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322A

Page 1

11월 8일 실시되는 2022 중간 선거 뉴욕주하원의원 선거에 민 주당 공천으로 출마한 론 김의원 지지대회가 2일 플러싱 메인스트 리트에는 플러싱도서관 앞 광장 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뉴욕한인학부모 협회 최윤희 회장, 아시안아메리 칸유권자연맹 테렌스 박 대표, 이 영우 뉴욕한인상춘회 전 회장 등 한인들과 중국계 등 아시아계와 미국인 주민들이 참여하여 론 김 의원의 6선을 지지했다 론 김 의원은“ 저는 여러분을 옹호하고 일상의 뉴욕 시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 는 것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중 소기업을 돕고, 주민과 노인을 보 호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저 는 거의 평생 플러싱에서 살았고, 플러싱에서 자녀를 키우고 있다.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우리 공동체를 위해 계속 싸울 것 이다.”며 지지를 당부했다. 최윤희 회장, 테렌스 박 대표 는“론 김 의원은 지난 10년간 훌 륭하게 뉴욕주하원의원직을 수행 했다. 연장자들을 위해 용감하게 싸우고 플러싱 주민들의 권익을 신장하는데 열심이었다. 플러싱 은 그를 계속필요로 한다”며 지지 를 당부했다. 크리스토퍼 마르테 시의원은 “론 김 의원은 누구를 상대하든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는다. 론은 노동자들의 임금을 훔치는 부패 한 비영리 단체든, 주지사든 누구 와도 당당하게 맞선다. 지역사회 를 옹호하는 데 온 힘을 쏟고 우 리 모두가 승리할 때까지 멈추지 않는다. 그의 청렴함이 그에게 법 을 어기고 도망치는 데 익숙한 강 력한 적들을 만들어 주었다. 하지 만 그것은 또한 그가 매일 그를 대표하고 싸우는 수천 명의 유권 자들의 표를 받을 자격이 있게 만 들었다. 론은 가정부들의 24시간 근무를 끝내기 위해 일하는 데 있 어 나의 가장 큰 동맹이었고, 그의 재선을 통해 우리는 이 노동자들 을 위한 정의를 얻기 위해 한 걸 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홈케어 노동자 잉나루안은 “저는 10년 동안 가정부로 일했 고, 6년 반 동안 24시간 근무했다. 24시간 근무를 하는 많은 가정부 들처럼, 나는 밤에 잠을 잘 수 없 었다. 24시간 근무를 하는 것은 내 건강을 해쳤다. 오늘, 저는 수천 명의 가정간호사들을 대표하여 저희를 위해 목소리를 높여주는 론 김 뉴욕주하원의원에게 감사 를 표한다. 그는 홈케어 에이전시 가 우리를 오랫동안 착취한 사실 을 폭로하는 보고서를 냈다. 그는 항상 우리 편에 서서 우리를 위해 싸워왔다. 그는 우리가 얻은 많은 이익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플 러싱에 있는 친구들과 가족들에 게 연락해서 론 킴에게 투표하자. 우리는 론 김 의원이 계속해서 우 리를 지지하고 지역사회를 위해 필요한 정치인 이다”고 말했다. 이민자보호교회 네트워크(뉴 욕 대표 조원태 목사)와 시민참여 센터(KACE, 대표 김동찬)는 11 월 1일 오전 11시 후러싱제일교 회에서‘이민개혁안 의회 통과를 위한 편지 보내기 및 선거 참여 캠페인을 위한 기자회견’을 가졌 다. 이번 기자회견에서는 다카 (DACA) 드리머들을 비롯한 서 류 미비자들의 구제를 포함하는 이민개혁법안 통과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낭독한 후 앞으로 실천 할 5 가지를 제안했다. 또 11월 8 일 선거가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 하고, 이민개혁법을 지지하는 의 원들을 선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민개혁법안 통과를 촉구하 는 편지는 미국 연방 상원의원 100 명 전원과 4개 주 하원의원 (NY, NJ, CA, IL) 109 명 등 총 209 명의 의원들에게 1 일 오후에 발송했다. 하원의원 4개 주를 선택한 이 유는 이보교 회원교회가 조직되 고 유권자로 등록된 주들, 그래서 의원들이 무시할 수 없이 고려해 야만 하는 지역을 선별했기 때문 이다. 1일 기자회견 이후 이민자보 호교회 네트워크는 다음의 사항 들을 계속 추진할 방침이다. 이민자보호교회 네트워크는 ①편지 발송 이후 이민자보호교 회네트워크 교회들이 위치한 지 역의 의원들을 방문하여 이민개 혁법안과 드림엑트 법안의 통과 를 위해 우리의 뜻을 전달한다. 뉴욕주의 경우 27 명 연방의원 중 에서 8 명이 이민개혁법안을 적극 적으로 지지하지 않는 공화당 의 원들인데, 현재 뉴욕시 근역인 서 폭 카운티에 2명, 스태튼아일랜드 에 1 명의 공화당 하원의원이 있 고, 5명이 업스테이트에 있다. ② 다카 드리머들을 돕는 비영리기 관인 United We Dream 단체에 서 드림액트 법안 통과를 위해 30 만 명 온라인 서명 청원운동을 벌 이고 있는데, 이보교는 드림액트 법안 통과를 통해 다카 드리머들 에게 영주권 및 시민권 부여를 요 구하는 온라인 서명 운동에 적극 적으로 동참하도록 연대해 나간 다. 현재 23만503 명이 청원에 참 여한 상태이다. 링크https://action united wedream org/petitions/keep the deferred action for childhoodarrivals daca program에 접속하면 누구라도 청원에 참여할 수 있다. ▶A3면에 계속 “DACA구제 이민개혁법안 통과 시켜야” 이민자보호교회 네트워크와 시민참여센 터가 미 의원들에게 보낼‘이민개혁법 통과 촉구’편지 첫 페이지 이민자보호교회 네트워크와 시민참여센터는 1일 오전 후러싱제일교회에서‘이민개혁안 의회 통과를 위한 편지 보내기 및 선거 참 여 캠페인을 위한 기자회견’을 가졌다. 아래줄 오른쪽부터, 최영수 변호사(이보교 법률자문위원, 시민참여센터 법률대책위원장), 김 동찬 대표(이보교 사회자문위원, 시민참여센터 대표), 김명래 전도사(이보교 임원), 김순덕(이보교 임원), 신기성 교수(이보교 편집국) 조원태 목사(뉴욕 이보교 위원장) 윗줄 오른쪽부터, 김준현 목사(이보교 재정담당), 강창훈 목사(이보교 정책간사), 이현정(이보교 회원 교회 성도), 박진숙 준목(이보교 회원교회 성도) [사진 제공=이민자보호교회 네트워크] 11월 8일 실시되는 2022 중간선거 뉴욕주하원의원 선거에 민주당 공천으로 출마한 론 김의원 지지대회가 2일 플러싱 메인스트리트 에 는 플러싱도서관 앞 광장에서 열렸다. [사진 제공=뉴욕한인학부모협회 최윤희 회장] 이민자보호교회+시민참여센터, 편지보내기·선거참여캠페인 기자회견 “플러싱 주하원의원은 론 김이 최고” 론 김 지지대회서 주민들 한목소리로“그가 계속 필요하다” < 미국COVID-19 집계 : 11월 2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발표 > 99,450,23825,7441,096,304 6,428,3304,67573,131 2,799,3991,57034,911 최고 72도 최저 64도 11월 5일(토)11월 4일(금) 최고 69도 최저 60도 1,447.591,397.81 1,436.60 1,408.80 N/A1,406.58 11월 3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11월 3일(목) 최고 67도 최저 51도 맑음 흐림 2022년 11월 3일 제보목요일 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THEKOREANNEWYORKDAILYThursday November 3, 2022 <제 5330호 > www.newyorkilbo.com 흐림

As a third generation Korean Canadian, I am very proud of my Korean heritage. Over 50 years ago, my relatives first arrived in Canada. I have often wondered how it came to be that we now live in a country full of opportunity and prosperity. As I researched our community’s roots and my own family’s stories of strength and resilience, I became inspired to share this inspirational journey of Korean Canadian pioneers with you today.

The main motivating factor for Korean immigration to Canada was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The fallout of this tragedy brought poverty, low quality of life, and little opportunity to improve one’s socioeconomic situation. To Korean people at the time, Canada offered an opportunity for a fresh start and the dawn of a better life. Fortunately for them, in 1967 Canadian Prime Minister Pierre Elliot Trudeau reformed Canada’s immigration policies to make it easier for non-European immigrants to gain entry into the nation. This further motivated Koreans to start a new life in Canada, and try to settle into this new, unfamiliar home.

Although many of our firstgeneration Korean Canadians did not speak English well, they successfully assimilated into Canada because of their qualifications and a variety of skills acquired in their home country. These talents were supported by the fighting spirit we Koreans carry within our hearts, regardless of where we go across the world. The first generation worked hard and paved the way for the future generations of Korean Canadians to succeed in countless ways today. Personally, I am inspired by my own great aunt, Myungja Kim,

the first person in our family to come to Canada in 1967, when the Korean Canadian population was very few.

Prior to immigrating to Canada, she graduated from SoGang University in Seoul. She studied computer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for one year. She then acquired a job with Ontario Hydro which was extremely rare at the time, because she was a racial minority and a woman. My grandfather, ChangBum Kim, studied trades at Kyunggi Technical High School in Seoul. He then made weapons and artillery for the Korean military and then landed a job in South Vietnam with an American company until 1970. That year, my grandfather came to Canada to follow my great aunt. He was able to get a job with General Electric just two days after arriving in Toronto. This was all thanks to his skills in technical trades and extensive experience acquired in Korea.

Korean Canadians have always experienced racism but since COVID19, hate crimes against Koreans have increased. Statistics Canada reported

in July 2020 that 27% of Koreans perceived more frequent race-based harassment or attacks, a rate that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rest of the Canadian population. Despite these struggles, our community has achieved many milestones that make me proud to be a Korean Canadian.

My father, a second generation Korean Canadian, was taught the value of hard work and a higher education by my grandparents. While growing up in Vancouver, they experienced racism at school, in the neighborhood and in their places of employment.Through this, my grandparents taught my father to chase opportunity, to be honest and work hard to overcome inequality and racial discrimination. These values were passed on to the second-generation of Korean Canadians from their elders, who continue to demonstrate success and contribute to Canadian society in many ways today.

Korean Canadians are able to sustain Korean culture and identity in Canada. There are Korean cultural

centers established in Toronto and Vancouver as well as many Korean Canadian churches. Most Koreans in these organizations are one and a half or first-generation Koreans. They have a closer connection to Korean culture and language, which strengthens their identities and the Korean community.

For the older generation, Korean churches and senior societies are a valuable social connection to their homeland that permits them to be themselves as Koreans living in Canada.

The main contribution to Canadian society made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Canadians was raising their children to be such hard workers and successful members of society. They demonstrated to their kids that with hard work, you can achieve anything, and that a higher education breaks through cultural barriers and racial discrimination. The following are some key examples of second-generation Korean Canadians who have positively impacted Canadian society. Senator

Yonah Martin is the first Korean Canadian Senator and first Korean Canadian parliamentarian in Canadian history. She has cemented a partnership between Canada and Korea in trade, culture and the legacy of Korean War Veterans in both countries. Senator Martin has inspired many second-generation Korean Canadians to pursue opportunities in the Canadian public service, like my father. Jim Paek is the first NHL player of Korean descent in the history of the NHL. As a Korean Canadian who immigrated to Canada at the age of 1, he won two Stanley Cups. He brought the sport of ice hockey to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now he coaches the Korean Olympic Ice Hockey Team. On a more personal note, my father Justice Leonard Kim, was recently appointed as an Ontario Provincial Court Judge, making him the first Korean Canadian Judge in Ontario, and the second in Canada. I believe he will use the law to promote equality and access to justice for all people in our society.

One thing I have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of Korean Canadians is that hard work, resilience and the willingness to succeed can get you anywhere in life. Due to their exceptional work ethic and determination, we have seen countless Korean Canadians overcome cultural barriers and racism. They have truly demonstrated that it does not matter how different you may be from the majority of society and that you can achieve your dreams no matter the circumstances. I will most definitely keep this message close to my heart as I progress through life, and I hope that all who hear the story of Korean Canadians are as inspired as I am.

교육A4 THURSDAY,NOVEMBER 3, 2022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한인 젊은이들‘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삶, 창조적 역할 모색 경기여고동창회 경운장학회, 제12회 고교생 영어웅변대회 수상작 발표 [15] JoshLeonardKim JoshLeonardKim(Lo-EllenParkSecondarySchool, Canada11학년) Finalist(결선진출상)- KoreanDiasporainCanada– ChasingOpportunity(캐나다 한국인 디아스포라 - 기회를 쫓아서) 캐나다로 이민 온 대부분의 한인들은 만족스럽게 살고 있다. 사진은 2017년 10월 5일‘세계한인의 날’을 맞아 열린 제13회 토론토 평화마라톤 대회에 참가한 한인들. [사진 츨처=재외동포의 창]
A112022년 11월 3일(목요일)
A12 THURSDAY, NOVEMBER 3, 202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