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22A

Page 1

중독 전문 상담사 자격증 시험 (AAPC, Alcohol Addiction Professional Counseling)이 10월 6일 뉴욕에서 실시됐다. 이 시험 에 합격하면 한국 보건복지부 산 하 직업능률개발원에 등록된 민 간자격증(등록NO 제 2016001281)을 받을 수 있다. AAPC자격 취득자는 미국 중 독 전문가 협회 NAADAC 국제 중독상담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응시 자격은 고졸 및 이와 동 등한 학력으로 총 100시간의 중독 관련 5과목(15학점)을 이수하고 약간의 중독 상담 관련 실습을 필 해야 한다. 교육 과정은 알코올 중독학, 중독 약물학, 중독 상담 윤리, 중 독 전인치유 1, 2급과 성경적 중독 상담 치료 (1급에 한함)가 포함 되어 있다. 강의를 통해 △인간이 왜 중독 물질에 노출되는가? △인간을 중 독시켜 폐인화 되게 하는 세상의 중독물질은 무엇이며, 어떤 성질 을 가지고 있는가? △중독은 어떻 게 예방하며, 이미 중독된 사람들 을 어떻게 치료해야 되는가? △중 독자와 함께 거주하며 고통 받고 있는 가족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 는가? 등을 배울 수 있으며, 중독 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는 방안 등 을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다. AAPC 과정을 통해 중독과 관 련된 예방, 치유 상담, 교육 등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 기술 등 을 습득 후 교회와 사회에서 중독 관련 사역을 통해 중독자들과 그 가족들의 회복을 도울 수 있게 된 다. 전세계적으로 확대 되고 있는 중독문제는 개인, 가정, 사회, 국 가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 다. 특별히 전문가로 활동하지 않 아도 중독 관련 지식, 정보, 기술 을 습득하고 준비한다면 가족이 나 주변인 중에 중독자가 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직업적, 자원 봉사적 차원에 서도 향후 전망이 밝다. AAPC는 한국의 새움평생 교 육원(대표 김도형 박사)이 주관 하고 미국은 뉴욕 더나눔하우스 (대표 박성원 목사)가 총괄한다. 특히 이 기관에서 배우는 성경 적 전인화 중독 치유 상담 방법은 현재 한국에서 수 많은 중독 자들 과 가족들을 치유시켜, 완치 이상 의 효과와 열매들을 증거로 가지 고 있다. △ 궁굼한 사항은 뉴욕 더나눔 하우스 /뉴욕 718-683-8884 박성 원 목사로 문의하면 된다. 중독 전문 상담사 자격증 받아“이웃 도웁시다” 뉴욕 더나눔하우스 대표 박성원 목사에게 문의하세요 민권센터는 지난 주말 LA에 서 열린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 의회(NAKASEC)와 언다큐블 랙 네트워크(UndocuBlack Network)이 준비한 2회 우리 우 지마’대회에 참여했다. 우리 우 지마’는 한국어와 아프리카 스와 힐리어로‘우리가 함께하는 일과 책임’이라는 뜻이다. 이날 70여 명의 한인과 아시 안, 아프리칸 이민자들이 모여 서 로 배우고 나누며 앞으로의 활동 계획을 세웠다. 우리 우지마’는 2018년 1회 컨퍼런스를 열었고, 그동안 코로 나19 팬데믹으로 2회 대회를 미뤄 오다 올해 열게 됐다. 참가자들은 백인 우월주의 폭력에 맞서 아시 안과 흑인이 서로 연대하며 모두 를 위한 미국사회를 만들어나가 기 위해 힘을 다하기로 다짐했다 민권센터 후원과 활동에 대한 문의는 전화(718-460-5600) 또는 민권센터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 dEJxc K) 가입 뒤 1:1 채팅으로 문의하 면 된다. 아시안+흑인 연대,‘공정한 미국’만들자 민권센터, 2회‘우리 우지마’대회 참여 뉴욕한인상공회의소(회장 김성권)는 18일 플러싱에 있는 삼원각식당에서 정기이사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성권 회장은 지난 9월 24일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LA 현지에서 마케팅 투자협약을 체결한 것에 대한 경과보고를 했다. 이날 23일(일) 열리는 뉴욕한인 회 주최 페스티벌에 경북도 5개기업과 함께 참여하는 것에 대한 이사들의 긴밀한 논의가 있었다. 이사회는 박상돈씨를 상임이사로 영입했다. 앞자리 왼쪽 박상돈상임이사,옆에 김성권 회장 그리고 이사들 [사진 제공=뉴욕한인상공회의소] 대뉴욕한인상공회의소 정기이사회… 박상돈 상임이사 영입 민권센터가 진행하는 무료 영어/시민교실이 5주째로 접어들었다. 18일 열린 영어/시민교실은 한인과 중국인 30여 명이 참여한 가운 데‘시민 참여 예산’에 대한 공부를 하며 영어를 배우는 자리가 마련됐다. 무료 영어/시민 교실은 민권센터 사무실에서 오는 12월 초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4시에 진행됐다. [사진 제공=민권센터] 민권센터 무료 영어/시민교실 5주째 강의…‘시민 참여 예산’강의 중독 전문 상담사 자격증 시험(AAPC, AlcoholAddictionProfessionalCounseling)이 10월 6일 뉴욕에서 실시됐다. 이 시험에 합격하면 한 국 보건복지부 산하 직업능률개발원에 등록된 민간자격증(등록NO제 2016-001281)을 받을 수 있다. [사진 제공=더나눔하우스] 민권센터는 지난 주말 LA에서 열린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와 언다큐블랙 네트워크(UndocuBlackNetwork)이 준비 한 2회‘우리 우지마’대회에 참여했다. [사진 제공=민권센터] 한인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24 시간 헬프라인 등 여러가지 프로 그램을 무료로 제공해 온 에스더 하재단(이사장 하용화)이 20일 (목) 오후 7시 제 8회 기금마련 갈 라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이 행사에는 모든 사람이 참여 가능하다. 갈라에서 올해의 성과 를 알아보고, 그동안 재단 활동에 참여했던 참가자들의 감동적인 소감을 들을 수 있다. 또 슈퍼스타K 에서 상위에 랭크되었던 크리스티나 러브 리 의 아름다운 음악도 감상 할 수 있다. 20일(목) 오후 7시(미 동부 시 간) https://vimeo.com/event/2 521434 사이트에 들어가면 시청할 수있다. △신청: 917-993-2377(문자메 세지) estherhafoundation1@ gmail.com 에스더하재단, 20일 제8회 기금마련 갈라 실시 에스더하재단 로고 A2 THURSDAY,OCTOBER 20, 2022종합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Perseverance: the persistence of doing something in spite of the arising obstacles and delays. Nowadays, most people consider perseverance in terms of utilizing determin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vicissitudes of life, which promotes character in the process. Others view perseverance as dedication in achieving goals. Both perspectives have their own merits.

But perseverance is not just a character trait of success, nor is it only a term applied to everyday life. Perseverance is a symbol of conquering fears, a pinnacle of concentrated endeavors, and a product of trust in the future.

It is hope that there will be a brighter tomorrow; it is hope that the tomorrow of today will begin anew with prosperity and opportunity.

This is the hope that diasporic Koreans have carried with them every step of the way in their arduous journey. This is the hope that diasporic Koreans embody each day. Perseverance is what a small, relatively unknown village in Antu County, Yanbian Autonomous Korean Prefecture epitomizes.

Yearning for home, diasporic Koreans brought their traditions with them—this is the story of the Jeongam Village (Hongqicun*) residents.

Today, all that remains to suggest the Korean diaspora that occurred decades ago is the existence of Jeongam Village and the bridge that once connected North Korea to China over the Tumen River. Worn down by the passage of time

and the forces of nature, the bridge today retains only half of its original length.

In 1938, ethnic Koreans were forced to immigrate to Antu County, Yanbian Autonomous Korean Prefecture, under Japan’s rule in order to cultivate the land and extract resources.

Though conditions were harsh and starvation was common,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refused to surrender to the treacherous circumstances against them; they ate whatever vegetation they could find and burned straw to ward off the cold.

When Korea was liberated in 1945,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were overjoyed, for

they thought that they could return home. Yet, with Korea divided and diplomatic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China at a standstill until 1992, many residents spent their last days in China, longing for the homeland they had been compulsorily estranged from.

Unwilling to resign themselves to their fate,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chose to make the most of their situation, just as they had more than five decades ago. They found solace through traditional cuisine recipes, which they had carried with them in their hearts. In this way, they assiduously kept the memories of their ancestral home alive.

Soondae, gochujang, and samgyeopsal—these are just a few of the dishes which the Jeongnam Village residents kept with them from Korea.

Nevertheless, these dishes did undergo changes in their ingredients due to the dearth of certain ingredients in Jeongam Village that were plentiful in Korea. For example, although soondae from Korea utilizes glass noodles derived from sweet potatoes as its filling, Jeongam Village soondae relies on sticky rice mixed with seonji and vegetables. Jeongam Village’s gochujang contrasts other gochujang in that yeot is added to boiled rice when the starch within the rice separates.

These iconic dishes enabled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to retain their traditional culture in a country vastly different from the home they had once known, representing their successful attempts at preserving their heritage.

Along with these traditional dishes,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created new dishes that influenced the cuisine of the country they took refuge in; because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were unable to grow rice due to the harsh, frigid climate, they took up corn as their main staple food. They developed a way to calculate harvest times for corn, allowing them to always have corn at hand after harvests.

Using corn,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made noodles, thus inventing corn noodles. Today, corn noodles is one of the most popular dishes in Yanbian. Known for its health benefits, corn noodles are eaten by people attempting to have healthier diets.

But for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corn noodles will always hold a special meaning to them. Once eaten as the only source of food there was, corn noodles today are a symbol of the progress these residents have made, as well as a reminder of the bitter, yet unforgettable past that they have persevered through; even if the centuries past,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will never relinquish their culture, preserving their homeland in any way they can.

Though these experiences may be unfathomable to us today, we cannot—we must not—we will not forget the harrowing struggles of the past of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To my audience today, I beseech you with a final message: We must strive forward with the past in mind to understand the lives of our ancestors and those around us in order to continue their legacy of perseverance.

Within our blood is the determination of our ancestors to venture into the unknown with the hope that wherever they find themselves will be the new soil where they can flourish.

More than anything, we must not forget these roots, for they are a connection too precious to forfeit in our lives. The history of our ancestors encompasses an immeasurable amount of our identity, spanning as far as the habits we have to the food we consume today.

As immigrants from other countries, we must— to some degree—remember that we are the product of both our environment and our past. Like the Jeongam Village residents, we can persevere through hardships, and rise anew from the ashes, forging a path wherever we are towards a greater future.

교육A4 THURSDAY,OCTOBER 20, 2022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한인 젊은이들‘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삶, 창조적 역할 모색 경기여고동창회 경운장학회, 제12회 고교생 영어웅변대회 수상작 발표 [13]
ChristinaWong
ChristinaWong(East-WestSchoolofInternationalStudies, NY11학년) Finalist(결선진출상)- JeongamVillage: ATaleofPerseveranceThroughtheAges (정암 마을: 세기에 걸쳐 이어진 끈기 이야기)
A112022년 10월 20일(목요일)
A12 THURSDAY, OCTOBER 20, 202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