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April 10, 2021
<제4855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
2021년 4월 10일 토요일
코로나19 재확산 심각 5만~6만명이던 신규확진, 8만명 육박 구름
< 미국 COVID-19 집계 : 4월 9일 오후 6시30분 현재 Worldometer 발표 >
4월 10일(토) 최고 61도 최저 54도
비
4월 11일(일) 최고 60도 최저 48도
구름
4월 12일(월) 최고 56도 최저 46도
4월 10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31,802,772 1,986,098
85,368 9,163
574,840 51,250
946,504
4,193
24,826
코로나19의 4차 유행 조짐이 일 고 있는 미국에서 8일 8만명에 가 까운 신규 코로나19 감염자가 나 왔다. 존스홉킨스대학 집계에 따르 면 이날 미국에서 7만9천878명의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다. 이는 3월 24일(8만6천951명) 이후 약 보름 만의 최대치다. 또 3월 24 일 하루를 빼면 하루 신규 감염자 가 8만명을 넘긴 것은 2월 13일(8 만7천106명)이 마지막이었다. 3월 초중순까지만 해도 하루 5 만∼6만명 선을 오르내리던 하루 신규 확진자는 최근에는 6만∼7만 명 선을 오가고 있다. 미국의 누적 코로나19 확진자 는 9일 3천105만2천여 명, 누적 사 망자는 56만여 명으로 각각 집계 됐다. 이런 가운데서도 코로나19 백 신 접종은 속도를 내고 있다. 8일 기준 미국의 18세 이상 성인 가운 데 백신 접종을 모두 마친 사람은
6천605만7천여 명으로 이 연령대 인구의 25.6%에 해당하는 것으로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집계 했다. 성인 4명 중 1명 꼴로 백신 접종을 마친 셈이다. 1번이라도 백신을 맞은 사람은 43.2%인 1억1천141만2천여명으로 집계됐다. 또 전체 인구로 확대하 면 1번이라도 백신을 접종한 사람 은 33.7%인 1억1천204만6천여명,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19.9% 인 6천620만3천여명으로 나타났 다. 여기에 보태 50개 주 전체가 이 달 19일까지는 백신 접종 대상을 16세 이상 성인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일부 대학들은 주 정부의 규정 이나 지침과 관계 없이 학생들에 게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기로 하 고 있다. CNN은 9일까지 최소 14 개 대학이 학생들에게 새 학년도 가 시작되는 올가을 캠퍼스로 돌 아오기 전 백신 접종을 완료하도
1,121.00
7일 메릴랜드주 한 프리미엄 아웃렛의 대규모 백신 접종소에서 사람들이 줄을 서 기다 리고 있다.
시카고에 소재한 명문 사학 시카고대학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와 9일 학 생들 활동이 제한되고 교실 수업이 다시 중단됐다. 사진은 시카고대학 전경 [사진 출처 =시카고대학 웹사이트 캡처]
록 의무화하기로 했다고 집계했 다. 이미 지난달 말 뉴저지 럿거스 대학이 모든 학생들에게 백신을
접종하겠다며 이 조치가 팬데믹 (세계적 대유행) 이전의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넬대와 브라운대, 노터
1,140.61
1,101.39
1,131.90
데임대, 시러큐스대, 포트루이스 대 등도 의학적·종교적 이유에 따른 예외를 인정하면서 비슷한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 시카고大, 무더기 확진에 ‘자가 대피령’= 시카고에 소재한 명문 사학 시카고대학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와 학생 들 활동이 제한되고 교실 수업이 다시 중단됐다. 9일 시카고 언론에 따르면 시 카고대학은 전날 코로나19 집단 발병을 이유로 캠퍼스 전역에‘자 가 대피령’(Stay-At-Home)을 발령하고 학부 수업을 모두 온라 인으로 재전환했다. 대학 측은“지난 5일부터 7일 사이 학생 50명 이상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며“대부분이 캠퍼스 기숙사에 사는 학부생” 이 라고 밝혔다. 그러면서“확진자 가 운데 다수가 지난 주말 캠퍼스 밖 에서 열린 사교클럽 파티와 행사 에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학생들이 여러 기숙사에 분산돼 있는 만큼 당분간 확진자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고 예상했
1,110.10
N/A
1,109.49
다. 이어“새 학사연도가 시작된 작년 9월 이후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온 것” 이라면서“이번 감염 사 례들은 전염성이 더 강한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B117)일 가능성이 있다” 고 우려했다. 시카고대학 학생들은 최소 오 는 15일까지 각자 기숙사에서‘자 가 대피’ 를 해야 하며 추후 상황에 따라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학생들은 식사 픽업·병원 진 료 등을 위해서만 기숙사 밖으로 나올 수 있다. 교내 식당은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테이크아웃만 가능하다. 아울러 시카고대학은 지난 8일 부로 학부 수업을 모두 온라인으 로 전환하고, 학생들의 학과 외 활 동도 전면 취소했다. 캠퍼스 내 자 가 대피령이 해제되어야 교실수업 과 학생 활동이 정상 재개될 수 있 다. 대학 측은“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신속한 조치를 취 했다”며“확진자들을 격리하고, 접촉자 추적을 실시하고 있다” 고 밝혔다.
美의회조사국“위안부는 강제 동원된 여성들”적시 “韓日불화에 美국익 위태…日, 韓 쿼드불참을 이익으로 간주”
美日관계 보고서 미국 의회조사국(CRS)이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공개한 미일관계 보고서에서 일본군 위 안부 문제를 비중 있게 조명했다. CRS는 지난 6일 업데이트한 ‘일본-미국 관계’보고서에서 일 본과 한반도 관련 사안 중 하나로 ‘위안부 문제’항목을 포함하고 이와 관련된 현안과 쟁점을 자세 하게 소개했다. CRS는“‘컴포트 위민’(위안 부·comfort women)은 1930∼
1940년대 일본제국군의 점령과 아 시아 국가들 식민화 때 일본 군인 들에게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강제로 동원된 여성들을 지 칭하는 일본의 완곡한 표현(위안 부)을 문자 그대로 번역한 것” 이 라고 설명했다. 미국 의회 기구의 이 같은 개념 정의는 일본군 위안 부가 자발적 매춘부라는 마크 램 지어 하버드대 교수나 일본 극우 세력의 주장을 정면으로 부정하 는 것이다. CRS는 박근혜 정부 시절 이뤄 진‘2015년 위안부 합의’ 를 소개
하고“이 합의가 한국 대중에게는 여전히 호응을 얻지 못했다” 고도 지적하기도 했다. CRS는 특히“미국에서 위안 부 문제가 선명해지고 있으며, 부 분적으로는 한미 활동가 단체들 때문” 이라며 이들 단체가 캘리포 니아 및 뉴저지의 피해자 기림비 설립, 뉴욕주 상원의 결의문 통과 등 여러 사례를“성공적으로 끌어 냈다”고 평가했다. 앞서 CRS는 직전인 지난 2월 2일자 미일 관계 보고서에서는 위안부 항목을 별 도로 두지는 않았다.
한편 CRS는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의‘쿼드(Quad)’참여와 관 련한 일본 측 기류를 진단하기도 했다. 보고서는“도쿄 지도자들은 한국의 쿼드 불참을 추가적인 이 점으로 여길 가능성이 있다” 면서 “미·일·한 3자 협력을 강화하 자는 미국에 대해 도쿄와 서울은 불화를 빚거나 저항해왔다” 고분 석했다. 쿼드는 미국이 주도하는 미·인도·호주·일본 4개국 협 의체로, 중국 견제를 위한 대응으 로 해석된다. CRS는 한일 관계에 대해서는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 은 전망을 내놨다. CRS는 보고서에서 한일 관계
한인들도‘램지어 규탄’청원운동…위안부 기림비서 규탄대회. 2월 17일 뉴저지주 위 안부 기림비 앞에서 열린‘역사왜곡 논문 철회 촉구’궐기대회에 참석한 한인 단체들 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고 있다. [사진 제공=미동북부한인회연합회]
를“냉랭한 교착 상태” 라고 진단 하고“2021년에도 관계는 여전히 냉랭하다” 면서“서울과 도쿄 간 좋지 않은 관계가 대북 정책 및
중국 부상에 대한 대응에서 3자 협력을 복잡하게 함으로써 미국 의 이익을 위태롭게 한다” 고 진단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