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March 7,2023 <제 5431호 > www.newyorkilbo.com
THEKOREANNEWYORKDAILY











아시아계 유권자들, 민주당 떠난다
증오범죄 계속에 공화당 지지 상승
대표전화 (718) 939-0047/0082





뉴욕 아시아계 지역구 공화당 득표 23%P↑
민주당에 몰표를 줬던 아시아
계 유권자 사이에서 공화당에 대
한 지지도가 급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NYT)는 6일 아시

아계 유권자들이 많은 뉴욕을 비
롯해 미국 전역에서 이 같은 변화
가 확인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시아계 미국인의 권익 보호
를 위한 인권단체 아시아법률재단 (AALDEF)에 따르면 지난해 11 월 중간선거에서 아시아계 유권자
의 64%는 민주당에, 32%는 공화

당에 투표했다. 아직도 민주당에 대한 지지율 이 더 높지만 2016년 대선에서 아
시아계 유권자 79%가 민주당에 투표했고, 단 18%만 공화당을 지 지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적지 않은 변화다. 전체 주민의 14%가 아시아계인 뉴욕에서도 이 같은 변화가 두드러진다. NYT가 지난해 뉴욕주지사 선 거에서 아시아계 유권자들이 전체 유권자의 절반이 넘는 지역구의
선셋파크 지역구와 벤슨허스 트 지역구에선 젤딘 후보의 득표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계와 중국계가 다수인 퀸
스 플러싱과 베이사이드 지역의 여러 지역구도 공화당 지지로 돌 아섰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화는 범 죄에 대한 공화당의 강력한 대응
방침이 아시아계 유권자들의 마음
을 움직였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아시아계 에 대한 증오범죄가 확산하면서
민주당이 운영하는 뉴욕주 정부와
시에 대한 불만이 늘었다는 것이 다. 퀸스 지역에서 남아시아계 유 권자들의 정치활동을 돕는 시민단 체‘테이킹 아워 시트’설립자 존 앨버트는“공화당이 뉴욕을 안전
하게 만들 것이라는 명확한 메시 지를 유권자에게 전달하는 데 성 공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10년간 미국에서 시 민권을 딴 아시아계의 경우 과거 이민자들보다 훨씬 경제적으로 부 유하다는 점도 공화당에 대한 지 지가 상승한 배경으로 지적된다. 소득이 높을수록 공화당에 대한 지지도가 올라간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뉴욕에서 가장 오래된 중국계 거주지역인 맨해튼 차이나 타운은 아시아계 거주지역 중에서 도 중위소득이 가장 낮은 지역으 로 꼽힌다. 이 지역에서는 아직도 민주당이 압도적인 지지를 유지하 고 있다.
진단도 나왔다.
구테흐스 총장은“수 세기에
걸친 가부장적 인습, 차별, 해로운
관습이 과학과 기술 영역에서 거
대한 성차별을 낳았다”며 여성 노
벨상 수상자가 전체의 3%에 지나 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여성의 권리 신장이 점점 후퇴
해 성평등이 실현되려면 300년은
걸릴 것이라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6일 경고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이날 세계 여성의 날
(8일)을 이틀 앞두고 열린 유엔총
회 연설에서, 유엔 경제사회이사
회 여성지위위원회가 주도하는 2
주 일정의 토론을 개시하며 이렇
게 밝혔다.
그는“성평등이 점점 멀어지고
있어 유엔은 지금과 같은 상태라
면 그 실현 시점을 300년 뒤로 보
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세계 곳곳에서 여성
의 권리가 유린당하고 위협을 받
고 침해되고 있다”면서 임산부 사
망 학교에서 쫓겨나는 소녀, 직장
에 갈 수 없는 양육자, 조혼 강요
등의 사례를 나열했다. 그는 또
“수십 년 동안 이룩한 진전이 우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6일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해법 발표에 대해 한일관계의‘신기원적인 새 장(agroundbreakingnewchapter)’이라고 환영 했다.
눈앞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강조 했다. 특히 구테흐스 총장은 이슬람 원리주의 무장정파 탈레반이 집권 한 아프가니스탄에서 여성이 공적 인 생활영역에서 사라졌다는 점을 개탄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그 외 다른 나 라를 거명하지는 않았지만,“많은 경우 여성들의 성적 권리, 재생산 권이 축소되고 있고, 일부 나라에
서 학교에 다니는 여학생들이 납 치와 폭행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고 지적했다.
일상뿐만 아니라 학계와 같은
더 전문적인 분야에서조차 여성에 대한 차별이 개선되지 않는다는
바이든“美 가장 가까운 동맹간 협력·파트너십 신기원적
▶ 관련기사 A7(한국1)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6일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해법 발표에 대 해 한일관계의‘신기원적인 새 장
(a groundbreaking new chapter)’이라고 환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 서“오늘 한국과 일본의 발표는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 간의 협
력과 파트너십에 신기원적인 새 장을 장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역사적인 외교장관
담화를 통해 더 안전하고 보다 안
그는 성차별 없는 교육의 기회 를 제공하고 숙려기술을 향상시키 며 디지털 성차별을 해소할 투자 를 늘리는 등 집단행동에 나서달 라고 각국 정부, 시민사회, 기업에 촉구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마지막으로 “가부장제가 반격하고 있지만 우 리도 마찬가지로 반격하고 있다” 며“유엔은 세계 모든 곳에 있는 여성과 소녀들과 연대한다”고 목 소리를 높였다.
심할 수 있으며, 보다 번영하는 양 국 국민의 미래를 만들기 위한 중 차대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고 평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일본과 한 국 정상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면 서“한국, 일본, 미국의 3국 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 한다”고 덧붙였다.
“남녀 성평등 실현에 300년 걸릴 것
“수십년간 이룬 진전 눈앞에서 사라지고 있어”
유엔 사무총장 여성의 날 연설에서 개탄
한국,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해법 발표





























