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122A

Page 1

미국인 기대수명이 신종 코로 나 바이러스가 만연했던 2021년 과 지난해 연속으로 줄었다고 AP 통신이 인로회했고10개월서에2020년10개월이었던처음이라고속인용해월(CDC)의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잠정보고서를인용해830일보도했다.통신은CDC관계자의말을미국인기대수명이2년연단축된것은1960년대초이후지적했다.보고서에따르면2019년78년미국인기대수명은77년으로짧아졌고지난해다시76년1개월로떨어졌다.작년여성기대수명은80년에약간못미쳤던한해전보다줄어들어79년을조금상남성은74년에서73년으1년줄었다.수십년간계속높아지던미국기대수명은상승추세가꺾여 1996년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기대수명이 3년이나 줄어든 것은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0년 대 초에 대폭 줄어든 사태와 비교 된다. 기대수명은 아기가 태어나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연 수로 그해 사망률을 근거로 산출 한다.통상적으로 기대수명은 건강 을 토대로 한 특정국 국민의 복지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읽힌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선진국 클 럽으로 불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의 평균 기대수 명은 80.5년이다. 한국은 83.5년, 일본은 84.7년에 달한다. 미국인 기대수명 하락의 최대 원인은 코로나19 대유행이다. 약 물 과다복용과 관련된 사고로 인 한 부상이 두 번째로 큰 요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약물 과다복용 으로 사망한 미국인은 10만 7천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인 기대수명 하락은 인종 별로 차이가 커 북미, 알래스카 원 주민의 지난해 기대수명은 65년 으로 팬데믹 이후 무려 6년 6개월 이나 줄었다. 같은 기간 아시아계 미국인의 기대수명은 2년 주는 데 그쳐 지난해 83년 6개월이었다. 원주민 다음으로 기대수명이 많 이 준 인종은 백인, 그다음은 흑인 이었다.지난해 백인 기대수명은 전년 보다 1년 줄어든 76년 5개월, 미국 흑인은 8개월 줄어든 70년 10개월 이었다.2020년 무려 4년이나 줄었던 히스패닉의 지난해 기대수명은 77년 7개월로 한 해 전보다 2개월 줄었다. 기대수명이 인종별로 편차를 보이는 이유는 보건의료 서비스 접근과 백신 접종률, 소득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 고 있다.인디언계 미국인들처럼 소득 이 적은 경우 코로나19 사태가 최 악인 상황에서도 계속 일을 해야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자살률이 증가한 것도 기대수명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고 보고서는 밝혔다. 지난해 스스 로 목숨을 끊은 미국인은 전년과 비교해 약 2천 명 많은 4만 8천 명 이었다. 미국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2020년 13.5명에서 지난해 14.1명으로 많아져 2018년 수준으 로 되돌아갔다.미국인자살률은 2000년대 초 부터 2018년까지 계속 높아지다 가 2019년 조금 떨어졌고 코로나 19 사태 첫해인 2020년 조금 더 떨 어졌다.전문가들은 지난해 자살률이 하락한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 초 기인데다 자연재해 등 국가적 재 난이 계속되면서 국민들이 단합 하고 상부상조한 것과 관련이 있 을 것으로 봤다. 코로나19 방역규제 완화로 공 공장소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 는 이들이 늘자 고령자, 유아, 면 역력 저하자의 감염 위험이 더 커 졌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8월 30일대다수보도했다.미국인이 이제는 코로 나19 사태가 끝났다고 생각하지 만 이들 취약층 입장에서는 여전 히 코로나19가 무서운 존재라는 것이다. 위스콘신대학 병원 의료국장 인 재니나 스미스 박사는 건강이 극도로 취약해진 이들을 위해 공 중보건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망 각한다는 게 감염병 전문가로서 당혹스럽다”고 미국의약협회에말했다.따르면 면역 력이 정상이 아닌 미국인은 약 700만 명에 이른다. 이들은 암 환 자나 장기 또는 줄기세포를 이식 받은 사람, 어떤 유전적 결함이 있 거나 면역 억제 처방을 받은 사람 들이다.스미스 박사는 최근 몇 달 새 장기이식 환자들이 다시 코로나 19에 걸린 경우를 많이 봤다면서 그중 한 사람은 두 번째로 코로나 19에 감염돼 이식받은 장기를 잃 게 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환자들은 취약한 사람 의 생명에 아랑곳하지 않고 마스 크를 쓰는 것조차 꺼리는 추세에 괴로워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백신 보급과 더 나은 치료법 개발 때문에 코로나19의 위험이 대유행 초기보다 덜 심각한 것은 보건계의 일반적인 관측이다. 그 러나 스미스 박사와 같은 의료 전 문가는 취약층의 감염 위험을 고 려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올해 4월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착 용 의무를 해제한 뒤 면역력이 떨 어진 사람들은 바깥출입이 더 어 려워지고 가디언은있다.고령자들 역시 방역 규제 완화 뒤 더 큰 위험을 더 느 끼는 계층으로 주목했다. 올해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사 망한 미국인 14만6천여 명 가운데 77%가 65세를 초과한 이들인 것 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아직 끝난 것 아니다 미국인 기대수명 또 단축… 2년간 3년 줄어 76세1개월 OECD평균 80.5년… 다른 선진국보다 눈에띄게 짧아 뉴욕한인변호사협회(회장 강 진영)는 뉴욕한인회(KAAG NY), KCS 뉴욕한인봉사센터, KCC 한인동포회관과 함께 매달 첫번째 화요일 정기 무료 법률상 담을 비대면 전화를 통해 실시하 고 있다.9월법률상담은 6일(화) 오후 4시에서 8시 사이 남창희 Kris Kim, Danny Kim 김형석, 최재 은 변호사가 담당한다. 상담 예약을 원하는 한인들은 9월 5일(월) 오후 1시까지 뉴욕한 인변호사협회 법률상담 핫라인 이메일 kalagny probono@ gmail com로 연락하거나, 833525-2469(833-KALAGNY)으로 전화하여 1번을 누른 후 전화번호 와 간략한 상담내용을 남겨 놓 rjsk 링크되어 있는 상담서를 작 성하면 6일 담당 변호사가 직접 전화해 무료 상담 할 수 있다. 뉴욕한인변호사협회, 9월 6일 무료 전화 법률상담 원인은 코로나19·약물과다 투약·자살 증가 등 의심 코로나19 방역규제 완화 요구하는 뉴욕 시민들코로나19 백신 의무화 반대 시위(2022년 1월 23일) 마스크 벗자 고령자·유아 등 취약층 위험 급증 면역 비정상 700만명… 일부 바깥출입 겁내기도 < 미국COVID-19 집계 : 8월 31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발표 96,347,97171,3341,071,420>6,156,0013,69371,5492,676,9322,29734,562 최고 83도 최저 71도 9월 3일(토)9월 2일(금) 최고 81도 최저 66도 1,374.031,326.77 1,363.60 1,337.20 N/A1,335.57 9월 1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9월 1일(목) 최고 86도 최저 63도 맑음 흐림 2022년 9월 1일 제보목요일 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THEKOREANNEWYORKDAILYThursday September 1, 2022 <제 5278호 > www.newyorkilbo.com 흐림

엘렌 박 뉴저지주하원의원실 은 29일 뉴저지 주지사실이 주관 한 웹비나에 참석했다. 이날 주지 시실은 기존에 연방, 뉴저지 주정 부에서 지원한 코로나 지원금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주는 일명 ENJF(Excluded New Jerseysians Fund)의 접수기한을 금년 9월 30일까지 연장한다고 밝 히고, 몇가지 주의사항을 당부했 다. 뉴저지주 복지부는“많은 신 청자들이 기본적인 이름, 전화번 호, 이메일 등의 정보 제출에서 많은 오류를 범한다.지원서를 제 출하기 전에 꼭 꼼꼼히 확인해서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고 당부했다.주지사실은“기존의 신청과정 에서 복잡함을 최대한 간소화하 여 지원자들의 어려움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번 ENJF 기금은 한 가정 소 득이 연 5만5,000달러 미만이어야 하며, 개인당 최대 2,000달러 혹은 가정당 최대 4,000달러 미만이 되 어야 한다. 특히 이번 기금은 체류 신분 등을 이유로 기존 혜택을 받지 못 하는 불법체류자에게도 해당된 다. 지원서류에 대한 정보는 다”더라도택을데니티에공을약된다.ments/index.shtml)를services/excludednjfund/docu이트(https://nj.gov/human웹사참고하면엘렌박의원은“저의주요공중하나였던지속적인정보제앞으로도꾸준히한인커뮤지속적으로알려나가는최선을다하겠다”며,“이미혜받거나조건에해당되지않주변에꼭알려주길바란고당부했다.△엘렌박주하원의원실문의:(201)928-0100AswPark@njleg.org 민권센터가 함께 활동하는 제도로이의정의연맹(Adoptees원으로q5U널은nakasec1994https://www.youtube.com/user/튜브즈관심을(NAKASEC)가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미‘왜아시안들이가져야하나’비디오시리두번째‘입양인시민권’을유채널에올렸다.△NAKASEC유튜브채널은이다.△‘입양인시민권’유튜브채https://youtu.be/5ry5z4gE이다유튜브에는NAKASEC의후입양인들이만든입양인forJustice)활동가타네카혜월제닝스등출연하여부당한시민권취득입양인들이겪고있는어 려움을 설명하고‘입양인 시민권 법’제정을 통한 해결책을 제시한 다. 비디오는 영어로 만들어졌지 만 화면 오른쪽 밑 톱니바퀴 표시 를 누르고 자막을 한국어로 선택 해 볼 수 있다. ◆ 의회는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NAKASEC 페이스북 kasec)(https://www.facebook.com/na과인스타 그램 akasec/),(https://www.instagram.com/n트 위 를(https://twitter.com/nakasec)터 팔로우 할 것을 권하고있다. NAKASEC 비디오 시리즈에 서는 커뮤니티 주민, 활동가, 노동 자, 서류미비자, 지지자, 연대 활 동가 등이 여러 주제와 이슈에 대 해 대화를 나눈다. 발표자들은 문 제를 지적하고 해결책을 제시하 며, 왜, 어떻게 아시안 커뮤니티가 영향을 받고 있는지 조명한다. 그 리고 아시안 커뮤니티 주민들이 모두의 앞날을 위한 활동에 참여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 시안의회(NAKASEC)는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한인과아커뮤니티의사회, 경제, 인종 정의를 이루기 위해 활동한다. NAKASEC 네트워크는 민권센 터(뉴욕), 하나센터(일리노이), 함께센터(버지니아), 우리센터 (펜실베이니아), 우리훈또스(텍 사스)로 구성돼 있다.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 비디오 시리즈‘입양인 시민권’방영 뉴욕한인봉사센터(KCS, 회장 김명미)는 KCS 올더 어덜트 센 터(OAC, Older Adult Center)와 8월 30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플러싱 먹자골목(Barton and 149 St. Murray Hill, Flushing)에서 다양한 KCS의 프로그램과 정보 를 홍보하기 위해 열린 공간 / 열 린 축제를 개최했다. 이날 300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는 민권센터, 뉴욕가 정상담소(KAFSC), 뉴욕한인상 록회, NYU Health, NYC Sanitation, YWCA, 샌드아 웅 뉴욕시의원 등이 참여하여 시민 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이날 존 리우 뉴욕주 상원의 원, 에드워드 브런스틴 뉴욕주 하 원의원이 축제를 방문하고 주최 측을 치 KCS는하했다.“행사를 개최하는데 큰 도움을 준 뉴욕시 노인국 (Department for the Aging)과 NYC DOT, Asian American Federation, 특히 무더운 날씨에 도 불구하고 행사에 동참한 많은 주민들에게 감사 드린다.”고 말했 다. 뉴욕한인봉사센터, 열린 공간 / 열린 축제 300여명 참여 뉴저지주, ENJF혜택 지원 신청 9월30일까지로 연장 “코로나 지원금 못 받은 주민 신청하세요” “KCS잘 활용하면 삶이 풍성해집니다” 뉴욕한인봉사센터는 8월 30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플러싱 먹자골목에서 다양한 KCS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홍보하기 위해 열린 공 간 / 열린 축제를 개최했다. 이날 300여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사진 제공=KCS] 뉴욕을 중심으로 경제인과 화 가로 활동하고 있는 정재건 전 뉴 욕한인경제인협회장(민주 통 뉴욕협의회 전 회장)이 서울에서 열리는“KIAF SEOUL 2022 & FRIEZE SEOUL’ 전시회에 출품정했다. 재건 작가는“올해로 21주년 을 맞는 KIAF SEOUL 2022 는 세계적인 전시회 중 하나인 영국 의 FRIEZE 와 9월 2일부터 6일 까지 서울 강남 COEX에서 공동 개최하게 됨으로써 아시아 미술 마켓의 중추적 전시회로 도약하 게 됐다.”고 소개했다. 정재건 작 가는 이번 전시회에 Epoxy Resin과 Enamel, Acrylic을 사용 한 구상 추상등 14점을 전시한다. 정재건 작가는“KIAF SEOU L 2022에는 한국의 160개 화랑이 참여하고 있고, FRIEZE 서울에 세계 110개 화랑이 참여하고 있 어, 전시회를 관람하면 전세계의 유명작가들과 컬렉터, 화랑들의 동향과 세계에술시장의 흐름과 트랜드를 한눈에 볼수있는 기회 가 된다.”고 말했다. 정재건 작가,‘KIAFSEOUL2022전에 14점 출품 전시회에 출품한 정재건 작가의 작품. 'AUTUMNinHIDEAWAY, NY’ EnamelPaintonAluminum24 x18 in2022 엘렌 박 뉴저지주 하원의원 주민들이 줄지어 각 기관의 홍보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뉴욕한인경제인협회 전 회장> 종합2022년 9월 1일(목요일) A3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Every language has a story dictated by the people and their culture: one that includes its origin, evolution, and future. As the Korean diaspora spread past the peninsula, their language grew and changed with them. The term Koryo-Saram refers to the ethnic Koreans of post-Soviet Central Asia, notably in Russia, Uzbekistan, Ukraine, and Kazakhstan. Their story is one of brutal oppression fueled by racism and is a prime example of hard work and tight family history. It is a story of immigration and the unique culture and legacy that follows. Fueling their story, like the wick in the candle of their history, I see their language but not in the way that one mightActivatedexpect. by wars at the end of the Lee dynasty, Koreans began migrating to Russia and the Far East. Endless hardship fueled an increasing rate of immigration, with numbers of Koreans in these areas reaching over a hundred thousand in the 1920s. They stayed together in their new home, fostering communities and maintaining culture in a new land. Koreanlanguage institutions like newspapers, schools, and theater thrived, and many described daily life as hardly varying from Korea. Yet, despite standing high in the Communist party and contributing as Soviet citizens, they could not escape their Korean identity. Trouble arose with Stalin and Japanese colonialism. Russia’s relationship with Japan after the Russo-Japanese War resulted in AntiKorean laws that took land and jobs from the Koreans.Stalin feared that the thousands of Korean immigrants were spies for Japan based solely on their race. Ironically, Japan was the reason many had fled to the Soviet Union in the first place. The deportation of the Russian Koreans, the Koryo-Saram, was the first of multiple in a series of ethnic cleansing by Stalin. Deemed “unreliable people,” one hundred eighty thousand Koreans were deported by October of 1937. Regardless of class, they were hounded from their homes, corralled into unsanitary freight trains for over four weeks, and carted five thousand miles from their homes to the foreign lands of Central Asia. On the journey alone, many died of malnutrition, illness, or from the dirty environment, their bodies discarded in theOncesnow.arriving, some were dropped in isolated wastelands while others were left to work in barracks with armed guards without an escape. Many dug holes in the ground for shelter while others lived off of aid from locals. In the depth of a harsh winter and inhumane conditions, 40% would not survive the first year. Those who did survive joined Soviet community farms or started their own. Many were successful and thrived even in the infertile land and harsh weather. Growing famous for their efficiency and prosperity, communities in the forced settlements were able to form. However, they remained inferior citizens. They could not leave their republics, study science, or join the army. In addition, the Soviet government forced the Korean language to be taught as a second language after Russian. In 1945, it ceased to be taught entirely, effectively stripping the language from an entire generation in a way that it could notStalin'srecover.death in 1953 reversed these policies and soon the Koryo-Saram became prominent members of society. Many fled farms for urban life and would pursue degrees at an astonishing rate. Even as they assimilated, Korean traditions remained, and remain, a part of the distinct rituals of the Koryo-Saram. With local influences, traditional Korean first birthdays, wedding ceremonies, funerals, and many more, have become a melting pot of Korean and local culture.TheKorean language developed and similarly evolved with the Koryo-Saram. Distinct and almost unrecognizable from the South Korean dialect, Koryo-Mar presents itself as a combination of varying Korean dialects in Northeastern Korea and elements from Uzbek andItRussian.isaunique result of their culture and situation. Today, with no written form or presence in media and education, the dialect is classified as endangered. Those who do speak Koryo-Mar reserve the language for family settings and most do not consider Korean to be their native tongue. And while the loss of such a historically rich and powerful language is devastating, I don’t believe this means that the Korean youth of Central Asia are renouncing their culture, because they aren't. It can be seen that they remain interested in their heritage and identity with interest growing as older generations pass on. I view them as challenging the idea that language is a necessity of culture and opening a new chapter in the story of the Koryo-Saram’s language. I see myself, a second-generation Korean immigrant who doesn’t speak Korean, and other Korean-American youth in this narrative. We are not Korean, we are Korean-American, a unique experience that isn’t any less attached to the evolving Korean culture than one might find growing up in Korea. In researching the Koryo Saram, I felt empowered that I don’t need to feel constrained in my identity as a Korean-American who speaks broken Korean. I mourn the loss of language, but I do not mourn the loss of my family’s history and culture. I feel secure in the pride and spirit that comes with that identity. I hope someday soon to speak Korean fluently, but until then, I know that I am not less Korean because of it. Rather, I choose to wear that title proudly as a representation of the sacrifice and beauty of my family history and the future it holds.

한인 젊은이들이‘한인 디아 스포라’의 삶의 창조적 역할을 심 각하게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경기여고 대뉴욕지구 동창회 (회장 원유리) 산하 경운장학회 (회장 안미상)는 미국에서 자라는 한인 젊은이들에게 한국에 대해 공부할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2011년부터 한국의 역사, 문화, 인 물을 주제로 하는 영어웅변대회 를 개최해 오고 있는데, 올해 제12 회 대회가 4월 30일(토) 오후 1시 부터‘줌’을 통한 화상대회로 열 렸다.경운장학회는 올해 제12회 대 회 주제를‘세계 속의 한국인 디 아스포라’로 내걸었다.“우리 함 께‘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 라’를 생각해 보자. 현재 세계 각 나라에 760만 명의 한인 이민자들 이나 한국인들이 살고 있다. 한국 인이 어떻게 세계 속으로 흩어져 서 살게 되었으며, 각 정착지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어떤 공헌을 하 며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어떻 게 지키며 살고 있을까? 그들이 조국을 위해 무슨 일을 어떻게 해 야할까?”한인청소년들에게 한반 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한국이 2020년대를 현명하게 대처해 나 아갈 수 있는 길을 생각할 수 있 는 기회를 주자는 의도에서였다. 참가 대상은 9~12학년 학생이다. △웹사이트 https://www.ksc holarship.org 한인 젊은이들‘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삶, 창조적 역할 모색 경기여고동창회 경운장학회, 제12회 고교생 영어웅변대회 수상작 발표 [6] Arabelle Park (Homestead High School, CA 10학년) 3rd Prize(3등상) : An Immigrant’s Voice(이민자의 목소리) Arabelle Park 고려인(高麗人)의 강제 이주( 强制 移住)는 소비에트 연방 정부가 연방 내의 고려인을 중앙아시아 등지로 대규모 강제 이주시킨 일로, 1926년에 고안되어 1930년에서 1937년까지 시행되었다. 흔히 소련에서 이루어진 첫번째 민족 강제 이주 정책으로 여겨진다. 1937년 10월 소련 극동 지방에 사는 거의 모든 고려인(171,781 명)이 중앙아시아의 척박한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되었다. A4 THURSDAY,SEPTEMBER 1, 2022교육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A112022년 9월 1일(목요일)

A12 THURSDAY, SEPTEMBER 1, 202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