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대법원이 10월 31일
흑인 등 소수인종을 배려하는 대
학 입학 제도인‘어퍼머티브 액
션’(Affirmative Action)의 합헌
여부에 대한 심리를 개시했다.
연방대법원은 이날‘공정한 입
학을 위한 학생들’(Students for Fair Admissions·이하 SFA)이
라는 단체가 소수인종 배려입학
제도로 백인과 아시아계 지원자를
차별했다며 노스캐롤라이나대와
하버드대를 상대로 각각 제기한
헌법소원을 연이어 심리했다. SFA는 지난 2014년 이 소송을
을 겪고
어려
동안
참여센터 활동을 더욱 더 강화 하여 앞으로도 동포사회의 미래 를 위하여 커뮤니티에서 일하고
세대들을 지원하여
커뮤니티를
을
인종이나
차별을
출신
을 위반했다고 것이다.
민권법
노스캐롤라이나대에 대해서는
백인과 아시아계 지원자를 차별해
법의 보호를 동등하게 받을 권리
를 규정한 헌법 14조를 위반했다
고 주장했다.
당초 이 조항은 인종분리정책
등 흑인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근거로 활용됐지만, SFA는 특정 인종에 대한 배려도 문제라는 입 장이다. 이에 대해 두 대학은 인종은 지 원자를 평가하는 여러 요인 중 하 나일 뿐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인종을 고려하지 않으면 인구
학적으로 다양한 분포의 학생을 확보할 수 없어 대학 교육에 중요 한 관점의 다양성이 사라진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보수 대법관들 은 다양성이라는 가치 자체에 의 문을 제기했다. 얼리토 대법관은 “대학 입학은 제로섬 게임”이라며 “인구비율 대비 입학생이 적은 소 수로 분류되는 사람에게만‘플러 스’를 주면 다른 학생에게 불이익 을 주게 된다”고 지적했다. 토머스 대법관은 “다양성 (diversity)이라는 말을 여러 번 들었는데 난 도대체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로버츠 대법관은‘인종 중립’ 적인 방식으로 다양성을 확보할
대법관은“미국인이 된다는 의
그리고 미국의 다원주의를 신
한다는 것의 한 부분은 (대학 같
기관들이 미국인으로서 우리
모든 다양함을 실제 반영한다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처음 제기했으며 1·2심에서는 패 소했다. 당시 법원은 대학이 인종 별로 정원을 할당하거나 수학 공 식에 따라 인종 분포를 결정할 수 는 없지만 여러 요인 중 하나로 인 종을 고려할 수 있다고 한 기존 대 법원 판례를 두 대학이 따랐다고 판결했다. 앞서 대법원은 2003년 그리고 가장 최근인 2016년에도 이 판례에 문제가 없다고 결정했 다. 그러나 당시 합헌 결정에 반대 의견을 낸 존 로버츠 대법원장, 클 래런스 토머스, 새뮤얼 얼리토 등 3명의 대법관이 현재 대법원에 있 으며 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명한 3명까지 가세해 총 9명의 대법관 중 보수 성향이 6명이라서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워싱턴포스트(WP)와 로이터 통신 등은 실제 이날 심리에서 보 수 성향의 대법관들은 소수인종 배려입학에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 내면서 대법원이 위헌 결정을 내 릴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이번 소송을 제기한 SFA의 주 장은 하버드대가 아시아계 미국인 지원자를 차별해 연방 재정 지원
받는 프로그램이나 활동에서
피부색,
국가에 따 른
금지한 1964년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해 이미 제 도 폐지에 대한 대안을 고려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반면 첫 흑인 여성 대법관인 커 탄지 잭슨은 SFA 주장과 달리 대 학이 입학 심사에서 인종뿐 아니 라 40개의 요인을 고려한다면서 “SFA는 대학들이 인종만 고려한 다는 점을 입증하거나 한 사례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역시 진보 성향인 엘리나 케이 건
미,
봉
은)
의
는
한인사회의 권익과 정치력 신 장에 진력하고 있는 시민참여센 터(대표 김동찬) 30일 코로나19 팬 데믹 이후 처음으로 맨해튼 북부 에 있는 리버사이드 처치에서 대 면 갈라를 진행했다. 갈라에서 민권센터는 2022년 한해동안의 시민참여센터 활동 영상 상영을 시작으로 인턴들이 5 월부터 10월까지 자신들의 활동 경험을 설명했다. 이어 뉴욕 뉴 저지 지역 정치인들의 축하 영상 이 이어졌다. 이 자리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큰
움
있던 한인들에게 가장 쉽고 편리하게 정부의 팬데믹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여 큰 도움을 주었 던 하나은행의 황창엽 행장에게 커뮤니티 지도력 상을, 한인경찰 협회의 박희진 형사에게 커뮤니 티 봉사상 그리고 아시안아메리 칸 연맹(AAF)을 대포해서 조앤 리 사무국장에게 풀뿌리 지도력 상을 수여했다. 이어서 국악인 오 정희씨의 가야금 병창, First Generation Korean Academy의 한국무용, 김후나씨의 노래, iKADA Contenpory Dance, 김 성욱 테너와 오정희 국악인의 진 도아리랑으로 행사가 진행됐다. 시민참여센터는 1996년부터 “동포사회의 미래를 열어가는”시 민
있는 새로운
그들이 더욱더
발전 시킬수 있도록 더 많은 커뮤니티 의 지원을 호소하면서 행사를 마 쳤다. 갈라에 대한 영상은 https://studioster.editorx.io/kac e-gala-2022를 보면 된다. △시민참여센터 연락처: (718) 961-4117 info@kace.org “한인사회 권익·정치력 신장위해 더욱 노력” 황창엽 행장·박희진 형사 ·조앤리 사무국장 표창 시민참여센터 갈라 ‘소수인종배려입학제’페지될까? 6대3 보수우위 대법원, 위헌 결정? “백인·아시아계 차별”vs“다양성 위해 필요”… 2016년엔 합헌 결정 바이든 행정부“국가안보에도 바람직”지지… 트럼프 때는 제도에 반대 연방대법원 밖 소수인종 배려입학 지지 시위…학생과 활동가들이 10월 31일 워싱턴 DC에 있는 연방대법원 밖에서‘다양성은 필수’ , ‘내 인종은 내 이야기다’등의 팻말을 들고 소수인종 배려입학을 지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연방대법원은 이날 이 제도의 합헌 여부에 대한 첫 심리를 개시했다. 연방대법원 밖 소수인종 배려입학 지지 시위…학생과 활동가들이 10월 31일 연방대법 원 밖에서 소수인종 배려입학을 지지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한 여성이‘아시아인도 소 수인종 배려입학을 지지한다’는 팻말을 들고 있다. 시민참여센터) 30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맨해튼 북부에 있는 리버사이드 처치에서 대면 갈라를 진행했다. [사진 제공=시 민참여센터] 최고 63도 최저 48도 11월 3일(목)11월 2일(수) 최고 69도 최저 50도 1,451.66 1,401.74 1,440.60 1,412.80 N/A1,410.58 11월 1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11월 1일(화) 최고 66도 최저 54도 구름 맑음 2022년 11월 1일 제보화요일 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THEKOREANNEWYORKDAILYTuesday November 1, 2022 <제 5328호 > www.newyorkilbo.com 맑음 < 미국COVID-19 집계 : 10월 31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발표 > 99,360,56711,1811,095,254 6,419,0733,23873,062 2,796,7421,34634,904
미동부한인문인협회(회장
윌셔-하버드 지점(지점 장: 데이비드 리/ 3600 Wilshire Blvd., Suite 100-A, Los Angeles, CA 90010)이 31일 할러윈 데이를 맞이해 지점을 방 문하는 고객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 하고자, 치어리더 커스튬을 입고 고객 들을 맞이했다. 은행 업무를 위해 지점 을 방문한 고객들은, 뱅크오브호프 직 원들의 치어리더 복장과“해피 할러윈!” 인사에 반가워하며, 즐거운 마음으로 은행 업무를 봤다. 윌셔-하버드 지점 데이빗 리 지점장은“어려운 경제상황 에 서로가 서로를 응원하자는 마음으로 응원팀 복장을 준비했다. 고객에게 필 요한 뱅킹 서비스와 더불어,
뉴욕한국학교,
뉴욕한국학교(교장 박종권)가 10월 29일‘우리말 이야기대회’ 행사를 가졌다. 이야기대회는 한글날기념 행 사 중 하나로 10월 한달간 준비를 마친 학생들이 각 학년별 예선을 거쳐 치르는 결선대회이다. 이날 선발된 30여명의 학생들은 자신의 가족과 미래의 꿈을 비롯, 재미있 게 읽었던 동화 이야기를 들려주 며 향상된 우리말 실력을 뽐냈다. 어린 학생들은 여러 사람 앞에 서 발표하는 것이 긴장된듯 떨리 는 목소리로 발표를 하면서도 자 신의 꿈 경찰관, 레슬링 선수,
다”고 밝히며 가정에서도 한국어가 생 활화되어 나가길 바란다고 소망 했다. 이야기 대회 시상식은 12월 방학식에서 진행된다. △학교 문의: 김경희 교감 917-574-4658, Koreanschoo lny@gmail.com
민권센터와 플러싱식량지원협 의회 등이 10월 27일 플러싱 빈곤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커뮤니티 공청회를 플러싱 퀸즈도서관에서 열었다. 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플러 싱 커뮤니티 빈곤 실태와 주민들 이 피부로 느끼는 가난에 대한 설 문을 진행했다. 한국어, 광둥어, 힌디어, 스페인어, 우르두어 등 5 개 언어로 실시간 통역을 제공했 으며 저녁 음식과 함께 추첨으로 100달러 상품권도 제공했다. 이날 모임은‘가난에 대한 편 견을 없애는 플러싱 캠페인’의 일 환으로 펼쳐졌다. 민권센터는 여러 커뮤니티 단 체들과 함께“가난, 여러분이 알 고 있는 것과는 다릅니다”라는 주 제로‘Undo Poverty Flushing(플 러싱 빈곤 척결)’협의체를 구성 했다. 여러 옥외 광고를 비롯 다양 한 홍보가 진행되며 캠페인은 오 는 11월말까지 이어진다. △캠페인 웹사이트 undopovertyflushing.org ◆ 플러싱 긴급 식량 지원 =민 권센터와 플러싱식량지원협의회 는 매주 목요일 진행하는 플러싱 긴급 식료품 배급 활동도 이어가 고 있다. 10월 27일에도 300여 명에게 채 소와 과일 보따리를 전달했다. 한 인 노숙인 쉼터 세 곳에는 식량을 직접 배달한다. 식량 배급은 매주 목요일 오후 1시(플러싱 자유 유대교당 136-23 Sanford Ave 플러싱)에서 실시 된다. 등록은 오전 10시에 시작한 다. 등록한 주민에게 티켓을 주고, 티켓을 받은 주민들이 오후 1시부 터 음식물을 받을 수 있다. 민권센터는 온라인으로 플러 싱 식량 배급 활동을 후원하는 사 이트도 마련했고, 자원봉사자도 모집하고 있다. https://secure.givelively.org/ donate/minkwon-center-forcommunity-action-inc/helplow-income-families-influshing-become-food-securesupport-the-flushing-foodcollaborative-s-weekly-foodpantry △민권센터 후원과 활동에 대 한 문의는 전화(718-460-5600) 또 는 민권센터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_dEJxc K)에 가입 한 뒤 1:1 채팅으로 문 의하면 된다. “플러싱 식품 부족한 주민 너무 많다” 민권센터, 빈곤퇴치 운동…공청회 갖고 무료 식량 배급 뱅크오브호프
웃음도 함 께 선사하기 위해 즐거운 마음으로 동 참한 직원들에게 고맙다”고 말했다. 사 진 뒷줄 가운데 데이비드 리 지점장 뱅크오브호프, 할러윈 복장으로 고객맞이 민권센터와 플러싱식량지원협의회 등이 10월 27일 플러싱 빈곤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커뮤니티 공청회를 플러싱 퀸즈도서관에서 열었다.
노 려)가 2000년도부터 실시하고 있 는 고교생 한글 백일장이, 10월 27 일 뉴저지 팰리세이즈파크 고등 학교(한국어 교사 조정숙)와 28 일(금) 퀸즈에 위치한 프란시스 루이스 고등학교(한국어 교사교 사 권지선, 이지은)와 베이사이드 고등학교(한국어 교사 이재홍)에 서 각각 치루어 졌다. 참가학생들은 미국태생의 학 생에서부터 최근에 미국에 온 학 생들로 이루졌으며, 미동부한인 문인협회는 미국 거주기간을 참 고로 한글능력과 문학성을 평가 기준으로 삼아, 각 학교별로 1, 2, 3 등상과 장려상을 주었다.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팰리세이즈 고등학교 : 32명 참가 △1등: 이 에스더 (Esther Lee), 12학년 △2등: 최영훈 (Na Choi), 12학년 △3등: 지한비 (Melody Ji), 11학년 ▶베이사이드 고등학교: 21명 참가 △1등: 박윤선(Haiey Park), 11학년 △2등: 김혁중 (Hyeok Jung Kim) △3등: 이신지(Shinji Lee), 10학년 ▶프랜시스 루이스 고등학교: 29명 참가 △1등: 구나연(Janice Koo), 10학년 △2등: 이동훈 (Donghun Lee),11학년 △3등: 김 혜리(Huili Jin), 10학년 미동부한인문인협회, 고교생 한글 백일장 … 장원 3명 탄생 7일 실시한 뉴저지 팰리세이즈파크 고등학교 한글 백일장 [사진제공=미동부한인문인협회]
예 술가, 비행조종사, 의사, 판사 등 을 한국어로 또박또박 발표를 마 쳐 큰 박수를 받았다. 중등반과 고 등반 학생들은 동화책 이야기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어린 학생 들에게 들려줘 재미를 더했다. 박종권 교장은“대회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하고 능 숙한 우리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하게 된 것이 기쁘
한글날 기념 이야기대회“어렵지만 해냈어요” 우리말 이야기대회에 출전한 학생들이 자신이 들려준 이야기의 책과 소재를 보여주며 지도교사들과 함께 자리하고 있다. 민권센터와 플러싱식량지원협의회는 매 주 목요일 플러싱에서 긴급 식료품을 무 료 배급한다. 10월 27일에도 300여 명에 게 채소와 과일 보따리를 전달했다. [사 진 제공=민권센터] 우리말 이야기대회 결선에 출전한 중등 반 김지아 학생이‘내가 정말 사자일까’ 동화를 어린 학생들에게 들려주고 있다. [사진 제공=뉴욕한국학교] A2 TUESDAY,NOVEMBER 1, 2022종합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A112022년 11월 1일(화요일)
A12 TUESDAY, NOVEMBER 1,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