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2622A

Page 1

24일 낮 12시 캘리포니아주 샌 프란시스코 시내 중심에 위치한 세인트 메리스 스퀘어. 수십층짜리 건물로 둘러싸인 이 광장 한편에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을 배경으로 3명의 젊은 여성 이 손을 꼭 잡고 있었다. 한 할머 니가 이를 바라보고 있었다. 한쪽에는“우리가 가장 두려 워하는 것은 우리의 이 아픈 역사 가 잊히는 것입니다”라는 글귀가 쓰여 있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군에 끌 려가 성적 착취를 당한 위안부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동상이었다. 3명의 여성을 바라보고 있는 할머 지는 31년전 위안부 존재를 처음 세상에 알린 김학순 할머니였다. 오후 1시쯤 위안부 기림비 앞 에는 150여명의 사람들로 꽉 찼 다. 올해는 미국 대도시에서는 처 음 위안부 기림비가 세워진 지 5 년이 되는 해였다. 이 기림비는 2017년 9월 건립 됐다.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에 샌프란시스코 의회에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돼 가능했다. 김진덕·정경식재단(대표 김 한일)이 건립에 앞장섰고, 중국과 필리핀 등 13개 커뮤니티도 동참 했다. 2019년 8월에는 남산에‘서 울 위안부 기림비’가 세워졌다. 이날 기념식에는 학생부터 어 르신까지 이곳에 거주하는 많은 한인들이 참석해 위안부 기림비 건립 5주년의 의미를 되새겼다. 캘리포니아주립대 몬트레이 베이에 교환학생으로 왔다가 참 석했다는 고하린(22) 씨는“한국 에서는 수요집회에 참석하곤 했 는데, 미국에서 기림비를 보니 또 다른 느낌이 난다”고 말했다. 기림비 건립에 힘을 보탠 중국 계 미국인 중심의 위안부 인권단 체‘위안부정의연대’(CWJC)와 필리핀인들도 자리를 채웠다. 또 기림비 건립에 도움을 준 샌프란시스코 주재 중국 총영사 와 샌프란시스코 시의회 의원 8명 들도 참석했다. 현지 미국인들도 눈에 띄었다. 미 앨라배마주에서 온 비비안 (74) 씨는“이곳을 지나가다가 동 상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며“과 거에 잔인한 일이 있었고 여성들 이 성노예처럼 취급을 당했다는 사실에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행사는 기림비에 대한 헌화와 묵념을 시작으로 참석자들의 발 언이 이어지며 2시간 동안 진행됐 다. 아직도 과거 역사에 대해 반성 하지 않는 일본 정부에 대한 비판 이 쏟아졌다. 여성과 인간의 인권 이 짓밟혀서는 안된다는 발언도 이어졌다. 무엇보다 참석자들은 위안부 기림비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 기며 힘없던 역사가 되풀이돼서 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한일 재단 대표는“5년 전 13 개 커뮤니티가 힘을 합쳐 오늘의 기림비가 세워졌다”며“아픈 역 사가, 위안부 여성들의 희생이 잊 혀져서도, 잊어서도 안된다”고 말 했다. “위안부 아픈 역사 잊지 말자”… 샌프란시스코 중심서 5번째 맹세 위안부 기림비 건립 5주년…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세인트 메리스 스퀘어 내에 세워진 위안부 기림비 모습. 샌프란 위안부 기림비 5주년 기념식…24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세인트 메리 스 스퀘어에서 위안부 기림비 건립 5주년 행사가 열렸다. “잊지 말자”위안부 기림비 건립 5주년…24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세인트 메 리스 스퀘어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비 건립 5주년 행사에서 김한일(오른쪽) 김진덕·정 경식재단 대표가 말하고 있다. 민권센터는 뉴욕한인문화패‘비나리’풍 물 강습을 시작한다. 풍물 강습은 △10월 12일부터 매주 수요일 오후 6시에 시작 하는 고등학생 이상 청년반과 △10 월 13 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4 시 30분에 시 작하는 중장년반으로 나뉘어 개최되며 총 9 회 진행된다.‘비나리’에 대해 자세 히 알고 싶으면 웹사이트 https://yo utu.be/mUp—OY4Uvw를 보면 된다. △참 가 문의와 등록은 민권센터 718-4605600 내선 304, 또는 이메일 (jubum.cha@minkwon.org). [사진 제공=민 권센터] 뉴욕한인문화패‘비나리’풍물 강습, 10월12, 13일 시작 1909년 창립된 미국종교학 회( AAR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차기 회장에 박진영 아메리칸대 교 수가 오른다. 종교학 분야로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 단체인 AAR는 8 천여 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 매년 11월 학회를 열고 학술 지(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도 발간 한다. 박 교수는 지난해 이 학회 부회장으로 선출돼 활동하고 있다. 부회장은 자동으로 차기 회장으로 1년, 회장으로 1년을 봉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11월부터는 차기 회장, 내년 11월부터는 1 년간 회장으로 직무를 수행한 다. 박 차기 회장은“이 학회에 서 동아시아계 종교학자가 회 장에 오르는 것은 113년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라며 특히 학 회의 주류가 기독교 신학자들 인데, 아시아계 여성 불교학자 가 차기 회장에 선출된 것은 이 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박 차기 회장은 연세대 영문 과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취 득했고, 1998년 뉴욕대에서 석 사,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학 에서 박사(비교 철학) 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워싱턴D.C에 있 는 아메리칸대 철학·종교학과 교수, 학과장으로 활동하고 있 다. 선불교와 화엄불교, 불교와 탈근대 철학의 비교철학, 한국 의 근대화와 불교 등의 주제로 글을 썼고,‘불교와 탈근대성: 선, 화엄, 그리고 불교적 탈근대 적 윤리학의 가능성’,‘한국 근 대 불교의 형성자들’,‘여성과 불교 철학’등의 저서를 냈다. 자랑스러운한인…“나는이렇게일한다” 미국종교학회 차기 회장에 선임된 박진영 아메리칸대 교수 협회 113년 역사상 아시아계 첫 선출 미국종교학회 차기 회장에 선임된 박 진영 아메리칸대 교수. 주미한국대사관과 한국 문화 체육관광부는 10월 한 달 동안 ‘한국문화축제 DC 2022’를 개최 한다고 24일 밝혔다. 한미 수교 140주년을 계기로 양국 간 문화를 통한 상호 이해와 교류를 확대하자는 취지로 워싱 턴DC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행사를 한다. 특별 개막공연‘국기원 태권 도 시범단 특별공연’을 시작으로 한지한복패션쇼 및 한지예술특별 전, 한국문학의 밤, 한국영화 상영 회, 세계은행·국제금융공사와 함께 하는‘한국전통문화의 날’ 주미대한제국공사관 특별전 초 대 주미공사 박정양 등 9개 행사 로 구성됐다. 특히 11월 1일에는 케네디센터 에서 한국 국립현대무용단과 미 국 워싱턴발레단이 함께 무대에 오르는‘한미 우호의 밤’특별공 연이 열린다. 행사 일정 및 참여 방법은 워 싱턴한국문화원 홈페이지 (www koreaculturedc org)와 소 셜미디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대사관, 10월 한국문화축제 한미 수교 140주년 맞아 ‘한국문화축제 DC2022’포스터 [사진 출처=주미한국대사관 제공] 종합2022년 9월 26일 (월요일) A3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A112022년 9월 26일(월요일)
A12 MONDAY, SEPTEMBER 26, 202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