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삶이 고통스럽다고 느 끼는 미국인들의‘고통지수’가 사 상 최고치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 다. 갤럽이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 일까지 미 전역의 미국인 3천649 명을 상대로‘생활 평가 지수’를 조사해 22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 면 자신의 현재 및 미래의 삶이 고 통스러울 정도로 나쁘다고 답한 미국인은 5.6%로 나타났다. 이는 갤럽이 관련 지수 평가를 시작한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 치다.지금까지 최고치는 지난 4월의 4.8%였다.생활평가 지수는 척도를 0∼10 까지 두고 자신의 삶이‘번창하고 있다’,‘고군분투 중이다’‘고통 스럽다’3가지로 나뉜다. 현재와 5년 내 미래의 삶 모두 의 척도를 4 이하로 답한 사람은 고통으로, 현재 삶이 7 이상이고 미래 삶이 8 이상이라고 답한 사람 을 번창하고 있는 것으로 각각 분 류한다. 번창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된 미국인은 51.2%로, 18개월 만의 최 저치이자 지난해 6월 59.2%로 최 고치에 이른 이후 계속해서 감소 하고번창하고있다. 있다는 응답은 2008 년 11월 금융위기 때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인 2020년 4월 각각 46.4%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정당 지지층별로 볼 때, 자신의 삶이 고통스럽다는 미국인은 민주 당과 공화당 지지층 모두 5.4%로 나왔고, 번창하고 있다는 답변도 민주당(53.0%)과 공화당(52.2%) 지지층 모두 비슷했고, 무당층은 47.7%였다.생활평가 외에‘스트레스와 걱정 지수’에서는 자신이 스트레 스를 경험하고 있다는 미국인은 48%로, 1년 전의 43%에서 다소 올 랐다.다만 이는 대유행 시작 시기인 2020년 3월의 60%보다는 낮은 수 치다.매일 걱정하고 있다는 답변은 42%였는데, 이는 1년 전의 38%보 다 상승했지만 2020년 3월의 59% 보다는갤럽은낮았다.“이번 고통 지수는 처 음으로 5%를 넘어섰으며, 이는 미 국 성인의 약 1천400만 명에 달한 다”며“경제 상황이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또“지난달 52만8천 개의 일자 리 증가에도 여전히 높은 물가 탓 에 갤럽의 경제 신뢰지수는 2009 년 이후 최저점을 기록했다”고 말 했다. 뉴욕주 연방하원의원과 뉴욕 주 상원의원 본선거에 공천할 민 주당과 공화당의 후보를 선출하는 예비 선거가 오늘(23일) 실시된다. ◆ 연방 하원의원 예비선거 = 23일 예비선거에서 연방 하원의원 6선거구의‘한인의 며느리’그레 이스 맹 후보는 민주당 내 경쟁자 가 없어 무투표로 승리가 확정, 11 월 본선거로 직행한다. 한인들과 가까운 5선거구의 그레고리 믹스 연방하원의원도 경쟁자 없이 승리 가 확정 맨해튼됐다.한인타운을 포함하는 12 선거구에서는 캘로린 멀로니, 제롤드 내들러, 수라지 파텔 후보 가 3자 대결을 쳘치고 있다. 여론 조사에서 제롤드 내들러 후보가 1 위를 차지했다. ◆ 뉴욕주 상원의원 선거 = 뉴 욕주 상원의원 선거에서는 한인들 과 친한 16선거구 존 리우 의원과 11선거구 토비 앤 스타비스키 의 원 역시 민주당 내 경쟁자가 없어 승리를 확정 지었다. 이들은 11월 8일 본선거에서 공화당 후보들과 경쟁하게 되는데, 민주당 세가 워 낙 강해 무난한 승리가 예상된다. ◆ 연방하원의원 3선거구 = 23 일 선거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선 거구는 연방하원 3선거구 이다. 3 선거구는 베이사이드, 리틀넥 등 퀸즈 북동부와 롱아일랜드 나소 카운티를 포함하고 있어, 한인 유 권자들이 많은 지역이다. 3선거구는 친한파 톰 수오지 연방하원의원이 뉴욕 주지사직 출 마로 사직했기 때문에 현역의원이 없는‘무주공산’이다. 따라서 민 주당 후보가 난립하고 있다. 민주 당 전 위원회 위원이자 홍보 임원 으로 활동해온 로버트 짐머맨 (Robert P Zimmerman), 나소카 운티의회 최연소 인물로 선출됐던 조시 라파잔(Josh Lafazan), 노스 햄스테드 수퍼바이저 존 카이만, 여성 사업가 리마 라술(Reema Rasool), 커뮤니티 주요 행사 주 최자 멜라니 디 아르지오 (Melanie D Arrigo) 후보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그레이스 맹 연방하원의 원과 린다 이, 샌드라 웅 뉴욕시의 원은 로버트 짐머맨 후보를 공식 지지 선언을 하고 나섰다.. 유권자들은“뚜렷한 후보가 없 고 공약도 비슷하고 결정적 쟁점 이 없어 누구를 찍어야 할지 고민 이다”는 여론을 보이고 있어 한인 들의 투표 참여가 당선에 결정적 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 다. ◆“한인 표가 승패 결정 한다 는 것 보여주자!”=선거전이 안개 속으로 진행되자 한인사회 주요 인사들은“3선거구의 양상은 한인 들에게 좋은 기회 이다. 한인밀집 지역에서 한인들의 표심이 당선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며 한인들의 투표를 독려하 고 있다.한인 리더들은 21일 플러싱 노 던 블러바드155 스트리트 레너즈 광장에모여 23일 실시되는 뉴욕주 예 비선거 투표 참여 독려를 위한 가 두 캠페인을 전개했다. [뉴욕일보 8월 22일자 A1면-“한인 유권자 모두‘꼭’투표합시다! 투표율 낮 아 1표가 10표 효력 있을 것”제하 기사 참조] 이 자리에서 박윤용 민주당 25 선거구 디스트릭트 리더는“투표 는 힘 이다. 한인커뮤니티의 힘은 표로 보여줘야 한다. 이번 예비 선 거에 전반적으로 투표율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1 명이 참 여하면 10명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한인들은 이번 선거 에 꼭 투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은“투표 권 행사는 한인사회 정치력 신장 과 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 이다. 한인 유권자들은 23일 적극 적으로 투표에 참여해 한인들의 힘을 보여주자”고 권고했다. “오늘 23일 투표일, 꼭 투표하자!” “연방하원 3선거구 한인표가 당락 결정” 그레이스 맹·존 리우·스타비스키 무투표 승리 “삶이 고통스럽다”는 미국인 5,6% 2008년 후 최다…고물가 경제 상황이 주된 원인 “삶이 번창하고 있다”는 답변 비율도 최근 18개월 중 가장 낮아 갤럽, 생활 평가 지수 조사 미국 인플레이션 (CG)…자신의 현재 및 미래의 삶이 고통스러울 정도로 나쁘다고 답한 미국인은 5.6%로 나타났다. 고통의 주된 원인은 고물가 경제 상황이다.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과 박윤용 민주당 25 선거구 디스트릭트 리더(DistrictLeader) 주최로 한인사회 주요 리더들이 21일도 어김없이 플러싱 노던 155스트리트 레너즈 광장에 모여 23일 뉴욕주 예비선거 투표 참여 독려를 위한 가두 캠페인을 전개했다. 최고 90도 최저 73도 8월 25일(목)8월 24일(수) 최고 90도 최저 72도 1,365.38 1,318.42 1,355.00 1,328.80 N/A1,327.23 8월 23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8월 23일(화) 최고 85도 최저 70도 흐림 흐림 2022년 8월 23일 제보화요일 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THEKOREANNEWYORKDAILYTuesday August 23, 2022 <제 5270호 > www.newyorkilbo.com 흐림 < 미국COVID-19 집계 : 8월 22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발표 95,449,60635,1731,066,082>6,118,1704,64871,3292,656,73661334,467




















뉴저지한인상록회(회장 차영 자)는 상록회 창립 32주년을 기념 하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시니 어 걷기 행사를 20일 오전 10시부 터 버겐 카운티 오버팩 공원 (Henry Hoebel Area)에서 성황 리에상록회는진행했다.“그동안 코로나 팬데 믹으로 움츠러들었던 시니어들의 건강을 위해 조그맣게 기획한 행 사였으나 행사를 준비하면서 시니 어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호응과 참여로 예상 인원의 거의 3배가 넘 는 500여명의 한인들이 참여했 다.”고이날말했다.식전행사로 뉴저지한인 상록회 기타반의 행진곡 연주와 드림 색소폰 팀의 흥겨운 연주가 흥을행사돋우었다.진행은 박정배 단장이 이 끄는 경기민요 사물놀이 풍물패를 선두로 참여한 시니어들이 거의 1 마일을 걷는 행진으로 이어졌다. 특히 92세의 김근화 할머니의 상 모돌리기 걷는 행진은 보는 이로 하여금 감동과 용기를 선사했다. 그 뒤를 따라 걷는 행진은 그동안 움츠러들었던 한인 시니어들의 우 울한 마음을 널찍한 공원의 땅과 하늘 향해 한껏 날려보내는 시간 이었다.행진을 마친 후 시니어 에어로 빅 댄스팀(단장 다이애나 권)의 몸풀기 동작은 참여한 어르신들의 몸과 마음을 부드럽게 풀어주었 다. 이어진 공식 행사는 자연스럽 게 걷기행사와 동선을 맞추며 차 영자 뉴저지 상록회장의 대회사가 있었으며 준비위원장인 김완수 부 회장의 환영의 인사에 이어 본 행 사의 후원자로서 휴매나 보험회 사, 웰케어 보험회사 및 NJ SMG 그룹 등의 소개가 있었다. 이 자리 에서 폴 김 팰팍 시의원은 후원금 1000 달러를 기증했다.다. 이날 무료 선물 패키지 외에도 무료로 배식 된 뷔페 음식으로 점 심을 들면서 행사는 더욱 더 흥을 돋우었다.정영임 2부 사회자의 진행으로 쉼없이 이어지는 흥겨운 춤과 노 래와 공연은 참석한 어르신들의 몸과 마음을 활짝 펼쳐진 오버팩 공원의 푸른 잔디밭처럼 푸르고 젊게 만들어 버렸다. 하모니카 팀 의 연주, 박정배 명장의 경기민요 와 아쟁연주, 제이미 신 선생의 지 도로 행복한 시니어팀의 춤, 색소 포니스트 폴 오의 색소폰 연주, 미 쉘 송 선생 팰팍 시니어 댄스팀의 다이너마이트 댄싱 이외에도 에 릭 이와 정영임 및 박청복의 노래 는 한층 더 흥을 더했다. 상록회는“참석한 사람들의 노 래방 선곡들이 무더운 여름의 열 기를 싹 가시어 주는 후련함까지 더해준 멋진 걷기와 춤과 노래의 가무가 어우러진 행사였다”며 즐 거워 했다. [기사·사진 제공=뉴저지한인상록 회] “코로나는 가라!”뉴저지한인상록회 걷기행사에 500여명 참석 기타·색소폰 반 연주에 풍물패가 선도… 92세 김근화 할머니 상모돌리기“일품” 뉴저지한인상록회는 상록회 창립 32주년을 기념하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시니어 걷기 행사를 20일 오전 10시부터 버겐 카운티 오버팩 공원(HenryHoebelArea)에서 성황리에 진 행했다.서울대학교 동창회 뉴욕지회는 20일 뉴욕 업스테이트에 있는 라클랜드 호수 두립공원에서 제43대 이사회 겸 야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회장, 임원 인준, 회계 보고와 총회 준비, 장학금 지급 등에 대해 논의 했다. 이날 100여 명의 동문들이 모여 회기애애한 분위 기로 즐거운 만남을 가졌으며 푸짐한 선물과 상품을 안고 연말 송년회를 기약하면서 아쉽게 헤어졌다. [사진 제공=서울대학교 동창 회 뉴욕지회]서울대학교 동창회 뉴욕지회 이사회 겸 야유회에 100여명 참석 뉴욕한인봉사센터(KCS, 회장 김명미) 공공보건부(부장 사라 김)는 17일 당뇨예방을 위한 걷기 및 공원내 쓰레기 줍기 이벤트를 벌였 다. 월례 행사로 자리잡은 앨리폰드 파크 걷고 줍기 이벤트는 KCS 당뇨 예방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모여 건강한 활동의 중요성을 실천 하자는 목표로 공원에서 걷고,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 행사를 해오고 있다. 주최측은 "자연은 우리 후세에게 물려줄 자산입니다. 건 강을 챙기면서, 공원을 가꾸는 당뇨참여자들의 걸음과 쓰레기 줍는 손이 아름답습니다!"고 말했다. [사진 제공=KCS 공공보건부] KCS공공보건부, 당뇨예방 위한 걷기·공원내 쓰레기 줍기 이벤트 92세의 김근화 할머니의 상모돌리기 걷는 행진은 보는 이로 하여금 감동과 용기를 선 사했다. 그 뒤를 따라 걷는 행진은 그동안 움츠러들었던 한인 시니어들의 우울한 마음 을 널찍한 공원의 땅과 하늘 향해 한껏 날려보내는 시간이었다. A2 TUESDAY,AUGUST 23, 2022종합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A112022년 8월 23일(화요일) #EXPO #K-P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