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행정부는 24일 1인 당 최대 2만 달러의 대학 학자금 대출을 탕감해주기로 했다. 바이 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연설을 통해 이런 방침을 밝혔다. 미 정부는 소득액 12만5천 달 러(부부 합산 25만 달러) 미만 소 득자의 경우 1만 달러의 학자금 대출을 탕감해주기로 했다. 또 연방 정부의 장학금인‘펠 그랜트’(Pell Grant)를 받은 이들 이 융자받은 대출금에 대해서는 2 만 달러까지 채무를 면제하기로 했다.저소득층의 대학 진학을 돕기 위한 제도인 펠 그랜트 수혜자는 약 600만 명으로 알려졌다. 미 정부는 현재 가처분소득에 서 기본 생활비를 뺀 금액인 재량 소득의 10%까지를 학자금 대출 상환액으로 징수할 수 있지만, 이 한도를 5%까지로 낮췄다. 아울러 지금은 대출금을 20년 이상 갚고 잔액이 1만2천 달러 이하일 때 남 은 대출금을 탕감할 수 있지만, 이 기준이 되는 상환 기간을 10년으 로 단축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3월부터 학자금 대출 상환 을 유예한 제도가 이달 말 종료되 지만, 이를 연말까지로 연장했다. 상환 재개 시기를 7번째 연장한 것이다.현재 대학 학자금 대출 잔액은 1조7천500억 달러에 달하고, 이 중 1조6천억 달러가 연방 정부의 대 출 프로그램에서 실행됐다. 미 당국은 이날 발표된 방안에 따라 4천300만 명이 혜택을 보고, 2천만 명은 학자금 대출 상환 부 담에서 완전히 벗어날 것이라고 추산했다.또탕감액의 90%가량은 연 소 득 7만5천 달러 미만자에게 혜택 이 돌아갈 것으로 예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학자금 대출 부채를 떠안은 세대를 돕기 위한 것이라며“이 부담이 너무 무거워 서 대학을 졸업하더라도 한때 대 학 학위 보유자가 누렸던 중산층 수준의 삶에 접근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대학 학자금 대출 탕감은 바이 든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외신들은 이번 방안이 역대 최 대 규모의 학자금 대출 탕감이라 면서,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 고 젊은 층과 진보 성향 유권자의 표심을 의식한 것이라는 해석도 내놓았다.공화당은 이번 조처가 인플레 이션을 부채질하고 성실하게 대 출을 갚은 사람들과의 형평성문 제도 있으며 납세자들을 더욱 어 려운 상황에 둘 것이라고 비판했 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 대표는 이번 정책을‘학자금 대출 사회주의’라고 표현하면서 대학 에 가기 위해 저축한 이들, 대출액 을 모두 갚은 이들, 학자금을 위해 군에 입대한 이들에 대한 모욕이 라고바이든비난했다.대통령이 의회를 통과 한 입법이 아니라 대통령 권한인 행정명령을 통해 이 정책을 시행 한 것을 두고 과도한 권한행사라 는 지적과 함께 법적 분쟁에 휘말 릴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대출금 1만 달러 탕감 시 2천300억 달러의 비 용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며 펠 그 랜트 수혜자까지 포함하면 이 금 액은 더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1인당 최고 2만 달러 학자금 대출 탕감 천정부지로 치솟던 미국의 집 값이 하락세로 돌아섰 모기지(주택담보대출)다. 소프트 웨어·데이터 분석회사인 블랙 나이트는 24일 지난달 미국의 주 택 가격이 6월보다 0.77% 떨어졌 다고이는밝혔다.3년만에 첫 월간 집값 하 락으로, 0.77%의 하락폭은 지난 2011년 1월 이후 11여년 만에 가장 크다고 CNBC방송이 전했다. 7월 기록으로는 지난 1991년 이후 두 번째로 큰 하락폭이다. 최근 31년 동안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이었던 2010년을 제외하면 올해만큼 7월 집값이 내려간 적이 없었다는 뜻이다. 지역별로는 새 너제이(-10%), 시애틀(-7.7%), 샌프란시스코(-7.4%), 샌디에이 고(-5.6%), 로스앤젤레스(4.3%), 덴버(-4.3%) 등 주로 서부 도시들의 집값이 지난달 많이 하 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앞서 미 부동산중개인협회 (NAR)도 7월 기존주택 중위가격 이 40만3천800달러로 역대 최고가 였던 6월보다 1만 달러 하락했다 고 발표한 바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너무 높아 진 집값과 최근 모기지 금리 급등 세가 맞물리면서 수요를 식힌 것 이 집값 하락 전환의 배경으로 분 석된다. 수요자들이 집을 사고 싶 어도 매수 자금을 마련하기 어려 워졌기 때문이다. 연초 3% 정도에 불과하던 30 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지난 6월 6%를 돌파했고, 지금도 5.75%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블랙나이트 조사 결과 미국인 들의 주택 구입능력은 30년 만에 가장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국에서 집을 사려면 계 약금 20%를 지불하고 나머지를 30년 고정 모기지로 대출받는다 는 전제하에 중위 가계소득의 32.7%를 지출해야 하는데, 이는 코로나19 사태 직전보다 13%포인 트 급증한 수준이라고 블랙나이 트는 전했다. 지난 25년간 평균치 는 23.5%다. 앤디 월든 블랙나이트 부사장 은“7월 데이터는 주택시장이 중 요한 변곡점에 이르렀다는 명확 한 증거”라면서 주택시장이 중 립적인 계절로 넘어가고 있어 앞 으로 추가 가격 조정이 곧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집값 3년만에 첫 하락… 2011년 이후 최대폭 모기지 금리 올라… 주택구입능력 30년만에 최저 바이든 대통령은 24일 1인당 최대 2만 달러의 대학 학자금 대출을 탕감해주기로 했다 고 천정부지로발표했다.치솟던 미국의 집값이 지난달 6월보다 0.77% 떨어졌다. 사진은 매물로 나 온 한 단독주택 대출금 상환유예 연말까지 연장… 2천만명은 상환부담서 완전 해방 중간선거 표심 겨냥 해석 공화당”인플레 압력”비난 PCB뱅크는 23일 뉴저지 팰리세이즈파크 지점(201 Broad Ave) 개점식을 갖고 본격 영업에 들어갔다. PCB 뱅크는 뉴욕과 뉴저지 일원 에 퀸즈 베이사이드점, 뉴저지 잉글우드클립스점에 이어 세번째 지점을 갖추게 됐다. 헨리김 행장은 지속적으로 한인사회와 함께 발 전해 나갈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인사말을 전했다. 이날 열린 개점식에 참석한 각계 인사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PCB뱅크 뉴저지팰리세이즈파크 지점 개점 < 미국COVID-19 집계 : 8월 24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발표 95,734,08481,5321,067,549>6,126,4924,07371,4032,661,8732,18734,497 최고 86도 최저 72도 8월 27일(토)8월 26일(금) 최고 87도 최저 73도 1,359.171,312.43 1,348.80 1,322.80 N/A1,321.24 8월 25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8월 25일(목) 최고 91도 최저 74도 흐림 흐림 2022년 8월 25일 제보목요일 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THEKOREANNEWYORKDAILYThursday August 25, 2022 <제 5272호 > www.newyorkilbo.com 흐림





















장애인이나 입원 환자 등, 거 동이 불편한 이웃들을 직접 찾아가 수준 높은 연주회를 제공하는문화 복지 비영리 기관‘이노비 (EnoB: Innovative Bridge)’가 24일 오후 3시 생의 마지막을 보 내고 있는 환자들을 찾아가 재즈 콘서트로 위로와 힐링의 시간을 선사했다.브롱스에 있는 캘버리 호스피 스 병원 Calvary Hospital (1740 Eastchester Road, Bronx, NY 10461)은 말기 암환자 등 생의 마 지막 단계를 보내는 환자들이 입 원한 곳으로 100여년의 역사를 가 진 호스피스 전문병원이다. 이노 비는 이곳에서 9년째 아웃리치 콘 서트와 플라워힐링클래스등 다양 한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하고 있 다. 이번 공연은 오랫동안 이노비 를 통해 봉사해온 재즈 기타리스 트 정재영씨가 음악감독을 맡아 진행했다. 이날 보컬과 피아노에 유혜림과 베이스에 요시키 야마 다, 드럼에 유코 토가미등 뉴욕에 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재즈 뮤지 션들이 함께해 밝고 신나는 재즈 곡들로 환자들과 가족 등 간병인 분들에게 힐링의 시간을 선사했 다. 이 행사는 재외동포재단, 뉴욕 총영사관이212-239-4438enobinc@gmail.com△이노비후원했다.후원문의: 이노비, 호스피스 병원 환자 위한‘찾아가는 음악회’ 재미한국학교 동북부 협의회 (회장 강성방)가 주최하는 제10회 역사문화 체험캠프가 20일 뉴욕 프라미스 교회에서 열렸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한 역사 문화체험캠프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온라인으로 진행해오다 3년 만에 일일캠프 형식으로 대면캠 프가 진행되어 많은 학생들이 참 가했다.이번 캠프는‘역사 박물관 구 경갈래?‘라는 주제로 고조선부 터 조선까지각 나라별 박물관을 통해 한국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 며 고조선 단군 신화 동굴, 고구려 3D무용총, 신라화랑 모자, 백제 3D대향로, 발해 온돌, 고려 자개 목걸이, 조선민화 부채, 한지 청사 초롱, 측우기 모형 등 한국에서 계 속 공수해 운 교구들을 이용한 다 양한 체험활동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또 역사퀴즈와 전통놀이 마당 비빔밥을 활용한 한식체험마당을 통해 우리의 문화를 즐겁게 접하 는 시간도 가졌다. 타임머신을 타고 옛 선조들의 삶 속으로 돌아간듯한 이날 캠프 는 참가 학생, 강사, 보조교사, 간 호교사, 집행부임원 및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 에 끝마쳤 캠프에다.참가했던 독도반의 한 학부모는 아이가 캠프에 다녀와 서 단군 신화 이야기를 가족들에 게 들려주고 정말 재미있어서 다 시 가고 싶다고 했다”면서“미국 에서 살면서 제대로 한국 역사를 가르치기 쉽지 않은데 좋은 캠프 를 알게 돼서 행복하다. 이 캠프 가 지속해서 있기를 기대한다. 고 후기를 전해줬다. 제10회 역사문화체험캠프는 재외동포 재단 후원, 국립고궁박 물관의 협찬으로 8월 13일 뉴저지 소망교회, 8월 20일 뉴욕 프라미 스 교회에서 성황리에 끝났다. [기사·사진 제공=재미한국학교 동북부 협의회] 재미한국학교 동북부협의회 제10회 역사문화체험캠프“신나고 유익” 타임 머신 타고 옛 선조들의 삶 속으로… 한국 역사·문화, 선조들의 얼과 지혜 배워 다양한 체험활동·전통놀이 마당·한식체험 타임머신 타고 선조들의 삶 속으로 조선 민화 그리기 ‘이노비’가 24일 오후 브롱스에 있는 캘버리 호스피스 병원에 입원해 있는 말기 암환 자 등을 찾아가 재즈콘서트로 위로와 힐링의 시간을 선사했다. 이날 보컬과 피아노에 유혜림과 베이스에 요시키 야마다, 드럼에 유코 토가미등 뉴욕 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재즈 뮤지션들이 함께해 밝고 신나는 재즈곡들을 선사했다. [사진 제공=이노비] 강사진. 오른쪽부터 백영숙(롱아일랜드한국학교), 강윤희(참빛한국학교), 최덕희(뉴저지프라미스한국학교), 류수연(롱아일랜드한국 학교), 김경순(롱아일랜드한국학교), 오선민(뉴저지프라미스한국학교), 이기정(신광교회한글학교), 박지연(세빛한국학교), 배선정(만모 스한국학교/세빛한국학교), 윤준희(한소망한국학교) 발해 온돌 공부 종합2022년 8월 25일(목요일) A3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한인 젊은이들이‘한인 디아 스포라’의 삶의 창조적 역할을 심 각하게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경기여고 대뉴욕지구 동창회 (회장 원유리) 산하 경운장학회 (회장 안미상)는 미국에서 자라는 한인 젊은이들에게 한국에 대해 공부할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2011년부터 한국의 역사, 문화, 인 물을 주제로 하는 영어웅변대회 를 개최해 오고 있는데, 올해 제12 회 대회가 4월 30일(토) 오후 1시 부터‘줌’을 통한 화상대회로 열 렸다.경운장학회는 올해 제12회 대 회 주제를‘세계 속의 한국인 디 아스포라’로 내걸었다.“우리 함 께‘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 라’를 생각해 보자. 현재 세계 각 나라에 760만 명의 한인 이민자들 이나 한국인들이 살고 있다. 한국 인이 어떻게 세계 속으로 흩어져 서 살게 되었으며, 각 정착지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어떤 공헌을 하 며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어떻 게 지키며 살고 있을까? 그들이 조국을 위해 무슨 일을 어떻게 해 야할까?”한인청소년들에게 한반 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한국이 2020년대를 현명하게 대처해 나 아갈 수 있는 길을 생각할 수 있 는 기회를 주자는 의도에서였다. 참가 대상은 9~12학년 학생이 다. ◆ 12회 대회 어떻게 진행됐 나? = 경운장학회는 12회 대회를 위해 2021년 11월 대회를 공고하 고 2022년 1월 16일까지 경운장학 회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참가 신청서를 접수, 2022년 2월 20일까 지 원고를 제출받아 심사를 해 왔 다. 예선 원고 심사 결과 미전역 과 캐나다 지역의 16명의 학생이 통과했다. 30일 대회에는 이 16명 의 학생들이 줌을 통해 영어 웅변 을 했다.이번 대회에는 뉴욕·뉴저지 인근 주는 물론 매사추세츠, 텍사 스, 캘리포니아, 캐나다, 인도에서 까지 출전자가 있었고 비한인도 있었다. 이들은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한국의 근대사를 스스 로 연구하며 왜 한인 디아스포라 가 생겼으며 2, 3, 4, 5 세대가 흐른 뒤의 그들의 정체성과 모국 한국 을 향한 연대감, 앞으로의 역할 등 을 고민했다. ◆ 입상자 △ 대상: Kyunggi Girls HS AA-GNY 장학회상(1,200 달 러)- Sean Woo(Millburn High School, NJ 11학년)- ‘멕시코와 쿠바의 한국인 디아스포라’ △ 1등상: Tahn-Ahm YongKu Cho (장학금 1,000 달러) Roy Park(Regis High School, NY 11 학년)- ‘정(情)’ △ 2등상: PL 장학금(500 달 러) Adrija Jana(Mahadevi Birla World Academy, INDIA 12학년)- ‘우정의 역사 인도 의 한국인 커뮤니티 △ 2등상: Jason Copeland (Democracy Prep Harlem High School, NY 11학년)-‘희망의 가능△성’3등상: Osam 장학금 (300 달러) Kate Godunov(Stony Points High School, TX 11학 년)- ‘사람 소비엣트 한국인 을 들여다 보다’ △ 3등상: Arabelle Park( Homestead High School, CA 10 학년)-‘이민자의 목소리’ △ 3등상: Alex Lee(Needham HS, MA 10학 년)- ‘일본 속 한국인의 끈기’ △장려상: (장학금 200 달러)Megan Yi(Tenafly HS, NJ 11학 년)-‘브라질의 한국인들’ △장려상: Zachary No(Rancocas Valley Regional High School, NJ 11학년)- ‘한 국계 미국인들의 미래의 목소리’ △장려상: Benjamin Lee(Needham HS, MA 12학 년)-‘충돌하는 문화 대 결합하 는 문화’△Research Award(연구상, 장학금 500 달러): Kate Godunov(Stony Points High School, TX 11학년)- ‘사람 소비엣트 한국인을 들여다 보다’ △연구상: Catherine Park(Ward Melville High School, NY11학년)- ‘핍박받은 자들 두 핍박받은 민족의 예기 치 않은 연관성’ 이 대회는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뉴욕한인회, 뉴저지한 미교육자협의회, 뉴욕한인교사 회, 재미한국학교 동북부협의회 등이뉴욕일보는후원했다. 입상자들의 원고 를 해마다 전문 연재한다. 경운장학회 영어웅변대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들어가https://www.kscholarship.org에웹사이트보 면 된다. 한인 젊은이들‘세계 속의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삶, 창조적 역할 모색 경기여고동창회 경운장학회, 제12회 고교생 영어웅변대회 수상작 발표 [5] KateGodunov(StonyPointsHighSchool, TX11학년) 3rdPrize(3등상) & ResearchAward: Saram; AnInsightIntoSovietKoreans(사람–소비엣트 한국인을 들여다 보다) KateGodunov 구 소련 지역의 한인들을‘고려인’이라 부르는 근거는 1917년 연해주 조선인들이 결성한 정치조직‘고려족회’(高麗族會)와 1918년 만들어진‘한인사회당’산하 군사조직명이‘고려적위군’이었던 것이다. 그 다음해에는‘고려인동맹’이라는 노동자 해방조직도 결성 되었고, 1921년 이르쿠츠크에서 창당한 혁명당은‘고려공산당’이란 이름을 갖고 있었다. 연해주를 비롯하여 구 소련권 지역의 한인 들이 자신들을 지칭하기 위해‘고려’라는 명칭을 택했다. 사진은 1928년 7월 30일 원동고려교원강습회 [사진 출처 =서울대학교 아시 아연구소 중앙아센터] 경기여고 대뉴욕지구 동창회 산하 경운장학회 주최 제12회 영어 웅변대회가 4월 30일 오후 1시부터 줌을 통한 화상(비대면, virtual)대회로 열렸다. [사진 제공=경기여고 대뉴 욕지구 동창회 경운장학회] A4 THURSDAY,AUGUST 25, 2022교육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Koryo-Saram. A label composed of two Korean words, meaning Korean people, used to describe Koreans in post-Soviet Russia and Central Asia. With the Hallyu Wave on the rise, more and more people are becoming aware of and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However, many aren’t familiar with the stories of Koreans who have left their homeland in search of new beginnings. Unsung are the tales of Koreans in Soviet Russia and Central Asia, full of hardship, perseverance, and self-searching. In the 1860s, Russian czars had begun opening up the Far East and Siberia to settlement in order to develop the land. A trickle of Korean immigration had begun at this time but skyrocketed in 1869 due to a poor harvest and famine in Korea. They took up occupations as fishers, miners, and silkworm breeders which proved to be successful economic ventures.
Although they lived alongside Russians, whose customs and ideologies vastly differ from their own, Koreans had been able to preserve their identities in these foreign lands by sticking together in villages, similar to modern Chinatowns in America. Language and traditions were passed down to their children, newspapers were written in Korean, and delicious recipes from generations before were commonly eaten. Overall, Koreans were able to build a better life for themselves without losing their sense of identity.Thelast major wave of Korean migration towards Russia would be from 1917 to 1923. This was the result of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in 1910 and a failed uprising in 1917. Koreans felt unsafe under Japanese rule due to the horrid treatment they endured. Many escaped Japanese camps and fled to Russia. At the time, however, Russia was going through its own revolution. The Bolshevik Revolution. Countless Koreans, hopeful for land and citizenship, fought alongside Soviets in the Red Army. They contributed major efforts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m in the area. Many became officers in the military, gained land, and became Soviet citizens.Though their contributions vastly secured the state of the Soviet Union, one person completely disregarded this effort. With his racist and paranoid mindset, Joseph Stalin falsely accused Soviet Koreans of being spies for the Japanese. He claimed that Koreans “looked too much like the Japanese enemy” and were a liability to the Soviet Union. This led to the vile mass deportations of Koreans to Central Asia in 1937. Many men were executed for supposed treason. Koreans were forced into packed cattle cars like actual cattle. Thousands of women and children died of illness and famine during the deportation. Upon their arrival in modern-day Kazahkstan and Uzbekistan, they were met with poor conditions. Many, yet again, perished due to starvation and weather conditions. The monetary aid they were promised by the Soviet government never came to fruition. Kind locals in Uzbekistan and Kazakhstan aided as much as they could, despite having little possessions themselves. Although Koreans were thrown such tremendous obstacles, their perseverance and hardwork allowed them to create wonders out of nothing. The nearly infertile lands they sat upon became fields of lush crops through irrigation methods the Koreans used. Through hard work, countless climbed the ranks of the government and became Soviet heroes. In World War Two, Koreans fought alongside the allies and took down Nazis. During this era, more Koreans began pursuing higher education. By the 1970s, the number of college graduates among Koreans was double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During Stalin’s reign over the Soviet Union, he instated a school system that primarily taught the Russian language. Slowly but surely, Koreans began to lose their language, and as a result their culture, as they were surrounded by people and institutions that only spoke Russian. In the modern-day, Central Asian/Post-Soviet Koreans are learning to regain parts of their culture that were lost to them. Many contemporary visual and musical artists today, like Jenia Kim and Igor Ten, explore their roots through their work. Ms. Kim’s clothing line, J.KIM, explores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dress and modernizes it in an artful way. The stories of these Koreans provide us with many lessons we can learn from. For one, we cannot tolerate ignorance. Ignorance and hatred resulted in the vile mass deportations of Koreans in the 1930s that still impact their descendants to this day. Impacts that leave their children playing catch up with their own identity. Second, when faced with adversity, we can rise above our station to provide ourselves and our children with a better life. When thrust upon foreign, nearly barren lands, Koreans managed to build their lives from the ground up. They turned deserts into lush, crop fields. That hard work and perseverance is something we can all admire and implement within ourselves. Finally, culture and language is a vital part of our identities. Being connected to one's own culture brings a sense of self-identity and fulfillment to our lives. Besides staying connected with our own culture, we must also learn about each other to better understand the people around us. If we keep these three messages in mind, we can better ourselves and the world we live in.





A112022년 8월 25일(목요일) 이 광고는 유료 광고 입니다. 이 광고의 내용은 본사에서는 인정하지도 부정하지도 않는 유료광고일뿐임을 알려드립니다


A12 THURSDAY, AUGUST 25,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