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0423A

Page 1

美에 있던‘전설’로 여겨져 온 조선 화첩 속 그림들, 귀국

미공개 회화 4건 기증

시아버지 이름으로 광주박물관에 기증…“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

18세기 조선에서 의관으로 활

동한 석농(石農) 김광국(1727∼

1797)은 당대 최고의 서화 수집가

로 이름을 날렸다. 그가 평생 수집

한 그림을 정리한‘석농화원’(石

農畵苑)은 고려와 조선, 중국 등

100여 명에 달하는 화가의 그림을

모은‘명품 화첩’이었으나, 석농

이 세상을 뜬 뒤 일부가 흩어졌다

고 전한다.

한국 회화사 연구에 있어 중요

한 자료인 이 화첩에 포함된 것으

로 추정되는 조선 시대 그림이 미

국에서 돌아왔다.

국립광주박물관과 국외소재문

화재재단은 버지니아주에 거주하

는 게일 허(85) 여사로부터 지금까

지 공개되지 않았던 조선 후기 회

화 총 4건(총 13점)을 기증받았다

고 4일 밝혔다.

기증된 유물은 18∼19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과

병풍 등이다. 이들은 모두 기증자

의 시아버지인 고(故) 허민수 씨

로부터 가족이 물려받아 1960년대

부터 소장해 온 것이다.

박물관과 재단에 따르면 고인

은 전남 진도 출신의 은행가로, 추

사 김정희의 제자이자 호남 화단

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소치(小痴)

허련(1808∼1893) 가문의 후손이

다. 기증품 중 가장 눈여겨볼 만한

그림은 조선 시대 문인 화가였던

김진규(1658∼1716)의‘묵매도’ (墨梅圖)다.

말 그대로 먹으로 그린 매화라

는 의미로, 먹의 농담(濃淡·색깔

이나 명암 따위의 짙음과 옅음)으

로 매화 나뭇가지와 그 위에 앉은

새 한 마리를 표현한 점이 인상적

이다.

이 그림은 지난 2013년 존재가 알려진‘석농화원’필사본 기록에 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당시 필사본

1집(권1)에 17번으로 나와 있던 그

림으로, 그동안 제목과 그림에 대 한 평가만 전해오던 것이었는데

이번에 실제 작품이 발견돼 의미

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김진규는 지금껏 알려진 작품이

많지 않지만, 김광국이 남겼다는

화평에‘귀한 그림이고 소중히 아

껴라’는 메시지가 있다”고 덧붙였

다. 다른 회화 3건은‘석농화원’에

는 포함되지 않지만, 그 자체로 문

화적 가치가 크다. 문인 화가 신명연(1808∼?)이

그린‘동파입극도’(東坡笠屐圖)

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다. 흔히‘소동파’로 잘 알려진 중

국 북송 대의 문인 소식(1037∼

1101)이 귀양을 갔을 당시 삿갓과

나막신 차림으로 비를 피하는 모

습을 그린 것으로, 국내에서는 흔

히 보기 어려운 종류의 작품이다.

신명연이 일반적으로 꽃과 풀을

소재로 한 화려한 그림으로 유명

하다는 점에서도 이‘동파입극도’

는 희귀한 작품으로 여겨진다. 기증품 중에는 허련의 작품도

포함돼 있다. 소나무 가지가 힘차

게 뻗어 나간 모습을 표현한‘송도

대련’ (松圖 對聯)에는 허련이 자

신의 호를 쓰고 도장을 찍은 낙관 (落款)과 제목을 붙여 지은 시가 남아있다. 이 작품은 허련 특유의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박물관 측은 전했다. 8폭으로 된 ‘천강산수도 병풍’ (淺絳山水圖 屛

風) 역시 허련의 색이 물씬 묻어나

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박물관 측은“전형적인 소치

4일

화풍의 산수도”라며“병풍 뒷면에 허민수 선생과 가까운 친척인 서 화가 허백련(1891∼1977)이 쓴 표 제가 남아있어 두 사람의 깊은 인 연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게일 허 여사는 2021년 작고한 남편 허경모 씨의 유품을 정리하 면서 기증이라는 큰 뜻을 품었다 고 한다. 그는 지난해 5월 이웃인 기획재정부 고광희 국장 가족에게

도움을 청했고, 이후 연락을 받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미국사무소 가 허련의 작품을 감정·자문하다 ‘묵매도’,‘동파입극도’를 추가로

확인했다.

소장품이 회화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꼭 환수하고 싶다는 뜻 을 전해 들은 게일 허 여사는 시아 버지의 고향인 진도와 가까운 국 립광주박물관에 시아버지의 이름 으로 기증하겠다고 결정했다.

지난달 28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증서 전달식에서 게일 허 여사는“시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소중한 작품이 가장 잘 향유될 수 있는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어 매 우 기쁘다”고 밝혔다. 박물관 측은“이번 기증품은

한국 회화사의 공백을 채워줄 작 품이자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라 고 강조했다. 박물관은 보존 처리

작업을 마친 뒤 올해 하반기 특별 전을 통해 기증품을 공개할 예정 이다.

80대 미국인 여성,‘묵매도’·‘동파입극도’등
미국에서 열린 기증서 전달식. 왼쪽부터 이애령 국립광주박물관장, 게일 허 여사, 강임 산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미국사무소장 [사진 출처=국립광주박물관 제공] 고(故) 허민수 씨 [사진 출처=국립광주박 물관 제공] 김진규‘묵매도’[사진 출처=국립광주박물관 제공] 허련‘송도 대련’[사진 출처=국립광주박물관 제공]
< 관련 기사 A3, A6면> 최고 73도 최저 48도 4월 6일(목) 4월 5일(수) 최고 54도 최저 51도 1,329.05 1,283.351,319.00 1,293.40 N/A1,290.99 4월 4일 오후 12시 기준(한국시각) 4월 4일(화) 최고 67도 최저 52도 흐림 비 2023년 4월 4일 화요일 제보 문의 대표전화 (718) 939-0047/0082 THEKOREANNEWYORKDAILY Tuesday April 4,2023 <제 5455호 > www.newyorkilbo.com 비
트럼프 맨해튼 법정 출두 맞아 뉴욕시“초긴장”
A11 2023년
4월 4일(화요일)
A12 TUESDAY, APRIL 4, 202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040423A by nyilbo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