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822A

Page 1

미국의 중간선거가 두 달 앞으 로 다가온 가운데 민주당 지지층 의 결집 현상이 공화당 지지층보 다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야후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유 고브와 지난 2∼6일 전국의 1천 634명의 등록 유권자를 상대로 조 사해 7일 공개한 결과(오차범위 ±2.6%포인트)에 따르면 중간선 후보자에게다.지지층은답한거에서‘확실히’투표하겠다고민주당지지층은48%였다.확실히투표하겠다는공화당45%로,3%포인트뒤졌만약오늘이선거라면어느당투표하겠느냐는질문 에는 전체 응답자의 45%가 민주 당, 40%가 공화당이라고 각각 답 했다.전체적으로 민주당이 유권자 의 표를 더 얻고 있는 데다 당락 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 나인 투표 확실층 역시 민주당이 앞서면서 일단 여당인 민주당이 조금은 유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이는수치다.지난 6월 연방대법원의 낙태 금지 판결이 선거 판세를 뒤 흔든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당 초 이번 선거에선 공화당이 압도 할 것이란 전망이 대세였다. 대법 원 판결이 여성 표심을 자극하고,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한 것이다. 실제로 대법원 판결 이후 보수 텃 밭인 캔자스주에서 낙태권 보호 조항을 삭제하는 주 헌법 개정안 이 부결됐고, 뉴욕주 19선거구 보 궐선거에서 낙태권 문제를 전면 에 내세운 민주당 팻 라이언 후보 가 공화당 후보를 눌렀다. 하지만 섣부른 판단은 이르다 는 지적도 나온다. 선거 판세를 가늠할 지표인 바 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이 상승 추 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40% 초중 반으로 낮고, 인플레이션으로 인 한 정권 심판론이 여전하기 때문 이다. 이번 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 의 지지율은 40%였고,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2%에 달했다. 여성 지지율은 41%, 남성 지지율 은 38%로 각각 나타났다. 또 1946년 이후 19차례의 역대 중간선거에서 1998년과 2002년을 빼고는 하원의 여당 의석이 줄었 고, 이 기간 상원 역시 13번의 선 거에서 여당 의석이 감소한 점도 민주당엔 불안 요소로 작용할 것 으로이번보인다.선거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지지를 선 언한 공화당 후보들이 대거 예비 선거에서 이기면서 바이든과 트 럼프의 대리전 양상을 띠고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기밀문건 유출 혐의 수사의 향배가 선거 판세에 적지 않은 영 향을 줄 것으로도 관측된다. 뉴욕주(州)가 7일 코로나19 사 태 발생 후 28개월간 고수했던 대 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를 해제했다.캐시호컬 뉴욕주지는 이날 회 견을 통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 다. 호컬 주지사는“현재 코로나 19로 인한 입원이 크게 줄었다”며 “이제 우리의 삶도 정상화돼야 한 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뉴욕시와 인근 지역 에 거주하는 1천500만 명의 주민 들은 뉴욕 메트로폴리탄교통국 (MTA)이 운영하는 지하철과 버 스를 마스크 없이 탈 수 있게 됐 다. 다만 뉴욕에서 운행하는 택시 는 이번 조치에서 제외된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 발생 당 시 가장 많은 피해자가 발생했던 뉴욕은 다른 지역보다 엄격한 방 역 조치를 유지했다. 뉴욕은 오미 크론 변이가 진정된 지난 3월부터 식당, 술집, 체육관, 영화관의 마 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중단했 지만, 대중교통에서는 의무화 조 치를 유지했다. 호컬 주지사가 대중교통의 마 스크 의무화를 해제한 배경 중 하 나는 11월 중간선거라고 뉴욕타 임스(NYT)는 지적했다. 뉴욕주의 강력한 방역 조치에 피로감을 느낀 유권자들을 의식 해 공화당의 리 젤딘 후보가 호컬 주지사를 겨냥, 대대적인 공세에 나선 상황이라는 것이다. 호컬 주지사가 대중교통 마스 크 의무화 조치를 해제함에 따라 코로나19 방역 조치는 선거 이슈 에서 덜 관심을 끌게 될 것으로 보인다.한 편 호컬 주지사는 회견에서 뉴욕 주민들에게 오미크론 변이 를 막기 위한 추가 백신 접종을 촉구했다. 뉴욕, 28개월 만에‘대중교통 마스크 착용’해제 중간선거 앞두고 민주 지지층 결집, 공화보다 두드러져 2020∼2021년도 캘리포니아대 (UC) 박사학위 취득자를 민족별 로 봤을 때 한인이 중국인 다음으 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UC 계열은 버클리, 로스앤젤 레스(LA), 산타바바라, 샌디에이 고, 어바인, 데이비스, 산타크루 즈, 리버사이드, 머시드 등 9개다. UC 시스템이 공개한 통계자 료에 따르면 2020∼2021년도 박사 학위 수여자 3천396명 가운데 한 인은 총 96명이다. 이는 백인을 제외하고 민족별 로 봤을 때 중국계 540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이다. 인도(77 명) 일본(55명)·필리핀(53명) ·베트남(43명)계가 뒤를 이었다. UC 계열 한인 박사 학위 수여 자는 2018∼2019년도 110명, 2019 ∼2020년도 104명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감소요인으로는 코로나19 팬 데믹 여파를 들 수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학사 학위 수여자는 한인을 포 함한 아시안 학생이 백인을 제치 고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계 2만9천936명, 백인 1 만9천568명, 히스패닉 1만6천622 명, 중동계 3천771명, 흑인 2천721 명 순이었다. 캘리포니아대 한인 박사 취득자 96명 중국인 다음 많아 야후뉴스 여론조사“투표확실층의 지지율, 민주가 공화 앞서” 바이든 지지율, 정권심판론, 바이든·트럼프 대리전 등이 변수 뉴욕주(州)가 7일 코로나19 사태 발생 후 28개월간 고수했던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 무 조치를 해제했다. 사진은 마스크를 쓰고 지하철을 타는 뉴욕시민들. 미국의 중간선거가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민주당 지지층의 결집 현상이 공화당 지지층보다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조 바이든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오른쪽) 2020 2021년도 캘리포니아대(UC) 박사학위 취득자를 민족별로 봤을 때 한인이 중국 인 540명 다음으로 많은 96명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UCLA대학 전경 [사진 출처=더 데 일리베스트닷컴] 뉴욕 주지사“코로나19 입원 크게 줄어… 삶 정상화돼야” < 미국COVID-19 집계 : 9월 7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발표 96,817,77140,3061,073,801>6,182,3064,46771,6492,687,4451,72634,584 최고 85도 최저 67도 9월 10일(토)9월 9일(금) 최고 82도 최저 65도 1,404.351,356.05 1,393.70 1,366.70 N/A1,364.97 9월 8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9월 8일(목) 최고 79도 최저 64도 흐림 흐림 2022년 9월 8일 제보목요일 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THEKOREANNEWYORKDAILYThursday September 8, 2022 <제 5283호 > www.newyorkilbo.com 맑음

민권센터와 전국한인권익단 체 그림의나누는시비온라인(금),숍링류미비(NAKASEC)가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9일(금)부터서청년들을위한스토리텔워크숍시리즈를시작한다.서류미비자스토리텔링워크시리즈는9월9일(금),16일23일(금)오후5시~6시30분줌으로실시한다.스토리텔링워크숍은서류미청년아시안들이모여미술과등예술로자신들의이야기를모임이다.워크숍의목적은새로운세대서류미비청년들이이야기와등으로자신들의열정과진 결정했다”다이아몬드롱아일랜드회(위원장산하동의소총연합회(총회장일경제재외동포재단(이사장외교부산하김성곤),매MBN과미주한인상공회황병구)공주관으로개최된다.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세계한상대회기업유치위원김현겸)는6일“뉴욕본사의키스그룹이스폰서로참여하기로고밝혔다.

실을 알리는 것이다. 워크숍 시리즈는 스토리텔링 에 대한 소개(9일), 함께 글을 쓰 고 그림을 그리는 작업(16일), 서 로의 작품을 나누며(23일) 워크숍 을 마친다.민권센터는“신분 때문에 어 려운 처지 속에서도 함께 이야기 를 나누면 힘이 솟아난다. 스토리 텔링 워크숍에 자녀들이나 주변 의 서류미비 청년들에게 참여를 권장해달라.”고 말한다. 민권센터는 또 워크숍을 함께 할 스토리텔러들도 모집리고 있 다. 경험이 없어도 된더, 민권센 터 전문가가 스토리텔링에 대해 가르쳐준다”며 참여를 당부했다. 등록은 bit.ly/UndocuStory telling을 통해서 가능하다. 민권센터, 9, 16, 23일 서류미비자 스토리텔링 워크숍 2023년 캘리포니아 오랜지카 운티에서 개최되는 제21차 세계 한상대회에 뉴욕 롱아일랜드에 본사가 있는 세계적인 한인 뷰 티기업‘키스 그룹’이 다이아몬 드 스폰서로 참여한다. 사상 처음으로 해외에서 열리 는 제21차 세계한상대회는 해외 동포경제단체 주최,

키스그룹은“미국에서 열리는 한상대회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데 일조하겠다”면서“전세계한인기업인들이모이는자리 에 미국에서 창업해 성장한 기업 의 적극적인 참여가 한인들의 위 상을높이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 하며 세계한상대회에 힘을 더하 기로 했다”고 스폰서 참여 동기를 한상대회밝혔다. 조직위원회는“더 많은 기업들이 한상대회에 참여, 한인기업의 브랜드 가치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 이라며 키스그룹의 참여에 감사 를 전했다.키스그룹은 전 세계 100여개 국가에서 미용 및 트리트먼트 분 야 제품을 판매하는 뷰티회사로 네일아트 및 속눈썹, 헤어제품 및 코스메틱을 포함한 뷰티 제품 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이다. 키스그룹은 1989년 뉴욕 퀸즈 에서 소규모 사업체로 시작해 30 여년만에 미 전역으로 진출한 뉴 욕 한인 대표기업의 하나이다. 키 스그룹은 특히 매니큐어의 경우 자체 브랜드를 개발 발전시켜 미 국내 CVS, Kmart, Rite Aid 등 에 입점시켜 현재 미 전역을 휩쓰 는 K-뷰티 파워의 원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제21차 세계한상대회는 2023 년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캘리 포니아 오랜지카운티 소재 애너하임 컨벤션센터에서 개 최된다. 최대 규모 뷰티기업‘키스그룹’,다이아몬드 스폰서 참여 대형 한인기업, 세계한상대회 성공 선도한다 2023년 캘리포니아 오랜지카운티에서 개최되는 제21차 세계한상대회에 뉴욕 롱아일랜드에 본사가 있는 세계적인 한인 뷰티기업 ‘키스 그룹(KISSGroup)’이 다이아몬드 스폰서로 참여한다. 키스그룹은 8월15일 NFBS협회 행사에 참가한 약 200명의 뷰티업계 소 상공인 사업주들을 초대해 뉴욕 시내 관광과 본사 투어 및 저녁 만찬 행사를 성공리에 진행했다. [사진제공= 키스그룹] 서강대학교 뉴욕동문회가 모 교 심종혁 총장 초청 동문 설명회 를 3일 오후 6시, 뉴저지 포트리에 있는 더블트리호텔에서 열었다. 이 자리에는 보스턴동문회, 필라 델피아동문회 소속 동문들도 먼 길을 달려와 참석했다. 심종혁 총장(가톨릭 에수회 신 부)는 2021년 16대 총장으로 취임 한 후 처음으로 미주지역 동문을 만나기 위해 대외부총장, 총동문 회 부회장과 함께 미국을 방문하 고 뉴욕을 시작으로 워싱턴DC, 샌프란시스코, LA를 방문하며 각 지역동문들을 만날 예정 이다. 심종혁 총장은 이날“ 멀리 떨 어져 있어도 모교 발전을 위해 후 원해 주는 동문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한편, 서강대가 한 국 최초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설 립,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LINC3.0) 선정, SK하이닉스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설립 등의 성과들을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서강대 뉴욕동문회, 심종혁 총장 뉴욕방문 환영연 서강대학교 뉴욕동문회가 모교 심종혁 총장 초청 동문 설명회를 3일 오후 6시 뉴저지 포트리에 있는 더블트리호텔에서 열었다. [사 진 제공=서강대 뉴욕동문회] 미주한인노숙인 비영리전문 기관 더나눔하우스(대표 박성원 목사)를 돕는 손길이 계속 이어지 고 있다. 배제고등학교 뉴욕 동창회(회 장 유규현)는 2일 더나눔하우스 를 방문, 21명의 가족들을 더바삭 식당으로 초대하고 돈가스 점심 을 제공했다.유 규현 회장은“많은 한인들 이 코로나19로 살기가 더 힘들어 지는 이때에 나보다 더 어렵고 힘 든 환경에 처해 있는 더나눔하우 스 쉘터에서 지낼 수 밖에 없는 분들에게 따뜻한 사랑의 밥 한그 릇이라도 나누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더나눔하우수를 찾아왔 다, 부디 다시 정성의 생활을 찾 기 바란다”위로와 격려를 전했 다. 더나눔하우스는 잠 잘 공간을 잃어버린 한인들에게 무료 숙식 을 제공하여 자립의 통로가 되어 나가도록 돕는곳이다. 한인노숙 인들의 쉘터 구입을 위해 기금을 모금 중에 있는 더나눔하우스는 한인들의 관심과 사랑이 간절하 다. 모금후원이나 식사후원, 봉사 로 협력하기를 원하는 한인, 교회, 기관, 단체는 박성원 목사에게 연락하면 된다. △쉘터 구입 후원 문의: 박성 원 목사 718-683-8884 nanoomhouse9191@gmail.co m 배재고 동창회, 더나눔하우스 가족들에 점심 대접 배제고등학교 뉴욕동창회 유규현 회장(오른쪽)이 2일 더나눔하우스(대표 박성원 목사, 왼쪽) 가족들에게 점심식사를 대접했다. [사진 제공=더나눔하우스] 민권센터는 9월 9, 16, 23일 서류미비자 스토리텔링 워크숍을 실시한다. A2 THURSDAY,SEPTEMBER 8, 2022종합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Records have shown Koreans immigrating to Japan for hundreds of years. When Korea was annexed by Japan, only several thousand Koreans were living in Japan. But, the largest expansion of the Korean population in Japan comes after the labor shortages in the 1920s. During this time, Japan’s economy was struggling and they lacked labor. Koreans looking for work took advantage of this and immigrated to Japan. These immigrants got jobs in manual labor since many were previously farmers with little or no education. Korean workers often got lower wages and lived in poverty. By the time World War II begins, Japan is in need for even more labor. The Japanese government brings over 700 thousand Koreans to work in mines, factories, and as soldiers. Life for the Korean immigrants is full of poverty and hardship. An estimated 239 thousand Koreans are injured or killed after serving for Japan in WWII, and up to 30 thousand more are killed in Hiroshima. Beyond that, Koreans are forced to adapt to Japanese life whil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The Korean population in Japan, known as the Zainichi, slowly lose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nd adapt a Japanese one. Of all the Zainichi, sixty-three percent were born in Japan and forty-three percent of them grew up only speaking Japanese. As time goes on, Ethnic Koreans lose more and more of their rights, they lose voting rights, citizenship status, and are restricted from all Japanese jobs. Through the injustice and struggles of the Zainichi, the group Zainichi Chosenjin Sorengokai or Soren is founded. Soren’s goal was to end discrimination, aid Koreans, and engage in homeland politics. In addition, Soren contributed to maintaining a Korean identity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history. Soren’s schools prepared its students for their eventual return to Korea, and by the 1950s, it had reached virtually every Korean across Japan. By the end of the 1960s, Soren’s repatriation project reunited over 90 thousand Koreans back to their home country. After enduring initial struggles, Koreans were able to preserve a connection to their heritage and country through Soren. During World War I, Japan’s trade thrived as Europe was no longer producing goods. But, immediately following the end of WWI, Japan suffered a retrenchment due to the dramatic drop in the price of goods. During the 1920s, Japan’s economy fell and the need for labor increased. The introduction of the Korean workforce aided the recovery of the Japanese economy. With a significant boost in labor, Japan was able to produce and export an increased amount of goods. To me, learning about the Korean experience during the diaspora has opened my eyes to the hardships and challenges that Koreans had to overcome. It also shows the necessity to protect and keep a close cultural identity. After reading and hearing incredible stories of the determination and perseverance of Koreans, it fills me with my own determination and perseverance. Currently, in the US, Koreans and Asians as a whole are experiencing hate and racism. While injustice and discrimination cannot be solved overnight, I believe through our strength and determination, we can conquer this barrier we are faced with.

한인 젊은이들이‘한인 디아 스포라’의 삶의 창조적 역할을 심 각하게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경기여고 대뉴욕지구 동창회 (회장 원유리) 산하 경운장학회 (회장 안미상)는 미국에서 자라는 한인 젊은이들에게 한국에 대해 공부할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2011년부터 한국의 역사, 문화, 인 물을 주제로 하는 영어웅변대회 를 개최해 오고 있는데, 올해 제12 회 대회가 4월 30일(토) 오후 1시 부터‘줌’을 통한 화상대회로 열 렸다.경운장학회는 올해 제12회 대 회 주제를‘세계 속의 한국인 디 아스포라’로 내걸었다.“우리 함 께‘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 라’를 생각해 보자. 현재 세계 각 나라에 760만 명의 한인 이민자들 이나 한국인들이 살고 있다. 한국 인이 어떻게 세계 속으로 흩어져 서 살게 되었으며, 각 정착지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어떤 공헌을 하 며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어떻 게 지키며 살고 있을까? 그들이 조국을 위해 무슨 일을 어떻게 해 야할까?”한인청소년들에게 한반 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한국이 2020년대를 현명하게 대처해 나 아갈 수 있는 길을 생각할 수 있 는 기회를 주자는 의도에서였다. 참가 대상은 9~12학년 학생이다. △웹사이트 https://www.ksc holarship.org 한인 젊은이들‘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삶, 창조적 역할 모색 경기여고동창회 경운장학회, 제12회 고교생 영어웅변대회 수상작 발표 [7] AlexanderLee(NeedhamHS, MA10학년) 3rdPrize(3등상) : TheResilienceofKoreaninJapan(일본 속 한국인의 끈기) AlexanderLee 재일본대한민국민단(재일민단)은 1946년 재일조선거류민단 설립으로 시작돼 일본에 거주하는 동포들의 권리 증진 및 번영뿐만 아니 라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서도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다. 민단은 70년간 지문날인 철폐운동과 같은 민족적 차별 반대운동, 재일동포 의 법적지위 보호운동 등을 통해 50만 재일교포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해 왔다. 또한 6·25 전쟁 참전, 88올림필 후원활동, IMF외화송 금 운동 등 모국의 발전을 위해 공헌했다. 사진은 1947년 민단창단 1주년 기념식. [사진 출처=민단 제공] 재일 한국인들은 정치적·법적 권익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 1994년부터 지방참정권 획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진은 1993년 재일민단 소속 부인회 회원들이 전국적으로 개최한 지방참정권 획득 궐기대회 모습. [사진 출처=민단 제공] A4 THURSDAY,SEPTEMBER 8, 2022교육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A112022년 9월 8일(목요일)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