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April 30, 2020
<제4569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2020년 4월 30일 목요일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이웃사랑+나눔 쌓이면 코로나19와 싸워 이길 수 있다 뉴욕가정상담소, 익명 독지가 5만 달러 성금+한식당 도움받아 가정폭력·코로나19 피해자 100명에게 4개월간 무료 식사 배달 “코로나19 탓에 모두가 힘든 이 시기에 가정폭력에 시달리고 식사 걱정까지 해야 하는 이웃을 그냥 보고만 있어서야 되겠습니 까. 서로서로 도와 이 어려움 이 겨냅시다.” 뉴욕가정상담소(소장 이지혜) 가 이번 주부터 8월말까지 4개월 동안 뉴욕가정상담소에 상담을 받으러 왔던 사람 가운데 가정· 성·아동폭력 피해자와 신종 코 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 인 100명에게 무료로 식사를 배달 한다. 이 식사 배달은 가정상담소가 실시하고 있는‘기브 헬프 포 호 프(Give Help For Hope)’캠페 인의 일환인데, 익명의 한 독지가 가 5만 달러를 후원하여 가능하게 된 것이다. 뉴욕가정상담소는“한인사회 에서 가정·성·아동 폭력은 늘 문제되어 왔던 것이지만 특히 최 근들어 코로나19로 인한 자가대 피, 실직으로 일한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훨씬 더 잦은 문제가 발생 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 정폭력 및 아동·성폭력 상담건 수가 이전보다 300% 더 늘었다” 고 말하고“한인사회는 이들 피해 자를 도와야 한다. 가정상담소는 한 독지가의 성금으로 이들 중 100명에게 4개월간 도시락을 배 달한다” 고 밝혔다. 가정상담소에 의하면 5만 달
러를 전한 이 독지가는“나의 희 망은 이 기부금이 코로나19로 인 한 어려움을 이겨내고 있는 한인 사회와 뉴욕가정상담소의 활동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한인동포 들이 너도나도 동참하여‘이웃돕 기’정신으로 하나로 묶을 수 있 도록 하는 것” 이라고 말했다. 이 독지가는“이번 음식 나누 기에 한인식당들이 배달을 맡으 며 동참하길 바란다. 한인식당들 은 이미 식료품이 필요한 단체에 식비를 기부하는 훌륭한 일을 하 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식당은 심 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데 이번 ‘음식나누기’ 에 동참하면 조그만 일거리라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 다. 현재 가장 도움이 필요한 개 인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동시에 식당 운영을 도울 수 있기를 희망 한다” 고 말했다. 이번‘기브 헬프 포 호프(Give Help For Hope)’ 프로그램에는 한인 식당 아토보 이(Atoboy), 단지(Danji), 한잔 (Hanjan), 핸썸라이스 (Handsome Rice), 주아(Jua), 꼬 치 (Kochi), 수길(Soogil) 등이 참 여하고 있다. 캠페인 참여 식당들 은 이미 ’ GIve help for hope’캠 페인과 손을 잡기에 앞서 이미 지 역사회를 돕기 위해 뉴욕시 전역 의 다양한 식사제공 프로그램에 기부하는 일에 참여하고 있었다 는 사실이 알려졌다. 캠페인 참여 식당들은“뉴욕
주의‘셧다운’정책으로 인한 뉴 욕의 모든 식당들이 제한적인 운 영으로 인해 매출의 큰 손실을 보 고 있지만, 뉴욕가정상담소가 지 역사회에 봉사하는 일에도 함께 참여하고 싶다.” 고 밝혔다. 뉴욕가정상담소 이지혜 소장 은“현재 코로나19 위기상황에 뉴 욕가정상담소는 성인, 청소년 및 어린이가 서로 존중하고 폭력 없 는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도 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과거에도 허리케인 샌디나 911 같은 위기상 황들에서도 가장상담소 직원과 회원들은 더욱더 단결하여 서로 를 지지해 주었다. 이번과 같은 국제적 공중보건 위기 또한 과거 에 우리가 했던 것처럼 잘 극복해 나갈 것이다.” 고 말한다. 한편, 지난 6주 동안 뉴욕가정 상담소 24시간 핫라인(한국어,영 어)의 통화량이 300% 이상 증가 했다. 이러한 통화는 가정 폭력, 성폭행, 아동학대 사건뿐만 아니 라 식료품수급불안, 주거 불안, 의 료 문제, 의료, 의료, 실업, 긴급 재 정 지원 등을 둘러싼 코로나 19 관 련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뉴욕가 정상담소의 고객 대다수는 서류 미비자,무보험자 그리고 무직자 다. 이지혜 소장은“고객들로부터 공통적으로 듣고 있는 주제는 코 로나19를 이기는 것보다 먹을 음 식을 찾고 집세를 내는 것에 더
신경을 쓴다는 것” 이라며“이번 코로나19 사태는 가정에서 폭력 적인 관계를 벗어나기로 한 용기 있는 결정을 내리고, 경제적 독립 을 향해 성공적으로 나아가고 있 는 우리 회원들에게 특히 큰 충격 을 주고 있다. 그들은 엄청난 좌 절을 경험했고 위기의 이 시기에 상담소에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고 말했다. 이 소장은“이번 캠페 인에 참여하는 파트너 식당들과 독지가에게 무한한 감사를 드리 며, 식료품을 필요로 하는 더 많은 이민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 록 기부로써 다른 이들이 이 캠페 인에 동참할 것을 권장한다” 고덧 붙였다. 에스터 임 뉴욕가정상담소 이 사회 의장은“우리는 지지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심으로 가정 폭력, 성폭행, 아동학대 피해자뿐 만 아니라 더 큰 한인 커뮤니티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고객들을 실 질적으로 지원하게 된 것에 감사 한다. 이번 캠페인을 출범시켜 우 리 공동체가 이 어려운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특 히 이민자들과 그들의 자녀들을 위해 회복이 훨씬 더 오래 걸릴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뉴욕 주의‘셧다운’해제 후에도 이러 한 식사를 계속 제공하는 것을 목 표로 하고 있다” 고 말했다. 뉴욕가정상담소에 문의할 것 이 있으면 24시간 핫라인 718-
비
4월 30일(목) 최고 61도 최저 55도
5월 1일(금) 최고 65도 최저 53도
비
5월 2일(토) 최고 69도 최저 49도
흐림
4월 30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1,219.00
1,240.33
1,197.67
1,230.90
1,207.10
1,233.62
1,206.34
1,056,705 305,086
20,940 3,636
61,180 23,474
116,264
2,408
6,770
<4월 29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 발표>
4월 29일 하루동안 발생한 한인 밀집 지역 확진자수
플러싱 베이사이드 맨해튼미드타운 873
270
300
포트리
팰팍
386
202
<4월 29일 현재 Propublica 발표>
460-3800으로 전화하면 된다. 현재 가정폭력이나 코로나19 로 어려움을 겪는 한인들은 전화 (718- 400-3801) 또는 e메일 (contact@kafsc.org)로 연락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뉴욕한인상담소는‘기브
헬프 포 호프(Give Help For Hope)’캠페인에 동참하기를 원 하는 한인 기부자들의 도움을 기 다리고 있다. 관심 있는 사람은 https://kafscgive.givesmart.co m/로 연락하면 된다. <전동욱 기자>
뉴욕주 확진자 30만명 넘어… 뉴저지 공원·골프장 재개장
코로나19로 텅빈 뉴욕 맨해튼 거리
◆ 뉴욕, 뉴저지 주 = 뉴욕주 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확진자가 30만명을 넘 어섰다. 29일 NBC 뉴스가 질병통제예 방센터(CDC) 자료 등을 토대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뉴욕주의 코로나19 확진자는 30만1천748명 을 기록했다. 뉴욕주의 코로나19 사망자는 2 만3천192명이다. NBC 뉴스는 뉴저지주의 코로 나19 확진자는 11만3천856명, 사 망자는 6천442명이라고 보도했 다.
뉴저지주는 뉴욕주에 이어 미 국 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두 번째로 많은 주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로 하루 사이에 33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하루 사망자는 나흘 연속 300명대를 기록 중이다. 쿠오모 주지사는 코로나19 상 황이 상대적으로 덜 심각한 35개 카운티에 한해 일반 환자에 대한 선택적 수술의 재개를 허용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뉴욕시 등은 대상에서 제외됐다.
쿠오모 주지사는 그러면서 이 처럼 비필수 수술이 허용된 이후 에도 최소 30%의 병원 침상과 30%의 중환자실(ICU)이 남을 때 경제를 재가동하겠다고 말했다. 필 머피 뉴저지주 주지사는 코 로나19로 잠정 폐쇄했던 주 공원 과 카운티 공원, 주내 골프장의 재 개 장 을 오 는 5월 2일부 터 허 용 한 다 고
밝혔다. 다만 공원과 골프장 재개 장에도 의무적‘사회적 거리 두 기’ 는 지속된다고 밝혔다. ◆ 미국 환자수 = 존스홉킨스 대학은 이날 오후 7시 32분 기준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를 103만7 천970명으로 집계했다. 사망자는 6만853명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