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1423A

Page 1

수묵화가 ART KIM, 김화영 뉴욕전이 3월 22일(수)부터 26일 (일)까지 맨해튼 첼시 지역에 있

는 메트로폴리탄 파빌리온(125 W. 18 St. NY, NY)에서 열린다.

김화영 뉴욕전은 1999년 이후

매년 열리는 세계에서 가장 큰 뉴

욕 어포더블 아트페어의 일환으로

열린다. 뉴욕 어포더블 아트페어

는 올해도 재미있고 영감을 주는 다양한 이벤트로 많은 관람객들과

컬렉터들이 예술과 사랑에 빠지도

록 할 것이다. 수묵화가 김화영은 목원대 회

화과와 단국대 일반대학원을 졸업

하고 뉴욕, 로스엔젤레스, 마이에 미, 런던, 햄튼, 싱가폴, 홍콩, 쾰른 등 해외 여러 도시에서 개인전을

한 중견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 필법의 맥 락을 이어 구사하면서도 그것을 활용한 새로운 조형양식, 새로운 감각과 정서를 화면에 발현시키고 자 하는 의지가 돋보인다. 이전의 수묵 산수화가 이념에 치중하고 관념중심의 전통성을 중 시했다면, 김화영 작품은 사실적

W. 18 St. NY, NY)dptj dufflsek/이다. 뉴욕 어포더블 아트페어는 1999년 이후 매년 열리는 세계에서 가장 큰 아트페어 이다. 영아트갤러리 부스는 2층 A-9 이며 참여 작가는 CHUL CHUNG, KOOKHYUN GA, CHUNOH RYU, HwAN KIM, ART KIM, YOUNGHEE JUNG, HYESEON JUNG, MYUNGJUN AHN EMD 10명이다. 영아트 갤러리 연락처: 010-3228-6546, hykim3410@naver.com www.youngartgallery.kr

자연대상을 관찰하는 자연대상의 접근에 입각해 구도와 화면을 보 다 집약적이고 농축적으로 화면을 재해석한다. 무엇보다 전통적 수묵양식을 화면 전체 농묵을 바탕으로 담채 선염을 응용한 새로운 기법의 실 험을 통해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현대적 변용을 시도한다. 또한 구 도의 특징에 있어서 화면전체 여 백이 많지 않으면서도 시원한 공 간감을 형성하는 것은 그만의 독 특한 표현방식이다.

그는 관찰자 입장에서 자연을 소재로 대상을 연구하여 자연 그 대로의 이미지를 살린 작업을 통 해 작가 자신만의 인생관을 점 하 나, 한 획의 선으로 표현해 내고있 다.

이는 자연환경을 단순히 보여

지는 것이 아닌 자연의 특성을 살

리되 작가의 내면 속에 담긴 주관

적 형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의 그림들은 주로 소나무를 모티브로 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

하며 변화하는 자연의 분위기를

화면 속에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 림 속 소나무들에는 그가 홀로 견 뎌온 강인하고 굳센 시간들과 자 연의 사랑이 담겨있다.

김화영은 여전히 작품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과 사색을 통한 의 식의 전환을 추구한다.

김화영은 2007년 이후 꾸준하

게 뉴욕을 비롯해 전세계 도시들 에 작품을 전시해오며 현지 다양 한 컬렉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2023년 봄에 뉴욕에서 신작을 선 보인다.

전후 일본 문학을 대표하는 문

인이자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오에 겐자부로(大江建三郞)가 3일

노환으로 별세했다고 교도통신이

13일 보도했다. 향년 88세.

고인은 개인적인 체험 만연

원년의 풋볼’로 1994년 노벨문학

상을 탔다.

‘설국’으로 1968년 노벨문학상

을 받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에 이

어 일본인으로는 두 번째 수상이

었다.

1935년 에히메현 산골 마을에

서 태어난 작가는 도쿄대 불문학

과 재학 중인 1958년 단편소설 사

육’으로 당시 최연소인 23세에 일

본 최고 문학상인 아쿠타가와상을

받으며 문단에 화려하게 등장했

다.

고인은 일본 사회의 불안한 상

황과 정치적 문제에 대한 비판 천

황제와 군국주의, 평화와 공존, 지

적 장애를 가진 장남과의 공생, 고

향 시코쿠 숲 마을의 역사와 전통

등을 주제로 수많은 글을 발표했

고, 국내외 여러 사회 문제에도 적

극적으로 참여했다. 오에는 과거 자기 작품을 3개

시기로 나눠 설명했다.

1기는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

면서 봤던 일본의 모습으로 사회

적 담론을 반영하는 소설을 주로

썼다. 이어 2기는 장남 히카리가 청

력, 시력, 사고력 없는 장애인으로

태어나면서 아이와 부모의 성장

과정을 담은 사소설을 주로 썼다.

그는 자신의 아이가 눈이 보였으

면 좋겠다는 희망으로 아이 이름 을 히카리(빛)로 지었다고 말했 다.

마지막 3기는 30대 후반 이후로

사소설적인 경향을 담으면서도 일 본 사회에 대한 비판을 포괄하는 객관적인 소설을 쓴 시기였다.

고인은 작품뿐 아니라 사회 문 제에 참여하는 지식인으로서도 존 경받았다.

2004년 군대 보유 금지와 전쟁 과 무력행사를 영구 포기하는 내 용이 담긴 헌법 9조 등 평화헌법

개정에 반대하기 위해 다른 석학 들과 9조의 모임 을 결정해 개헌 에 반대했다.

또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일본 정부의 원전 재가동 정책 에 반대하는 집회에 참석해 자신

의 인생 최종 과업은 핵 없는 세계

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며“원전

문제를 젊은 세대에 떠넘겨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거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비 판하기도 했다.

고인은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 했으며 한일 역사 문제에 대해서 도 자신의 소신을 뚜렷이 밝혔다.

그는 2차 아베 신조 정권 때인

2015년 3월 연세대에서 열린‘연

세-김대중 세계미래포럼’에 참가

해 일본은 아무리 사죄해도 충분

하지 않을 만큼 막대한 범죄를 한

국에 저질렀다. 그런데 아직도 한

국인들에게 일본은 충분히 사죄하 지 않았다”고 말했다. 오에는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

와 관련해“여성에 대한 폭력을 정

당화한 일본의 후진성을 인정해야

한다 며 일본 정부나 국민이 충

분히 사죄했다고 보기 어렵다. 일

본 국가가 사죄해야 한다 고 말한

바 있다. 그는 한국 소설에 대해서는

“현대소설을 애독하고 높이 평가

한다”며“그중에서 황석영은 현대 의 중요한 문제를 지적하는 큰 소 설을 쓴다. 개인의 내면을 그리면 서도 사회로 이어지는 인간을 묘 사한다 고 높이 평가했다. 1970년대 김지하 시인이 투옥 됐을 때는 단식투쟁까지 하며 항 의했다.

문화 A4 TUESDAY,MARCH 14, 2023 뉴욕일보 THE KOREAN NEW YORK DAILY
수묵화가 ARTKIM, 김화영 뉴욕전에 전시될 작품. 김화영은 관찰자 입장에서 자연을 소재로 대상을 연구하여 자연 그대로의 이미지 를 살린 작업을 통해 작가 자신만의 인생관을 점 하나, 한 획의 선으로 표현해 내고있다. [사진 제공=영아트] 2023년 뉴욕 어퍼더블 아트페어에 영아트갤러리가 참여 한다. 전시는 3월 22일~26일 메트로폴리탄 파 빌리온(125
“일본은 아직도 한국인들에게 충분히 사죄하지 않았다”
오에 겐자부로 별세… 1994년 노벨문학상 수상 영아트갤러리, 2023년 뉴욕 어퍼더블 아트페어 참여 2015년 기자간담회서 답하는 오에 겐자부로 김화영의 작품들. 수묵화가 김화영, 22일부터 뉴욕서 전시회
전후 日대표작가
A11 2023년 3월
14일(화요일)
A12 TUESDAY, MARCH 14, 202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