.2

4.8

3.6

자료: 통계청. (2017).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구성

[그림 5] 서울시 노인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27

자료: 통계청.(2017).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 성별 기대여명 2014년 기준 서울시 50세의 기대여명7)은 34.4년이다. 여자는 36.9 년으로 남자 31.9년보다 5.0년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 년과 비교하면 50세의 기대여명이 2.8년 늘어났고, 여자와 남자는 각 각 2.8년, 2.9년 늘어났다. 65세 이상 노인의 기대여명은 2014년 기 준 21.0세로 2005년보다 2.4년 늘어났다. 여자와 남자는 각각 2.5년

7) 기대여명: 특정연령 × 세의 생존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

006.indd 27

2018-02-10 오후 11:45:15


과 2.3년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학의 발달로 인한 수명 연장으로 50세와 노인세대 시작인 65 세 모두 기대여명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곧 노년기의 증가를 의미한다.

[그림 6] 서울시 인구의 기대여명(년)

28

자료: 통계청,(2017). 「시도별 간이생명표」

[그림 7] 서울시 인구의 성별 기대여명 추이 (여자 / 년)

자료: 통계청,(2017). 「시도별 간이생명표」

006.indd 28

2018-02-10 오후 11:45:15


[그림 8] 서울시 인구의 성별 기대여명 추이 (남자 / 년)

자료: 통계청,(2017). 「시도별 간이생명표」

3) 혼인상태와 가구의 규모 50세부터 64세까지 세대의 78.8%가 배우자와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29

있으며, 혼자 사는 경우 이혼은 10.2%이고 사별은 6.1%, 미혼은 5.0%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세대 중 62.5%가 결혼관계에 있고, 사별이 31.3%, 이혼 4.7%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 세대가 겪는 가장 큰 생애사적 사건은 배우자와의 사별로 나타났다.

[표 3] 50세 이상 연령대별 혼인상태 (단위 : 명)

연령별

유배우

사별

이혼

미혼

50-64세

2,066,896

1,628,452

125,130

210,297

103,017

65세이상

1,200,421

750,810

375,494

56,601

17,516

자료: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006.indd 29

2018-02-10 오후 11:45:15


[그림 9] 50세 이상 연령대별 혼인현황(%)

자료: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30

그러나 2만 가구를 표본으로 가구면접조사를 실시한 2015년 서 울서베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부머8) 세대의 기혼자 비율은 73.2%이고, 이혼과 별거 가구주가 15.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유배우자 중 별거 사례가 5.6%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어 이 혼에 이르지 않았지만 함께 동거하지 않은 비중까지 합하면 실질적으 로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은 인구 비중은 이혼비율과 별거 비율까지 합한 인구로 추정할 수 있다. 가구의 규모를 살펴보면, 50세부터 54세까지 세대 가구주의 경 우 3인 가구가 29.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4인 가구로 28.7%, 2인 가구(19.5%), 1인 가구(15.5%), 5인 이상 가구(6.4%)의 순으로 나타났다. 55세부터 59세까지 세대 가구주도 3인 가구(30.8%), 4인 가구 (25.3%), 2인 가구(23.0%), 1인 가구(15.7%), 5인 이상 가구(5.2%) 순으로 50세부터 54세까지와 같은 양상을 보이나, 이전 연령층과 비

8) 한국의 베이비부머 세대는 한국전쟁이후인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인구집단

006.indd 30

2018-02-10 오후 11:45:16


교하면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의 수는 증가하고 4인 가구와 5 인 이상 가구의 수는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인 가구의 수가 3.5%p 증가하여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부터 64세까지의 세대 가구주는 2인 가구가 30.7%, 3인 가구가 29.4%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가 17.9%, 4인 가구가 16.7%로 나타났다. 이 전 연령층과 비교하면 1인 가구와 2인 가구와 2인 가구는 증가하고 3 인과 4인 가구의 수는 감소하였다. 특히 2인 가구의 수는 7.7%p증가 하였는데, 이는 60세 이상 연령대가 자녀세대의 독립이 시작되는 시 기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65세 이상 노인 이상 가구주는 2 인 가구가 40.2%로 현격하게 높았고, 1인 가구가 27.3%, 3인 가구가 19.4%의 순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수가 50세부터 64세까지 세 대는 서울시 전체 평균보다 10%p 이상 낮은 수치인데 비해 65세 이 상 노인 세대의 1인 가구의 수는 서울평균과 0.1% 차이밖에 나지 않

31

는 수치로 나타나 독거노인과 노인부부만으로 구성된 가구의 수가 많 음을 알 수 있다.

[표 4] 가구주의 연령대별 가구규모 분포 (단위: 명)

연령대

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50~54세

413,734

64,168

80,609

123,633

118,650

26,674

55~59세

437,674

68,552

100,498

134,872

110,793

22,959

60~64세

338,663

60,473

103,868

99,696

56,530

18,096

65세이상

695,256

189,686

279,162

134,613

55,252

36,543

자료: 통계청,(2016). 「장래가구추계」

006.indd 31

2018-02-10 오후 11:45:16


[그림 10] 가구주의 연령대별 가구 규모 현황(%)

자료: 통계청,(2016). 「장래가구추계」

32

나. 서울시 성별 노년층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특성 1) 학력과 직업 50세 이상이 포함된 베이비부머 세대는 급격한 경제개발과 그로 인한 사회의 변혁을 경험한 세대로서 교육을 통한 계층상승에 대한 열망이 강한 세대이다.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전문대졸과 대학원졸 이상의 학 력 분포가 많아지고, 고졸이하의 학력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는 증가폭도 연령층이 낮아질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50세부터 54세까지의 연령층이 바로 위 연령층에 비해 10.7%p가 증가하여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연 령층에서 여자의 학력이 남자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문대졸 이상 학 력자의 성별 차이가 가장 큰 연령층은 65세 이상으로 17.6%p가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학원졸 이상의 고학력자는 55세부터 59세까지 연령층에 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데 5.9%p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게 나타났다.

006.indd 32

2018-02-10 오후 11:45:16


[표 5] 연령대별 / 성별 학력 구성 (단위: 명)

학력 연령 50~54세

55~59세

60~64세

65세 이상

합계

고졸이하

전문대졸

대학원졸

764,101

437,872

271,158

55,071

여자

391,611

253,600

119,954

18,057

남자

372,490

184,272

151,204

37,014

746,284

507,293

194,801

44,190

여자

389,563

295,911

81,419

12,233

남자

356,721

211,382

113,382

31,957

556,511

408,346

122,529

25,636

여자

291,995

238,435

47,846

5,714

남자

264,516

176,634

67,960

19,922

1,200,421

979,214

189,494

31,713

여자

669,900

608,495

56,129

5,276

남자

530,521

388,330

115,754

26,437

33

출처: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그림 11] 연령대별 학력 분포(%)

출처: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006.indd 33

2018-02-10 오후 11:45:17


2015 서울서베이에 의하면, 이러한 학력특성이 직업특성에도 이 어져 관리전문직 및 화이트칼라 비중이 41.3%로 나타났다.

[그림 12] 성별 학력 분포(%)

34 출처: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2) 월평균 소득현황 (2013)9) 60대 이상은 50만 원에서 100만 원 사이가 26.9%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50만 원 미만(21.7%), 100만 원에서 150만 원 미만 (21.4%) 순으로 이 세부분이 7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남성은 50만 원에서 150만 원 사이가가 51.7%로 과반을 차지한 반면 여성은 50만 원 미만이 제일 많고 그 다 음은 50만 원에서 100만 원 미만으로 이 두 부분이 57.2%로 나타나 서 이 연령대의 성별 소득격차가 벌어져 있음 알 수 있다. 학력에 의한 소득은 고졸과 대졸의 차이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원졸인 경우 소득에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혼인상 태가 월소득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서울서베이 조사항목에서 제외되어 2013년 이후 생산중단

006.indd 34

2018-02-10 오후 11:45:17


[표 6] 성별 소득현황 (단위 : %)

월소득 구분

50 미만

50~100 100~150 150~200 200~250 250~300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300 이상

소득 없음

남자

12.5

25.9

25.8

15.6

8.1

3.2

5.5

3.4

여자

29.6

27.6

17.7

9.3

3.2

1.5

1.5

9.7

60대 이상

21.7

26.9

21.4

12.2

5.5

2.2

3.3

6.8

자료: 서울통계정보시스템.(2013). 정보공개정책과「서울서베이(가구원조사)」

[표 7] 학력별 소득현황 (단위 : %)

월소득 구분

50 미만

50~100 100~150 150~200 200~250 250~300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300 이상

소득 없음

중졸 이하

26.8

27.4

21.4

11.7

3.3

0.8

0.6

8.1

고졸 이하

11.7

25.4

23.7

13.6

9.5

3.9

7.3

4.9

대졸 이하

12.6

28.0

13.1

11.2

11.5

9.7

11.9

2.1

대학원 이상

6.5

18.7

9.2

5.8

-

-

59.8

-

35

자료: 서울통계정보시스템,(2013). 정보공개정책과「서울서베이(가구원조사)」

[표 8] 혼인상태별 소득현황 (단위 : %)

월소득 구분

50 미만

50~100 100~150 150~200 200~250 250~300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300 이상

소득 없음

기혼

16.5

26.6

21.8

14.7

6.6

3

4.5

6.3

미혼

20.2

33.2

21.4

12.2

-

-

-

13

이혼/별거

27.2

34.3

23.8

9.1

2.2

-

2.2

1.2

30

26.9

20.7

8.1

3.9

1.1

1.4

8

사별

자료: 서울통계정보시스템,(2013). 정보공개정책과「서울서베이(가구원조사)」

006.indd 35

2018-02-10 오후 11:45:17


다. 서울시 성별 노년층의 가족생활 및 노후준비 특성 1) 가족생활가치관 통계청의 「사회조사」 2016년 자료에 의하면, 50대는 ‘자녀교육을 위 한 부모의 희생’에 대한 의지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50 대는 ‘배우자에 대한 솔직한 감정표현’ 항목에서 서울시 평균보다 낮 고, 60대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조기 퇴직, 갱년기 등 50대가 당면하 는 사회적, 심리적 리스크를 가장 가까운 배우자와 함께 공유하는 것 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다.

[표 9] 성별/ 연령별 가족생활가치관 (단위 : 10점 만점)

36

분류

정기적으로 자녀위주로 함께 식사 결정

자녀교육을 위해 부모가 희생 감수

배우자에 대한 솔직한 감정표현

부부의 공통된 가치관

자녀의 부모재산에 대한 상속권리

서울시

6.18

5.79

6.02

6.13

6.17

5.48

남자

6.23

5.75

6.00

6.08

6.11

5.48

여자

6.13

5.82

6.04

6.17

6.23

5.47

50대

6.25

5.91

6.38

5.96

6.05

5.55

60대이상

5.92

5.49

5.86

6.04

5.99

5.43

자료: 통계청.(2016).「사회조사」2년 단위 조사

2) 문화․환경 만족도 50대와 60대 모두 문화환경에 대해 매우 불만족과 약간 불만족이 서 울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50대보다 60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 면 약간 만족과 매우 만족은 서울시 평균보다 낮게 나왔다. 50대보다 60대가 더 낮게 나타났다. 60대 이상에 적합한 문화환경이 부족하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006.indd 36

2018-02-10 오후 11:45:18


[그림 13] 성별/ 연령대별 문화환경 만족도

자료: 통계청.(2016).「사회조사」2년 단위 조사

37

3) 노후 준비 관련 성별 특성 ① 은퇴 후 희망 소득

2016 서울서베이에 의하면 은퇴 후 월 적정생활비는 ‘150만 원~200만 원 미만’구간이 29.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0~250만 원 미만’ (24.5%), ‘100~150만 원 미만’(19.1%), ‘250~300만 원 미만’(11.7%) 순으로 나타났다. 50대에서는 ‘200~ 250만 원 미만’이 두 번째로 높게 나온데 비해 60대에서는 ‘100~150만 원미만’으로 나타나 연령계층별 희망소득의 차이를 알 수 있다. 한편, 성별로 희망소득의 차이를 볼 수 있는데, 남성은 월 희망소 득 250~300만 원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인데 비해, 여성은 월 희망소득 150~200만 원으로 나타나 월 희망소득에 대한 기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006.indd 37

2018-02-10 오후 11:45:18


[표 10] 성별/연령대별 월 희망소득 (단위 : %)

50 만 원 미만

50~100 만 원 미만

서울시

0.1

2.9

19.2

29.4

24.3

12.1

6.7

2.3

2.9

남자

0.2

2.4

19.3

28.3

26.1

11.4

7.2

2.2

2.9

여자

0.1

3.3

19.1

30.6

22.6

12.8

6.2

2.4

3.0

50대

0.1

2.4

19.0

28.8

24.7

11.6

7.0

2.4

4.1

60대 이상

0.2

4.2

23.8

30.5

21.4

9.8

4.8

2.0

3.2

분류

100~150 150~200 200~250 250~300 300~350 350~400 만 원 만 원 만 원 만 원 만 원 만 원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미만

400 만 원 이상

자료: 통계청.(2016).「사회조사」2년 단위 조사

38

② 노후 준비율 및 방법

노후 준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에서,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50대가 74.1%인데 비해 60대는 57.1%에 그쳐 50대의 노후준비는 3/4이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반면, 60대의 절 반 가까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으로는 50대는 보험, 공공기관연금, 은행저축의 순인데 비해 60 대는 보험, 은행저축, 공공기관연금의 순으로 답하여 50대가 60대에 비해 공공기관연금을 노후준비 방법으로 더 신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성별로 여성이 노후준비 방법은 ‘보험’이 64.2%(남성 58.1%)로 가장 높았고, ‘은행저축’ 53.5%, 공공기관 연금 45.2%의 순으로 응답한 반면, 남성은 ‘공공기관 연금’ 63.8%, ‘보험’ 58.1%, ‘은행저축’ 49.8%의 순으로 응답하여 노후준비 방법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006.indd 38

2018-02-10 오후 11:45:19


[표 11] 성별/연령대별 노후준비방법에 대한 견해 (단위 : %) 주택 자녀가 부동산 규모 노후 투자 줄여서 책임 활용

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

분류

준비 하고 있다

공공 기관 연금

개인 연금

은행 저축

보험

남자

65.1

63.8

27.7

49.8

58.1

9.0

6.7

2.2

0.1

34.9

여자

60.5

45.2

25.3

53.5

64.2

8.5

7.1

2.3

0.1

39.5

50대

74.1

58.8

32.3

53.3

64.1

11.2

8.1

1.7

0.1

25.9

60대이상

57.1

40.3

25.5

50.1

63.3

9.9

12.9

5.7

0.1

42.9

기타

출처 : 「서울서베이(가구원조사)」 2016 주석 : 노후준비방법은 중복응답이며,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가구원 응답항목임

③ 노후생활 희망 정도

50대와 60대 모두 노후 여가활동에 있어서 ‘취미/교양활동’을 가장

39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미/교양활동 다음으로 ‘소득창출 활동’이 높게 나타나, 노후에도 여전히 소득활동에 대한 기대가 높음 을 알 수 있다. 성별로 취미/교양활동은 여성과 남성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6.6점, 10점 만점), 여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희망하는 활동은 ‘자 기계발’ 5.8점, ‘자원봉사’ 5.7점, ‘종교활동’ 5.5점 등의 순으로 나타 난 반면, 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희망하는 활동은 ‘소득창출 활동’ 6.4점, ‘자기계발’ 5.8점, ‘자원봉사’ 등의 순으로 나타나 희망활동 분 야에 대한 견해도 조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006.indd 39

2018-02-10 오후 11:45:19


[표 12] 성별/연령대별 노후의 희망활동 분야 (단위: 10점 기준 환산 점수)

취미/ 소득창출 활동 교양활동

종교 활동

손자녀 양육

분류

종합

서울시

5.7

6.2

6.6

5.4

5.7

5.8

4.7

남자

5.7

6.4

6.6

5.3

5.6

5.8

4.6

여자

5.8

6.1

6.6

5.5

5.7

5.8

4.8

50대

5.7

6.1

6.4

5.5

5.6

5.8

4.9

60대 이상

5.7

6.2

7.0

5.4

5.3

5.3

4.8

자원봉사 자기계발

출처 : 「서울서베이(가구원조사)」 2016

④ 은퇴 후 선호동거 형태

은퇴 후 선호하는 동거 형태에 대해서 50대와 60대 모두 ‘자녀와 가 40

까운 곳에 독거’와 ‘노인전용공간’의 순으로 이 두 항목이 50대와 60 대에서 각각 77.8%와 77.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자녀와 동거는 각각 15.7%, 18.6%에 그쳤지만 서울시 평 균 12.4%보다 높게 나와 자녀에 대한 의존과 전통적인 가족형태에 대한 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성별로 은퇴 후 선호하는 동거형태에 대해서 여성은 ‘친구 와 동거’ 9.3%, ‘아들과 동거’ 9.3%, ‘딸과 동거’ 5.6%로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인 반면, 남성은 ‘자녀와 가까운 곳 동 거’ 43.4%, ‘노인 전용공간’ 38.1%로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006.indd 40

2018-02-10 오후 11:45:20


[표 13] 성별/연령대별 은퇴 후 선호하는 동거형태에 대한 견해 (단위 : %)

분류

자녀와 가까운 곳 독거

노인 전용공간

친구와 동거

아들과 동거

딸과 동거

기타

서울시

41.2

37.4

9.0

8.3

4.1

0.1

남자

43.4

38.1

8.7

7.2

2.5

0.1

여자

39.1

36.7

9.3

9.3

5.6

0.1

50대

42.3

35.5

6.3

11.1

4.6

0.2

60대이상

46.3

30.9

4.2

14.2

4.4

0.1

출처 : 「서울서베이(가구원조사)」 2016

3. 성별 은퇴 및 노년기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41

생애주기에 있어서 은퇴기는 개인적․사회적으로 지위와 역할 변화에 따른 정체성의 위기와 함께 태도 및 의식변화의 요구가 밀려오는 시 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를 특별히 지원하고 지지하기 위한 연구들이 2000년대를 전후로 하여 급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은 퇴 및 노년기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에 있어서 성별로 어떤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의 초점을 성 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젠더 이슈를 도출하고자 한다.

가. 은퇴 및 노년준비의 개념 은퇴란 어떤 직임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면서 생산활동은 중단했 지만 지속적인 소비활동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퇴직’과 구분된다(출 처: 매일경제). 은퇴는 직업생활을 통해서 가졌던 사회․경제적인 지위 에서 물러나게 되는 시기로 정서적․심리적으로 허탈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은퇴시기의 특징으로 1차적으로 정기적인 소득활동에서 점차

006.indd 41

2018-02-10 오후 11:45:20


벗어나는 과정이며 이에 따른 경제적으로 소득의 감소가 발생하는 시 기이며, 사회․경제적 중심역할에서 벗어남으로써 정체성과 사회적 지 위 상실로 인한 사기가 저하되기도 한다. 또한 각종 사회적 관계의 빈 도와 강도가 줄어듦으로써 사회적 유대관계가 희미해지는데서 오는 고립감과 소외감에 직면하는 시기이다(윤진, 1985; 김애순외, 1995 등). 그러나 이와 같은 은퇴의 개념은 가정 내에서 경제활동의 주체가 된 ‘남성’을 중심으로 한 개념이며, 이와 같은 남성의 은퇴개념으로는 보다 역동적이고 다양한 여성의 생애과정에서 ‘은퇴’ 개념을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즉, 은퇴의 전통적인 정의는 선형적인 노동 경로 를 가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의를 사용하는 경우 간헐적으로 노동시 장에 참여하는 많은 여성을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고 비판한 다(Richardson, 1999; 이호숙, 2016 재인용). 여성의 생애과정은 훨 42

씬 더 복잡하며, 역동적이며, 다양한 생활패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은퇴 개념을 정의할 때 여성의 삶을 고려한 은퇴 개념을 반영해야 여 성과 남성의 은퇴 및 노후준비의 적정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성을 반영하여 최근에는 은퇴를 주로 연령이나 직 업지위의 상실, 연금 수혜와 같은 객관적 지표들을 통해서 정의하는 것에서 개인의 다양한 삶의 주기와 과정을 중시함에 따라 객관적 지 표보다 주관적 지표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서 은퇴는 노년으로 이동해가는 모든 이들이 경험하게 되는 생애사건 이자 과정으로 성별이나 취업여부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개념으 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이남․한정란, 2014). 또한 은퇴를 중고 령기에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이탈한 이후부터 비경제활동 상태로 이 행하는 전반적인 과정임과 동시에 은퇴 후의 적응까지를 포함하는 과 정으로 정의하기도 한다(이호숙, 2016). 이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은퇴의 개념을 역동성과 다양성을 포함 한 개념으로 이해함에 있어서 연령이나 경제활동의 중단에 매이지 않 으면서도 생애주기의 후반부, 주요 경제활동에서 벗어나면서 새로운

006.indd 42

2018-02-10 오후 11:45:21


자아를 찾아가는 시기로 정의하고자 한다.

나. 남성 은퇴 및 노년기의 위기화 경향에 관한 연구 은퇴를 앞두고 있는 중장년기 또는 노년기 남성에 관한 연구는 노동 시장에서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경제생활의 변화에 따른 신체적․정신 적 위기화 경향으로 집중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최인희외(2014) 연 구는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이 갖는 생애사적 특성을 ‘위기’로 규정하 고, 그 특성을 일과 가족, 은퇴, 사회적 지지망 등의 변수를 통해서 설 명하고 특히 이러한 생애사적 변화를 가족생활을 통해서 지원하기 위 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경혜의 연구(1999)는 중년 직장 남성 대 상 직업역할과 가족역할의 연계성 분석 후 남성의 직업역할이 가족역 할을 의미하며, 직장과 가정을 ‘교환관계’로 인지하게 되는 결과를 도 출하고 있다. 이은아의 연구(2007)는 40~59세의 전일제 직업인이면

43

서 유자녀 남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중년기 남성의 가 족변인, 직업-가족갈등, 직업관련 변인들이 모두 상관관계가 있으며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역할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특히 중년 남성의 은퇴와 관련한 연구 에서는 주로 은퇴 결정요인, 은퇴과정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은퇴 후 부부관계 및 생활만족도의 변화와 은퇴남성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 에 가족 관련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남성은퇴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으로는 부부관계의 질, 주관 적 건강상태, 월 소득, 은퇴준비여부, 주거형태로 나타나고 있지만,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는 ‘부부관계의 질’ 변인으로 나타났 다(권은비․이정화, 2011). 즉, 은퇴시기의 생활만족도는 소득, 건강, 사회적 유대 등과 같은 변인이 중요하지만, 배우자와의 관계의 질에 서 오는 변수가 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부부관계가 좋지 않 은 은퇴자에게 은퇴 후 생활은 훨씬 더 어려움이 많고 만족도가 떨어 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은퇴를 앞 둔 중장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

006.indd 43

2018-02-10 오후 11:45:22


과 관련된 가족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변인은 부부관계의 질로 나타나 고 있다. 즉 중년기에는 자녀의 성장으로 인하여 부모역할이 감소되 거나 변화되면서 부부관계의 질도 변화하여 부부관계의 재조정이 요 구되는데 이 과정에서 긴장감을 경험한다는 것이다(Sheey, 1995; 이 은아외 2007 재인용). 더구나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가부장적 유교 문화로 인하여 남성의 경제활동 집중현상과 여성의 가정생활에서의 주도권이 남성의 경제활동에서의 역할이 줄어듦에 따른 새로운 가정 내에서의 역할인식이 부족하게 됨으로 인하여 배우자와의 관계의 갈 등이 심화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은퇴준비가 주로 경 제적인 측면에서 논의되는데 실제로 경제적 측면보다 사회적이고 관 계적인 측면이 은퇴 후 생활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 과는 사회적 측면에서의 은퇴준비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44

(권은비․이정화, 2011). 따라서 은퇴 전부터 경제적인 은퇴대비만이 아닌, 은퇴 후 사회적인 적응으로 대인관계나 부부관계에 대한 준비 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격적인 경제발전과정을 겪으면서 출생한 1950년대와 60년대 초반의 베이비부머 세대 남성들은 경제개발에 치중하였던 1980년대 후반까지 직업과 일 중심적 생활로 인해 가정이나 가족에 대한 책임 에서 보다 자유로웠다. 그러나 이후 개인의 삶의 질을 중시하는 가치 관으로 변화하면서 남성은 직업생활 뿐 아니라 가정에서의 역할에 대 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족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일 과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에 갈등을 겪고 있으며, 따라서 가정생활에 대한 가족구성원의 요구와 함께 인식변화에 대한 책임이 더욱 요구되 고 있다(이은아․정혜정, 2007). 이러한 사회와 개인생활의 변화를 수 용하고 스스로 변화의 노력을 할 수 있는 시기는 은퇴이후 사회․경제 활동이 줄어드는 시기부터라 할 수 있다. 최인희외 연구(2014)는 젊은 층을 제외하고 여전히 전통적인 사 고방식에 있는 현재 은퇴기 남성들은 ‘가족의 생계에 대한 책임감이

006.indd 44

2018-02-10 오후 11:45:22


강하고, 자신보다는 가족의 안녕을 중시’한다는 응답률이 높은 비율 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에게 가족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책임감과 부담감이 가족생활의 만족도에서는 전체응답자의 약 1/3을 조금 상 회하는 37.7%만이 현재 가정에서의 지위와 역할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책임과 부담감에 따르는 가정의 보상은 미흡함을 알 수 있 다. 계속해서 은퇴후 생활만족도가 높은 경향은 건강, 소득수준의 변 인 외에도 부부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관계 만족도가 높을 수 록 노후대비가 잘 되어 있을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밝히고 있다(최인희외, 2014) 이와 같이 부부관계 만족도는 경제만족도 외에 자녀관계 만족도,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은퇴이 후 삶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5

은퇴기 배우자와의 갈등요인으로는 경제적 문제, 가족관계, 생활 방식, 부부간 지위와 역할 등 생활영역별로 배우자와의 갈등경험 빈 도는 ‘경제적 문제’와 ‘자녀문제’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인 한편, 그 다음이 ‘생활방식’에서 오는 갈등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갈등은 ‘이혼을 가끔 또는 자주 고려한다’는 응답과 연계되고 있 다. 즉, ‘가족의 경제적 문제’ 생활방식‘, ’자녀문제‘ 등으로 인해 이혼 을 고려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고 있어(최인희외, 2014) 오랜 생활 의 결혼생활에서도 생활방식의 간극이 줄어들지 않는 경우, 이혼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 여성은퇴 및 은퇴 적응에 관한 연구 남성 은퇴에 관한 연구가 주로 가정과 사회에서 역할변화에서 오는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초점이 두어지고 있는 반면, 여성의 은퇴 관련 연구는 태도와 성향 외에 은퇴준비와 계획, 은퇴적응과 경 험, 은퇴 결정과 관련된 4개의 범주로 구분되어 은퇴 관련 연구에서

006.indd 45

2018-02-10 오후 11:45:23


도 성별 특성이 반영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이호숙, 2016). 은퇴에 대한 태도와 성향에 대한 연구는 특정 직업군에 종사한 여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된 여성층은 교사, 간호사, 사무직 등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직업생활에 참여한 후 은퇴과정을 거 치면서 자연스럽게 가족에 동화될 수 있어 은퇴에 대해 남성보다 더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한경혜․최새은, 2013). 반면, 중년기 여성들의 은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부각된 연 구도 있는데, 이는 직장생활을 한 중년여성은 일에 대한 강한 자아정 체감을 형성한 것이며, 은퇴를 통해 일이 없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여 성에게 역시 부정적 영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호정화, 1998). 다음, 여성의 은퇴적응과 은퇴경험에 관한 연구는 여성의 입장을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하나는 은퇴남성의 배우자로 46

서, 은퇴 남성과 여성의 비교연구, 은퇴 당사자로서 연구이다. 은퇴 남성의 배우자로서 여성을 다루는 연구들은 남편의 은퇴 이후 변화된 생활에 대한 문제와 한계를 드러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 부부간 역할 재분배 및 변화된 삶의 방식에 대한 적응 등을 다루고 있다. 은퇴 당사자로서 여성은 은퇴 남성보다 은퇴 상황에 더 잘 적응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성은 가정주부로서의 역할이 우선시되는 성 별 고정관념으로 인해 은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뿐 아니라, 은퇴로 인한 역할 상실감을 가족 역할의 수행을 통해 보상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006.indd 46

2018-02-10 오후 11:45:24


[표 14] 여성과 남성의 은퇴기 특성 및 가족생활 관련 선행연구 요약 연구자 (연도)

호정화 (1998)

연구내용

주요연구 대상 및 특징

-중년기 여성들의 은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부각한 연구 직장인 -직장생활을 한 중년여성은 일에 대한 강한 자아정체감을 여성의 형성하여 은퇴를 통해 일이 없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여성 은퇴특성 에게 역시 부정적 영향을 갖게 된다고 분석함

한경혜 (1999)

-직장남성의 은퇴기 직업역할과 가족역할 연관성 분석

직장 남성의 은퇴기 특성

이은아 (2007)

-중년기 남성의 가족변인, 직업-가족갈등, 직업관련 변인들 이 모두 상관관계가 있으며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부모역 할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을 도출

중년기 남성

이은아․정혜정 (2007)

-가족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일과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에 갈 등을 겪고 있으며, 따라서 가정생활에 대한 가족구성원의 요구와 함께 인식변화에 대한 책임 요구

은퇴기 남성

-남성은퇴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으로는 부부관계의 질, 주관적 건강상태, 월 소득, 은퇴준비여부, 주거형태 등이 권은비․이정화 포함 (2011)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는 ‘부부관계의 질’ 변인 으로 나타남

남성 은퇴자

47

교사, -은퇴에 대한 태도와 성향에 관한 연구 한경혜․최새은 -경제활동의 주체로서 직업생활에 참여한 후 은퇴과정을 거 간호사, (2013) 치면서 자연스럽게 가족에 동화되어 은퇴에 대해 남성보다 사무직 더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 은퇴여성 최인희․ 홍승아․정다은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의 가족생활 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김주현 (2014)

이남․한정란 (2014)

이호숙 (2016)

006.indd 47

중장년 이상 남성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업 여성의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여성의 은토기대와 노후준비 수준 취업여성, 을 비교분석하여 중년기 여성들이 연퇴를 앞두고 체계적으 비취업여 로 체계적인 은퇴 후 생활 준비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과 성의 은퇴 비취업 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지원 -여성은퇴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여성은퇴와 관련한 논문의 동향분석을 통해 관련 분야 연 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향후 관련 연구 방향제시에 목적

직장인 여성의 은퇴

2018-02-10 오후 11:45:24


4. 시사점

이 장에서는 젠더 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으로 여성정책의 발전과정과 젠더관점 도입필요성과 서울시 50 세 이상연령층의 인구학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가족관계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은퇴기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그동안의 사회 및 가정에서의 생활에 작은 마침표를 찍는 시점이며 동시에 인 생의 후반기로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해야 하는 전환기적 시기이다. 기대수명의 연장과 함께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은퇴 및 장기간의 노 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장 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여성과 남성의 은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통해 48

서 젠더이슈를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남성의 은퇴기에 나타난 특징으로 경제활동에 집중하던 남 성의 가정적․사회적 소외 상태를 들 수 있다. 그동안 가정과 사회에서 경제활동의 주체로 ‘남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왔으며, 이와 같은 가정과 사회에서의 분리된 역할로 인해서 은퇴로 인한 역할 변화는 남성 스스로 정체성의 혼란과 위기를 경험하게 되며 스스로 동화되지 못하면 ‘소외’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 문제를 나타내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은퇴 및 노년기 남성의 경우 이 시기 가족생활의 기회가 많 아지지만 그동안 가정내 관계에 대한 학습과 경험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것은 곧 가정내 성별화된 역할분담의 고착화는 가족 갈등을 심화시키고 가족해체에 이르는 문제를 낳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여성은퇴에 관한 연구는 연구대상이 세분화되어 직장생활 을 한 여성과 그렇지 않은 여성으로 구분되며, 직장에 따라서 어느 직 업군이냐에 따라 은퇴기의 특성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특징을 지닌다. 그 이유는 여성의 50세 이전 활동의 특성을 구분함에 있어서 여성경 제활동참가율에서 나타나듯이 생산가능인구로 경제활동에 참가한 비

006.indd 48

2018-02-10 오후 11:45:25


율이 전체 여성의 절반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제활동의 참여 직 종 또한 다양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여성의 경우 경 제활동주체로 참여한 여성도 은퇴기 적응에 큰 문제점이 없는 이유는 직장생활과 동시에 가정 영역에서도 어느 정도의 역할책임을 감당하 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에서 보듯이 은퇴기 여성과 남성의 특성이 구분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에서 여 성과 남성의 차이, 가족생활 만족도, 자기 정체성 강화 등의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49

006.indd 49

2018-02-10 오후 11:45:25


III.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현황

50

사람의 기대수명이 점차 길어지면서 노후설계를 위한 각종 교육과 프 로그램이 활발하게 개발·적용되고 있다. 사업체나 보험회사, 은행 등 과 같은 일반 기업체는 물론이고, 정부기관을 포함한 공공기관에서 은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은퇴교육의 내용은 은퇴자들의 다 양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중단된 소득활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경제적·재정적 준비교육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 외에 문화·예 술·건강 등과 같은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여가 활동 등으 로 대동소이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는 정부부처와 지방자치에서 개발하여 추진하고 있는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중앙정부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

가.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중앙노후준비지원센터)

006.indd 50

2018-02-10 오후 11:45:25


국민연금공단은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은퇴를 한 시민을 대상으로 매 주월요일 아카데미와 매주 목요일 정기 강좌를 통하여 생애 유형별 변화에 대한 대응과 노후준비를 위한 재무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각 연금관리공단 전국 지사를 통하여 노후준비 특별 강연을 실시하고 있으며, 베이비붐세대 사회참여 기회를 늘리기 위해 민간과 공공기관 등을 통하여 강연도 실시하고 있다. 아래의 표에서 보는 바 와 같이 월요 아카데미의 경우, ‘자아’ 정체성 찾기와 자신을 알기 위 한 성격유형 파악 등을 주요 강좌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5] 노후준비 정기 강좌 상설 교육 (2017년 7월) ◎ 월요 아카데미 구분

용 51

1강

다르니까 행복이다

2강

난 도대체 왜 이럴까?

3강

너에게 맞춰줄게 (성격유형별 커뮤니케이션)

4강

성장의 날개 펼치자 (성격유형별 성장가이드) ◎ 목요 정기강좌

구분

7월 6일

재무설계의 새로운 페러다임

7월 13일

통하라 그러면 건강하리라

7월 27일

100세 시대 뇌건강과 치매예방

자료: cafe.daum.net/csa1355, csa.nps.or.kr

나. 행정자치부 공무원연금공단 은퇴설계 지원실은 퇴직예정인 공무원들에게 미래설 계, 전직설계 과정 교육을 통해서 은퇴설계의 필요성과 변화관리, 은 퇴 후 일자리 찾기 직무향상교육 등의 통하여 은퇴준비를 할 수 있도

006.indd 51

2018-02-10 오후 11:45:26


록 하는 것을 교육내용으로 하고 있다. 미래설계 교육 내용은 자기 설계, 재무, 연금제도, 일자리 및 대 인관계, 여가설계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어 노후생활에 있어서 일, 여 가, 소득 및 재무가 주요내용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표 16] 공무원연금공단 미래설계교육 구분

1일차

변화관리, New-Life Self Design(자기설계)

2일차

자산관리, 생활법률, 세무상식

3일차

연금제도 및 공단사업 소개

4일차

내 일(My work) 찾기, 대인관계, 은퇴생활 모범사례, 건강관리

5일차

여가설계(주거)

52 자료: 공무원연금공단(2016). 준비된은퇴·행복한 노후 100세 시대 은퇴설계 성혜영외 국민연금연구원(2016). 은퇴 예정자를 위한 노후준비 프로그램 개발에서 발췌

전직설계과정의 교육내용은 크게 재취업, 창업, 귀농귀촌, 사회 공헌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인생의 후반기 자기진단과 진로탐색을 시 작으로 하여 전반기 재직하였던 직업의 변화, 후반기 주요경제 및 사 회활동의 핵심적 내용이 될 것에 대한 재훈련 과정을 포함한다. 단순 한 은퇴 설계 프로그램보다 장기적인 교육과정이 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006.indd 52

2018-02-10 오후 11:45:26


[표 17] 공무원연금공단 전직설계 과정 구분

재취업

창업

귀농귀촌

사회공헌

자기진단 및 진로 탐색 New-Life Self Design(자기설계)

1일차 □재취업트랜드 -재취업 시장의 현황과 동향 -재취업정보소개 잡서칭 활용기법 2일차 온·오프라인

□창업 첫걸음 □귀농귀촌 첫걸음 -창업시장현황 -농촌문화이해 -창업에 관한 진실 -가족과의 합의 -창업시장 트랜드 □성공적 귀농귀촌 -프랜차이즈 전략1 -쇼핑몰 -농가, 농지선택 및 구입 -현재와 미래 트랜드

□사회공헌 첫걸음 -국내외 자원봉사 이해 -봉사자세 -재능 나눔 활동 -공직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한 재능나눔 분야 및 방법

선배에게 길을 묻다 1 □성공적 취업전략1 -정부지원정책 -유망자격증

3일차

□창업 정부지원정책 -창업넷, 시니어창업 센터 -소상공 지원 센터 □퇴직공무원 지원센터 안내 □성공적 창업전략1 -유망 아이템 -상권분석

□귀농귀촌 정부 지원정책 □퇴직공무원 지원센터 안내 □성공적 귀농귀촌 전략2 -작목선정, 마케팅

□퇴직공무원 지원센터 안내 □사회공헌활동 정부지원정책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53

선배에게 길을 묻다 2 □성공적 취업전략2 -이력서 작성 4일차 -면접전략

□재취업 로드맵 완성 5일차

□성공적 창업전략2 □농촌문화 적응과 □시니어 해외봉사 -인테리어 갈등 □직업탐색 -마케팅전략 -농촌사회구조의 (현장체험) □직업탐색(현장체험) 이해 □직업탐색(현장체험) □창업로드맵 완성

□귀농귀촌 로드맵 완성

□사회적경제활동 -마을기업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공동체 등

자료: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www.geps.or.kr/g-appeal/education/edu-main.jip

006.indd 53

2018-02-10 오후 11:45:27


다. 고용노동부 중장년취업프로그램으로 성실프로그램, 장년취업인턴제, 장년 나침 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공공기관에서 일하지 않는 한 정년퇴직이 가능한 직장은 점점 사 라지고 있다. 이제는 퇴직 후에도 30~40년 삶을 바라 볼 수 있어 노 후의 모습을 계획하는 게 중요해지고 있으며 은퇴 후 제2의 직업을 갖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성실프로그램은 고용노동부에서 마련한 정책이다. 성실프로그램 은 4일 동안 6시간씩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본인을 이해하며 취업을 하는데 필요한 방법들을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계속 된 취업 실 패로 인해 자신감과 의욕을 잃은 50세 이상 실업자 분들이나 6개월 이상 무직상태이거나 이직, 전직을 원하는 50대 이상의 구직자 분들 54

에게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 성실프로그램은 만남의 마당, 선택의 마당, 배움의 마당, 긍정의 마당, 마짐의 마당 등의 5단계로 이루어진 중장년취업 프로그램으로 기본적으로 12~15명의 구성원들이 하나의 그룹이 되어 진행 되며 강 사는 구직자와 소통을 통해 그들을 돕는다. ‘성실’이란 ‘성(成)공적인 실버(silver)’라는 의미와 동시에 성실하 게 차곡차곡 준비하면 목적한 바를 이룬다는 의미를 함께 지니고 있다.

[표 18] 고용센터 성실프로그램 구분

006.indd 54

1.만남의 마당

프로그램소개, 참가자들의 소개 활동을 시작으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사전평가, 인생 곡선 그리기, 건강체조하기 등의 활동을 합니다. 첫 만남인 만큼 만남의 광장에서는 보다 유연하게 서로를 알아가는 프로그램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 참가자들의 긍정적인 모습을 이끌어내요.

2.선택의 마당

참가자 자신의 건강상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건강 자가진단 검사 결과를 통해 평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며,

2018-02-10 오후 11:45:28


구분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참가자 자신의 강점을 바탕으로 희망직업 선택해요. 선택의 마당에서는 자신의 강점을 이해하고, 희망취업분야를 선택할 수 있어요.

3.배움의 마당

성공사례를 통해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배우고 이력서에 꼭 필요한 이력서를 직접 작성해서 검토하고 평가합니다. 그리고 효과적인 면접을 위해 면접사례 평가하기, 직접 면접해보기, 피드백 나누기를 해요. 배움의 마당에서는 참가자들의 구직에 필수적인 기술을 배움으로써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요.

4.긍정의 마당

대인관계에서의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최대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젊은이들과의 대화법, 나-전달법, 너-전달법 등을 통해 효과적인 대화법을 배우고 생각을 바꿔 좀 더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위해 감정을 다스리는 원리를 배우고 훈련해요. 긍정의 마당에서는 구직과정과 취업상황에서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려요.

5.다짐의 마당

구직을 위한 실천 계획을 세우고, 구직을 하는데 있어서의 걸림돌을 미리 예상해보고 극복할 수 있는 방법 등을 계획하고 알아봅니다. 다짐의 마당에서는 긍정적으로 변한 자신을 지인 등에 알리고,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모든 성과를 정리해 구직실행계획을 세우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만들어요.

55

자료: 워크넷 http://blog.naver.com/work_net/220730763185

노후소득이 재대로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은퇴하게 된 고령자 의 일자리는 은퇴준비교육의 주된 주제가 되고 있다. 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에서 재직근로자의 인생계획 수립 과 경력 관리 및 능력개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15년‘장년나침반 생애설계 프로그램’ 교육을 개발하여 현재 실시 중에 있다. 기초직무능력 향상, 경력진단 및 노동시장정보 습득 등을 통해 경력을 관리하고 생애 후반부의 계획을 세우고자 하는 분들을 장년나 침반 생애설계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1일 6시간 3일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1일 과정만 참가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006.indd 55

2018-02-10 오후 11:45:28


[표 19] 한국고용정보원 장년나침반 프로그램

56

구분

고용센터 성실프로그램 교육내용

1일차

Check My Career : 중장년 특성 이해하기, 나를 위한 생애설계 구상하기, 경력전성기 주도권 내가 쥐기 Discover My Value : 중년의 행복과 스트레스 관리, 경력자산의 의미와 중요성, 경력자산 도출 밀 활용사례, 50대의 경력유지와 발전

2일차

Know My Career : 나의 전성기 확장 디딤돌 만들기, 경력전성기 확장을 위한 지피지기 1(직무태도), 경력전성기 확장을 위한 지피지기 2(경력활동), Find My Assets : 나의 경력자산 정리하기, 경력 자산 활용하기(다른업종 동일직무, 동일업종 동일직무, 다른업종 다른직무, 동일업종 다른 직무)

3일차

Refresh My Life : 행복한 50 내 마음의 힘, 행복한 우리를 위한 관계의 힘, 평생현역 50대를 위한 전문성 개발전략 Manage My Life : 젊은 50 건강의 기술, 스마트한 50 생활의 기술, 뜻을 품은 50 삶의 설계 자료: 한국고용정보원(2015). 장년나침반 생애설계프로그램 진행자 매뉴얼 성혜영외 국민연금연구원(2016). 은퇴 예정자를 위한 노후준비 프로그램 개발에서 발췌

라.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주관하여 ‘중고령여성 노후설계 역량강화 사업’을 2013년~2014년 전국 5개 권역 (수도(서울)권, 경 기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으로 나눠 진행하였다. 만 50세 이상 여성으로 교육과정은 중고령 여성들을 위한 여가설 계, 건강관리법, 재무설계, 취업 및 창업, 사회공헌, 죽음준비 등의 교 육으로 총 60시간(20시간의 현장실습 포함)이 진행되었다.

006.indd 56

2018-02-10 오후 11:45:29


[표 20] 중고령 여성 노후설계 역량강화 사업 구분

1회차

오리엔테이션 : 성공적 노화와 노후준비를 위한 생애설계

2회차

여성의 인생이모작의 꿈과 목표

3회차

여성의 즐거운 노후를 위한 여가설계

4회차

100세 시대 준비를 위한 재무설계와 여성

5회차

여성을 위한 취업기회와 준비 및 사회공헌

6회차

엑티브 에이징 현장학습 1 (여성개발원, 시니어클럽, 복지관 등)

7회차

여성창업 및 창업준비

8회차

여성의 자기계발을 위한 평생학습설계

9회차

여성의 노후 영향 및 건강 : 나에게 맞는 건강관리 방법

10회차

죽음 준비 교육

11회차

엑티브 에이징 현장학습 2 (단체, 팀별 맞춤형 견학 : 기관별 상황에 맞추어 변동 가능)

12회차

현장실습 (5시간*4회=20시간)

13회차

실습경험 발표 및 마무리 워크숍 : 수료식(현장실습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57

자료: 대구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blog.naver.com/dgu1004?Redirect=Log&logNo=220118231526

2. 지방자치단체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가. 서울특별시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허리’ 역할을 하는 중장년층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종합지원기관이다. 서울시가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50~64세 중장년층을 ‘50플러스 세대’라 이름 붙이 고 이들의 ‘인생 2막’을 돕기 위해 지난해 4월 설립했다. 부처별로 산

006.indd 57

2018-02-10 오후 11:45:30


재한 취업, 복지, 교육, 상담 등의 중장년정책을 통합해 50플러스 세 대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트롤타워’이자 ‘싱크탱크’ 인 셈이다. 50플러스세대는 이곳에서 공부하고, 친구를 만나고, 그동 안 쌓은 경험을 통해 사회공헌을 하며 새로운 일을 도모한다. 자연스 럽게 새로운 노년의 상과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또한 서울시 50+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인생학교 프로 그램으로 전체394개의 동영상강좌로 인문학강좌, 취미/교양, 건강/ 가족, 정보화/IT 은퇴설계, 기타로 분류되어있다. 그중에 은퇴설계 분야 56개의 동영상 강좌가 있고 동영상 1건의 재생시간은 15분에서 20분 정도이다.

1) 중부, 서부 캠퍼스 58

50플러스재단 운영으로 50플러스 세대들의 관심이나 선호, 경험과 지향하는 가지에 따라 세 개로 나누어진 학부에서 자유롭게 프로그램 을 선택할 수 있다. 인생재설계 학부는 삶과 노후에 관한 인식전환과 새로운 삶에 대 한 설계를 내용으로 하며, 커리어모색학부는 새로운 커리어 경로를 모 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내용을 담고 있다. 일상기술학부는 즐거운 후반기 인생을 위한 문화예술과 다양한 배움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표 21] 중부와 서부 캠퍼스의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구분

인생재설계학부

삶과 노후에 관한 인식을 전환하고 새로운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함

커리어모색학부

일과 사회공헌의 의미를 정립하고 새로운 커리어 경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함

일상기술학부

인생후반의 하루하루를 즐겁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필수 생활기술과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다양한 문화예술을 배우고 나누며 즐길 수 있도록 함 자료: 50+포털 50plus.seoul.go.kr

006.indd 58

2018-02-10 오후 11:45:30


2) 도심권, 영등포, 동작, 노원센터 서울시가 2016년부터 50플러스센터를 민간 위탁하여 도심권, 영등 포, 동작, 노원센터가 운영 중이다. 인생이모작 지원센터로 운영해오던 도심권센터가 2016년에 50플러 스 도심권센터로 기관명을 변경하였으며 50플러스 세대들의 제2의 인생설계와 사회참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① 제2인생설계 ② 제2경력개발 ③ 커뮤니티지원 ④ 자기계발 및 취미여가 ⑤ 특화사업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나. 부천시

59

2016년 인생이모작 지원센터를 개소하여서 제2의 인생설계 교육과 더불어 능력있고 재능있는 사람들의 사회공헌과 재능나눔을 할 수 있 는 토대를 구축하고자 설계하였다. 또한 베이비부머가 어울릴 수 있 는 동아리를 구성하여 사회참여를 지원하고 인력풀을 만들어 취·창업 희망자와 재능기부자에게 공공역역의 일자리 등을 연계해 주는 시스 템을 운영하고 있다. 은퇴 이후 제2의 인생설계교육으로 인생이모작 에 대한 필요성 및 나의 삶이해 교육과 새 삶에 대한 자신감 고취 및 인생 리모델링에 대한 적극적 마인드 함양을 교육한다. 따라서 베이 비부머로서 인생이모작을 위해 자신의 출발점 마련을 위한 교육으로 내용이 구성되고 있다.

006.indd 59

2018-02-10 오후 11:45:31


[표 22] 인생이모작 지원센터 인생설계아카데미 구분

60

1회차

□내 인생의 발자취 -ice breaking (강사, 수강생, 프로그램 소개) -인생곡선을 통한 ‘나의 삶’ 돌아보기 -나에게 주는 상장 만들기

2회차

□인생2모작의 시작 -은퇴 후 변화 및 조망 -사회, 국가, 개인, 가족

3회차

□사랑의 보물 - 가족 -시대적 가족의 변화 -가족의 소중함 -감성 리더십

4회차

□야외 수업 -자연 속 힐링 -나의 꿈을 찾아서

5회차

□감사로 행복한 세상 만들기 -행복경영 7가지 포인트 -감사나눔 125 -행복나눔 사례 -감사! 작은것부터 실천

6회차

□코칭대화로 행복찾기 -일반대화와 코칭대화의 차이점 -경청 / 질문

7회차

□중년의부부 리모델링 -스텐버그의 사랑의 개념 -부부사랑의 언어 -부부 롱런 수칙

8회차

□내 인생을 새롭게 디자인 하다 -나의 가치관 찾기 -인생의 버킷리스트 작성 -수료식 자료: twohappylife.bucheon.go.kr

006.indd 60

2018-02-10 오후 11:45:31


다. 인천광역시 남구청 인천광역시 남구청주관으로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아름다운 노년을 위한 생애설계사 양성교육’을 40세 이상 은퇴자 및 은퇴예정 자들의 노후생활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제2의 인생설계를 지원하 고자 노년기 재무설계, 노년기의 정신건강 및 영양관리 등 다양한 강 좌들로 1일 3시간 15차시 강좌로 진행하였다.

[표 23]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노년을 위한 생애설계사 구분

006.indd 61

1차

□21세기 변화하는 사회와 노후생애설계의 필요성 -나는 누구인가? -산업화 사회와 노인 -노인 누구인가? -노인 인구 및 고령사회의 이해 -변화하는 심리적 은퇴 준비 -노후생애설계의 필요성

2차

□소중한 가치를 찾아 떠나는 여행 -마음열기 나의 보물을 펼쳐라 -내안의 행복을 설계하라 -나·너 그것과의 만남 -행복과의 만남

3차

□자기소개 방법과 스피치(speech) 기법 -자기소개방법 -스피치란? -공신력과 스피치 구성요인 -성공스피치를 위한6가지 기술

4차

□노인 일자리의 사회적 의미 -노년기 일의 의미 -노인 고용현황 및 경제활동 -고령친화 산업현황과 과제 및 전망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노인 장기 요양 보험제도와 의의 -장기요양서비스의 형태 -장기요양 급여의 종류와 수급자

5차

□성격유형을 통한 나의 성격 이해하기 1 -학습자 검사 및 성격유형 이론 -같은 성격 알아보기 조별 실습

6차

□성격유형을 통한 나의 성격 이해하기 2 -나의 강점과 약점 이해하기 -다양한 성격유형을 통한 관계 형성

7차

□노년기 재무 설계 -은퇴생활에 맞는 자금 소요 계획

8차

□노년기 재무 설계 -양도소득세, 취득세, 증여세, 상속세

61

2018-02-10 오후 11:45:32


구분

9차

□노인의 인권과 학습 -노인 인권의현실 -노년기 학습의 의미 □노년기 여가 문화와 여가 활동 -노년기 여가 문화 이해 -노년기 여가설계 및 여가활동

10차

□노년기의 정신건강과 영양관리 -스트레스의 원인 및 예방법 -우울증 이란? - 우울증 원인 및 예방법 -노년기 의사소통 -몸에 좋은 음식과 피해야할 음식

11차

□사회공헌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이미지 만들기 -자원봉사의 의미와 필요성 - 지역사회와 자원봉사를 통한 공동체 가치 중요성 -이미지 개념 -이미지 메이킹 10계명 -긍정적인 이미지 만들기

12차

□퇴직준비와 나의 미래지도 그리기 -퇴직준비교육의 필요성 -퇴직준비교육의 내용 및 사례 -버킷리스트작성하기 -생애계획 수립하기

13차

□노년과 영성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품위있는 죽음이란? -유언서 작성

14차

□실습지도 -교육활동 시연을 통해 수강자들의 교육 -내용, 운영 등에 대한 성취도를 확인하고 강점과 보안점을 평가하여 상항지도

15차

□동아리 구성 및 평가 □비전 맵 발표 □수료식

62

자료: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citizens.inu.ac.kr

006.indd 62

2018-02-10 오후 11:45:32


라. 수원시 영통도서관에서는 국민연금공단후원으로 100시대 행복한 노후준비 를 위해 재무설계, 건강관리, 대인관계, 여가생활 등을 균형 있고 체 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1일 2시간 총 16회 진행하고 있다.

[표 24] 영통도서관 100세 시대 행복한 노후준비 프로그램 구분

1회차

노후준비 필승전략

2회차

평생월급 프로젝트

3회차

똑똑한 상속이야기

4회차

놀이로 디자인하는 여가

5회차

생활 속의 부동산

6회차

현명한 금융생활

7회차

상속세와 증여세

8회차

부동산 은퇴설계

9회차

알기 쉬운 재무설계

10회차

너를 알고 나를 알고

11회차

아는 만큼 든든한 보험이야기

12회차

돈 안 드는 건강법

13회차

돈 버는 합리적인 경제습관

14회차

100세 시대 보금자리 노하우

15회차

마음을 얻는 커뮤니케이션

16회차

눈뜨고 당하는 세상

63

자료: suwonlib.go.kr/yt

006.indd 63

2018-02-10 오후 11:45:33


마. 시흥시 고령화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러시에 대비하고 전인적 은퇴설계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흥시는 인생100세 은퇴설 계프로그램으로 인생 후반전에 대한 준비 및 건강한 미래설계를 지원 하고자 은퇴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회복을 위한 소통법, 은퇴 후 시간 관리법, 효율적인 자산관리법 및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법까지 다양한 분야를 평생학습센터, 한국산업개발훈 련원, 한국기술대학교, 한국은퇴설계 연구소 주관으로 진행하였다.

[표 25] 평생교육원 인생 100세 은퇴설계 프로그램 구분

64

1강

□인생100세시대 행복한 은퇴 -우리는 왜 은퇴준비를 해야 하는가? -은퇴는 새로운 시작

2강

□가족과의 소통법 -열심히 일 했을 뿐인데? -가족 간 소통 부채와 관계 재정립

3강

□건전한 가정경제 만들기 -돈, 많이 벌고 많이 쓰면 행복한 걸까? -현실적 노후자금과 관리

4강

□영혼을 풍요롭게 하는 취미·여가 -산으로, 바다로, 소모적 취미가 정담일까? -삶을 풍요롭게 여가의 사회화

5강

□제2의사춘기 은퇴 후 건강관리 -나는 이대로 건강한가? -꽃중년을 위한 건강관리법

6강

□진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기 -진짜 내가 하고 싶은 일은 ? -평생현역시대, 은퇴 후 40년

7강

□한국형 은퇴설계 -그래서 나는 어떻게 은퇴설계를 할 것인가? -한국의 은퇴설계, 나의 은퇴설계 자료: 한국산업개발훈련원. 시흥시 평생교육정보서비스 eduinfo.siheung.go.k

006.indd 64

2018-02-10 오후 11:45:33


바. 동해시 동해시는 평생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2016~2020년)의 추 진 과제 사업으로 저생산성의 심화를 대비하는 생애전환 교육을 추진 하고 있다. 시는 평생교육센터에서 생애전환교육의 일환으로 ‘행복한 인생 2막, 미래를 준비하는 새로맞이 인생학교’를 각 분야의 명강사 를 초청하여 다양한 소재로 은퇴 후 삶을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강의 로 진행된다. 새로맞이 인생학교는 은퇴예정자 및 은퇴자를 대상으로 노후 생 활을 위한 능동적인 변화 관리, 웰에이징, 금융관리, 보금자리, 건강 관리, 행복한 미래준비 등 노후 인생설계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 공하여 장년층의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과 자아실현을 지원한다. 65

[표 26] 평생교육센터 새로맞이 인생학교 구분

1회차

새로운 시대의 트랜드

2회차

SNS를 활용한 제2의 인생설계

3회차

정서적으로 행복해지기

4회차

금융상품의 효과적 이해와 은퇴 자금 관리

5회차

일과 직업에서찾는 향복

6회차

희망찬 삶을 위한 동기부여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 www.dhgo.kr/edulife

006.indd 65

2018-02-10 오후 11:45:34


3. 시사점

이상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을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을 중 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7] 공공기관 은퇴 및 노후 준비 교육프로그램 요약 교 육 내 용 구 분

교육 과정

계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 66

행정자치부/ 공무원 연금공단

고용 노동부/ 고용센터 여성 가족부

11

8

사회 재무 일 문화 기타 건강 공헌 경제 자리 여가 비고 4

목요정기강좌

9

7

전직설계교육 5일 강좌

성실프로그램 4일 6시간씩

장년나침반 3일 6시간씩

○ ○

60시간(현장실습 20시간포함) ○

도심권 영등포,동작

부천시

8회차

인천광역시 남구청

15회차

수원시 영통도서관

16회차

시흥시

7회차

동해시

6회차

7

미래설계교육 5일 강좌

중부,서부캠퍼스

서울 특별시

006.indd 66

매주월요일

자아 관계

4

6

○ ○ ○

○ ○

○ ○

2018-02-10 오후 11:45:34


공공기관의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 관련 프로그램은 일회성으로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은퇴시기에 직면하게 될 혹은 문제의 시기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 서 교육과정은 매주 정기적으로 진행되거나, 길게는 15~16회차에 걸 쳐 시행되고 있어서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교육체계를 갖추고 추진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프로그램의 내용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는데, 인 생의 전환기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영역-자아, 관계, 사회공헌, 재무 혹은 경제, 일자리, 건강, 문화 및 여가, 기타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교육과정은 ‘자아’찾기 관련 교육으로 생애의 전환기에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자아를 찾는 과정이 그만큼 이와 같은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재무 혹은 경제, 일자리 관련 교육과정으로 은퇴

67

후에도 일자리나 경제활동에 대한 수요가 큼을 알 수 있다. 교육프로 그램의 내용을 통해 또 알 수 있는 것은 ‘관계’에 대한 교육빈도도 비 교적 높아 은퇴시기의 ‘관계’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은퇴 및 노후준비와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성과 함께 교육 과정이 대동소이한 유사성의 특징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이는 교 육프로그램의 중복성을 의미하며, 대상층의 수요를 반영하는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이 와 같은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이 각각 여성과 남성의 수요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형성된 성별 고정관념과 관련된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어느 정도 포함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없 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겪는 은퇴 및 노년 준비교육 프로그 램 교육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서 간과되어 온 ‘젠더’ 관점을 반영함으 로써 사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여성과 남성의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006.indd 67

2018-02-10 오후 11:45:35


IV. 50+세대 은퇴교육 수요조사 및 관 계자 심층조사 결과분석

68

1. 조사개요

가. 조사 설계 서울시 50+세대 은퇴교육 프로그램에 젠더관점을 반영하기 위해서 50세 이상 세대의 은퇴교육 경험, 일상생활에서 성별 역할에 대한 태 도, 은퇴교육에 대한 수요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서울시가 50+세대에 대한 은퇴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교육내용의 적절성을 높이고 교육을 통한 은퇴 준비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의 여성과 남성이며, 특 히 은퇴교육을 포함하여 사회복지관, 직업교육기관 등을 이용하는 이 용자, 각종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은 퇴교육의 잠재적 수요자를 포함하고자 하였다. 조사규모는 200명 내 외이다.

006.indd 68

2018-02-10 오후 11:45:35


조사방법은 면대면 조사를 통해서 설문응답자의 이해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제한된 기간에 조사대상의 지역적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우편조사를 통하여 서울시의 다양한 지역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조사내용은 은퇴교육 경험 및 교육기관, 과거 은퇴교육의 효과성 에 대한 평가, 은퇴시기에 겪고 있는 심리적 문제점, 일상생활에서 성 별 역할에 대한 태도와 실제 가사활동의 참여 실태, 향후 은퇴교육에 대한 수요 등을 포함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년 7월 24일 ~ 8월 14 일까지 약 20일 동안 진행하였다.

나. 응답자 특성 면대면 또는 우편을 통하여 회수된 유효설문지는 총 235개이다. 이 가운데 여성 41.7%(98명), 남성 58.3%(137명)을 차지하여 남성 응 답자 비중이 15%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젠더관점을 위하여 여성

69

보다는 남성의 견해나 인식태도에 대한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연령별 구성을 보면 50대 미만 11.1%(26명), 50대 62.2%(146명), 60대 25.5%, 70대 이상 1.3%의 구성을 보인다.

006.indd 69

2018-02-10 오후 11:45:36


[표 28] 응답자의 성별 특성 (단위: 명, %)

구분

여성

남성

전체

전체

98(100.0)

137(100.0)

235(100.0)

50대 미만

12(12.2)

14(10.2)

26(11.1)

51-55세

27(27.6)

46(33.6)

73(31.1)

56-60세

32(32.7)

41(29.9)

73(31.1)

61-65세

24(24.5)

27(19.7)

51(27.1)

66-70세

1(1.0)

8(5.8)

9(3.8)

71세이상

2(2.0)

1(.7)

3(1.7)

직장인

25(25.3)

70(51.1)

95(40.4)

자영업

5(5.1)

36(26.3)

41(17.4)

전업주부

56(56.6)

0

56(23.8)

무직

4(4.0)

19(13.9)

23(9.8)

기타

9(9.1)

12(8.8)

21(8.9)

연령

70

직업

2. 조사결과 분석

가. 과거 은퇴교육 경험 및 효과성 평가 이전에 은퇴 또는 노후준비와 관련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지 여 부를 질문한 결과, 전체적으로 27%가 교육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 으며, 2/3가 넘는 응답자는 교육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성별로 남성은 교육경험 있다가 약31%인데 여성은 22%로 약 9%p 응답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 으로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을 제공받은 기관을 질문한 결과, 금융기 관(35.9%)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다음이 민간교육기관

006.indd 70

2018-02-10 오후 11:45:36


(18.8%), 정부기관(17.2%), 회사내 자체교육(12.5%), 기타(10.9%)의 순으로 응답되었다.

[표 29] 성별 은퇴교육 경험 및 교육기관 (단위: 명, %)

성별 구분

교육경험

전체 여성

남성

있다

22 (22.2)

42 (30.7)

64 (27.1)

없다

77 (77.8)

95 (69.3)

172 (72.9)

소계

99 (100.0)

137 (100.0)

236 (100.0)

금융기관

8 (36.4)

15 (35.7)

23 (35.9)

정부기관

4 (18.2)

7

(16.7

11 (17.2)

1

(4.5)

7 (16.7)

8 (12.5)

민간교육기관

6 (27.3)

6 (14.3)

12 (18.8)

국민연금공단

0

3

(7.1)

3

기타

3 (13.6)

4

(9.5)

7 (10.9)

소계

22(100.0)

42(100.0)

64 (100.0)

회사내 자체교육 교육기관

71

(4.7)

계속해서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을 받은 응답자들은 해당 교육내 용이 노후생활 준비에 있어서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자 4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질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개 항목 중 평 균 점수가 가장 높은 항목은 ‘신체적․정신적으로 공허한 은퇴시기를 잘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으로 3.55점(5점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도움이 되었음’을 나타냄)을 나타냈다. 다음이 ‘가족내 구성 원들과의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지문에 대해 평균 3.52점 을 나타내어 어느 정도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삶의 보람있는 생활을 위한 사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항목

006.indd 71

2018-02-10 오후 11:45:37


의 평균 점수는 3.51점으로 나타나 교육을 통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확 대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별로 응답의 차이는 거의 없음 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후의 재정소득을 유지, 관리하는데 도움 이 되고 있다’는 항목은 평균 3.36점을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가장 낮 은 도움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교육효과성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성 별 응답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항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표 30] 교육의 효과성 평가 (단위: 명, 점)

여성 구

72

남성

전체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1) 가족내 구성원(배우자, 자녀 등)들과의 관계개선에 도움이 되고 있다

22

3.50 .913

42

3.52 .804

64

3.52 .836

2) 노후의 재정소득을 유지,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22

3.32 .894

42

3.38 .764

64

3.36 .804

3) 신체적․정신적으로 공허한 은퇴시기를 잘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22

3.64 .848

42

3.50 .917

64

3.55 .890

4) 삶의 보람있는 생활을 위한 사회적 관계 형성(자원봉사, 지역사회 모임참여 등)에 도움되고 있다

22

3.59 .796

42

3.46 .869

64

3.51 .840

표준 편차

나. 자기 정체성에 대한 평가 생애주기에 따라 중장년시기이며, 경제활동 주체의 특성은 왕성한 활 동기를 지나고 있거나 점차 비중이 줄어드는 시점에서 각 개인이 느 끼는 자아에 대한 정체성이 어떠한지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006.indd 72

2018-02-10 오후 11:45:38


‘자신’의 정체감에 대한 느낌을 물었다. 먼저, ‘요즈음은 이 세상에 오직 ’나 혼자라는 것을 종종 느낀다.’ 는 항목에 대해 여성 3.21점, 남성 3.34점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 응 답자의 고독감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 차이는 아니다. 다음, ‘가족 내에서 배우자와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는 질문에 대해서 여성 3.35점, 남성 3.41점으로 배우자간 의사 소통에 있어서 문제는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가족 내에서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는 질문에 대해서 여성 3.57점, 남성 3.22점으로 여성과 남성의 평균응답 차이는 0.35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로 분석되었다. 즉, 여성에 비해 남 성이 자녀와의 의사소통에서 더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네 번째, ‘가정에서의 역할상실이나 소외감을 느낀다.’는 질문에 대해서 는 여성 평균은 3.90점으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고 있

73

으나, 남성은 3.54점으로 여성 평균에 비해 0.36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가정 내에서 여성에 비해 남성이 역할 상실이나 소외감을 더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로 분 석되었다. 다섯째는 ‘사회활동의 감소로 인한 고립감’이 있는지에 대 해 남성이 3.45점인데 비해 여성은 3.58점으로 여성이 고립감을 조 금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다.

006.indd 73

2018-02-10 오후 11:45:38


[표 31] 은퇴시기 성별 자기 정체성에 대한 평가 (단위: 명, 점)

여성 구

74

남성 표준 편차

통계량

평균

표준 편차

F값

유의 확률

1.089 132

3.34

1.118

.830

.363

3.35

1.109 132

3.41

1.048

.171

.680

95

3.57

.907

131

3.22

.995

7.216

.008**

4) 가정에서의 역할 상실이나 소외감을 느낀다

97

3.90

.884

132

3.54

1.051

7.444

.007**

5) 사회활동의 감소로 인한 고립감

96

3.53

1.095 130

3.45

1.107

.329

.567

N

평균

1) 요즈음은 이 세상에 오직 ‘나 혼자’라는 것을 종종 느낀다

97

3.21

2) 가족 내에서 배우자와 의사소통이 잘 안된다

89

3) 가족 내에서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잘 안된다

N

*p<.05, **p<.01, ***p<.001 주) 1. 매우 그렇다 ~ 5. 전혀 그렇지 않다

다. 가족생활에서 성별 역할 태도 인식 1) 성별 역할 태도 인식 50세 이상의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여성과 남성의 역할에 대한 고정 관념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다음 6개 문항으로 세분화하 여 질문하였다. 먼저 여성과 남성의 성별 역할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 여, 1) 집안일에는 남자가 할 일, 여자가 할 일이 따로 있다는 질문에 대해 5점 척도일 때 여성 3.70점, 남성 3.58점으로 여성이 그렇지 않 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2) ‘나이가 들어도 남성과 여성 의 역할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는 질문에 대해 여성과 남성 모두

006.indd 74

2018-02-10 오후 11:45:39


‘그렇지 않다’는 편으로 응답되었고, 성별로 여성 평균 3.97점, 남성 3.69점으로 0.28의 응답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분석되었다. 3) 연인관계나 부부관계는 남성이 주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질문에 대해 남성 3.45점, 여성 3.69점으로 여성이 보 다 그렇지 않다고 응답하고 있다. 4) ‘가정생활을 하는 동안 모은 재 산은 배우자와 공동 소유이다’에 대한 물음에 여성 2.28점, 남성 2.33점으로 여성과 남성 모두 ‘그렇지 않다’는 응답으로 기울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5) ‘나이가 들어도 그동안 해왔던 생활방식은 크게 변 하지 않을 것이다’는 질문에 대해 남성 2.75점인데 비해, 여성은 2.33점으로 0.42점의 응답차이를 나타냈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 미한 차이로 분석된다. 즉, 여성보다 남성이 성별 역할에 대한 태도변 화에 있어 보다 보수적임을 보여주는 항목이다. 6) ‘나는 앞으로 가족 과 많은 시간을 공유할 것이다’는 질문에 대해 여성 2.24점, 남성

75

2.26점으로 여성과 남성 모두 ‘그렇지 않다’는 응답을 나타내, 가족간 관계에 대한 기대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006.indd 75

2018-02-10 오후 11:45:39


[표 32] 성별 역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 (단위: 명, 점)

여성 구

76

남성

통계량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1) 집안일에는 남자가 할 일과 여자가 할 일이 따로 있다

98

3.70

.864

137

3.58

.921 1.151 .284

2) 나이가 들어도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

98

3.97

.805

137

3.69

.847 6.658 .010**

3) 연인관계나 부부관계는 남성이 주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99

3.69

.933

137

3.45

.992 3.368 .068

4) 가정생활을 하는 동안 모은 재산은 배우자와 공동 소유이다

99

2.28 1.021

137

2.33

.971

5) 나이가 들어도 그동안 해왔던 생활방식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99

2.33

.782

137

2.75

.930 13.264 .000***

6) 나는 앞으로 가족과 많은 시간을 공유할 것이다.

99

2.24

.744

136

2.26

.845

F값

.122

.044

유의 확률

.728

.834

*p<.05, **p<.01, ***p<.001 주) 1)~3) : 1. 매우 그렇다 ~ 5. 전혀 그렇지 않다 4)~6) : 1. 전혀 그렇지 않다 ~ 5. 매우 그렇다

2) 가사활동의 참여도 50세 이상 응답자의 가사활동의 참여가 성별로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가사활동을 다음과 같이 5개 항목으로 나눠 10회를 기 준으로 할 때 각 몇 회를 수행하는지 질문하였다. 먼저, 식사준비, 반 찬 만들기, 설거지 등 식생활 활동에 대해 여성은 평균 8.24회, 남성 2.79회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응답의 차이를 보였다. 계속해서 빨래 나 이불세척 등 의생활 및 청소, 음식쓰레기 배출 등이나 장보기, 물

006.indd 76

2018-02-10 오후 11:45:40


품구매와 정리 등 전반적 가사활동에서 여성 수행 횟수가 6~8회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 남성은 2~4회 수준으로 성별 높은 응답의 차이 를 보이고 있다. 반면 가사활동 중 남성의 수행 횟수가 높은 항목으로 는 형광등 갈기, 배관 뚫기, 자동차 관리 등에서 남성 수행횟수가 7.5 회, 여성 3.23회로 역시 4회 이상 응답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50대 이상 응답자들은 가사활동에 있어 성별 역할이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3] 성별 가사활동의 참여 실태 (단위: 회(번), 점)

여성 구

남성

통계량

N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1) 식생활 부문(식사준비, 반찬만들기, 설거지 등

99

8.24

2.143

137

2.79

2.264 348.760 .000***

2) 의생활 부문(옷 빨래, 이불세척, 세탁 등)

99

8.06

2.810

137

2.47

2.714 236.941 .000***

3) 집안청소/정리부문 (청소기 돌리기, 병 닦기, 음식 쓰레기 배출, 재활용 쓰레기 배출, 화장실 청소 등)

99

6.82

2.873

137

4.09

2.927 50.804 .000***

4) 집안유지/관리 부문(형광등 갈기, 막힌 배관 뚫기, 자동차 관리와 정비, 가전제품 수리 등)

99

3.23

3.419

137

7.50

3.236 95.144 .000***

5) 시장/쇼핑 부문(장 볼 물품 정하기, 카트 밀고 99 물품 나르기 사온 물품 정리하기 등)

6.80

2.882

137

4.65

3.126 28.961 .000***

F값

유의 확률 77

*p<.05, **p<.01, ***p<.001

006.indd 77

2018-02-10 오후 11:45:41


라. 은퇴교육에 대한 수요 1) 교육참여 수요 ① 교육참여 수요

향후 은퇴교육 참여 수요와 관련하여 3분의 2가 넘는 응답자들은 적 극적으로 교육참여 의향을 나타냈고, 약 30%의 응답자는 ‘보통’으로 중립적인 응답이었으며, 참여하고 싶지 않다는 소극적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약 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은퇴교육 수요가 비교적 높 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34] 성별 교육 참여 수요 (단위: 명, %)

성 별 구

전체 여성

78

남성

전혀 참여하고 싶지 않다

3

(3.0)

1

(0.7)

4

(1.7)

참여하고 싶지 않다

6

(6.1)

6

(4.4)

12

(5.1)

보통이다

26 (26.3)

43 (31.4)

69 (29.2)

참여하고 싶다

46 (46.5)

64 (46.7)

110 (46.6)

매우 참여하고 싶다

18 (18.2)

23 (16.8)

41 (17.4)

99(100.0)

137(100.0)

236 (100.0)

② 교육 불참여 이유

참여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자로 하여금 그 이유를 다시 물은 결과 관 심이 없거나,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다(6명), 시간적 여유가 없어 서(5명), 은퇴 후 해야 할 일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2명)는 등 의 이유가 제시되었다.

006.indd 78

2018-02-10 오후 11:45:42


[표 35] 교육 불참여 이유 (단위: 명, %)

성 별 구

전체 여성

남성

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3 (33.3)

2 (28.6)

5 (31.3)

② 교육에 참여하는데 비용이없어서

1 (11.1)

0

1

③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서, 관심이 없어서

5 (55.6)

1 (14.3)

6 (37.5)

④ 은퇴 후 해야 할 일에 대해서 아직 계획이 없어서

0

2 (28.6)

2 (12.5)

⑤ 재취업 예정이므로

0

0

0

⑥ 기타

0

2 (28.6)

2 (12.5)

9 (100.0)

7 (100.0)

16 (100.0)

(6.3)

79

③ 교육 참여 이유

반면, 교육 참여 이유와 관련하여 구직이나 구직을 위한 능력개발과 같은 경제적 이유가 33.6%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고, 새로운 능력개발 등 새로운 생활교육이 26.6%, 사회활동 참여와 같이 사회 적 이유 23.8%, 소외․고독․외로움 극복 등 사교적 이유 13.3%의 순으 로 응답되었다.

006.indd 79

2018-02-10 오후 11:45:42


[표 36] 교육 참여 이유 (단위: 명, 점)

성 별 구

분 남성

① 경제적 이유(소득감소 등 대비)

13 (21.3)

35 (42.7)

48 (33.6)

② 사회적 이유(사회활동 참여)

14 (23.0)

20 (24.4)

34 (23.8)

③ 사교적 이유 (소외, 고독, 외로움 극복 대비)

14 (23.0)

④ 새로운 생활계획(새로운 능력개발 등)

19 (31.1)

⑤ 기타

1 합

80

전체 여성

(1.6)

61(100.0)

5

(6.1)

19 (13.3)

19 (23.2)

38 (26.6)

3

(3.7)

4 (2.8)

82(100.0)

143(100.0)

2) 교육영역에 대한 수요 은퇴 및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영역에 대해 질문한 결과, 가장 높은 필 요성을 나타낸 영역이 여성과 남성 모두 ‘건강관리에 관한 교육’으로 나타났다(여성 4.29점, 남성 4.24점). 다음은 ‘노후 소득보장에 관한 교육’으로 여성과 남성 각각 4.13점의 높은 필요도를 나타냈고, ‘여가 활동 및 자원봉사에 관한 교육’은 여성 4.10점, 남성 4.08점, ‘나이 듦의 정체성에 관한 교육’ 여성 4.0점, 남성 3.84점의 순으로 나타났 다. 한편, 가정내 구성원과의 관계에 대한 교육 수요에 대해서는 보통 수준을 넘고 있지만 평균 4.0점 미만을 차지하고 있어 다른 교육영역 에 비해 필요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성별 교육영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응답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006.indd 80

2018-02-10 오후 11:45:43


[표 37] 성별 교육영역에 대한 수요 (단위: 명, 점)

여성 구

분 N

남성

통계량

평균

표준 편차

N

평균

표준 편차

F값

유의 확률

1) 나이 듦의 정체성에 관한 교육

98

4.00

.703

137

3.84

.851 2.344

.127

2) 배우자와의 관계에 관한 교육

97

3.78

.892

137

3.74

.885

.154

.695

3) 자녀와의 관계에 관한 교육

99

3.84

.866

136

3.83

.812

.005

.946

4) 손자녀와의 관계에 관한 교육

97

3.69

.993

131

3.55

.896 1.259

.263

5) 노후 소득보장에 관한 교육

99

4.13

.829

136

4.13

.815

.992

6) 건강관리에 관한 교육

99

4.29

.786

136

4.24

.765

.242

.623

7) 여가활동 및 자원봉사에 관한 교육

98

4.10

.818

135

4.08

.802

.037

.848

.000

81

주) 1. 전혀 필요하지 않다 ~ 5. 매우 필요하다

3) 교육프로그램 수요 ① 심도있게 다뤄야 할 교육분야

교육프로그램 중에서도 심도있게 다뤘으면 하는 교육 분야와 관련하 여, ‘품위있게 나이 듦에 대한 교육’이 3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일자리에 관한 정보제공 28.6%, ‘어르신 복지서비스 제공 관련 교육’ 이 19.2%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여성의 경우 ‘품위있게 나이듦 에 관한 교육’에 대한 응답이 여성응답자의 거의 절반인 49.5%를 차 지한 반면 남성은 32%를 차지하고 있어 성별 응답 차이를 볼 수 있다.

006.indd 81

2018-02-10 오후 11:45:43


[표 38] 심도있게 다뤄야 할 교육 분야 (단위: 명, %)

성 별 구

전체 여성

① 직업훈련 교육

7

남성

(7.2)

19 (13.9)

26 (11.1)

② 일자리에 관한 정보 제공

20 (26.2)

47 (34.3)

67 (28.6)

③ 어르신 복지서비스 제공 관련 교육

22 (22.7)

23 (16.8)

45 (19.2)

④ 품위있게 나이 듦에 관한 교육

48 (49.5)

44 (32.1)

92 (39.3)

⑤ 기타

0 합

4

97(100.0)

(2.9)

137(100.0)

4

(1.7)

234(100.0)

② 교육시간 82

은퇴 및 노후 준비를 위한 교육시간은 몇 시간이 적정한지에 대해 질 문한 결과, 2시간 미만이 37.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3시간 미만 23.7%로 3시간 이내가 전체 응답자의 2/3를 넘고 있으며, 5시 간 이상 교육을 요구하는 응답자도 전체 응답자의 1/5을 넘는 21.2% 를 차지하였다. 성별로 남성이 23.4%로 5시간 이상 교육을 요구하는 응답비율이 여성 18.2%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39] 교육시간에 대한 의견 (단위: 명, %)

성 별 구

분 남성

① 2시간 미만

39 (39.4)

49 (35.8)

88 (37.3)

② 2~3시간 미만

24 (24.2)

32 (23.4)

56 (23.7)

③ 3~4시간 미만

15 (15.2)

15 (10.9)

30 (12.7)

④ 4~5시간 미만

3

⑤ 5시간 이상 합

006.indd 82

전체 여성

(3.0)

9

(6.6)

12

(5.1)

18 (18.2)

32 (23.4)

50 (21.2)

100(100.0)

137(100.0)

236 (100.0)

2018-02-10 오후 11:45:44


③ 적절한 교육 방법

은퇴교육 수행의 적절한 교육방법에 대한 수요는 강의, 토론, 현장학 습이 각각 30%내외의 응답자가 응답하고 있으며, 특히 강의식 교육 에 대한 수요가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40] 교육방법에 대한 의견 (단위: 명, 점)

성 별 구

전체 여성

남성

① 강의

37 (37.4)

49 (35.8)

86 (36.4)

② 토론형 학습

27 (27.3)

43 (31.4)

70 (29.7)

③ 현장학습

25 (25.3)

38 (27.7)

63 (26.7)

④ 실험실습

8

(8.1)

7

⑤ 기타

2

(2.0)

0

99 (100.0)

(5.1)

137 (100.0)

15

(6.4)

2

(0.8)

83

236 (100.0)

3. 관계자 심층면접조사

가. 조사개요 50세대 이상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대상자에 대해 젠더 관점의 은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실제 당사자 및 교육운영자, 관련 전문가 에게 젠더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요구와 수요를 파악하 는데 심층면접조사의 목적이 있다. 면접조사 대상은 크게 두 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진하였다. 첫 째는 50세 이상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대상자이며, 다른 집단은 은퇴 교육 운영자 및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경험이 있는 연구자이다. 심

006.indd 83

2018-02-10 오후 11:45:45


층면접 내용은 50대 이상 교육대상자로서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의 수요 파악을 위한 교육대상의 정체성 인식, 은퇴 시기 가족 혹은 개인 생활의 특성과 변화, 관계(배우자, 자녀 등)의 어려움과 문제점, 젠더 교육 수요 등을 중심으로 질문하였다. 교육운영 담당자 및 전문가 대 상 질문은 젠더 관점의 은퇴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내용과 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의견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표 41] 심층면접 대상 및 질문내용

84

구분

질문내용

비고

Group1 (50세 이상 교육대상자 집단)

-정체성 인식, 은퇴시기 가족 및 개인생활의 특성과 변화, 관계(배우자, 자녀 등) 등 교육 수요

2017년9월7일 여성1명, 남성2명

Group2 (교육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자 집단)

-젠더의식 교육의 수준과 방향 -젠더의식 형성의 구성내용 등

2017년9월25일 여성 2명, 남성1명 참여

나. 50세 이상 교육대상자 심층면접 결과 1) 일반 면접자 특성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의 잠재적 수요자로서 면접자는 50+센터 이용 자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총 3명이 면접에 참여했는데, 2명이 남성, 1 명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두 명의 남성 면접자는 금융회사에서 대부 분의 직장생활을 한 경력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고, 현재는 50+ 센터 이용하면서 알게 된 몇 몇 사람들과 공동의 협동조합을 구성하 여 각종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또 직업활동을 통해 얻은 경험 을 토대로 컨설팅이나 교육강사를 하면서 경제적 소득활동도 조금씩 겸한다고 응답하였다. 한 명의 여성은 젊은 시절의 직업도 약사로 전 문직이었지만, 좀 더 적성에 맞고 즐거운 일을 하기 위해서 40대 쯤 상담 관련 교육과정을 거쳤고, 지금 상담사로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 었다.

006.indd 84

2018-02-10 오후 11:45:46


[표 42] 잠재적 교육수요자 면접자 특성 구분

성별

직장경력

면접자 A

-금융회사 30년 경력 -50+센터를 통해 알게된 사람들과 협동조합 구성하여 활동

면접자 B

-금융회사 25년 경력 -50+센터를 통해 알게된 사람들과 협동조합 구성하여 활동

면접자 C

-초반기 직업은 약사였으나 40대에 전직함 -현재는 상담 카운슬러

2) 노후준비교육 경험과 교육기대 ① 노후준비교육 경험이 있으며, 젠더 관점의 교육 반영 필요성에 대한

인식

면접대상자 3명 중 2명은 경제활동기간의 대부분을 금융기관에 종사 하면서 은퇴준비 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1명은 이미 40대부

85

터 원래 직업을 전환하여 상담사 및 전문 컨설턴트로서 대학원과정을 이수하고 현재 이미 직업전환을 했으며 별도의 은퇴교육은 받지 않았 으나 관심이 많다고 응답했다. 먼저, 노후준비 교육 필요성에 대해 가장으로서 일자리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보다 현실 밀착적인 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일자리 창 출과 지원 필요성이 있다고 답변하고 있다.

교육을 받고 그 이후 스스로 알아서 찾아야 하는 방식이 아쉽다. 좀 체 계적으로 예) 대학에서 2년3년 과정으로 교육 받는 것처럼, 은퇴 후 인 생도 20~30년 길게 보아야 하므로 은퇴 후 새 출발 할 수 있도록 전 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자기스스로 개척, 개발할 수 있도록 그런 사 회전반적인 교육체계가 만들어 졌으면 합니다. 단발성 교육이 아니라 전문적인 교육으로 국가, 지자체에서 만들어 가면 좋겠다.

일자리를

당장 연결하기 쉽지 않아도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면접자 A)

006.indd 85

2018-02-10 오후 11:45:47


3)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 ① 면접자들은 여전히 가정에서의 경제활동 주체로서 지위를 벗어나지

않으려는 노력이 은퇴이후에도 지속됨

대부분 경제활동을 하면서 보낸 면접자들의 50대 이후에도 경제활동 주체로서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과 의무감을 놓지 않으려는 노력이 진 행중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조직생활에 대한 객관적 평 가가 보이고, 인생을 좀 더 진지하게 바라보기 시작하였다고 설명한다.

고용보험에서 실업급여를 10개월 받고 다른 것도 준비했지만 저는 시 간이 나면 주로 도서관에 갔어요. 책, 여행하고 고용보험 나올 때 직업 을 적극적으로 알아보면서 8개월~10개월 그 이후부터에도 일자리를 찾아보기 위해 몇 군데 다녀 보았는데 계획대로 잘 되지 않더라고요. 86

걱정도 되고 집에서도 조심스럽게 이야기 하며 기대를 하는데 ..... 그 럴 때 그동안 열심히 살아왔는데 내가 이정도 밖에 않되나? 그런 생각 이 들어 자아가 위축되고........ (면접자 A) "...1년 정도 지났을 때 선배,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도 있었 어요. 정체성이 조직 중심에 있다 결국은 그런 부분이 작은 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자기 자신의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 앞으로 인생에 있 어서 ....... 뭘 하고 살지? 제일 고민이었어요. 자기 자신에 대한 다시 한 번 돌아보고...."(면접자 B) "조직생활 할 때는 정해진 직장일 이었거든요. 거기서 20~30년 일할 줄 몰랐지만 그런데 어느 순간 25년 일하고 나니까. 자기 선택과 적성 이 맞아서 라기 보다 그 일이 주어져서...... 저한데 금융전문가 재무 설계사가 된 거죠. 조직에 있으면서... 이제 나와서는 자기를 찾는 교 육........"(면접자 A)

② 가정과 사회에서의 정체성이 변화되고 있음을 인식하는 시기가 은퇴

시기이며, 앞으로의 생활을 설계하는 중요한 시기로 인식

따라서 은퇴교육에 대한 기대는 좀 더 보람있고, 의미있는 삶을 찾아

006.indd 86

2018-02-10 오후 11:45:48


가려는 방향을 제시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뭐하면서 살것인가. 나를 찾는 것.. 어떻게 사회에 참여하면서 사회공헌을 할 것인가 그렇게 하려면 사회에서 나를 받아주어야 하는 데. 금융기관 출신으로 전문성이 없어서... 기술이 있는 사람이 좋은것 같더라고요. 그런 나를 앞으로 어떻게 설계해서 사회에 활동할 것인가 사람들과 어 울리는 것은 좋아 하는데 ...커리어 공부하고......"(면접자 A)

은퇴이후에는 사회적인 관계가 고립될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종 모임이나 활동에 대해 좀 더 의도 적이고 적극적으로 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특징으로 꼽을 수 있 었다.

87

관계에 투자가 없으면 친구들끼리 여행가는데 나만 빼고 갈 것 같은 걱정이 되는 거예요. 예전에는 모임에 잘 안 나갔는데... 시간낭비고 여 자들끼리 수다 떨고 있다. 이런 생각을 했는데.... 요즘은 억지로라도 나가려고 해요. 시간이 가면 나도 일이점점 줄어 들것이고 그럴 때 같이 시간을 보내줄 친구가 없으면 너무 슬플 것 같아 억지로라도 지고 친구 들 모임이 있으면 가급적 안 빠지고 경조사도 아주 중요하지 않으면 못 갔다. 상담이 주로 토요일 일요일에 이루어지므로 그러나 요즘은 가급적 참석하려고 노력해요 노후에 소외되지 않기 위해서....(면접자 C)

4) 성별 역할에 대한 태도나 인식 면접자들은 우리 사회가 성별 역할에 대한 단일한 기준과 태도를 가 지고 있으며, 그것이 어느 순간에 병폐로 다가온다는 것이다. 여성은 자신의 역할을 가정의 일을 담당하는 것으로, 남성은 사회에서 소득 을 버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

006.indd 87

2018-02-10 오후 11:45:48


러나 이러한 생각은 지속가능하지 않고, 어느 순간 두려움으로, 버거 움으로 다가오는 것이 사실이라는 것이다.

“저는 대구사람이라 굉장히 완강한 유교집안이라 친정이 그래서 결혼 할 때 절대로 경상도 남자랑 결혼 안 한다 그랬는데 더 심한 이북 남자 를 만나서 그래서 저의 집에는 자랄 때 가령 남자가 잠깐만 부엌에 어 른거려도 저희 시어머니가 막 야단을 치고 그런 식 이었지만 가족분위 기가 늘 그랬기 때문에 내가 늘 바빠도 밥하고 식구들 어른들 돌보고 이건 제 몫이었어요. 요즘와서 회의가 드는 건 사실은 내가 그렇게 과 도하게 기능(over function)함으로써 우리 남편이 그래도 나는 앞으로 도 계속 일을 할 건데 혼자 은퇴하고 왔을 때 자기를 돌볼 수 있는 능 력을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이런 걱정이 되더 88

라구요.”(면접자 C)

여성 스스로도 경제활동을 하면서 집에 돌아와서 가정생활의 몫 을 ‘자신’이라 생각하고 주어진 현실을 수용하였고 그것이 자연스럽 게 생활 패턴이 되고, 삶이 되었다고 설명한다. 이제 변화를 바라는 것에 대한 조심스러운 기대를 가지게 된다고 응답한다.

“그래서 나중에 퇴직 후 둘이 살면 이거 심각하다 이것을 어떻게 바 꿔야 하느냐 근데 저 자신도 사실은 제가 적극적으로 불평하고 뭔가 바 꾸려는 노력을 했으면 뭔가 변화되었을 텐데 제가 보수적인 환경에서 자랐고 또 우리엄마가 그렇게 살았고 봤기 때문에 당연히 여자가 하는 거지 아무리 바빠도 집에 오면 부엌부터 들어가야지 이런 사고방식이 제게 있는 거 같아요. 상담 할 때는 막 반대로 이야기 하지만 나의 삶 은 이율배반적인 거예요.”(면접자 C) “...특히 50대 어느 시점을 중심으로 여성들의 사회참여나 역할이 역 전이 되어서 남자들 퇴직해서 내려가고 많은 역할을 하는 여성분들이

006.indd 88

2018-02-10 오후 11:45:49


역량이 개발되어서 그런가 할 정도로 사실 남자들이 고마움을 못 느끼 는데 하는 것을 보면 옆에서 보면 아내가 하는 거를 보면 밖에서도 해 야 하고 집안 살림살이도 하고 저같은 경우는 그걸 당연하게 받아들이 고 혜택을 누리고 있는 거죠. 결혼하게 되면 여자보다 남자가 우선 이 득인 느낌인 거 같아요 그런 점에서 보면 사회 전체적으로 그런 거 같 은데 ...."(면접자 B)

5) 젠더관점의 은퇴교육에 대한 기대나 수요가 큼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 내용 중 ‘젠더의식’ 교육 필요성에 대해 면접 자들은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이유는 우리 사회 여성과 남성에 대한 역할 인식이 고정돼 있어 모두 힘들게 되는 악순환이 있 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생각이나 의식변화가 쉽지 않지 만, 노후생활 기간이 장기적임을 고려할 때, 남성과 여성이 공히 보다

89

자연스럽게 관계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데에는 의견을 같이하고 있었다.

“...공동체적인 문화를 어떻게 만들거냐 하는 부분인데 그 부분에서 남 녀 간의 관계가... 관계 문제가 핵심문제로...저도 최근에 세미나를 참 석하면서 느꼈어요. 아까 말씀 드린 것처럼 노인들이 관계문제 때문 에... 더 돈 있어도 불행해지는 걸 일본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 서... 그 부분에 대한 그 ... 교육 이 부분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 실히 느꼈어요.”(면접자 A) "퇴직 이후에 남녀에 대한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에... 우울증이 오고 깨지고 돈보다도 더 힘들어 하고 조사해 보니까, 그런 연구가 퇴직이후 에 부부관계로 힘들어하는 사람들한테 용기와 희망을 주고 집으로부터 바깥으로 끌어내서.. 이런 프로그램이 서울시 지하철에도 다 붙어가지 고 사람들이 한번 가 봐야겠다. 그렇게 되어서 웰 에이지의 한 부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면접자 B)

006.indd 89

2018-02-10 오후 11:45:50


① 교육수준은 심화 과정까지도 수용하려는 경향

젠더의식 교육이 단지 가정 내에서의 남편과 아내의 역할 변화에 한정 하지 말고, 그렇게 구조화된 배경과 역사적 과정 등에 대한 폭 넓은 이 해에 대한 교육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것은 또 하나의 배움 의 과정이며, 변화의 합리적 동기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저같은 경우에도 사실은 교육 할 때는 굉장히 남녀평등에 대한 이 야기 하지만 내 안에 있는 체화된 혹은 습득된 어떤 면에서 강요된... 시집와서 되게 강요받았거든요. 강요된 내 성역할이 고착화 되서 그게 잘 바뀌지 않아요. 전 남성도 똑같을 거라 생각해요. 마음은 있지만 몸 이 안 움직이는 그런 부분들이...내 안에 고착화된 성역할에 대한 것을 인식하고 의도적으로 바꾸기 위해서 노력할까 자기 내적인 성역할에 90

대한 성찰이 들어가면 좋을 거 같아요...(면접자 C)

다. 은퇴교육 프로그램 운영자 및 개발자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1) 면접대상자 특성 은퇴교육 프로그램 운영자는 50세 이후 세대의 특성과 어떠한 교육수 요를 갖는지 잘 파악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동안의 운영 경험을 토 대로 젠더 관점의 교육프로그램 설계의 필요성과 관련 질문을 하였다. 면접에 참여한 면접자는 3명으로 이 중 2명은 은퇴교육 프로그램 운영자이고, 다른 1명은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로 연구자이다.

[표 43]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자와 운영자 면접자 특성

006.indd 90

구분

성별

주요 활동 및 특징

면접자 D

여성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자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험

면접자 E

여성

-50+센터 교육프로그램 운영

면접자 F

남성

-50+센터 교육프로그램 운영

2018-02-10 오후 11:45:51


2) 50+세대의 특성에 대한 의견 50+세대가 경제활동을 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특성이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경제활동을 주로 해 온 남성의 경우, 50 대 이후에도 역시 ‘일’을 중시하고 있으며, ‘일’과 ‘자신’을 동일시 하 려는 경향까지도 있다는 것이다.

“남자들의 경우 돈벌어오는 가장으로서의 정체성이 가장 크거든요. ‘일’의 상실, 돈 버는 역할의 상실은 소위 말하는 남성성을 상실했다고 보는 거거든요.”(면접자 D)

다른 한편으로 교육운영자가 50세 이후 이용자 특성을 파악한 결과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수입과 무관한 일이라도 보람과 유익한 교육이면 참여하는 특징이 있다는 것이다.

91

"‘교육’은 매개가 되고 ‘교육’을 기반으로 또 다른 활동을 원하고 그 활 동을 사회공헌활동의 장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굉장히 높았어 요."(면접자 E) "50+세대는 개인에게 돌아가는 것이 분명하지 않아도 참여하시더라구 요. 여가와 여유가 있어서 당장 교육의 결과로 무엇인가를 만들지 않아 도, 그럴 욕구와 계획이 없어도 교육에 참여하셔요."(면접자 F)

3) 젠더 의식 교육의 필요성 50, 60대는 젠더 특징에 있어서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는 것이다. 50대보다는 60대가 여전히 성 고정 관념이 뚜렷하고 실생 활에서 그대로 나타나며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필요성에 있어서는 동의하지만, 현실적으로 교육프로그램으로 운영하기에 용 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006.indd 91

2018-02-10 오후 11:45:52


50대와 60대는 많은 부분에서 다른데 특히 젠더 감성에서 차이가 존 재한다고 느껴요. 60대는 50대보다 성역할이 더 정형화, 고착화되어 있고, 모임을 구성할 때 가장 나이 많고 목소리 큰 남성이 회장하고, 여성이 총무하는 판에 박힌 모습이 있는데...(면접자 F) "젠더를 학문적으로, 개념적으로 노골적으로 접근하는 것보다는 퇴직자 들이 겪는 관계의 문제로 접근해야지... 50+세대에게 젠더교육이 연관성이 있게 하는 접근방법 필요해요."(면 접자 D)

은퇴시기의 여성과 남성이 겪는 어려움이나 문제는 서로 다르 지만 결국은 관계와 이해의 부족으로 오는 갈등이 문제를 부추기고 92

있는 것이 현실이다.

“퇴직 전까지 부부관계가 헐거워 있었는데 퇴직이라는 사건을 겪는 과 정에 서로를 이해하기보다 자기가 힘든 부분에 집중하고 위로하기보다 위로받기를 원하는 데서 오는 관계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거죠. 전업주 부의 경우 자신만의 영역, 공간이었던 집을 퇴직한 남편과 공유해야 하 는데서 오는 불편함, 나만의 생활습관이 깨지고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갈등 등으로 남녀 모두 힘들고 오해가 증폭하기 쉬워요. 여자는 나만의 생활이 깨지는데서 오는 불편함을 호소하는데 대하여 남자는 더 이상 돈을 벌어오지 못하는데 대한 무시로 받아들여요...둘 사이 소통은 없 이 갈등에 대해 서로 다르게 해석을 하는 거예요.” (면접자 D)

실제 50+센터에서는 서울시의 지침에 따라 ‘젠더’ 관점을 반 영하는 프로그램을 무겁지 않게 운영하고 있다. 즉, 젠더의 문제는 언 어를 통해서 극명하게 나타나므로 ‘대화법’을 통한 젠더이슈를 해결 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006.indd 92

2018-02-10 오후 11:45:53


“수요조사 과정에 조사대상 사람들이 느끼는 3가지 행복, 불안, 외로움 에 대해 5점 척도로 물어봤더니 불안과 외로움 정도가 높았고... 이에 따라 관계에 집중 조명하게 되어 <인생재설계> 과목에 ‘관계입문’, ‘관 계탐문’이 있는데요. 그 과정에서 50+가 역할에서 관계로 넘어오면서 가족관계, 사회관계를 어떻게 하면 유용하게 넘어갈 수 있는가에 대해 특강방식으로 진행하 고 있구요...”(면접자 E)

4) 50+세대의 정체성 혹은 자존감 경제활동에 집중하다가 돌아 본 50세 이후의 사람들에게 ‘자 아’ 혹은 ‘자신’에 대한 상이 부족하다. 따라서 자아 혹은 자신에 대한 자존감이나 의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93

"결론은 ‘나’의 중심이 서있어야 역할 관계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고, 따라서 단순히 젠더만 교육할 것이 아니라 자존감을 함께 녹여내 야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면접자 E) "정체성을 물어봤을 때 화목한 가정 만드는 주체로서의 ‘아버지’, ‘가 장’이라는 정체성이 확고한 반면 ‘나’ 자신에 대한 정체성은 희박했어 요. 평생 가족을 위해 살아왔기 때문에 그 정체성에서 벗어나지 못해 요."(면접자 D)

5) 젠더 관점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우선, 용어가 무겁거나 부담스럽기 때문에 내용은 가벼우면서 도 다뤄야 하는 내용을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더라도 반복적 이거나 의무적으로 교육하기 보다는 인생후반기 교육과정이나 교육 패키지에 묶어서 일정시간을 할애하는 형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좋겠 다는 의견으로 모아진다.

006.indd 93

2018-02-10 오후 11:45:54


“모든 프로그램의 일부로 구성하기 보다는 적합한 특정 프로그램 과정 안에 젠더 감수성을 넣어서 구성하는 것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인생학교>를 진행하면서 고민의 지점이 생겼는데 교육 진행과정 중 참여자들이 친해지면서 ‘성’에 대한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이 인터뷰를 통해 차라리 과정 중에 젠더에 대한 직접적인 문제제기를 통하여 이 문 제를 접근해 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면접자 E)

다양한 교육 운영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객관적 관찰이 가 능하면서 교훈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TV 매체의 드라마나 영화, 고 전을 통한 비판적 해석을 통해서 젠더관계의 문제를 드러내고 교훈을 찾아가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94

"<인생학교> <중년학교실> <중년에 대한 9가지>.. 등등 <중년학교실>은 특히 젠더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쓸 수 있는 내용으로 다 되어 있어요. <고전탐구>도 고전이라는 게 현재 젠더 관점에서 보면 비판 덩어리인 경우가 많잖아요. 이렇게 고전을 젠더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것도 가능하고요..."(진행자)

다만, 주의가 필요한 것은 ‘성’에 관한 한 남성을 가해자로 보 는 암묵적 가정을 해서는 안된다. 여성과 남성의 관계 훈련을 통해서 상호간 편안하고 원만한 관계를 도출하고 이끌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퍼실리테이션 포럼에서 사회적 관계확장 워크샵에 참여한 적이 있어 요. 남녀가 섞여 앉아서 옆사람이랑 손바닥 마주치면서 재밌게 해요. 그 과정에서 서로 가지고 있었던 남자대여자라는 관계를 허물어요. 남 자와 여자의 관계를 허물고 사회적 관계 확장을 위한 태도는 어떤 것인 가, 내가 편안해지려면 당위적이고 훈육적 접근이 아니고 내가 편안해 지고 관계 넓히려면 그 속에 젠더의 의미는 뭔가? 이런 내용을 고정에 녹여내었으면 좋겠어요."(면접자 F)

006.indd 94

2018-02-10 오후 11:45:55


4. 연구의 시사점

서울시 50+세대 젠더 관점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하여 잠재적 교육수요자인 50+센터 이용자 및 일반시민을 대상으 로 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50+세대가 갖는 다른 연령층과 구분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것은 50+세대는 이전 삶의 연속선상에 있으면서도 후반기 인생을 위한 전환기 과정에서 향후 삶에 대한 준비와 함께 변 화를 모색하는 단계라는 것이다. 또한 사회발전과정에서 주요 경제활 동 주체로 살아 온 사람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재정립 시기이기도 하 며, 따라서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가정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해 인 식이나 태도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기라는 점이 특히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의 내 용구성에 있어서 가정이나 사회적 관계 형성에서 그동안 무의식적으

95

로 가져왔던 성별 인식이나 태도에 있어서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지를 포함해야 할 필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50세 이상 일 반시민에 대한 설문조사와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및 교육운 영자에 대한 심층면접조사(FGI)를 토대로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 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크게 교육목적과 방향,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에서 젠더관점의 반영 목적과 방향 설정에 관한 것이다. 사회․문화적으로 고착화된 여성과 남성의 역할을 강조하기 보다는 가정과 사회 속에서 어떠한 파트너십을 가지고 살아 야 할 지에 대한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 평등’이라고 하는 정책목표가 하나의 ‘이데올로기’나 ‘여성해방 운동’이 아닌, 생 활현장에서 수용되고 존중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삶의 태도로서 제시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전통적으로 인식되어온 ‘여성’ 혹은 ‘남성’에 대한 고정된 편견이나 관점이 보편적 ‘인간’의 존엄성에 대 한 관점으로 확장되어야 하는 것이다. 어떤 환경에서 ‘여성’이다, ‘남

006.indd 95

2018-02-10 오후 11:45:56


성’이다를 인식할 때 문제를 발생시키며, 자신에 대한 존중함을 가정 에서 배우자와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적용시킬 때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성은 자연스럽게 교육내용의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자신’의 존재감,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른 사람과의 건강한 관계 형성은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느냐, 자신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을 때, 다른 사 람과의 관계 형성에도 장애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자신’의 위치를 정 확히 바라보고 스스로의 역할과 존재가치를 인정하는 과정이 필요하 다고 할 수 있다. 다음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에 대한 교육이다. 가정 내에서 자신의 역할과 위치의 변화에서 오는 관계를 어떻게 받 아 들일 것인가, 사회에서 타자, 특히 ‘성’이 다른 사람에 대한 태도에 96

대한 인식과 훈련이 필요하다. 그동안 ‘여성’에 대한 태도와 인식, ‘남 성’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고정된 역할과 태도가 있지 않았는지, 그와 같은 태도와 인식으로부터 발생한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과 함 께 풀어나가는 훈련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셋째, 이러한 관계 형성, 특히 ‘성별’에 대한 고정된 인식과 태도 를 바꾸기 위한 교육은 무겁지 않게, 그러나 심도있게 다뤄야 한다는 점이다. 사실상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과정에 ‘성 평등’이나 성별 관 계 형성과 같은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경우, 교육참여자 수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내용이 무겁고, 실용적이지도 않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어떤 교육과정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데에는 의견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 점에서 이론적이고 규범적인 강의보다는 교육참여자가 교육시간에서 스스로 깨닫게 되는 방식, 감동을 주는 교육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이 다. 교육시간은 3시간 내외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 나, 과연 짧은 시간동안에 인식과 태도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내 용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현실적

006.indd 96

2018-02-10 오후 11:45:57


인 내용구성과 그에 따른 시간 할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외에도 교육내용이 ‘여성’과 ‘남성’을 다루기 때문에 자칫 남 성을 가해자로, 여성을 피해자로 접근하는 식의 교육은 절대로 안된 다는 우려 섞인 요구가 있었다. 양성의 대립적이고 상반된 관점을 나 타내기 보다는 사람과의 관계 유지, 더 나아가 공동체 의식, 관계 확 장을 위한 교육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표 44] 설문조사와 심층조사 결과 및 시사점 요약 구분

설문조사 및 심층조사 결과

성역할에 대한 인식

-가정에서 성역할이 뚜렷이 구분됨 -스스로가 갖는 성별 태도나 인식을 바꾸지 않으려는 완고함

-성역할 변화에 대한 교육 필요 -기존태도를 변화시키려는 의도적인 훈련필요

배우자, 자녀와의 관계

-관계의 중요성 인정하나 배우지 않으려는 경향 -관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낮음

-지속가능한 관계 유지를 위한 변화노력 -일상적 관계의 중요성 교육

사회활동, -대외활동에서 성별에 대한 태도나 사회적 훈련 미숙으로 인한 문제발생 관계 훈련

006.indd 97

시사점

97

-사회환경 변화, 대외적 인간관계의 태도교육

2018-02-10 오후 11:45:58


V.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년준비 교육프 로그램

98

1.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가. 교육방향 및 목표 1) 교육비전 및 방향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에 있어서 젠더관점 교육 프로그램의 비전은 궁극적으로 인간 존엄성의 공유와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쉽게 표현하면, 인생 후반기의 새로운 삶을 위한 생각과 관점의 변화 를 통해 행복한 삶을 산다는 의미로 다음 그림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생각(관점)을 바꾸면 인생이 즐겁다’로 한다. 이를 위한 교육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전 통적으로 가져온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허물기, 즉, 성별 역할의 다양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정 성에 대한 고정된 인식과 역 할 기대는 어느 순간 위기와 좌절로 귀결되는 경향이 있다. 급속한 사 회․경제․문화 등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해 갈 수 있도록 개인과

006.indd 98

2018-02-10 오후 11:45:58


사회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 학습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접근 태도와 관련한 것으로 성 평등 교육, 양성평 등 의식 교육이 자칫 이념이나 이데올로기, 여성해방 운동으로 여겨 지는 경우 누구도 교육에 참여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 다. 그러나 이러한 두려움과 배척이 현실 생활에서 배우자간의 문제,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왜곡된 관계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가볍게 교육하지만 실 천은 진지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셋 째, 본 교육과정을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과정에서 누구나 한 번쯤 교 육참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은퇴교육의 ‘접근성과 과정의 용이성’을 교육방향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2) 교육목표

99

교육목표는 ‘여성과 남성 상호이해 증진으로 지속가능한 동반자 관 계 형성’으로 한다. 그동안 성 역할에 대한 고정된 관념은 상호이해보 다는 깊은 장벽을 형성하여 부서지거나 해체되는 극단적 모습으로 나 타나기도 하였다. 성 역할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인식은 우리의 일상 생활의 삶을 보다 풍부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관계 형성을 위해서 스스로가 갖는 성(별) 인식이나 성별 고정관념을 허물면서 상호간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교육목표를 둔다.

[그림 14] 젠더관점 은퇴교육의 비전과 교육목표

006.indd 99

비전

생각(관점)을 바꾸면, 인생이 즐겁다

교육목표

여성과 남성 상호이해 증진으로 지속가능한 동반자 관계 형성

교육방향

‣ 성별 고정 관념 깨기, 다양한 성 역할 이해하기 ‣ 교육은 가볍게, 실천은 진지하게 ‣ 누구나! 어디서나! 꼭! 한 번!

2018-02-10 오후 11:45:59


나. 교육대상과 방법 1) 교육대상 교육대상은 은퇴 및 노후준비를 하고자 하는 사람이다. 여성과 남성을 불문한다. 서울시에는 인생의 후반기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교 육을 제공하고, 일․여가․문화․복지 등 다양한 기관과의 연계를 위한 플 랫폼으로 50+센터를 권역별로 두고 운영하고 있다. 또한 종합사회복 지 기관, 주민센터, 기타 평생교육기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2) 교육방법 교육방법과 관련하여 기존의 고정된 성 역할이나 고정관념을 깨기 위 해서 일방적으로 이론을 설명하거나 규범적이고 처방적 강의 중심의 교육보다는 교육참여자가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활용하 100

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위해 실제 50세 이상의 남녀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가정 내에서 여성과 남성의 역할이 확연히 구분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고정된 성 역할에 스스로 역할상실에 따 른 위기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시간에 서로 다른 역할 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역할극을 할 수도 있고, 드라마나 영화 속 성별 다양한 역할을 통해 기존에 해오지 않았던 자신의 역할을 새롭게 확 인하는 참여식 교육방법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시간으로 일반시민에 대한 수요조사에서 은퇴교육의 소요시 간에 대한 질문에서 2~3시간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았으나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거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시간으로는 부족하다 고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젠더관점을 반영한 은퇴 및 노후준비 교 육의 내용구성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설계를 고 려해 볼 수 있다.

006.indd 100

2018-02-10 오후 11:46:00


2.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구성

가. 교육프로그램 개요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은 크게 세 개의 꼭지로 구성해 볼 수 있다. 먼저 입문과정으로 젠더개념과 필요성 등의 기초교육, 둘째, 젠 더 관점의 정체성 형성, 마지막으로 젠더관점의 관계교육으로 가정과 사회에서 성별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관계 교육형성을 위한 교육과 학 습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표 45] 교육 프로그램 개요 과 정 기초교육 젠더관점의 정체성 형성 젠더관점의 관계 교육

내 용

시 간

‣ 젠더개념 및 필요성

1~2시간

‣ 젠더관점에 은퇴 및 노후준비 하기 ‣ 자신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 그리기

1~2시간

‣ 가정 내 성역할 고정관념 깨기 ‣ 다양한 성 역할 이해하기

1~2시간

101

나. 과정별 교육내용 1) 기초교육과정 은퇴 및 노후 준비에 있어서 ‘젠더’가 왜 필요한지, 젠더의 개념이 무 엇인지 등을 살펴본다. 이와 관련하여 개인과 사회에서 ‘성맹 성’(gender blind)으로 오는 문제와 한계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해 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젠더관계 교육’을 제시한다.

2) 젠더관계 교육과정 젠더관계 교육과정은 크게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한다. ‘나’(개인) 영역 과 자신 이외의 ‘관계’ 영역으로 다시 가정 내에서 나와 가족 구성원

006.indd 101

2018-02-10 오후 11:46:01


과의 관계 영역과 가정 밖에서 나와 이웃․친구․사회와의 관계에서 젠 더 관계를 점검하는 내용으로 구성한다. 먼저, 개인 영역에서 세부주제로는 현재의 자신에 대한 정체성과 새로운 자아찾기로 구성한다. 노년의 특징과 의미, 특히 그동안 살아 왔던 ‘나’의 모습(가정과 사회에서 역할과 지위 등)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 가장 두렵고 위기라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 고 팀원 혹은 파트너와 나눈다. 다음, 관계영역은 다시 가정 내 구성원과의 관계로 배우자, 자녀 및 손자녀 등과의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자신 과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성 역할 진단을 통해 고정된 성역할 관념, 실 생활에서 고정된 성역할로 인한 갈등 상황 등을 진단하고, 새로이 습 득해야 할 성역할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학습한다. 자녀 및 손자녀와 102

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자녀 및 손자녀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지, 관계의 갈등상황이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점검하고, 그와 같은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팀원 혹은 파트너와 나눈다. 관계영역에서 가정 밖 이웃, 친구 등과의 성별 관계에 따른 문제 와 갈등상황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바람직한 관계 설정 방향에 대 해서 팀원이나 파트너와 나눈다. 또한 젠더 관점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와 정책 등 시야를 넓힌다. 특히 정부가 성주류화 정책의 일환으 로 추진하고 있는 성별영향분석평가 및 성인지예산 제도가 어떻게 일 상생활과 밀접히 관련되는지를 살펴본다. 이외에도 성희롱․성폭력․성 매매 등 보다 구체화․세분화되고 있는 성폭력 개념을 정확히 이해함으 로써 잘못된 성 인식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 램을 구성한다.

006.indd 102

2018-02-10 오후 11:46:02


[표 46] 젠더관계 교육과정 영역

세부주제

시간

교육내용

현재 자신(아) 점검

-현재 나의 상태 진단하기 -노년의 특징과 의미

새로운 자아 찾기

-자신에 대한 변화상 찾기 -다양한 자신의 모습 발견하기

배우자와의 관계

-현재 자신과 배우자의 성역할 진단 -다른 성역할 학습하기

자녀와의 관계

-성별에 따른 자녀에 대한 인식 점검 -자녀관계의 재정립

나(개인)

가정내

손자녀와의 관계 관계

-성별에 따른 손자녀에 대한 인식 점검 -손자녀 관계의 재정립 103

성별이 다른 이웃,친구 등과의 관계 이해하기 가정밖/기타 젠더 관점에서 사회 및 제도 이해하기 젠더이해의 확장: 성폭력․성매매 등

-젠 더리더십 -젠더 파트너십 등 드라마, 영화를 통해 성 역할의 다양성과 변화 이해 -성폭력의 개념과 실태 -성희롱의 개념과 실태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이 연구는 인생의 후반기를 설계함에 있어서 기존의 은퇴 및 노년준 비 교육에서 간과되어 온 ‘젠더’ 이슈를 드러내고 실제 노년준비 교육 에서 관계 변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추 진하였다. 사회적으로 형성된 ‘성별’ 인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은 다 른 것에 우선할 만큼 비중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비난할 수 없는 관습이고, 또 개인적으로 개인의 가치나 생활방식일 수 있기 때

006.indd 103

2018-02-10 오후 11:46:03


문이다. 그럼에도 교육이 필요한 것은 교육은 전통적인 관점이나 인 식의 오류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변화노력을 찾 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기존의 은퇴 및 노후준비 교 육에서 ‘젠더’ 관계 변화를 위한 개인과 관계의 측면에서 변화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상자인 50대 전후의 여성과 남성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그들의 수요와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고자 한 점도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가 기존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의 전과정 에 대해 ‘젠더’이슈를 적용하기 보다는 ‘자아’나 ‘관계’를 중심으로 살 펴보았다는 점에서 매우 부분적인 변화만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오히 려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의 다른 교육 영역, 예를 들면 재무나 일자 리, 사회공헌 등의 교육내용이 ‘젠더’관점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104

어떠한 방향으로 교육내용을 담아야 할 지에 대한 것도 과제로 남는 다. 이 연구는 다만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에서 ‘젠더’관점 반영의 시 작에 불과하며 다른 교육영역으로의 확대는 향후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006.indd 104

2018-02-10 오후 11:46:03


105

006.indd 105

2018-02-10 오후 11:46:03


참고문헌

1. 국내 강은주(201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노년기 프로그램 현황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57~277 고동우․임연진․유영철․서일권(2011). 은퇴후 부부갈등 개선에 대한 여행경험의 효과-노인관광상품 기획 방향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4(1). 115-136. 고재욱(2011). 노년기의 부부관계 개선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19-143. 권은비․이정화(2011). 은퇴한 남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73-92. 김경신․이선미(2001), 노년기 부부갈등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10: 31-54. 김길현․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256-271. 김근세 외(2010).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여성가족부. 김남희․최수일(2011). 여성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241-252. 106

김애순․윤진(1995). 은퇴 이후의 심리․사회적 영향: 은퇴는 위기인가?. 한국노년학. 15(1). 142-158. 김정석․최형주(2011). 노년부부가구 남편과 부인의 부부관계 만족도. 한국인구학회. 34(2). 1-15. 남순현․김미혜(2014).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 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4(1). 183-203. 노일경외(2013). 40~50대 생애주기에 따른 제2인생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략. 교육과학기술부․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박상철외(2009). 한국형 노후생활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보건복지부 박성정외(2014). 100세 시대 노년기 여성의 생산적 삶을 위한 정책과제: 노후설계를 통한 역량강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미애(1999). 남성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 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성미애․최새은(2010). 남녀 은퇴자의 은퇴전이 경험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젠더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9), 13-25. 성혜영, 김아람(2016). 은퇴 예정자를 위한 노후준비 프로그램 개발,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윤진(1985). 성인․노인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여성가족부(2012). 2011년 성별영향분석평가 종합분석보고서. 여성가족부(2013). 2012년 성별영향분석평가 종합결과보고서. 이나련․노경혜(2017). 젠더관점을 반영한 은퇴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이남․한정란(2014).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충남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4(3), 374-399. 이신숙․이경주(2001). 남녀 노인의 경제상태, 건강상태,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

006.indd 106

2018-02-10 오후 11:46:05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1). 1-10. 이여봉(2010).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33(1), 103-131. 이호숙(2016). 여성은퇴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학술지 게재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16(2). 177-214. 임나연․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 199-214. 조연숙(2010). 서울시 중장년층 여성일자리 창출방안: 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조연숙(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심층성별영향분석평가.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지은정(2013). 고령사회 보편적 균형적 노후설계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최인희외(2014).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의 가족생활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허라금(2005). 여성주의 평등 개념을 통해 본 성 주류화. 국가와 젠더. 40~73. 서울: 한울. 홍경선외(2010).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바탕으로 한 수업성찰과 멘토링 효과, 교육공학연구. 14(2), 40-50.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A11&newsid=03201286 615865944&DCD=A00101&OutLnkChk=Y)에서 2017년 5월 9일 인출)

2. 기 타

107

cafe.daum.net/csa1355, csa.nps.or.kr 에서 2017.7.1 검색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www.geps.or.kr/g-appeal/education/edu-main.jip 에서 2017.7.1 검색 워크넷 blog.naver.com/work_net/220730763185 에서 2017.7.1 검색 대구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blog.naver.com/dgu1004/220118231526 에서 2017.7.2 검색 50플러스포털, 50plus.seoul.go.kr 에서 2017.7.2 검색 twohappylife.bucheon.go.kr 에서 2017.7.2 검색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citizensinu.ac.kr 에서 2017.7.2 검색 suwonlib.go.kr/yt/ 에서 2017.7.2 검색 한국산업개발훈련원, 시흥시 평생교육정보서비스 eduinfo.siheung.go.kr 에서 2017.7.2 검색 www.dh.go.kr/edulife 에서 2017.7.3 검색 서울통계정보시스템. 서울서베이(가구원조사). 2013. 2016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2016). 장래인구추계 통계청(2016). 사회조사 통계청(2017).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통계청(2017). 시도별 간이생명표

006.indd 107

2018-02-10 오후 11:46:07


[부록 1] 서울시 50+세대 노후준비 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설문지)

서울시 50+세대 노후준비 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안녕하십니까? 서울시가 지원하는 50+세대 당사자 연구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50+세대 ‘은퇴’※준비 교육이 여성과 남성에게 적합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50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여기에서 은퇴란, 직장인의 경우에는 ‘퇴직’이후를 의미하며 전업주부인 경우 자녀들이 결혼하여 독립하게 된 이 후 생활에 대한 노후준비 교육을 모두 포함한 개념입니다 은퇴이후의 생활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50세 이상의 여성과 남성 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교육내용의 적절성을 높이고 교육을 통한 은퇴 준비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하고자 하오니 바쁘시더라도 한 문항도 빠짐없이 응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선생님이 응답하신 결과는 통계적으로만 처리되고 모든 결과는 연구이외의 목적에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리며, 솔 직하게 응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08

2017년 7월 연구책임자: 박대복 공동연구자: 조연숙, 홍승혜 ☎(연락처): 010-7459-9031

Ⅰ. 일반현황 1.성별

① 여성(

)

2.연령

3.직업

③전업주부(

② 남성(

)

①직장인(

)

②자영업( )

④무직(

) )

⑤기타(___________________) 4.배우자 유무

5.거주지

006.indd 108

① 있음(

)

② 없음(

① 서울시(

)

② 경기도(

③ 인천시(

)

④ 기타(

) ) )

2018-02-10 오후 11:46:08


(설문지) ※ 다음 질문을 읽으시고,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 하세요. 1. 선생님께서는 이전에 은퇴 또는 노후준비와 관련된 교육을 받아보신 경험이 있습니까? ① 있다(

) (⇒문1-1로)

② 없다(

)(⇒문2로)

문1-1. 위 질문에서 ‘①있다’고 응답하신 경우, 다음 중 어느 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받으셨 습니까? ① 은행, 보험사 등 금융기관 ( ③ 회사 내 자체교육

(

⑤ 국민연금공단(

)

)

)

② 보건복지부, 시청, 구청 등 정부기관 (

)

④ 민간 교육기관 ⑥ 기타(구체적으로______________________)

문1-2. 선생님께서 받으신 교육은 은퇴 혹은 노후생활을 준비함에 있어서 다음 항목에 대 해 얼마나 도움이 되셨습니까? 전혀 도움 되지 않음

도움 되지 않음

1) 가족내 구성원(배우자, 자녀 등)들과의 관계개선에 도움이 되 고 있다

2) 노후의 재정소득을 유지,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3) 신체적․정신적으로 공허한 은퇴시기를 잘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4) 삶의 보람있는 생활을 위한 사회적 관계 형성(자원봉사, 지역 사회 모임참여 등)에 도움되고 있다 5) 이 밖에 도움이 되었거나 도움이 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자유롭게 적어 주세요

보통 이다

도움 됨

매우 도움 됨

109

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다음은 은퇴시기의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을 나열한 것입니다. 각 항목에 대해 선생님의 느낌이나 생각에 가장 가까운 곳에 ○표 하세요. 구

006.indd 109

전혀 보통이 그렇다 매우 그렇지 그렇지 않다 다 그렇다 않다

해당 없음

1) 요즈음은 이 세상에 오직 ‘나 혼자’라는 것을 종종 느낀다

2) 가족 내에서 배우자와 의사소통이 잘 안된다

3) 가족 내에서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잘 안된다

4) 가정에서의 역할 상실이나 소외감을 느낀다

5) 사회활동의 감소로 인한 고립감

2018-02-10 오후 11:46:09


(설문지) 3. 선생님께서는 다음 항목과 같은 노후준비 교육영역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해당하는 곳에 ○표해 주세요. 구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하지 않다

전혀 필요하지 않다

1) 나이듦의 정체성에 관한 교육

2) 배우자와의 관계에 관한 교육

3) 자녀와의 관계에 관한 교육

4) 손자녀와의 관계에 관한 교육

5) 노후 소득보장에 관한 교육

6) 건강관리에 관한 교육

7) 여가활동 및 자원봉사에 관한 교육 8) 이 외에 필요한 교육이 있다면 자유 롭게 적어주십시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선생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가족생활 및 사회관계에서 여성과 남성의 관계에 대해 어떻 게 생각하십니까?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해 주십시오.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1) 집안일에는 남자가 할 일과 여자가 할 일이 따 로 있다

2) 나이가 들어도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

3) 연인관계나 부부관계는 남성이 주도하는 것이 자연 스럽다

보통이 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4) 가정생활을 하는 동안 모은 재산은 배우자와 공동 소유이다

5) 나이가 들어도 그동안 해왔던 생활방식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6) 나는 앞으로 가족과 많은 시간을 공유할 것이다.

110

5. 선생님께서는 다음의 가사활동에 어느 정도로 참여하고 계십니까? ‘10번 가운데 몇 번 참여하고 있는지를 숫자로 적어주십시오.(예: 10번 가운데 5번은 내가 한다...) 1) 식생활 부문(식사준비, 반찬만들기, 설거지 등

10번 가운데 (

)번은 내가 한다

2) 의생활 부문(옷 빨래, 이불세척, 세탁 등)

10번 가운데 (

)번은 내가 한다

10번 가운데 (

)번은 내가 한다

10번 가운데 (

)번은 내가 한다

10번 가운데 (

)번은 내가 한다

3) 집안청소/정리부문(청소기 돌리기, 병 닦기, 음 식 쓰레기 배출, 재활용 쓰레기 배출, 화장실 청소 등) 4) 집안유지/관리 부문(형광등 갈기, 막힌 배관 뚫 기, 자동차 관리와 정비, 가전제품 수리 등) 5) 시장/쇼핑 부문(장 볼 물품 정하기, 카트 밀고 물품 나르기 사온 물품 정리하기 등) 6) 위의 항목들 외에도 가정 생활에 있어서 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함께 해야 할 것은 무엇 이라고 생각하십니까?

006.indd 11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8-02-10 오후 11:46:11


(설문지) ※ 다음은 50세 이후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입니다. 건 강한 노후생활을 위해 노후 준비교육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 해 주세요. 6. 선생님께서는 은퇴 및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에 참여하고 싶으십니까? 구

전혀 참여하고 싶지않다

참여하고 싶지않다

보통이다

참여하고 싶다

매우 참여하고 싶다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 참여 의향

6-1. 위 문항에서 ‘참여하고 싶지 않다’(①과 ②에 응답)에 응답한 경우, 그 이유는 무엇입 니까? (1가지만 표시해 주세요) 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

② 교육에 참여하는데 비용이 들어서(

③ 별로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서, 관심이 없어서( ④ 은퇴 후 해야 할 일에 대해서 아직 계획이 없어서( ⑤ 재취업 예정이므로(

)

)

) )

⑥ 기타(구체적으로__________________)

6-2. 위 문항에서 ‘참여하고 싶다’(④와 ⑤에 응답)에 응답한 경우, 참여하고 싶은 이유는 무엇입니 까? 선생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해 주세요(1가지만 표시) ① 경제적 이유(소득감소 등 대비)(

)

② 사회적 이유(사회활동 참여)(

③ 사교적 이유(소외, 고독, 외로움 극복 대비)(

111

)

)

④ 새로운 생활계획(새로운 능력 개발 등) ⑤ 기타(구체적으로__________________________) 7.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에서 좀 더 심도 있게 다뤄야 할 교육내용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가장 중요한 항목 1개만 선택해주세요. ①직업훈련 교육(

)

②일자리에 관한 정보 제공(

③어르신 복지서비스 제공 관련 교육(

)

)

④품위있게 나이 듦에 관한 교육(

)

⑤기타(구체적으로__________________________) 8. 선생님께서는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이 몇 시간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2시간 미만(

)

④ 4~5시간 미만(

② 2~3시간 미만( )

⑤ 5시간 이상(

)

③ 3~4시간 미만(

)

)

9.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강의( ④ 실험실습(

)

② 토론형 학습( )

)

③ 현장학습(

)

⑤ 기타(구체적으로________________)

***한 문항도 빠짐없이 기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006.indd 111

2018-02-10 오후 11:46:12


[부록 2] 서울시 50+세대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상자 심층면접 조사 서울시 50+세대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상자 심층면접 조사 안녕하십니까? 저희는 서울시로부터 50세 이상 당사자 연구 지원 공모사업의 일환으로 「서울시 50+세대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팀입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은퇴 이후나 은퇴준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경제활동을 주로 해 온 주체에 초점을 맞춰 이뤄짐으로써 가정 및 지역사회 공동체 생활의 ‘젠더’ 관점에 대한 이 해를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에 있어서 젠더 관점을 반영한 교육내 용의 구성을 위해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실제 50세 이상이며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대상자이신 선생님께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몇 가지 심층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바쁘신 가운데 시간을 내어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응답해주신 내용은 서울시 50세 이상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내용을 구성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 본 조사는 통계법 제33조에 의거하여 실시․관리되므로 설문 내용 및 응답자에 대한 112

모든 비밀은 철저히 보장됩니다. 연구진: 박대복, 조연숙, 홍승혜

1

기초사항

1. 은퇴 혹은 노후준비 교육을 받으신 경험이 있습니까? 1-1.(있다면) 유익했던 교육 내용은 무엇이었 습니까? 또는 아쉬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1-2.(없다면) 앞으로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을 받을 예정이십니까?

2. 은퇴나 노후준비 교육에 대한 기대가 있습니까? 주로 어떠한 교육내용을 기대하고 있으 며, 어떠한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면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006.indd 112

2018-02-10 오후 11:46:13


(대상자심층면접내용) 3. 성별영향분석평가

2

은퇴 및 노후준비 시기의 자아 정체성

4. 가정 내에서 선생님의 역할이나 지위가 이전(40대 전후)과 비교하여 어떠하십니까? 차 이가 나는 지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세요(배우자나 자녀와의 관계를 포함 하여)

113

5. 가정 내에서 역할상실이나 소외감을 느끼신 경험이 있으십니까? 어느 때, 그러한 느낌 을 받는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말씀해 주십시오.

6. 이웃, 동료, 친척, 친구들과의 사회활동의 빈도는 어떻습니까?(줄었나, 늘었나), 관계의 어려움이 있습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

006.indd 113

2018-02-10 오후 11:46:14


(대상자심층면접내용) 3

남성 역할에 대한 태도나 인식

7. 여성과 남성의 역할이 각각 구분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성별 역할에 대한 태도에 변화가 있으십니까? 있다면, 왜 생각에 변화가 일어났습니까?

7-1. 여성과 남성의 성별 역할에 대한 태도 변화가 없다면, 배우자나 사회적인 관계에서 갈등이나 어려움이 있습니까? 예를 들어 말씀해 주십시오.

114

8. 이웃, 친구, 친척 등과의 관계에서 성별 역할이나 가치관의 차이로 인하여 갈등을 겪은 경 험이 있으십니까? 어떻게 대처하셨으며, 그 이후에 생각이나 태도의 변화가 있었습니까?

9. 집안일에서 배우자와 어떻게 역할을 나누고 있습니까? 역할 수행에 있어서 문제나 어려 움은 무엇입니까? 앞으로 그와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싶으십니까?

006.indd 114

2018-02-10 오후 11:46:14


(대상자심층면접내용) 10. 여성의 경우 집안일 중에서 어떤 일이 가장 하기 싫습니까? 남성의 경우, 집안일 중에 서 어떤 일이 가장 하기 싫습니까?

4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수요

11. 성별 역할 및 태도에 대한 재인식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가족 구성원의 ‘본인’에 대한 기대의 차이가 가장 큰 것은 어떠한 부분입니까?

115

11-1. 가정 내 구성원과의 관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 까? 변화를 위해 어떠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2. 이웃, 친구, 친척 등과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갈등하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 까? 현재보다 더 나은 관계 형성을 위해서 은퇴 및 노후준비를 위해 어떠한 교육이 요구된다고 생각하십니까?

006.indd 115

2018-02-10 오후 11:46:15


(대상자심층면접내용) 5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개선

13. 그동안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이 충족하지 못했던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3-1 밖에 본 연구나,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제안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 자 유롭게 응답해 주십시오.

116 ※ 조사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06.indd 116

2018-02-10 오후 11:46:15


[부록 3] 서울시 50+세대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심층면접 조사 서울시 50+세대 노후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심층면접 조사

1

기초사항

1. 50대 이후 은퇴 및 노후준비 교육 운영자로서 혹은 은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서 교육 대상층이 다른 연령층과 차별화되는 지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 니까? 즉 교육대상의 특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17

2. 20대 이상 은퇴 및 노후 준비교육 과정에 ‘젠더’(Gender) 의식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신다면, 어느 정도 혹은 어느 수준까지 교육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006.indd 117

2018-02-10 오후 11:46:15


(전문가심층면접내용) 3. 50+대상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 조사 결과, 은퇴 및 노후 준비시기 겪는 어려 움이나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다음과 같은 키워드(key word)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각 키워드를 참고하여 포함되어야 하는 교육 내용에 대한 의견을 설명해 주십시오. 키워드

젠더와 관련 포함되어야 할 교육 내용

정체성 관계(배우자, 자녀, 친구 혹은 이웃) 성 역할 대외활동(봉사활동, 경제활동) 기타 * 젠더 이슈란, 성(性) 고정 관념을 통해서 나타나는 문제, 해결되어야 할 갈등관계 등이 표출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나 문제 4. 50대 이상을 대상으로 ‘젠더의식’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할 때, 다음 어느 수준까 지 포함되어야 할까요? 이에 대한 선생님의 의견은 어떠하십니까? 118

내용의 범주

포함여부에 대한 의견(◯, ×)

비고

젠더의 개념과 필요성 젠더 감수성, 젠더의식 훈련 젠더 관련 정책이나 제도 기타(의견)

5. 기타 교육 및 운영 방법, 교육시간, 전문 강사 풀 등에 대한 의견

※ 조사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06.indd 118

2018-02-10 오후 11:46:16


119

006.indd 119

2018-02-10 오후 11:46:16


서울시50플러스 2017-020 50+당사자연구 17-06

서울시 50+세대 젠더관점의 은퇴 및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발행일

2017년 12월

발행인

이경희

편집인

양안나

발행처

서울시50플러스재단 T. 02)460-5050 F. 02)734-8332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31길 21, 3층 50plus.or.kr

제작부서

정책개발실

기획정리

이은정, 김시유

저자

박대복, 조연숙, 홍승혜

제작

(재)행복ICT

ⓒ 서울시50플러스재단 2017 이 책의 저작권은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 있습니다. * 이 연구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의 ‘2017년 50+당사자연구 공모사업’을 통해 지원 받아 수행되었으며, 보고서의 내용을 대외적으로 발표하거나 인용할 시에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서 시행한 ‘2017년 50+당사자연구 공모사업’의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 이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진의 견해로 서울시50플러스재단의 의견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006.indd 120

2018-02-10 오후 11:46:16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