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September 29, 2020 <제4690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
2020년 9월 29일 화요일
트럼프, 10년간 소득세“0” NYT, 소득신고 자료 폭로…“당선 뒤엔 연간 750달러 납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 령에 당선된 2016년과 그 이듬해 낸 소득세가 1천500달러에 그치 고 최근 15년 중 10년은 소득세를 한 푼도 안 냈다는 폭로가 나왔 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뉴스라 고 반박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7일20 여년 치 트럼프 대통령의 소득신 고 자료를 확보했다면서 그가 2016년과 2017년 연방소득세를 각 각 750달러 냈다고 보도했다. ▶ 관련 기사 A6(미국2)면 NYT는 해당 자료를 합법적인 경로를 통해 확보했으며, 2018∼ 2019년 기록은 포함되어 있지 않 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15년 사이 10년은 수입보다 손실이 크다고 신고해 연방소득세를 내지 않았 다고도 전했다. NYT는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 이 임기 첫 2년간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 있는 골프클럽 등 외 국사업체에서 7천300만달러를 받 았다고도 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 은 2017년 인도와 필리핀에 각각 14만5천400달러와 15만6천824달 러를 세금으로 내 미국에서 750달 러를 납부한 것과 대비를 이뤘다 고 NYT는 꼬집었다. NYT는“트럼프 대통령이 소 유·운영하는 기업들이 적자를
절세 노리고 이방카 미용비로 9만5천달러 반영 트럼프“가짜뉴스”… CNN“대선 중대한 시험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된 2016년과 그 이듬해 낸 소 득세가 1천500달러에 그치고 최근 15년 중 10년은 소득세를 한 푼도 안 냈다는 폭로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신고해 그가 셀러브리티로서 벌 어들인 수백만달러에 대한 과세 를 피했다” 고 주장했다. 신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은 진행자였던 리얼리티쇼‘어프 렌티스’ 와 각종 라이센싱·홍보 계약으로 2018년까지 4억2천740 만달러를 벌었다. 또 두 채의 건 물에 투자해 1억7천650만달러 수 익을 냈다. 이러한 수익과 미국에 서 재산 상위 1%에 적용되는 세 율만 고려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소 1억달러의 소득세를 내야 했 다는 것이 NYT 분석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1990년 대 초반 사업실패로 약 10억달러 의 손실을 봤고 그는 이를 2005년 까지 세금을 공제받는 데 사용했 다. NYT는“2005년부터 2007년 사이 트럼프 대통령은 라이센스 ·홍보계약으로 1억2천만달러 순이익을 거뒀고, 이에 부과되는 세금을 상쇄할 이전 시기 손실이
없어서 생애 처음 총 7천10만달러 의 연방소득세를 냈다” 고 설명했 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냈 던 연방소득세에 273만달러가량 의 이자까지 쳐서 돌려달라고 2010년 1월 국세청(IRS)에 요구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환급을 요구한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NYT는 2008년과 2009 년 트럼프 대통령 소유 기업에서 총 14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했다 고 신고한 것이 근거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세무당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세금환급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환급받은 돈으 로 창출한 이익을 환납해야 할 뿐 만 아니라 1억달러 이상의 벌금을 물어야 할 수도 있다고 NYT는 전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과 전용기, 머리손질 등에 사용한 개 인비용을 사업비용으로 처리해 세금을 줄였다고도 지적했다. 자 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어 프렌티스에 출연하는 동안 머리 손질에 7만여달러를 쓴 것으로 처 리돼 있었다는 것이다. 또 딸 이 방카 트럼프의 미용에 지출한 것 으로 기록된 금액은 최소 9만5천 464달러였다.
“서로 돕는 온정 한인사회 만들어 나가자” 뉴욕한인회 코로나-19‘사랑 나눔 릴레이 펀드’기금 10만달러 쾌척‘YT Hwang 패밀리 재단’동포에 호소 뉴욕한인회(회장 찰스 윤)가 지난 24일 코로나-19‘사랑 나눔 릴레이 펀드’모금 캠페인을 런칭 한 가운데 YT Hwang 패밀리 재 단과 익명의 한인 2세 기부자가 각각 10만 달러 씩를 기부했다. 이 에 뉴욕한인회는 총 20만 달러를 씨드머니로 범동포 차원의 코로 나-19 극복 기금 모금에 나선다. 코로나-19 사랑 나눔 릴레이 펀드 캠페인 런칭 소식을 접하고, 선뜻 기부의사를 밝힌 YT Hwang 패밀리 재단 황용태 회장 은“이 세상에 내 소유라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며,“뉴욕한인
회를 중심으로 다 함께 힘 모아 ▲ [황용태 회장 답변] 코로나 이 어려운 시기를 잘 극복해 나가 19 펜데믹은 어느 누구도 예상하 자” 고 당부했다. 지 못한 불행이다. 주변과 뉴스를 황용태 회장은“1.5세인 찰스 통해 어려운 분들이 많다는 얘기 윤 회장이 이끄는 뉴욕한인회가 를 들으면서 무언가 도움을 드려 한인사회를 하나로 묶는 구심점 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됐다. 찰스 역할을 잘 담당해 더 크게 도약하 윤 뉴욕한인회장이 현 동포사회 고, 큰 역량을 발휘하길 기대한 의 어렵고 참담한 상황에 대해 다” 고 말했다. ‘한인 동포들이 힘을 모아 함께 다음은 YT Hwang 패밀리 재 이 위기를 이겨나가자’ 고 깃발을 단 황용태 회장과의 일문일답이 들었는데, 그것이 기부하는 주요 다. 계기가 됐다. 이번 캠페인을 계기 - [질문] 코로나-19‘사랑 나눔 로 한인사회 기부 문화가 보다 정 릴레이 펀드’모금 캠페인 기부하 착해 모두가 한 마음으로 어려움 게 된 동기? 을 극복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YT Hwang 패밀리 재단 로고
고 생각한다. 더불어 찰스 윤 회 장이 캠페인 분위기를 잘 조성해 주어 고맙다. -‘기부’라는 행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 ▲ 기부는 나누는 것이다. 개 인적으로는 이 세상에‘내 소유’ 라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YT Hwang 패밀리 재단은 그런 의미 를 두고 출범했다. 이번 캠페인의 타이틀이‘코로나-19 사랑 나눔 릴레이 펀드’이다. 이번 캠페인 타이틀이 기부에 대한 내용을 압 축하고 있다. 기부는 어려운 사람
한때비
9월 29일(화) 최고 75도 최저 67도
비
9월 30일(수) 최고 71도 최저 58도
10월 1일(목) 최고 71도 최저 58도
흐림
9월 29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1,169.60
1,190.06
1,149.14
1,181.00
1,158.20
1,183.63
1,157.56
7,350,421 490,808
29,078 944
209,716 33,228
207,977
727
16,225
<9월 28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NYT 보도가“가 짜뉴스” 라고 반박했다. 그는 구체 적 설명 없이“세금을 냈다” 면서 관련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말했 다. 트럼프 대통령 가족기업인 ‘트럼프 그룹’(Trump Organization) 측도 NYT에 보도 와 관련“전부는 아닐지라도 대부 분의 사실이 부정확해 보인다” 면 서“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여년 간 연방정부에 개인세금 수천만 달러를 납부했다” 는 입장을 밝혔 다.
이에 NYT는 트럼프 그룹 측 이‘개인세금’ 이라는 용어를 쓴 점에 주목하며“개인세금에는 소 득세와 함께 사회보장연금·건강 보험금 등이 포함된다” 고 지적했 다. 대선을 한달여 앞두고 나온 이 번 보도가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도전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CNN 방송은 이 날 NYT 보도를 인용한 분석 기 사에서“이것은 중대한 시험대가 될 수 있다” 면서“대통령의 도덕, 행동, 애국심에 여러 의문을 제기 할 수 있다” 고 분석했다.
과 사랑을 나누는 것이라 본다. -평소‘기부’‘나눔’에 대한 철학은? ▲ 우리가 겪고 있는 모든 갈 등의 뿌리는 결국은 인문학과 연 결된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 해서는 본질을 추구하는 인문학 이 필요하다. 올해 우리 모두는 엄청난 재난을 겪고 있다. 이것은 결국에는 인간에 위협을 주는 것 이고, 생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YT Hwang 패밀리 재단도 올해는 다른 활동을 축소 시키고 이번 캠페인에 집중해서
지원하자는 공감대가 이사진 사 이에 형성됐다. 이 같은 어려운 상황이 계속된다면 이를 해결하 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사업을 해나가는데 원칙이나 좌우명은? ▲“남한테 피해를 주지 않는 다” 이다. 가훈도 그랬고, 성장하 면서 부모님과 형제들에게서 늘 배우고 느끼는 것이 이 말이다. 나는 이 말에 모든 것이 함축돼 있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남 에게 폐를 끼치는 상황을 가장 싫 어한다. <A3면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