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에 있던‘전설’로 여겨져 온 조선 화첩 속 그림들, 귀국
미공개 회화 4건 기증
시아버지 이름으로 광주박물관에 기증…“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
18세기 조선에서 의관으로 활
동한 석농(石農) 김광국(1727∼


1797)은 당대 최고의 서화 수집가
로 이름을 날렸다. 그가 평생 수집
한 그림을 정리한‘석농화원’(石
農畵苑)은 고려와 조선, 중국 등
100여 명에 달하는 화가의 그림을


모은‘명품 화첩’이었으나, 석농
이 세상을 뜬 뒤 일부가 흩어졌다
고 전한다.
한국 회화사 연구에 있어 중요
한 자료인 이 화첩에 포함된 것으
로 추정되는 조선 시대 그림이 미
국에서 돌아왔다.
국립광주박물관과 국외소재문
화재재단은 버지니아주에 거주하
는 게일 허(85) 여사로부터 지금까
지 공개되지 않았던 조선 후기 회
화 총 4건(총 13점)을 기증받았다
고 4일 밝혔다.
기증된 유물은 18∼19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과
병풍 등이다. 이들은 모두 기증자
의 시아버지인 고(故) 허민수 씨
로부터 가족이 물려받아 1960년대
부터 소장해 온 것이다.
박물관과 재단에 따르면 고인
은 전남 진도 출신의 은행가로, 추
사 김정희의 제자이자 호남 화단
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소치(小痴)
허련(1808∼1893) 가문의 후손이
다. 기증품 중 가장 눈여겨볼 만한
그림은 조선 시대 문인 화가였던
김진규(1658∼1716)의‘묵매도’ (墨梅圖)다.


말 그대로 먹으로 그린 매화라
는 의미로, 먹의 농담(濃淡·색깔







이나 명암 따위의 짙음과 옅음)으
로 매화 나뭇가지와 그 위에 앉은
새 한 마리를 표현한 점이 인상적
이다.
이 그림은 지난 2013년 존재가 알려진‘석농화원’필사본 기록에 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당시 필사본
1집(권1)에 17번으로 나와 있던 그
림으로, 그동안 제목과 그림에 대 한 평가만 전해오던 것이었는데
이번에 실제 작품이 발견돼 의미
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김진규는 지금껏 알려진 작품이
많지 않지만, 김광국이 남겼다는
화평에‘귀한 그림이고 소중히 아
껴라’는 메시지가 있다”고 덧붙였
다. 다른 회화 3건은‘석농화원’에
는 포함되지 않지만, 그 자체로 문
화적 가치가 크다. 문인 화가 신명연(1808∼?)이
그린‘동파입극도’(東坡笠屐圖)
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다. 흔히‘소동파’로 잘 알려진 중
국 북송 대의 문인 소식(1037∼
1101)이 귀양을 갔을 당시 삿갓과

나막신 차림으로 비를 피하는 모
습을 그린 것으로, 국내에서는 흔
히 보기 어려운 종류의 작품이다.
신명연이 일반적으로 꽃과 풀을
소재로 한 화려한 그림으로 유명
하다는 점에서도 이‘동파입극도’
는 희귀한 작품으로 여겨진다. 기증품 중에는 허련의 작품도
포함돼 있다. 소나무 가지가 힘차
게 뻗어 나간 모습을 표현한‘송도
대련’ (松圖 對聯)에는 허련이 자

신의 호를 쓰고 도장을 찍은 낙관 (落款)과 제목을 붙여 지은 시가 남아있다. 이 작품은 허련 특유의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박물관 측은 전했다. 8폭으로 된 ‘천강산수도 병풍’ (淺絳山水圖 屛
風) 역시 허련의 색이 물씬 묻어나


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박물관 측은“전형적인 소치
4일

화풍의 산수도”라며“병풍 뒷면에 허민수 선생과 가까운 친척인 서 화가 허백련(1891∼1977)이 쓴 표 제가 남아있어 두 사람의 깊은 인 연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게일 허 여사는 2021년 작고한 남편 허경모 씨의 유품을 정리하 면서 기증이라는 큰 뜻을 품었다 고 한다. 그는 지난해 5월 이웃인 기획재정부 고광희 국장 가족에게
도움을 청했고, 이후 연락을 받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미국사무소 가 허련의 작품을 감정·자문하다 ‘묵매도’,‘동파입극도’를 추가로
확인했다.
소장품이 회화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꼭 환수하고 싶다는 뜻 을 전해 들은 게일 허 여사는 시아 버지의 고향인 진도와 가까운 국 립광주박물관에 시아버지의 이름 으로 기증하겠다고 결정했다.
지난달 28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증서 전달식에서 게일 허 여사는“시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소중한 작품이 가장 잘 향유될 수 있는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어 매 우 기쁘다”고 밝혔다. 박물관 측은“이번 기증품은
한국 회화사의 공백을 채워줄 작 품이자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라 고 강조했다. 박물관은 보존 처리
작업을 마친 뒤 올해 하반기 특별 전을 통해 기증품을 공개할 예정 이다.
80대 미국인 여성,‘묵매도’·‘동파입극도’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